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261B1 -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261B1
KR101370261B1 KR1020130122894A KR20130122894A KR101370261B1 KR 101370261 B1 KR101370261 B1 KR 101370261B1 KR 1020130122894 A KR1020130122894 A KR 1020130122894A KR 20130122894 A KR20130122894 A KR 20130122894A KR 101370261 B1 KR101370261 B1 KR 10137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game
charging
unit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3012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충전 상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반영하여, 게임의 캐릭터와 배경을 변경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MOBILE SYSTEM FOR CONTROLLING GAME BASED ON RECHARGING TIME}
본 발명은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중,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게임에 반영하여, 충전 시간을 할애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진행 및 제어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국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시장이 시작된 2009년 이후 3년 만에 1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12 스마트콘텐츠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게임 시장 규모는 9,054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본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스마트 콘텐츠 시장 규모가 1조 9천472억 원인데, 모바일 게임 시장의 규모는 이들 전체 스마트 콘텐츠 시장 규모의 46.4%에 달하는 수치다.
그러나, 올해 2013년 기준으로, 1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국내 모바일 게임시장은 매년 30~40% 수준의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업체들의 수익성은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요 모바일게임 업체 CJ E&M, 위메이드, 컴투스의 올 2분기 영업이익률은 10% 안팎에 그쳤으며,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모바일게임의 높은 성장률 때문에 업체들의 낮은 수익성이 가려져 있다"고 지적한바 있다.
한편, 모바일 스마트폰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는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일정 사용이 이루어지면 배터리 충전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 시간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을 잠시나마 중지하는, 일종의 휴지(休止) 기간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스마트폰 충전 시간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지루한 시간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품이나 광고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상품과 광고의 효과가 사장(死藏)되는 시간이기도 하다.
모바일 단말기 충전 중에 소정의 액션을 취하도록 하는 기술로는 "광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공개 번호 제10-2007-0052817호, 이하 '종래 기술1'이라 한다)" 등이 존재한다.
종래 기술1은 모바일 단말기 충전 중에 광고를 내보내는 기술이지만, 이러한 기술은 모바일 단말기 자체에 광고를 내보내는 기술이 아닌바, 충전 기계를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지켜보지 않으면 광고의 효과를 누릴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충전 상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그 어떤 보상이나 포인트 지급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충전 시간이 지루하게 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시간을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하도록 게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충전 상태를 게임에 직접 반영하여, 충전 진행 상태 자체를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모바일 단말기 충전 중, 충전 상태를 반영하는 게임을 제공하되, 충전 비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여부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충전 감지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게임을 실행시키는 게임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의 배경화면을 변경하는 배경 변경부; 및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게임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의 캐릭터 정보를 변경하는 캐릭터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캐릭터 정보는, 상기 캐릭터의 능력치, 레벨, 이미지 또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효율을 감지하는 충전 효율 감지부; 상기 게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할 때, 소비되는 전력의 소비율을 감지하는 소비 전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충전 효율과 상기 전력 소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전력 소비율이 상기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 소비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력 소비율이 상기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를 최적화하는 메모리 반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력 소비율이 상기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기준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하는 포인트 지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부의 배터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온도 정보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의 배경화면을 변경하는 배경 변경부; 및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게임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의 캐릭터 정보를 변경하는 캐릭터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모바일 단말기 충전을 하게 되면, 충전 상태를 활용하는 게임을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 시간이 지루하거나 따분한 일이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충전 상태가 게임의 캐릭터와 게임 배경 화면에 반영되는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진행 상태를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선사한다.
셋째,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중 전력 소비율과 충전율을 비교하여, 전력 소비율이 충전율의 일정 비율을 넘어서면,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를 반환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세서를 최적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충전 비효율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게임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충전 감지부와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배터리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 2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 3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 4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프로세서 설정부가 CPU를 최적화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게임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충전 감지부와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배터리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 2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 3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중 모바일 단말기에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 4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프로세서 설정부가 CPU를 최적화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충전 감지부(10); 스토리지(30); 및 게임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모바일 단말기란,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이동하면서 휴대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고, 와이파이나 3G, LTE 또는 기타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구동이 되어야함은 물론이다.
모바일 단말기의 예로는 갤럭시S 시리즈(삼성전자 제조), 아이폰 및 아이패드 시리즈(美 Apple Inc. 제조), 구글 넥서스 폰(삼성전자, 엘지전자, HTC등 제조) 등을 말한다. 다만, 모바일 단말기는 이들 제품의 종류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향후 개발되는 제품 역시 휴대 가능하며, 내장된 배터리가 존재하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총망라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충전 감지부(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충전 상태란,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는지 여부 즉, 충전 시작을 감지하며, 또한 충전률 즉, 충전 진행 상태를 감지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충전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 전체 진행 상황(도 3에서는 충전률 75%를 나타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는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2)를 유선으로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선으로도 충전이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이나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방식을 모두 포함하며, 이들 무선 충전의 방식의 종류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범위를 제한하지 못한다.
스토리지(30)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게임, 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감지부(10)가 충전 상태를 감지하면,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되며 실행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소이다. 스토리지(3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등의 내부 메모리와 큰 차이점이 없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게임 제어부(20)는 충전 감지부(10)가 감지한 충전 상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즉, 스토리지(30)에 저장된 게임을 말한다)을 제어한다.
게임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스토리지(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 제어부(20)는 게임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구글 스토어, 네이버 앱 스토어 등을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으로 띄워,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단말기 충전 기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게임 제어부(20)는 게임 실행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실행부(21)는 충전 감지부(10)가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작을 감지하게 되면, 스토리지(30)에 저장된 게임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게임 제어부(20)는 배경 변경부(22); 및 캐릭터 변경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배경 변경부(22)는 충전 상태(충전 진행률)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배경화면을 변경하는 구성이다. 도 5는 참조하면, 도 4에 비하여 배경이 붉은 색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충전률이 보다 진행되어, 게임의 배경이 붉게 변한 것이다. 다만, 도 5는 배경 변경부(22)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와 같은 화면으로 배경 변경부(22)의 기능을 한정해서는 안될 것이며, 다양한 배경의 색상 변경과 게임 배경의 사진 변경, 게임 배경에 위치하는 사물들의 변경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캐릭터 변경부(23)는 충전 상태(충전 진행률)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캐릭터 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이다.
캐릭터 정보란, 캐릭터가 가지는 캐릭터 레벨, 캐릭터 능력치, 캐릭터 외형(표정, 의상, 색상 등), 캐릭터 보유 아이템 등을 변경하도록 캐릭터가 가지는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캐릭터의 예시로서 고양이를 들 수 있는데, 고양이의 점프 능력은 10만큼 뛰어 오를 수 있는 것이,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률이 진행됨에 따라 점프 능력이 15, 20 등으로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양이 캐릭터의 표정도 변경하여,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캐릭터의 표정과 능력치의 상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충전 상황 자체를 지루해하지 않고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충전 효율 감지부(40); 및 소비 전력 감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효율 감지부(40)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충전 효율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충전 효율 감지부(40)는 충전 감지부(10)가 감지하는 충전 여부 및 충전률과는 다르게,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력 효율을 감지하는 것이다. 즉,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배터리를 시간당 얼마만큼의 전력이 충전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반면, 소비 전력 감지부(50)는 게임을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할 때, 소비되는 전력의 소비율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게임 제어부(20)는 충전 효율과 전력 소비율을 비교하여, 전력 소비율이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전력 소비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은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나 본 발명을 제작하는 개발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부분에서는 충전 효율 대비 전력 소비율이 100:25이지만, 100:50으로도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충전 효율 대비 전력 소비율이 100:25까지 이르면, 전력 소비 경고 알람을 발생시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효율이 게임 실행으로 인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 기술적 사상이다.
알람은 모바일 단말기의 소리나 진동 또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람의 형식 역시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충전 효율 감지부(40); 및 소비 전력 감지부(50)를 더 포함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메모리 반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소비율이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반환부(60)는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를 최적화한다.
메모리 반환부(60)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이 종료되지 않거나, 기타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인해 메모리가 할당되어, 전력의 불필요한 소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기본 운영체제로 설치되거나 애플의 iOS가 운영체제로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 들은 기본적으로 임의로 애플리케이션 등을 강제로 종료하여, 메모리를 반환시키는 기능이 존재하며, 메모리 반환부(60)는 이러한 기능과 연동되어, 이들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반환하게 된다.
본 발명이 충전 효율 감지부(40); 및 소비 전력 감지부(50)를 더 포함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프로세서 설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설정부(70)는 전력 소비율이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CPU(1)를 최적화하는 구성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8은 모바일 단말기의 CPU(1)가 쿼드 코어 컨트롤인 경우에, 이들 쿼드 코어 콘트롤 CPU(1)를 최적화하여 배터리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도 8과 같은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여, 프로세서 설정부(80)는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과 연동되어, 이들 기능을 이용하여 CPU(1) 최적화를 통한 배터리 소비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포인트 지급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지급부(24)는 충전 상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로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게임 제어부(10)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면, 게임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모바일 게임 유저(user)에게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포인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감지부(10)가 감지한 충전 상태에 따라서 지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포인트는 모바일 쿠폰, 캐쉬백 포인트, 백화점 포인트(신세계, 롯데 백화점 등에서 지급하는 포인트) 등으로서, 데이터 통신 등으로 통하여 게임 제공자 서버나 기타 제휴 서버를 통해 지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온도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부는 모바일 단말기 내부의 배터리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본 발명은 배경 변경부(22); 및 캐릭터 변경부(23)를 더 포함하여, 온도 정보에 따라 게임의 배경과 캐릭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경 변경부(22)는 온도 센서부로부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온도 정보에 따라 게임의 배경 화면을 변경한다. 배경 변경부(22)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캐릭터 변경부(23)는 온도 센서로부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온도 정보에 따라 게임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의 정보를 변경한다. 여기서의 캐릭터와 캐릭터 정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한 캐릭터 변경부(23)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CPU(central processing unit)
2: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배터리(battery)
10: 충전 감지부
20: 게임 제어부
21: 게임 실행부
22: 배경 변경부
23: 캐릭터 변경부
24: 포인트 지급부
30: 스토리지
40: 충전 효율 감지부
50: 소비 전력 감지부
60: 메모리 반환부
70: 프로세서 설정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충전 감지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게임을 실행시키는 게임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4.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의 배경화면을 변경하는 배경 변경부; 및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게임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의 캐릭터 정보를 변경하는 캐릭터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정보는,
    상기 캐릭터의 능력치, 레벨, 이미지 또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6.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효율을 감지하는 충전 효율 감지부; 및
    상기 게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할 때, 소비되는 전력의 소비율을 감지하는 소비 전력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효율과 상기 전력 소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전력 소비율이 상기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 소비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력 소비율이 상기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를 최적화하는 메모리 반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력 소비율이 상기 충전 효율의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9.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11.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하는 포인트 지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12. 모바일 단말기 충전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감지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충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게임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부의 배터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온도 정보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의 배경화면을 변경하는 배경 변경부; 및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게임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의 캐릭터 정보를 변경하는 캐릭터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14. 제3항, 제4항, 제6항,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여부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KR1020130122894A 2013-10-15 2013-10-15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KR10137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894A KR101370261B1 (ko) 2013-10-15 2013-10-15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894A KR101370261B1 (ko) 2013-10-15 2013-10-15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261B1 true KR101370261B1 (ko) 2014-09-23

Family

ID=5175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894A KR101370261B1 (ko) 2013-10-15 2013-10-15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게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2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96A (ko) * 2004-01-30 2005-06-08 주식회사 에스제이윈텍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
KR20070052817A (ko) * 2005-11-18 2007-05-23 하대철 광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96A (ko) * 2004-01-30 2005-06-08 주식회사 에스제이윈텍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
KR20070052817A (ko) * 2005-11-18 2007-05-23 하대철 광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658B2 (e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18452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10251261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충전 방법
KR102620068B1 (ko) 무선 충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54779B1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EP29110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haring
US98671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n wireless charging state
US101653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utomatically for geo-fe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9448685B1 (en) Preemptive event notification for media experience
CN109874365A (zh) 用于执行无线充电的设备及其方法
KR102625690B1 (ko)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472033B (zh) 媒体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017846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52233A (ko)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46296A (ko) 외부장치 연결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77695A (ko)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5191483A (zh) 无线充电装置和终端、包括该无线充电装置和终端的无线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有计算机程序的存储介质
KR2016013980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CN106649010B (zh) 一种终端设备测试方法及终端设备
KR102579676B1 (ko)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70041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2590943B1 (ko)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전송 방법
KR20180102901A (ko) 무선 충전 및 결제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05853A (ko) 무선 충전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49684B1 (ko) 활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