KR101372334B1 -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334B1
KR101372334B1 KR1020130027121A KR20130027121A KR101372334B1 KR 101372334 B1 KR101372334 B1 KR 101372334B1 KR 1020130027121 A KR1020130027121 A KR 1020130027121A KR 20130027121 A KR20130027121 A KR 20130027121A KR 101372334 B1 KR101372334 B1 KR 10137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eel pipe
underground
parking lo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에스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에스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에스건설
Priority to KR102013002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를 연장하여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서 그 외벽의 내측 및 외측을 연결하는 네 모서리에 H빔을 지면에 설치하여 작업구역을 설정하는 한편, 그 작업구역을 굴착하여 가면서 H빔에 지지되는 토류판을 이용한 토류벽을 시공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공간 굴착단계; 작업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외벽의 길이방향으로 기존 건축물의 수평보 저면과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해당하게 상,하부 강관을 압입하는 강관 압입단계; 압입된 상,하부강관의 내부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의 저면 양측과 하부강관의 상부면 양측에 서로 대항되는 형태로 절개홈을 각각 형성하되, 상,하 대항되는 절개홈을 따라 양측으로 철판을 압입하는 한편, 강관과 철판을 용접 결합하는 철판 설치단계; 상기 양측의 철판 사이의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의 상,하부와 하부강관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절개부를 통해 기존 건출물의 수평보 저면과 하부강관의 내측 저면을 연결하는 철근 배근된 거푸집을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기초벽체를 이루는 기초벽체 시공단계; 및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기초벽체와 연결되는 철근 배근된 거푸집을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겨 그 기초벽체와 연결되는 마감벽체를 이루는 벽체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으로,
토류벽 시공에 따른 1차적인 작업 공간확보와 강관 및 철판을 이용한 보강 및 방수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상 매우 편리하면서도 증축된 건축물의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로의 시공이 가능하고, 특히 증축에 따른 시공비용이 절감되어 건축물 리모델링에 따른 투자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등 리모델링 활성화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Me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 in extension of undergound parking lo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를 연장하여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리모델링시 지하주차장을 증축시 그 지하 벽체를 연장 시공하되, 기존 건축물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안정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신속하면서도 정교하게 연장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한 지 20년 이상 오래된 고층 건축물(아파트) 등의 경우 건설당시 주차장의 필요성이나 건축법상의 여건으로 인하여 지하 주차장 시설이 완비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오래된 건축물의 경우 상당한 노후가 진행되어 있는 상태로 재건축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건축상의 난해함과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재건축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현상으로 거주자로 하여금 생활 환경의 낙후와 위험을 그대로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기존의 아파트를 보수보강 및 증축 등을 이용한 리모델링 공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리모델링 공사 중 현재 생활수준이 향상함에 따라 자동차의 보유가 증가하여 지상공간의 조경 및 보행에 따른 안전 등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해 지하주차장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이에, 지하 주차장 증축에 따른 다양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그 하나의 예로서 특허출원공개 제10-2004-0092200호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시공상의 번거로움과 기존 건축물과의 연결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안전상의 문제와 시공단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22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토류벽 시공에 따른 공간확보와 강관 및 철판을 이용한 보강시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리함과 건축물의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특히 시공단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기존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서 그 외벽의 내측 및 외측을 연결하는 네 모서리에 H빔을 지면에 설치하여 작업구역을 설정하는 한편, 그 작업구역을 굴착하여 가면서 H빔에 지지되는 토류판을 이용한 토류벽을 시공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공간 굴착단계;
작업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외벽의 길이방향으로 기존 건축물의 수평보 저면과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해당하게 상,하부 강관을 압입하는 강관 압입단계;
압입된 상,하부강관의 내부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의 저면 양측과 하부강관의 상부면 양측에 서로 대항되는 형태로 절개홈을 각각 형성하되, 상,하 대항되는 절개홈을 따라 양측으로 철판을 압입하는 한편, 강관과 철판을 용접 결합하는 철판 설치단계;
상기 양측의 철판 사이의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의 상,하부와 하부강관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절개부를 통해 기존 건출물의 수평보 저면과 하부강관의 내측 저면을 연결하는 철근 배근된 거푸집을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기초벽체를 이루는 기초벽체 시공단계; 및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기초벽체와 연결되는 철근 배근된 거푸집을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겨 그 기초벽체와 연결되는 마감벽체를 이루는 벽체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은, 토류벽 시공에 따른 1차적인 작업 공간확보와 강관 및 철판을 이용한 보강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상 매우 편리하면서도 증축된 건축물의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로의 시공이 가능하고, 특히 증축에 따른 시공비용이 절감되어 건축물 리모델링에 따른 투자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등 리모델링 활성화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작업공간 굴착단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작업공간 굴착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강관 압입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철판 설치단계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철판 설치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기초벽체 시공단계를 나타낸 측 단면도.
8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기초벽체 시공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벽체 완성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낸 간략도 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방법은,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와, 강관 압입단계(S200)와, 철판 설치단계(S300)와,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와, 벽체 완성단계(S500)를 수행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는,
도 2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작업공간 굴착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작업공간 굴착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기존 건축물(10)의 외벽(20) 길이방향 일측에는 작업공간(100)이 확보된다.
이때, 작업공간(100)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벽의 내측 및 외측을 연결하는 네 모서리에 수직으로 H빔(110)을 지면에 박아 작업구역(101)을 설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설정되는 작업구역(101)은 2×2m에 해당하는 구역이 설정되게 함이 적합하다
이후, 도 3의 도시와 같이 그 작업구역(101)을 굴착하되, 기존 건축물(10)의 수평보(30) 하부로 굴착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굴착을 수행하는 동시에 H빔에는 토류판(121)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토류벽(120)을 이루는 것이며, 이에, 그 토류벽(120)의 사이에는 공간 형태의 2×2m에 해당하는 작업공간(100)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시공된 토류벽(120)의 토압에 의한 붕괴를 막기 위해 작업공간(100) 내의 건축물의 내측과 외측의 마주보는 토류벽(120)을 서로 연결 지지하는 턴버클바(130)를 더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턴버클바(130)는, 통상의 턴버클과 같이 너트체를 조임시 양측으로 지지봉이 전개될 수 있는 형태면 가능한 것으로, 여기서 설치되는 턴버클바(130)는 내,외측의 마주보는 H빔(110)을 지지하거나 마주보는 토류판(121)을 지지하되, 작업공간(100) 내에서 작업의 간섭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업공간(100)의 바닥면에 지반 보강작업(S100a)을 추가로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 지반 보강작업(S100a)은 지반의 보강과 기존 건축물(10)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보강방법으로는 H빔(70)이나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보강이나 시멘트 그라우팅(80)을 이용한 보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강관 압입단계(S200)를 수행하되,
도 4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강관 압입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작업공간(100)에서는 외벽(20)의 길이방향으로 기존 건축물(10)의 수평보(30) 저면과 작업공간(100)의 바닥면에 해당하게 상부강관(200) 및 하부강관(300)을 각각 압입 시공한다.
이때, 상,하부강관(200)(300)의 압입 방법으로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특허출원등록 제10-1070678호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 및 유압잭을 이용하여 선도관및 강관을 압입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하부강관(300)의 압입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작업공간 내에서 외벽(20)의 길이방향 일측 토류벽(120)에는 유압실린더(40)가 설치되고 그 유압실린더(40)의 추진력에 의해 선도관(41)이 먼저 압입된다.
이후, 유압실린더(40)가 후퇴한 상태에서 압입된 선도관(41)의 후미에는 그 내측으로 하부강관(300)이 내입되는 한편, 유압잭(42)에 의해 연결된다.
이후, 유압실린더(40)의 추진력에 의해 하부강관(300)을 압입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그 하부강관(300)과 연결된 선도관(41)도 함께 1차 압입되는 것이고, 이후 유압잭(42)에 의해 선도관(41)을 2차로 더 압입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압입된 하부강관(300)의 후미에는 또 다른 하부강관(300)이 연속하여 용접 연결되는 것이고, 각각의 하부강관(300)을 연결시마다 전기한 바와 같이 1차 압입과 2차 압입을 연속 수행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상,하부강관(200)(30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상,하부강관(200)(300)이 압입되는 측의 토류벽(120)은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관 압입단계(S200)에서, 압입되는 상부강관(200)은, 기존 건축물(10)의 수평보(3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압입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부강관(200) 압입 과정에서 수평보(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 이격공간에는 수평보(30) 저면과 상부강관(20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자키(250)를 설치함으로 수평보(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후, 철판 설치단계(S300)를 수행하되,
도 5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철판 설치단계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철판 설치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철판 설치단계(S300)는, 압입된 상부강관(200)과 하부강관(300)을 철판(35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때, 철판(350) 설치방법으로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특허출원등록 제10-1069705호에서와 같이 유압잭을 이용한 철판 압입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도 5의 도시와 같이 압입된 상,하부강관(200)(300)의 내부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200)과 하부강관(300)을 절개하여 절개홈(210)(310)을 각각 형성하면 된다.
이때, 상부강관(200)에는 그 저면 양측에 절개홈(210)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고, 하부강관(300)에는 그 상부면 양측에 절개홈(310)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 절개홈(210)(310)은 서로 대항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대항되는 절개홈(210)(310)에는 상,하부강관(200)(300)을 연결하는 철판(350)이 압입되는 것으로, 그 절개홈(210)(310)에 철판(350)이 내입된 상태에서 유압잭(52)을 이용하여 철판(350)을 압입 추진시키면 되는 것이고, 추진되어 발생한 후측에는 또 다른 철판(350)을 용접 연결 및 유압잭(52)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압입하면 되는 것이고, 압입된 철판(350)은 상,하부강관(200)(300)과 용접 연결하면 된다.
한편, 상부강관(200) 및 하부강관(300)에는 각각 양측에 절개홈(210)(310)이 형성된 것인바, 그 양측 절개홈(210)(310)에는 이격되는 위치에서 철판(350)이 각각 설치된다.
이후,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를 수행하되,
도 7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기초벽체 시공단계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기초벽체 시공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양측의 철판(350)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면 되는 것이고, 이후, 상부강관(200)의 상,하부와 하부강관(300)의 상부를 일정 폭으로 절개하여 절개부(220)(320)를 각각 형성한다.
이후, 그 절개부(220)(320)를 통해 철근이 배근 된 거푸집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거푸집은 기존 건축물(10)의 수평보(30) 저면과 하부강관(300)의 내측 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며, 설치된 거푸집에는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도 8의 도시와 같이 기초벽체(41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 시공시 배근 되는 철근은 추후 시공되는 마감벽체와의 연결을 위해 일측으로 노출되게 배근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초벽체(410)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거푸집 설치시 자키(250)는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에서, 거푸집 설치전 지반의 보강과 기존 건축물(10)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반 보강작업(S400a)을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 지반 보강작업(S400a)은 지반의 보강과 기존 건축물(10)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보강방법으로는 H빔(70)이나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보강이나 시멘트 그라우팅(80)을 이용한 보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벽체 완성단계(S500)를 수행하되,
도 9는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의 벽체 완성단계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9의 도시와 같이 기초벽체(410)가 시공된 상태에서 작업공간(100) 내에서는 상기 기초벽체(410)와 연결되는 마감벽체(420)가 시공되는 것으로, 마감벽체(42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초벽체(410)와 연결되도록 철근이 배근 된 거푸집(도면중 미도시함)을 설치하는 한편,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상기 기초벽체(410)와 연결되는 마감벽체(420)를 시공 및 상기 기초벽체(410)와 마감벽체(420)에 의해 완성벽체(50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마감벽체(42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토류벽(120)은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와 벽체 완성단계(S500)에서, 기초벽체와 마감벽체의 하단에는 새로운 수평보(430)를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 수평보(430)는 각각의 벽체(410)(420)를 이루기 위한 거푸집 설치시 형성되는 것으로,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에서는 하부강관(300)의 내부에 시공하고, 벽체 완성단계(S500)에서는 작업공간(100)의 바닥면에 시공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 벽체 연장 시공공법은, 그 실시예로써, 건축물을 이루는 다수의 벽체면 중 그 일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 타 면을 시공시에는 동일한 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체를 연장 시공시 다수의 지하층을 구성시에는 상기와 같은 공정을 연속 시공하면 되는 것이데, 이때, 상기 지반 보강작업(S600)은 최 하단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련의 시공단계를 통해 지하 벽체를 완성 시공 후,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에서 설치된 토류판(121)과 H빔(110)은 제거되는 것이고, 그 작업공간(100)의 완성벽체(500)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은 되메움하는 한편, 완성벽체(500)의 내측에 해당하는 지반은 굴착 및 노출된 상,하부강관(200)(300)과 철판(350)은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은, 토류벽 시공에 따른 공간확보와 강관 및 철판을 이용한 보강 및 방수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상의 편리함과 건축물의 안정성의 확보된 상태의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10 : 기존 건축물 20 : 외벽
30 : 수평보
100 : 작업공간 101 : 작업구역
110 : H빔 120 : 토류벽
121 : 토류판 130 : 턴버클바
200,300 : 상,하부강관 210,310 : 절개홈
220,320 : 절개부 250 : 자키
350 : 철판 410 : 기초벽체
420 : 마감벽체 430 : 수평보
500 : 완성벽체

Claims (5)

  1. 건축물 리모델링 공사시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해 기존 건축물의 수평보 저면으로 지하 벽체를 연결 시공하는 벽체 시공공법에 있어서,
    기존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서 그 외벽의 내측 및 외측을 연결하는 네 모서리에 H빔을 지면에 설치하여 작업구역을 설정하는 한편, 그 작업구역을 굴착하여 가면서 H빔에 지지되는 토류판을 이용한 토류벽을 시공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
    작업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외벽의 길이방향으로 기존 건축물의 수평보 저면과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해당하게 상,하부 강관을 압입하는 강관 압입단계(S200);
    압입된 상,하부강관의 내부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의 저면 양측과 하부강관의 상부면 양측에 서로 대항되는 형태로 절개홈을 각각 형성하되, 상,하 대항되는 절개홈을 따라 양측으로 철판을 압입하는 한편, 강관과 철판을 용접 결합하는 철판 설치단계(S300);
    상기 양측의 철판 사이의 토사를 제거한 후, 상부강관의 상,하부와 하부강관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절개부를 통해 기존 건출물의 수평보 저면과 하부강관의 내측 저면을 연결하는 철근 배근된 거푸집을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기초벽체를 이루는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 및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기초벽체와 연결되는 철근 배근된 거푸집을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겨 그 기초벽체와 연결되는 마감벽체를 이루는 벽체 완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에서,
    토류벽의 붕괴를 막기위해 작업공간 내의 마주보는 토류벽을 연결 지지하는 턴버클바를 더 시공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강관 압입단계(S200)에서,
    압입되는 상부강관은, 수평보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압입하되,
    그 이격공간에는 수평보의 저면과 상부강관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자키를 설치하며, 설치된 자키는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에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와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에서,
    각각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보강파일을 박거나 그라우팅하는 지반 보강작업(S100a)(S400a)을 각각 더 수행하되,
    작업공간 굴착단계(S100)에서는 굴착 형성된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지반 보강작업(S100a)을 수행하고,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에서는 하부강관의 저면을 절개 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기초벽체 시공단계(S400)와 벽체 완성단계(S500)에서,
    기초벽체와 마감벽체의 하단에 수평보를 형성하되,
    상기 수평보는 거푸집 설치시 형성되며, 기초벽체 시공단계에서 하부강관의 내부에 시공되고, 벽체 완성단계(S500)에서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1020130027121A 2013-03-14 2013-03-14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10137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21A KR101372334B1 (ko) 2013-03-14 2013-03-14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21A KR101372334B1 (ko) 2013-03-14 2013-03-14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334B1 true KR101372334B1 (ko) 2014-03-12

Family

ID=506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21A KR101372334B1 (ko) 2013-03-14 2013-03-14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7067A (zh) * 2019-01-30 2019-05-03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空腔液体加压模板的一体化安装节能智慧墙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228A (ja) 2002-07-03 2004-02-05 Shimizu Corp 合成地下壁
JP2008013926A (ja) 2006-07-03 2008-01-24 Takenaka Komuten Co Ltd 既存建物の基礎補強工法
KR101022382B1 (ko) 2010-08-16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KR101069702B1 (ko) 2009-06-22 2011-10-04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측벽형성용 방수철판 및 토류방지판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228A (ja) 2002-07-03 2004-02-05 Shimizu Corp 合成地下壁
JP2008013926A (ja) 2006-07-03 2008-01-24 Takenaka Komuten Co Ltd 既存建物の基礎補強工法
KR101069702B1 (ko) 2009-06-22 2011-10-04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측벽형성용 방수철판 및 토류방지판의 설치방법
KR101022382B1 (ko) 2010-08-16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7067A (zh) * 2019-01-30 2019-05-03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空腔液体加压模板的一体化安装节能智慧墙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705B1 (ko)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강관연결용 방수철판의 설치방법
KR100794609B1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KR102071225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도심지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CN105114105A (zh) 钢-混凝土复合式隧道衬砌支护结构及其制作与施工方法
KR101018282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1040066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터널 시공방법
CN104847380A (zh) 一种减小隧道衬砌结构内力的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2107479A (ja) 地下・地上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387954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20070076553A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100313720B1 (ko) 가설 흙막이 벽용 철골 버팀대를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KR101431623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101431621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101069702B1 (ko)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측벽형성용 방수철판 및 토류방지판의 설치방법
KR101372334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102254156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공법
KR20020007521A (ko)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20140082343A (ko) 터널 벽체를 선시공한 후 터널 내부를 굴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20030065963A (ko) 관 구조 터널 건조공법
RU2558551C2 (ru) Тоннель и способ е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2082561B1 (ko) 소수의 강(각)관과 데크강에 의한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1217488B1 (ko) 기초파일 연장구조
JP2007224716A (ja) 土留め壁の構築方法
KR102364887B1 (ko) 터널 비개착 일체식 압입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 일체식 가설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