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023B1 -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 Google Patents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023B1
KR101371023B1 KR1020120084519A KR20120084519A KR101371023B1 KR 101371023 B1 KR101371023 B1 KR 101371023B1 KR 1020120084519 A KR1020120084519 A KR 1020120084519A KR 20120084519 A KR20120084519 A KR 20120084519A KR 101371023 B1 KR101371023 B1 KR 10137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blade
landscape lighting
fluid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849A (ko
Inventor
황창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Priority to KR102012008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0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quids,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1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관 내에 담긴 유체가 직류모터에서 발생하고 자력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동시에 RGB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유동형상을 나타내며, 볼라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경관조명장치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 경관조명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경관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부(2)로 구성되며, 구동부(1)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상판(20), 상판(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0), 상판(20)의 상면에 결합되고 구동모터(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40) 및 회전날개(4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49)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2)는, 하우징(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유체관(50), 유체관(50)에 내장되며 회전날개(40)에 대응하는 상부회전날개(60) 및 상부회전날개(6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69)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FULID ROTATION TYPE SCENERY LIGHT LAMP}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관 내에 담긴 유체가 직류모터에서 발생하고 자력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동시에 RGB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유동형상을 나타내며, 볼라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경관조명장치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 경관조명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경관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주위에 빛을 내거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하여 경관조명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관조명장치는 대부분 빛을 활용하여 이루어져 있어서 다양한 조명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직진성과 발광성 및 절전성이 우수한 LED 소자를 활용한 조명장치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빛을 활용한 경관조명장치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319호에 경관 조명장치가 등록되어 있다. 이 발명은 조명광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방향으로 조명광을 발산시키도록 함으로써 경관을 더욱 아름답게 하는 등 경관조명으로서의 효과를 크게 하도록 한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순히, LED조명을 활용할 뿐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 확장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조명이 다양한 각도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관조명장치는 빛을 이용하여 경관을 비추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자체적인 미관이나 특징을 지닌 것은 아니다.
한편, 단순히 경관조명장치로서의 기능 외에 다른 기능에 접목하여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관조명장치가 개발되면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의 하나로 볼라드 기능을 구비한 경관조명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예로서 조명기능을 가진 볼라드를 찾아볼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2-0050117호에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가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740호에 솔라셀을 갖춘 탄성볼라드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본다면 경관조명장치는 이제 단순한 경관을 비추는 조명장치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자체의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거나 다른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는 장치로서 재탄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체관 내에 담긴 유체가 직류모터에서 발생하고 자력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동시에 RGB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유동형상을 나타내며, 볼라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경관조명장치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 경관조명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경관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부(2)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부(1)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상판(20), 상판(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0), 상판(20)의 상면에 결합되고 구동모터(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40) 및 회전날개(4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49)가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는, 하우징(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유체관(50), 유체관(50)에 내장되며 회전날개(40)에 대응하는 상부회전날개(60) 및 상부회전날개(6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69)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의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RGB LE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RGB LED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관의 상부에는 캡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관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부회전날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관은 투명한 아크릴이나 PC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우징 또는 캡의 외부에는 구동모터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보조하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측은 하우징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중간부에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관조명시스템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상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유체관, 상기 유체관에 내장되며 상기 회전날개에 대응하는 상부회전날개 및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자성체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연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회전날개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경관조명장치; 및 다수개의 경관조명장치; 및 상기 다수개의 경관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RGB LE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RGB LED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에 의하면, 종래 단순히 조명만 활용하던 경관조명장치에 유체관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다양한 색채의 빛을 발하는 유체가 더해짐으로써 미려한 유동형상이 표현되는 독특한 경관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체관 내에서 회전하는 유체는 직류모터의 회전력과 상부회전날개에 의한 와류현상을 통해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회전하여 독특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해 전원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장치 하부에 굴절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의 굴절부를 부가하여 진입금지를 표시하거나 경계를 나타내는 볼라드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단순히 조명만 활용하던 경관조명장치에 유체관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다양한 색채의 빛을 발하는 유체가 더해짐으로써 미려한 유동형상이 표현되는 독특한 경관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이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부(2)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1)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상판(20), 상판(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0), 상판(20)의 상면에 결합되고 구동모터(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40) 및 회전날개(4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49)가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는, 하우징(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유체관(50), 유체관(50)에 내장되며 회전날개(40)에 대응하는 상부회전날개(60) 및 상부회전날개(6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69)가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크게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30) 등이 구비되는 구동부(1)와 유체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구동부(1)를 살펴보기로 한다.
하우징(10)은 중공의 원통과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0)의 측부는 원통형의 벽체(14)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직경이 넓은 플랜지 형태의 지지판(12)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벽체(14)와 지지판(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는 구동모터(30)와 각종 케이블 등이 삽입될 것을 고려하여 충분히 여유있는 부피로 형성되어야 한다.
지지판(12)은 본 발명의 구성부품 전체를 지지하게 되므로 벽체(14)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고 튼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판(12)의 형태는 이러한 플랜지 형태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주변부에 기타 지지체나 브래킷이 형성될 수도 있다.
벽체(14)는 상단부에 후술하는 유체관(50)이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상부의 일정 깊이에 단차로 된 턱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판(2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6)가 형성된다. 안착부(16) 역시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20)은 하우징(10)의 벽체(14)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16)에 고정 결합된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나사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판(20)에는 구동부(1) 및 발광부(3)의 주요요소들이 대부분 결합 지지된다.
구동모터(30)가 상판(20)의 하면 중앙에 결합된다. 구동모터(30)는 일반적인 DC모터를 사용할 수 있되, 감속기가 구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감속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30)의 토크와 회전수를 결정하는 속도조절 기능은 후술하는 제어부(4)에서 담당한다.
회전날개(40)이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작동 가능하게 된다. 회전날개(30)은 회전축(41)과 날개(42)로 구성된다. 회전축(41)은 구동모터(30)의 축에 직결되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30)의 축과 상판(20) 사이에 베어링(39)이 설치되어, 마찰을 줄이고 축을 제대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날개(42)에는 각 단부에 자성체(49)가 부착된다. 자성체의 예로서 자석(49)이 부착되어 있다. 자석(49)은 각 단부별로 다른 극의 자석이 교대로 부착된다. 예를 들어, 각기 90도로 분리된 4단 날개의 경우, 어느 한 단부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차례대로 N극, S극, N극, S극의 자석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판(20)의 상면 일부에는 RGB LED 모듈(80)이 설치되어 발광부(3)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직진성이 좋은 LED를 설치함으로써 조명장치로서의 발광기능이 두드러지도록 하며, RGB 기능이 더해진 RGB LED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RGB LED 모듈(80)의 제어는 구동모터(30)의 조절과 함께 제어부(4)에서 담당한다.
이제, 디스플레이부(2)를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관(50)이 하우징(10)의 상단부에 있는 나사부(15)에 결합된다.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유체관의 하단부에 나사부(51)를 형성하여 하우징(10)의 나사부(15)에 결합함으로써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유체관(50)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지니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유체가 충분한 길이의 회오리를 형성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관(50)의 하단은 폐쇄되어 있어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고, 상단은 개방되거나 캡(55)을 씌울 수 있다.
유체관(50)은 투명 아크릴판이나 투명 PC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한 관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쉽게 내부에 담긴 유체의 유동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관(50) 내부의 바닥면에는 중앙에 상부회전날개(6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지지와 유연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해 상부베어링(59)이 설치될 수 있다. 유체관(50)의 내부 바닥면에 링 형상의 돌기(51)가 형성되고, 이 돌기(51)에 상부베어링(59)이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상부베어링(59)의 내륜에 상부회전날개(60)가 끼워진다.
상부회전날개(60)는 회전날개(4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부회전날개(60)는 상부회전축(61)과 상부날개(62)로 이루어진다. 상부회전축(61)이 상부베어링(59)의 내륜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를 위해 상부회전축(61)의 외륜 및 상부베어링(59)의 내륜은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부회전날개(60)가 중공부가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유체관(50)의 바닥면 중앙에 축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베어링(59)의 외륜에 상부회전날개(60)의 중공부가 끼워지고, 상부베어링(59)의 내륜에 유체관(5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돌기가 끼워질 것이다.
이렇게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부회전날개(60)의 이동에 제한점을 두기 위하여 스톱퍼(54)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톱퍼는 단순하게는 유체관(5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돌기인 경우에는 축돌기의 상단부에 횡방향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유체관(50)의 내측벽에 스톱퍼(54)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 또는 도 3에서는 링 형상으로 된 스톱퍼(54)가 유체관(50)의 내측벽에 접착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회전날개(60)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상부회전날개(60)이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때 원심력의 증대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고 자중이나 원심력의 감소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오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부회전날개(60)의 상부날개(62)의 각 단부에는 상부자성체(69)가 부착된다. 상부자성체(69)의 예로서 자석(69)이 부착된다. 자석(69)은 전술한 회전날개(40)의 단부에 부착된 자석(49)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날개(40)가 회전하면 회전날개(40)에 부착된 자석(49)의 자력에 상부날개(62)의 자석(69)이 연동되어 회전력을 받고 이에 따라 상부회전날개(6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부날개(62)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석(69)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면, 모두 N극의 자석이 부착되도록 한다. 하부에 있는 회전날개(40)의 자석(49)의 극성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하여, 상부에 있는 상부회전날개(60)의 자석(69)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회전날개(40)가 구동모터(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할 때 상부회전날개(60)는 불규칙하게 회전을 일으키게 되며, 원심력의 힘도 일정하지 않아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유체관(50)에 담기게 되는 유체에 불규칙한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관(50)의 내부에는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종류의 유체(71,72)가 삽입된다. 이종의 유체의 일례로, 물과 기름이 혼입될 수 있다. 물과 기름은 비중이 다르고 서로 섞이지 않으므로 평상시에는 기름이 물 위에 뜬 상태로 있지만, 유체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오리과 같은 3차원적인 경계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종의 유체가 섞이면서 유체간의 특질에 따라 경계부에 다른 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유체(71,72) 내부에 펄 등으로 된 반짝이 가루를 산포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체가 회전할 때 반짝이 가루가 함께 회전하면서 아름다운 유동형상을 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모터(30)의 속도와 RGB LED 모듈(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4)가 설치된다. 제어부(4)는 콘트롤러 기능을 가진 리모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30)를 제어하는 조작부(91) 및 RGB LED 모듈(80)을 제어하는 조작부(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30)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케이블과 RGB LED 모듈(80)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케이블은 상판(20)의 일부에 형성된 관통홀(21)과 하우징(10)의 측부에 형성된 관통홀(17)을 통하여 삽입되어 구동모터(30) 또는 RGB LED 모듈(80)에 연결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나타나 있다. 유체는 회전력과 상하로 흔들리는 힘을 받아 소용돌이 형상을 연출할 뿐만 아니라, 유체 중 일부에 색을 넣어 밀도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한편, RGB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여 아름다운 빛을 내는 소용돌이의 형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예의 구성에 더하여 하우징(10)의 외부 또는 캡(55)의 외부에 구동모터(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보조하는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판(100)과 태양전지판(100)에서 수용되는 열을 전기로 저장하는 축전지(105)를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지 않도록 하거나 보조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100)과 축전지(105)는 별도로 태양전지부(5, 도 6 참조)로 모듈화하여 이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굴절부(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측은 하우징(1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중간부에는 탄성수단(110)을 구비하는 굴절부(6)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볼라드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과조명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시스템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1)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부(202)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경관조명장치(200)와 이 경관조명장치(200)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3)로 구성된다.
도 6에 이러한 경관조명시스템이 구현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경관조명장치는 전술한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의 실시 예와 동일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경관조명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203)가 별도로 설치되는데(도 6에는 미도시), 도 7의 블럭다이어그램을 참조하면, 제어부(203)는 선택적으로 혹은 프로그램별로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203a)와 각 경관조명장치(200)의 구동모터와 RGB LED 모듈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203b) 및 제어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203c)가 포함된다. 제어부(203)의 신호 조절을 통해 각 경관조명장치들이 함께 작동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달리 작동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구동부 2 디스플레이부
3 발광부 4 제어부
5 태양전지부 6 굴절부
10 하우징 11 수용부
12 지지판 14 벽체
15 나사부 16 안착부
17 관통홀 18 지지판결합홀
20 상판 21 관통홀
30 구동모터 39 베어링
40 회전날개 41 회전축
42 날개 49 자성체(자석)
50 유체관 54 스톱퍼
55 캡 59 상부베어링
60 상부회전날개 61 상부축
62 회전판 69 상부자성체(자석)
71,72 유체 80 RGB LED 모듈
90 제어부 100 태양전지판
105 축전지 110 탄성수단
200 경관조명장치 201 구동부
202 디스플레이부 203 제어부

Claims (11)

  1.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경관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상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유체관, 상기 유체관에 내장되며 상기 회전날개에 대응하는 상부회전날개 및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자성체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연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회전날개가 회전하되, 상기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의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RGB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RGB LED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유체관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의 상부에는 캡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은 투명한 아크릴이나 PC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캡의 외부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보조하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측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중간부에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84519A 2012-08-01 2012-08-01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KR10137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19A KR101371023B1 (ko) 2012-08-01 2012-08-01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19A KR101371023B1 (ko) 2012-08-01 2012-08-01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849A KR20140017849A (ko) 2014-02-12
KR101371023B1 true KR101371023B1 (ko) 2014-03-11

Family

ID=5026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519A KR101371023B1 (ko) 2012-08-01 2012-08-01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0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918A (en) * 1996-05-08 1997-10-21 Lin; Rich Lamp stand
KR101074214B1 (ko) * 2009-04-06 2011-10-14 유지현 볼라드
US20120106132A1 (en) * 2010-11-03 2012-05-03 Tseng-Lu Chien Led lava l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918A (en) * 1996-05-08 1997-10-21 Lin; Rich Lamp stand
KR101074214B1 (ko) * 2009-04-06 2011-10-14 유지현 볼라드
US20120106132A1 (en) * 2010-11-03 2012-05-03 Tseng-Lu Chien Led lava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849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7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vortex
US8905584B2 (en) Rotatable lighting fixture
CN104930360B (zh) 一种发光装置及其方法
US6241359B1 (en) Fluid filled light apparatus
US20090135586A1 (en) Whirlpool type aqua-lamp-based candle-like lighting device
US9052077B2 (en) LED lava light
RU2016132576A (ru) Конструкция стационарного миксера
KR101371023B1 (ko) 유체회전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
KR102003167B1 (ko)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US20110121212A1 (en) Candle flame activated dynamic candle holder
US9249960B2 (en) Spotlight having 360-degree horizontal lighting
CN201688307U (zh) 熏香水灯结构
CN202361262U (zh) 走马灯
US11287118B2 (en) Dynamic lighting device
KR101815614B1 (ko) 밝기 조절이 가능한 3d 프린팅 액자
CN104613369A (zh) 亮度可调的灯具
CN104214546A (zh) 反光板可调式灯具
CN210601419U (zh) 蓝牙水柱灯
US9869437B2 (en) Multiple function LED projection light having built-in motor means
CN206694982U (zh) 一种地埋灯
KR200252336Y1 (ko)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된 물위에 뜨는 이동형 풀 칼라조명등
CN204176535U (zh) 一种led太阳能壁灯
EP2991062A1 (en) Kinematic information carrier device
CN210319769U (zh) 一种装饰灯具
CN204005304U (zh) 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