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14B1 -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 Google Patents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14B1
KR101371614B1 KR1020110134434A KR20110134434A KR101371614B1 KR 101371614 B1 KR101371614 B1 KR 101371614B1 KR 1020110134434 A KR1020110134434 A KR 1020110134434A KR 20110134434 A KR20110134434 A KR 20110134434A KR 101371614 B1 KR101371614 B1 KR 10137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ezel
user interface
bezel fra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8165A (en
Inventor
유인오
Original Assignee
유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오 filed Critical 유인오
Priority to KR102011013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14B1/en
Publication of KR2013006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베젤 부분을 응용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뿐만 아니라 공간 상의 동작을 인식하여 쉽고 간단하게 단말기에 대한 입력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필요적으로 디자인된 베젤 부분을 응용한 베젤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하고 베젤 프레임에 장착된 센싱수단으로 가상의 인터페이스 공간인 센싱영역을 제공하여 공간 상에서 취해지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센싱수단이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and simply manipulate the input to the terminal by recognizing the motion in the space as well as mounting the bezel portion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otation of a bezel frame in which a bezel portion design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a tablet form is applied, and a sensing means mounted on the bezel frame is a virtual interface space. By providing a sensing area, the user can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user's hand motion taken in the space, can be used as a mounting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nsing area that the sensing means can sense. hav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portable terminals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블렛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베젤 부분을 응용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뿐만 아니라 공간 상의 동작을 인식하여 쉽고 간단하게 단말기에 대한 입력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of the bezel portion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ablet, which not only mounts the portable terminal but also recognizes the motion in the space and can easily and simply manipulate the input to the terminal. It's about the interface.

오늘날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 음악파일 재생, 동영상 재생, 일정관리, 인터넷 등 많은 기능을 탑재한다.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many functions such as calling, playing music files, playing video, scheduling, and the Internet.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성을 갖기 위해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멀티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입출력 장치를 갖는데 한계가 있으며, 최근 등장하고 있는 타블랫 형태의 중형 휴대 단말기나 휴대형 컴퓨터 등 역시 넓어진 화면에 가상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그 크기 및 편의성 면에서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manufactured to be small in order to have mobility, there is a limit to having an input / output device that effectively provides the above multi-functions, and the recently emerged tablet-type medium-sized portable terminal or portable computer also has a virtual display on a wide screen. Alth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is provided,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size and convenience.

이에 대해 종래에는 화면 상에 입력 조작과 출력 표시가 동시에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이용되는데, 이는 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에 터치 패널을 덧붙여 정전식 또는 정압식으로 손끝 등의 접촉을 인지하고 입력을 조작할 수 있다.In the related art,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and displaying an output on a screen is used. In this case, a touch panel is attached to a screen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and the touch screen may be touched by capacitive or static pressure to operate the input. have.

그러나, 터치스크린은 화면에 손가락 등을 직접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는 스크린 상에 표시된 이미지자판에 손을 올려 치기가 불편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는 화면을 바라보기 위해 고개를 과도하게 숙여 장시간 자세를 취하기가 매우 부담스럽다.However, the touch screen is used in direct contact with a finger, etc. on the screen, it is inconvenient to put your hand on the image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to look at the scre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floor. It's very burdensome to lean over your head and take a long position.

게다가, 스크린에 올려진 손이 화면의 일부를 가리기 때문에 이미지로 표시되는 자판의 키 또는 버튼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손을 치워 화면을 봐야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다.In addition, since the hand placed on the screen covers a part of the screen, it is cumbersome to remove the hand and look at the screen to check the keys or buttons of the keyboard displayed as an image.

또한,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한된 면적을 벗어나 임의의 평면에 키보드의 프레임 화상을 레이저 등을 통해 제공하여 입력받는 일명, 광학 키보드가 소개된 바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a so-called optical keyboard has been introduced to receive an input by providing a frame image of the keyboard on an arbitrary plane out of the limited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laser or the like.

이러한 광학 키보드는 광학 장치로부터 출력된 키보드의 프레임 화상을 임의의 평면에 투영시키고 이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입력 동작을 인지한다.Such an optical keyboard projects a frame image of the keyboard output from the optical device on an arbitrary plane and recognizes an input action of a finger located thereon.

따라서, 임의의 평면에 넓게 표시된 광학 키보드를 이용하여 기존의 컴퓨터 자판과 같이 손가락 전부를 이용하여 자유자재로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다.Therefore, using the optical keyboard widely displayed on any plane, it is possible to freely input using all of the fingers as in the conventional computer keyboard.

그러나, 광학 키보드는 임의의 평면 즉, 책상이나 딱딱한 테이블 위에 투영되기 때문에 이를 손가락으로 치다 보면 손가락 끝에 통증이 생긴다.However, since the optical keyboard is projected on an arbitrary plane, that is, a desk or a hard table, the fingertips cause pain at the fingertips.

또한, 터치스크린과 마찬가지로 광학 키보드의 프레임 화상에 손을 올리면 화상 일부가 손에 가려 투영되지 못하기 때문에 일일이 손을 치워 키보드의 프레임 화상을 투영시켜 봐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입력에 집중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 on the frame image of the optical keyboard, part of the image is hidden and cannot be projected.

한편,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 기술(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등의 발달로 이를 응용하기 위해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소개되고 있다.Recently, a user interface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has been introduced to apply this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여기서 3차원 가상공간이란 2차원적 평면의 개념에서 깊이 정보가 추가된 입체 공간으로서 이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6 자유도를 갖는 입체적 조작을 감지하고 이를 가상의 입력장치와 상호작용시켜 입력 조작을 수행한다.Here,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s a three-dimensional space with depth information added in the concept of a two-dimensional plane, and the user interface required for this senses three-dimensional manipulations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and interacts with the virtual input device to perform input manipulations.

하지만,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고가이면서 부피가 큰 별도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카메라를 통한 동작 인식 기술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현재의 평면형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적절한 지향 각도로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다.However, in order to support this,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separate, expensive and bulky interface means, and even if the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through the camera is used,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camera embedded in the current flat terminal at an appropriate orientation angle. Situation.

따라서, 점차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보다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요구하는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에 3차원 가상공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lternative that can provide an interface of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a recent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ariety of functions and require a more effective interface.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6960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696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타블렛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베젤 영역을 활용하고 공간 상의 동작을 인지하는 센싱수단이 지향 각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여 휴대용 단말기와 이격된 전방의 공간에서 취해지는 사용자의 양손 동작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직관적인 조작을 이룰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sensing means for utilizing the bezel area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ablet and recognizing the motion in space is provided to adjust the orientation angle so that the front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n intuitive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two-handed operation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각각 상대 회전하는 한 쌍의 베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젤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수단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bezel frames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otate relative to the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And sensing means mounted to the pair of bezel frames, respective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한 쌍의 베젤 프레임 각각에 회전축과 일 끝단 사이로 장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방으로 센싱영역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is mounted to each of the bezel fram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one end,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have a sensing area in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한 쌍의 베젤 프레임 각각의 상대 회전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젤 프레임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에 개재된 디텐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tent interposed between the bezel frame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fix relative rotation of each of the pair of bezel frame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필요적으로 디자인된 베젤 부분을 응용한 베젤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하고 베젤 프레임에 장착된 센싱수단으로 가상의 인터페이스 공간인 센싱영역을 제공하여 공간 상에서 취해지는 사용자의 양손 동작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할 수 있다.The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otation of a bezel frame in which a bezel portion design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a tablet form is applied, and a sensing means mounted on the bezel frame is a virtual interface space. By providing a sensing area, the user can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two-hand operation of the user.

또한, 센싱수단이 장착된 베젤 프레임이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고, 베젤 프레임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센싱수단이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zel frame equipped with the sensing means may be used as a mounting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ezel fra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nsing area that the sensing means can sense.

또한, 사용자는 일반적인 키보드를 치듯이 가상의 인터페이스 공간에서 타이핑하는 동작을 취해 자판을 입력할 수 있고 나아가,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손을 통해 자판의 입력 상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user may input a keyboard by typing in a virtual interface space as if a user is typing a general keyboard, and further, intuitively check the input status of the keyboard through a virtual hand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가상의 인터페이스 공간에서 취해지는 조작 동작을 3차원으로 해석하여 3차원의 조작이 필요한 게임 등을 직관적으로 조작하고 실감나게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peration taken in the virtual interface space can be interpreted in three dimensions to intuitively operate and realistically play games that require three-dimensional manipulation.

도 1은 기존의 타블렛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디텐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센싱영역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able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nt related to a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nsing area for the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opera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현재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타블렛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의 경우 그 관심의 이유를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휴대 가능한 크기이면서 극적으로 향상된 화면 품질과 터치에 의한 직관적이고 직접적인 반응성이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손 안에 쥐고 화면을 이리 저리 조작하는 조작감에 대한 만족도가 타블렛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의 매력이라고 할 때,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할 때 이러한 매력을 반감시키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즉, 넓은 화면의 많은 부분을 가리면서 나타나는 가상 키패드를 시야를 방해하는 손을 통해 조작해야 한다. 또한, 많은 작업을 위해서는 시선 확보를 위해서 타블렛을 거치해야 하며 이러한 배치에서는 손을 통한 입력 자체가 불가능하여 별도의 키보드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tablet-type portable terminal, which is currently increasing in interest, the reason for the interest is that the size of the portable and dramatically improved screen quality and intuitive and direct responsiveness by touch are the main reasons. Accordingly, when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feeling of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hand and moving the screen around, the inconvenience of halting the attractiveness when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attractive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occur. In other words, the virtual keypad that appears while covering a large part of the wide screen must be operated with the hand obstructing the field of view. In addition, for many tasks, it is necessary to mount the tablet to secure the gaze, and in such an arrangement, input through the hand itself is impossible and a situation in which a separate keyboard is required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 문제와 입력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that can simultaneously solve the mounting problem and the input problem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과 같이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10)에 마련된 베젤(12) 부분을 응용한 베젤 프레임(120, 도 2 참조)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함과 동시에 이러한 거치 조작에 따른 자연스러운 구조적 배치에 따라 센싱수단(130, 도 2 참조)이 사용자의 양손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최적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ezel frame 120 (see FIG. 2) applying a portion of the bezel 12 provided in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1. By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natural structural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mounting operation, the sensing means 130 (see FIG. 2) can maintain an optimal angle to fully recognize both hands of the user.

여기서 베젤(Bezel)이란 사전적 의미로 시계에 있어서 유리와 같은 투명 커버를 고정하는 테두리 부분을 말하는데,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10)에서도 이러한 베젤(12)을 찾아볼 수 있다.Here, the bezel (bezel) refers to the edge portion for fixing the transparent cover such as glass in the watch in a dictionary meaning, such bezel 12 can be foun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in the form of a tablet.

즉, 베젤(12)은 터치로 조작되는 화면(11)을 갖는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10)에 있어서 파지되는 손가락에 의해 화면(11)에 대한 터치 조작이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영역이다. 즉,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10)를 파지할 때는 주로 양측단을 손으로 감아 쥐게 되는데 베젤(12)은 화면(11)의 터치 조작과 무관하게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는 공간이 된다.That is, the bezel 12 prevents the touch operation on the screen 11 from being inadvertently caused by the finger held in the tablet-typ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having the screen 11 operated by touch. It is an area for That is, when gripping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in the form of a tablet, both sides are mainly wrapped by hand, and the bezel 12 becomes a space to be picked up by a finger regardless of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screen 11.

이러한, 베젤(12)은 디자인 적으로는 두께감이 상당히 느껴져 부담스러운게 사실이지만 실제 사용시 파지되는 엄지 등의 손가락에 대한 터치 화면(11)의 간섭을 회피하고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들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타블렛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UX(User eXperience)적인 디자인의 필수 구성이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를 적극 활용한 것이다.Such, the bezel 12 is a design that is felt to be considerably thick, but it is true, but to avoid the interference of the touch screen 11 to the finger, such as the thumb that is gripped in actual use to enable a stable lifting of the terminal, In a tablet-type portable terminal, a mandatory configuration of UX (User eXperience) design is required, and a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utilizes it.

특히, 타블렛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위해 배치된 양손이 일반 키보드 입력을 위한 배치와 유사한, 즉 익숙한 배치일 때 최적의 손가락 인식이 가능한 각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익숙한 상황에서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ngle at which the optimal finger recognition can be obtained when the hands arranged for the manipulation of the tablet-type portable terminal are similar to those for general keyboard input, that is, the familiar arrangement. It can be carried ou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해 각각 상대 회전하는 한 쌍의 베젤 프레임(120), 한 쌍의 베젤 프레임(120)에 각각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수단(13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bezel frame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rotating relative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respectively ( 120, a sensing unit 130 mounted on each of the bezel frames 1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별도의 베젤 프레임(120)이 마련됨에 따라 기존의 베젤(12, 도 1 참조)과 같은 테두리 공간이 필요 없고 전면의 양측단에 꽉차게 배치된 화면(11)이 마련된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ezel frame 120 does not need the same border space as the conventional bezel 12 (see Fig. 1), and the screen 11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is tightly Prepare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양측단에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베젤 프레임(1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110)이 마련된다.Both side end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10 for rotatably connecting a pair of bezel frames 120.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젤 프레임(120)이 휴대용 단말기(100)가 탈착되는 별도의 케이스(160, 도 5참조)에 마련된 경우에는 회전축(110)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생략되는 것은 당연하다.However, as described below, when the pair of bezel frames 120 are provided in a separate case 160 (refer to FIG. 5) from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etached, the rotation shaft 110 is o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course.

다음으로, 한 쌍의 베젤 프레임(120)은 바람직하게는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10, 도 1 참조)에 포함된 베젤(12)이 제공하는 그립감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이와 유사한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된다.Next, the pair of bezel frames 120 is preferably of a similar size and shape in order to maintain the grip provided by the bezel 12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see FIG. 1) in tablet form. Prepared.

이를 위해, 베젤 프레임(12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양측단과 동일한 형상을 취한다. To this end, the bezel frame 120 extends in the same length as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akes the same shape as both end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그 결과, 베젤 프레임(12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양측단과 일치하게 접힐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여 타블렛 형태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10, 도 1 참조)와 같은 그립감을 구현한다.As a result, the bezel frame 120 can be folded to coincide with both end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provide an area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easily gripped so that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in tablet form (see FIG. 1). ) To achieve the same grip.

또한, 베젤 프레임(120)은 길이방향의 길이가 조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zel frame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djusted.

이때, 베젤 프레임(120)과 회전축(110)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베젤 프레임(120)의 상대 회전을 구분적으로 고정하는 디텐트(140)를 더 포함한다.At this time, preferably between the bezel frame 120 and the rotating shaft 110 further includes a detent 140 for fix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bezel frame 120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eparately.

여기서, 디텐트(140)는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베젤 프레임(120)의 사이로 회전축(110)에 게재되는 것으로 톱니의 면이 맞물리는 제 1, 2 멈춤쇠(141, 143)로 마련되고, 제 1 멈춤쇠(141)는 베젤 프레임(120)에, 제 2 멈춤쇠(14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측단에 고정된다. Here, the detent 140 is preferably placed on the rotary shaft 110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bezel frame 120 as shown in FIG. , 143, and the first detent 141 is fixed to the bezel frame 120, and the second detent 143 is fixed to the sid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이때, 제 1 멈춤쇠(141)는 스프링(150)의 탄성으로 휴대용 단말기(100) 측으로 밀리게 베젤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제 1, 2 멈춤쇠(141, 143)는 톱니의 면이 맞물려 서로의 상반되는 회전이 구분적으로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rst detent 141 is fixed to the bezel frame 120 to be pushed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5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etents 141, 143 are engaged with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opposite rotations of each other are fixed separately.

그 결과,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베젤 프레임(120) 또한 회전이 구분적으로 고정된다.As a result, the bezel frame 120 which rotates relative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lso fixedly rotated.

따라서, 베젤 프레임(120)은 여러 각도로 회전이 고정되어 휴대용 단말기(100)를 원하는 각도로 세울 수 있고 센싱수단(130)의 후술하는 센싱영역을 일정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ezel frame 120 may be fixed to rotate at various angles to set the portable terminal 100 at a desired angle and adjust a sensing area described later of the sensing means 13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3차원의 공간에서 행해지는 동작을 6자유도의 입체좌표로 인지하고 단말기의 GUI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영상 기반 3D 인터페이스 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센싱수단(130)은 바람직하게는 3D 카메라일 수 있다.The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mage-based 3D interface system that recognizes operations per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s six-dimensional coordinates and intuitively manipulates the GUI of the terminal. The sensing means 130 may preferably be a 3D camera.

이와 더불어 센싱수단(130)은 센싱영역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양손과 기타의 물체를 구분하여 조작에 대한 사용자의 양손에 대해서만 실질적인 동작을 파악하는 적외선 카메라가 추가될 수 있고, 투사 표시 장치 또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130 may include an infrared camera that distinguishes both hands and other objects of the user disposed in the sensing area and detects the actual movement only with respect to both hands of the user for manipulation, and may also include a projection display device. Can be.

여기서 투사 표시 장치는 다른 말로 프로젝터를 말하는 것으로, 근래에 초소형화로 개발되어 휴대폰, 노트북, PMP 등에 영상 투영 장치로 장착되는 피코 프로젝터(131, 도 11 참조)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jection display device refers to a projector in other words, and may use a pico projector 131 (see FIG. 11) that has been developed in a very small size and mounted as an image projec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PMP, and the like.

따라서, 화면(11) 외부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시켜 이에 대한 사용자의 손동작까지 인식하는 것으로 보다 확장되고 다양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by forming a separate display area outside the screen 11 and recognizing user's hand gestures, the UI can be further expanded and provide various UIs.

이러한 센싱수단(130)은 한 쌍의 베젤 프레임(120) 각각에 회전축(110)과 일 끝단 사이로 장착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방으로 센싱영역을 갖도록 배치된다.The sensing means 130 is mounted between the rotary shaft 110 and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bezel frames 120 and is disposed to have a sensing area toward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즉,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각의 베젤 프레임(120)에 장착된 센싱수단(13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방을 향하여 그 촬영영역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전방의 어느 한 공간에서 입체적인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을 형성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ensing means 130 mounted on each bezel frame 120 faces the front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hotographing area is spaced apar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m a sensing area that can detect a three-dimensional motion in any one of the spaces.

이러한 센싱영역은 일종의 가상 인터페이스 공간이 되고 이곳에서 취해지는 손 동작 등이 조작 동작으로 간주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실질적인 조작이 수행된다. 그 결과, 조작 동작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센싱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11)을 가리지 않는다.Such a sensing area becomes a kind of virtual interface space, and the hand operation and the like, which are taken here, are regarded as the operation operation, and the actual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erformed. As a result, 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spaced apar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creen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not covered.

또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고정 카메라와 달리, 센싱수단(130)은 베젤 프레임(120)의 회전에 의한 위치 조정으로 센싱영역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거치각과 무관하게 일정한 센싱영역을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fixed camera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sensing means 130 can take a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operat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area by the position adjustment by the rotation of the bezel frame 120. A constant sensing area may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mounting angle of (100).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6과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도 가능하다.Unlike 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the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즉, 회전축(110)이 양측으로 마련된 케이스(160)에 휴대용 단말기(100)가 착탈 가능하고 베젤 프레임(120)은 회전축(110)을 매개로 케이스(160)와 상대 회전하게 연결된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se 160 having the rotation shaft 110 at both sides, and the bezel frame 120 is connected to the case 160 relative to the rotation via the rotation shaft 110.

또한, 케이스(160)의 내부 하단에는 연결단자(170)가 마련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입출력단자(17)와 결합하고 센싱수단(130)과 휴대용 단말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In addition, a connection terminal 170 is provid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case 160 to couple with the input / output terminal 17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ing means 13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Such a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follows.

도 7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11) 상에는 이미지자판(13) 위로 센싱영역에서 타이핑하는 사용자의 양손 동작과 매칭되는 가상의 손(20)이 표시되어 자판의 입력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virtual hand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match the two-hand operation of the user typing in the sensing area on the image keyboard 13 to intuitively display the input state of the keyboard. You can check it.

즉, 손가락의 움직임을 화면 상에 투영시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손을 볼 필요조차 없이 지속적이면서 원활한 자판작업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projected on the screen, continuous and smooth keyboard work is possible without the user having to see his or her own hand.

또한, 이때 표시되는 이미지자판(13)은 입력의 상태만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입력받기 위한 기존 터치스크린 상의 자판과는 달리 크기가 작게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11)을 최소한 차지하면서 표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ed image keyboard 13 is for showing only the state of the input, and may be expressed in a small size unlike the keyboard on the existing touch screen for receiving the input. Therefore, it can be expressed while occupying at least the screen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또한, 공간 상에서 타이핑 동작을 취할 수 있어 손 끝에는 아무런 통증도 생기지 않고 실제 키보드를 치듯이 모든 손가락을 이용해 자판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yping can be performed in the space, so that no pain occurs at the tip of the finger, and the keyboard can be easily entered using all the fingers as if the actual keyboard is hit.

또한, 도 8과 같이 이북(e-Book)을 이용해 책을 보는 경우 공간에서의 조작 동작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11)에 표시된 책장(15)을 넘기는 조작을 직관적으로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ewing a book using an e-Book as shown in FIG. 8, an operation of turning over the bookshelf 15 displayed on the screen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intuitively performed as an operation operation in a space.

또한, 도 9와 10과 같이 큐빅 내지 자동차 게임을 하는 경우 공간 상의 손 동작으로 이와 일치된 화면(11)에 표시된 가상의 손(20)으로 큐빅(17) 내지 자동차의 핸들(19)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 보다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In addition, when playing a cubic or car gam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ubic 17 to the steering wheel 19 of the car may be intuitively used by the virtual hand 20 displayed on the screen 11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hand in space. I can operate it and can enjoy a more realistic game.

또한, 도 11과 같이 화면(11)과 별도로 피코 프로젝터(131)에서 투영된 또 다른 조작이미지(133)를 통해 다채로운 조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various manipulations may be performed through another manipulation image 133 projected from the pico projector 131 separately from the screen 11.

부가적으로 도 12 내지 14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젤 프레임의 구성이 휴대용 단말기의 양측에 모두 구성될 필요 없이 일측에만 구성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bezel frame may be configured only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S. 12 to 14.

도 11은 베젤 프레임이 일측에만 구성된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디(200)의 일측과 그 하단부에 베젤 프레임(210)을 구성한 경우이다. 상기 베젤 프레임(210)은 회전하는 몸체와 하단부로 연장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디(200)는 앞서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될 수 있는 악세서리 형태의 탈착 프레임(케이스, 커버, 전용 프레임 등)이 될 수도 있다.FIG. 1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bezel frame 210 is configured at one side and a lower end of the body 200 shown in the example in which the bezel frame is configured on only one side. The bezel frame 210 is composed of a rotating body and a support extending to the lower end. The illustrated body 200 may be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above, or may be an accessory type detachable frame (case, cover, dedicated frame, etc.)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상기 베젤 프레임(210)과 바디(200)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디텐트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젤 프레임(210)에도 당연히 센싱수단이 구성되어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200)가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될 수 있는 탈착 프레임인 경우 상기 베젤 프레임(210)의 센싱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는 범용 인터페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etent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bezel frame 210 and the body 200. Sensing means may also be configured on the bezel frame 210 to read a user's movement through image analysis. Can provide. When the body 200 is a detachable frame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a universal interfa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means of the bezel frame 210 and receiving an image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Of course.

도 12 및 13은 상기 베젤 프레임(210)을 움직여 상기 바디(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구성 외에도 베젤 프레임(210)의 하단 지지부 구성을 더욱 얇거나 좁게 하거나 와이어 등으로 구성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며, 하단부 대신 상단부에 유사한 지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안정감 있는 바디(200)의 지지와 안정적인 센싱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최근의 광각 센싱 수단이나 센싱 수단의 지향성 조절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단일 센싱 수단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움직임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복수의 센싱 수단을 구성하여 입체적인 인식도 기대해 볼 수 있다.12 and 13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bezel frame 210 can be moved to support the body 200.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bezel frame 210 can be made thinner or narrower or wired.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configuration, such as, it may be configured similar support to the upper end instead of the lower e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and stable sensing of the stable body 200 is possible. In particular,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wide-angle sensing means or the directivity control technology of the sensing means, it is possible to fully utilize the user interface even if a single sensing means is used, and if necessary,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Three-dimensional recognition can also be expected.

한편, 이러한 베젤 프레임(210)의 움직임을 일종의 스위치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베젤 프레임(210)을 도 11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로 전환할 때 자동적으로 구동하고 상태를 복귀시켰을 때 구동이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베젤 프레임(210)을 회전시키면 센싱수단(예를 들어 카메라)이 동작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되고 베젤 프레임(210)을 원상태로 하는 경우 센싱수단의 동작이 정지하고 입력 대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vement of the bezel frame 210 may be used as a kind of switch. In this case, the bezel frame 210 is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bezel frame 210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FIG. 11 to the state of FIG. You can let it stop. For example, when the bezel frame 210 is rotated, the sensing means (for example, a camera) is in a state of waiting for user input, and when the bezel frame 2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means is stopped and the input standby state is released. Can be.

앞서 언급한 휴대용 단말기는 타블렛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로 확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tablet, it can be extended to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However, if these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claims.

10: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 11: 화면
12: 베젤 13: 이미지자판
15: 책장 17: 입출력단자
18: 큐빅 19: 핸들
20: 가상의 손 100: 휴대용 단말기
110: 회전축 120: 베젤 프레임
130: 센싱수단 131: 피코 프로젝터
140: 디텐트 141: 제 1 멈춤쇠
143: 제 2 멈춤쇠 150: 스프링
160: 케이스 170: 연결단자
200: 바디 210: 단일베젤
10: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1: screen
12: Bezel 13: Image Keyboard
15: Bookshelf 17: I / O terminal
18: cubic 19: handle
20: virtual hand 100: portable terminal
110: rotation axis 120: bezel frame
130: sensing means 131: pico projector
140: detent 141: first detent
143: second detent 150: spring
160: case 170: connection terminal
200: body 210: single bezel

Claims (3)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이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바디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바디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 및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나 상기 바디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상기 몸체가 연장된 지지부를 구비한 베젤 프레임; 및
상기 베젤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베젤 프레임 회전축과 일 끝단 사이로 장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방으로 센싱영역을 갖도록 배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A body which is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one side of the body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rotated and fixed based on a point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body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 bezel frame having a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body extends upward or downward; And
A sensing means mounted to the bezel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sensing unit is mounted between the bezel frame rotation axis and one end and the motion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arranged to have a sensing area in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 프레임의 상대 회전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젤 프레임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나 바디 사이에 개재된 디텐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동작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tent interposed between the bezel frame and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body to fix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bezel frame.
KR1020110134434A 2011-12-14 2011-12-14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KR101371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34A KR101371614B1 (en) 2011-12-14 2011-12-14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34A KR101371614B1 (en) 2011-12-14 2011-12-14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65A KR20130068165A (en) 2013-06-26
KR101371614B1 true KR101371614B1 (en) 2014-03-06

Family

ID=4886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434A KR101371614B1 (en) 2011-12-14 2011-12-14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668A (en) * 2004-12-02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rminal
KR20100130875A (en) * 2009-06-04 2010-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on using a touchless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668A (en) * 2004-12-02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rminal
KR20100130875A (en) * 2009-06-04 2010-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on using a touchless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65A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447B2 (en) Multi-surface controller
US10444849B2 (en) Multi-surface controller
US20210333836A1 (e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keyboard and keyboard unit therefor
JP5749043B2 (en) Electronics
US9778778B2 (en) Removable input/output module with adjustment mechanism
JP58016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082862B2 (en) Input cueing emmersion system and method
WO2018101995A1 (en) Switching of active objects in a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N102103460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 by reflecting grip of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017780A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multiple data input modes
US10528156B2 (en) Input cueing emmersion system and method
TWI451231B (en) Docking apparatus of mobile product
US6885314B2 (en) Hand-held input device particularly useful as a keyboard
US20130154950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display orientation
KR20080102503A (en) Mobile device with input units behind the display
KR101371614B1 (en)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JP2006067341A (en) Mobile terminal
KR101213021B1 (en) User interface for handy terminal
JP2013003709A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US20140152628A1 (en) Computer input device for hand-held devices
JP6027182B2 (en) Electronics
JP3180086U (en) Touch panel type small terminal operation tool
JP2013003707A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RU2733070C2 (en) Removable processing, storage and external data input device for mobile devices
KR20110113910A (en) Control panel and mobile terminal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