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909B1 -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 Google Patents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909B1
KR101369909B1 KR1020070016137A KR20070016137A KR101369909B1 KR 101369909 B1 KR101369909 B1 KR 101369909B1 KR 1020070016137 A KR1020070016137 A KR 1020070016137A KR 20070016137 A KR20070016137 A KR 20070016137A KR 101369909 B1 KR101369909 B1 KR 10136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surface acoustic
saw
electrodes
phase un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7112A (en
Inventor
최정환
다카히로 사토우
켄야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2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5/00Transversal filters
    • H03H15/02Transversal filters using analogue shift regis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818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03H9/02842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reflections
    • H03H9/0285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reflections of triple transit ech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02Surface acoustic wave [SAW] transducers for a particular purpose
    • H03H9/14505Unidirectional SAW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표면파(Surface Acoustic Wave : SAW) 필터를 이용한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및 주파수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는 RF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제1 SAW 변환기와 탄성 표면파에 대해서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제2 SAW 변환기를 포함하고, 제1 SAW 변환기 및 제2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는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크기의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전파 트랙의 특성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a frequency converter using a surface acoustic wave (SAW) filter, and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mechanical distortion due to piezoelectricity by inputting an RF signal. A first SAW transducer that excites a surface acoustic wave and a second SAW transducer that generates a real part and an imaginary part of a complex signal by polymerizing and integrating based on an impulse response of a right function and an odd function for the surface acoustic wave;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AW converters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thereby realizing miniaturization of the size and preventing variations in the propagation track.

Description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및 주파수 변환기{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도 1은 기존의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소 주파수 변환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ll complex frequency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양방향성 변환기(싱글 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directional transducer (single electrode).

도 4b는 양방향성 변환기(더블 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directional converter (double electrod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그룹 타입 변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group type converter.

도 9는 도 8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8.

도 10은 그룹 타입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roup type converter.

도 11은 도 10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0. FIG.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주파수-진폭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12 shows the frequency-amplitud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주파수-위상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13 shows the frequency-phase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이미지 억압 특성을 나타낸다. 14 shows image suppression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ngle-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Fig.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7 and 18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및 주파수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성능의 무선 통신 단말기와 같이 높은 주파수 대역의 복소 계수 필터 구현에 적합한 탄성 표면파(Surface Acoustic Wave : SAW) 필터를 이용한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 변 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a frequency converter. In particular, a surface acoustic wave (SAW) filter suitable for implementing a complex coefficient filter of a high frequency band such as a high perform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used and a frequency converter using the same.

고성능 무선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더블 쿼드러처(Double Quadrature) 주파수 변환기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복소 계수 필터에 의해 9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고, 그 복소 신호를 더블 쿼드러처 믹서에 의해 주파수 하향 변환함으로써, 높은 이미지 억압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복소 계수 필터는 트랜스버셜형 SAW 필터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복소 계수 필터는 SAW 필터 이외에도 스위치드 캐패시터 회로, 전하 영역 소자 등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으나, 높은 주파수의 복소 계수 필터의 구현에는 SAW 필터가 적합하다. The Double Quadrature Frequency Converter, which is used in high-perform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receives a RF signal and generates a complex signal by having a 90-degree phase difference by a complex coefficient filter, and generates the complex signal by using a double quadrature mixer. By frequency downconverting, a high image suppression ratio can be obtained. Here, the complex coefficient filter may be implemented using a transversal SAW filter. The complex coefficient filter can be realized not only by the SAW filter but also by a switched capacitor circuit, a charge region device, and the like. However, the SAW filter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a high frequency complex coefficient filter.

도 1은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5-117458에 기재된 SAW 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AW 필터(10)는 압전 기판(11)과, 압전 기판(11) 상에 마련되고 교차폭이 위치마다 다른 빗살 형상의 전극(이하, Inter-digital Transducer : IDT)(12∼15)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빗살 형상 부분은 전극지(電極指 : electrode finger)라고도 불린다. IDT(12, 14)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RF 신호가 인가되면 압전성에 의해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고, 이 탄성 표면파는 압전 기판(11)의 좌우 방향으로 전파하게 된다. IDT(13)는 실수축 성분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I)에 접속되고, IDT(12)로부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IDT(15)는 허수축 성분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Q)에 접속되고, IDT(14)로부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AW filte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5-117458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AW filter 10 is composed of a piezoelectric substrate 11 and comb-shaped electrod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digital transducers (IDTs) 12 to 15) provided on the piezoelectric substrate 11 and having different crossing widths for each position. have. Each comb-shaped portion is also called an electrode finger. The IDTs 12 and 14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s, and when an RF signal is applied, they cause mechanical distortion by piezoelectricity to excite the surface acoustic waves,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iezoelectric substrate 11. The IDT 1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which outputs the real axis component, and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can receive the surface acoustic wave propagated from the IDT 12. As shown in FIG. The IDT 15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Q that outputs the imaginary shrinkage component,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ed from the IDT 14.

위와 같이 이루어진 SAW 필터(10)는 복소 신호(I 및 Q)를 얻기 위해서, 각각 독립된 탄성 표면파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복소 신호(I)를 얻기 위해서 IDT(12) 및 IDT(13)으로 하나의 전파 트랙을 구성하고, 복소 신호(Q)를 얻기 위해서 IDT(14) 및 IDT(15)로 또 다른 전파 트랙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2개의 트랜스버셜형 SAW 필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파 트랙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전파 트랙 간의 제조 편차에 의한 특성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The SAW filter 10 made as above is composed of propagation tracks of independent surface acoustic waves, respectively, in order to obtain the complex signals I and Q. That is, one propagation track is constituted by the IDT 12 and the IDT 13 to obtain the complex signal I, and another propagation track is performed by the IDT 14 and the IDT 15 to obtain the complex signal Q. Configure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wo transverse SAW filters are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thereof becomes large. In addition, since the propagation tracks are independent, there is a problem that characteristic variations due to manufacturing variations between the propagation tracks occu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크기의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전파 트랙의 특성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x-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a frequency converter using the same, which are capable of miniaturizing the size and preventing the variation of the propagation track characteristics. There i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는 RF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제1 SAW 변환기 및 상기 탄성 표면파에 대해서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제2 SAW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SAW 변환기 및 제2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는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irst function and an odd function for the first SAW converter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 that excite a surface acoustic wave by causing mechanical distortion due to piezoelectricity by inputting an RF signal. And a second SAW transducer for generating a real part and an imaginary part of a complex signal by polymerizing and integrating based on an impulse response of the signa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AW converter and the second SAW convert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do.

상기 제 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양방향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성 변환기이고,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중 어 느 한쪽의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양방향성 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bidirectional transducer for propagating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both directions,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antenna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one of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ter. By using the bidirectional converter as described above, broadband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또한, 상기 제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일방향으로 전파하는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이고,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양방향성 변환기에 비해 협대역 특성을 가지지만, 일방향으로만 탄성 표면파를 전파하고,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모두를 4상 일방향성 변환기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ropagated surface acoustic wave. can do.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have narrowband characteristics compared to bidirectional transducers, but signal loss can be reduced because they propagate surface acoustic waves in one direction only and receive all the propagated surface waves with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또한, 상기 제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양방향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성 변환기이고,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각각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2개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방향성 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양방향으로 탄성 표면파를 전파하고,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모두를 2개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bidirectional transducer for propagating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both directions,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two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respectively installed at positions capable of receiving each of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It can be characterized b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by using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which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s in both directions and receives the propagated surface acoustic waves by two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This can reduce signal loss.

또한,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1주기 내에 각 전극 간의 중심거리가 1/4 파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4개의 전극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four electrodes in which the center distance of each electrode is arranged in a quarter wavelength within one period.

또한,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4개의 출력 단자와 적어도 4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전극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출력 단자 각각에 접속 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may include four output terminals and at least four electrodes, and each of the at least four electrodes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terminals.

또한,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그룹 타입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p type converter.

또한,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4개의 출력 단자, 접지 단자 및 복수 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소정 개수의 전극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각 그룹 내의 전극들이 상기 4개의 출력 단자 중 상기 각 그룹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may include four output terminals, a ground terminal,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des as a group, and the electrodes in each group may be used as the four output terminal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groups.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환기는 RF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제1 SAW 변환기와 상기 탄성 표면파에 대해서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제2 SAW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SAW 변환기 및 제2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는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소정 주파수의 로컬 신호를 생성시키는 국부 발진기 및 상기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와 상기 국부 발진기에 접속되고, 상기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소 신호와 상기 국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컬 신호를 승산하여 주파수를 변환하는 복소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equency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ther technical problem is the first SAW converter and the surface function wave and the impulse of the right function and the odd function for the first SAW converter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 to excite the surface wave by causing mechanical distortion due to piezoelectricity as an RF signal input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having a second SAW converter that polymerizes and integrates based on the response to produce a real part and an imaginary part of the complex signa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AW converter and the second SAW convert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A local oscillator for generating a local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nd the local oscillator, and multiplying the complex signal output from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nd the local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oscillat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plex mixer to convert the frequency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 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全)복소 주파수 변환기(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ll complex frequency conver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전복소 주파수 변환기(100)는 안테나(111), LNA(l12),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 전복소 믹서(130), LPF(141, 144), AGC(142, 145) 및 ADC(143, 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필요한 구성 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에 열거되지 않은 기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The full complex frequency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antenna 111, the LNA 112,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 the complex complex mixer 130, the LPFs 141 and 144, and the AGC 142. 145 and ADCs 143 and 146. 1 shows only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other components not listed above are omitted.

LNA(Low Noise Amplifier)(112)는 안테나(111)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이다.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는 양의 주파수 또는 음의 주파수 성분을 억압하기 위한 필터이다.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The low noise amplifier (LNA) 112 is an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RF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111.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 is a filter for suppressing a positive frequency or a negative frequency component. Details of the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전(全)복소 믹서(130)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설 필터(120)로부터의 복소 신호에 로컬 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변환한다. 전복소 믹서(130)는 전복소 믹서(130)는 제1 내지 제4승산기(131, 132, 133, 134)와, 제1 및 제2 가산기(또는 감산기)(135, 136)로 구성된다. 복소 믹서(130)는 로컬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기(137)로부터 실수축 로컬 신호(cos)를 입력받고, 국부 발진기(137)로부터 허수축 로컬 신호(-sin)를 입력 받는다. 전복소 믹서(130)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설 필터(120)로부터 입력된 복소 신호에 대해서 주파수 제로 또는 제로 부근의 주파수가 되는 주파수 변환을 행하여 복소 신호를 출력한다. The entire complex mixer 130 performs frequency conversion by mixing the local signal with the complex signal from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 The precomplex mixer 130 includes a precomplex mixer 130 including first to fourth multipliers 131, 132, 133, and 134 and first and second adders (or subtractors) 135 and 136. The complex mixer 130 receives a real axis local signal cos from a local oscillator 137 generating a local signal and an imaginary axis local signal -sin from the local oscillator 137. The precomplex mixer 130 performs a frequency conversion on the complex signal input from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 to become frequency zero or near zero and outputs a complex signal.

LPF(Low Pass Filter)(141)는 복소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LPF(141)를 통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복소 신호는 AGC(Auto Gain Contro1)(142) 및 ADC(Analog/Digital Converter)(143)를 통하여 복소 기저대역(baseband) 신호의 실수축 성분으로서 출력단 I를 통해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LPF(144) 역시 복소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LPF(144)를 통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복소 신호는 AGC(145) 및 ADC(146)를 통하여 복소 기저대역(baseband) 신호의 허수축 성분으로서 출력단 Q를 통해 출력된다. The low pass filter (LPF) 141 removes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complex signal. The complex signal from which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removed through the LPF 141 is output stage I as a real axis component of the complex baseband signal through the AGC (Auto Gain Contro1) 142 and the ADC (Analog / Digital Converter) 143. Is output via Similarly, LPF 144 also removes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complex signal. The complex signal from which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removed through the LPF 144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Q as the imaginary axis component of the complex baseband signal through the AGC 145 and the ADC 146.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소 주파수 변환기(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복소 주파수 변환기(100)의 구성 요소 중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full complex frequency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ull complex frequency converter 100 will be described.

먼저,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임펄스 전기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탄성 표면파로서 출력되는 SAW 신호의 임펄스 응답은, 각 전극지에서의 무게 함수(교차폭) Wi, 각 전극지로부터의 거리 xi, 탄성 표면파의 위상 속도 v에 의해 결정되고, 임펄스 응답의 주파수 전달 함수 H(ω)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나타난다. 아래의 수학식은 무게 함수 Wi의 선형 결합이며, 트랜스버셜형 필터의 기본 원리와 같다. First, the principle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will be described. The impulse response of a SAW signal output as a surface acoustic wave when an impulse electric signal is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weight function (cross width) Wi at each electrode finger, the distance xi from each electrode finger, and the phase velocity v of the surface acoustic wave. The frequency transfer function H (ω) of the impulse response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e equation below is a linear combination of the weight function Wi and is the same as the basic principle of a transverse filter.

Figure 112007014305464-pat00001
Figure 112007014305464-pat00001

상기와 같은 주파수 전달 함수 H(ω)를 갖는 트랜스버셜형 필터는 Wi와 xi의 설계를 통해 진폭 특성과 위상 특성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버셜형 SAW 필터의 Wi와 xi를 설계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의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수축의 성분을 출력하는 출력단 I에 접속된 트랜스듀서는 실수부의 임펄스 응답, 즉 짝수 대칭 임펄스 응답에 대응하는 가중치 부여(전달 함수 HI(ω)에 대응하는 가중치 부여)를 행하기 때문에, 포락선의 중심에 대해서 짝수 대칭이 되도록 각 전극지가 설치된다. 허수축 성분을 출력하는 출력단 Q에 접속된 트랜스듀서는 허수부의 임펄스 응답, 즉 홀수 대칭 임펄스 응답에 대응하는 가중치 부여(전달 함수 HQ(ω)에 대응하는 가중치 부여)를 행하기 때문에, 포락선의 중심에 대해서 홀수 대칭이 되도록 각 전극지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수 RF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90도의 위상차를 갖는 복소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The transverse filter having the frequency transfer function H (ω) as described above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amplitude characteristics and the pha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esign of Wi and xi. Therefore, by designing Wi and xi of the transversal SAW filter,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with desired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The transduc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which outputs the component of the real axis performs the weighting corresponding to the impulse response of the real part, that is, the even symmetrical impulse response (weighting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function HI (ω)), so that the center of the envelope Each electrode finger is provided to be eve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transduc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which outputs the imaginary axis component performs weighting corresponding to the impulse response of the imaginary part, that is, the odd symmetric impulse response (weighting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function HQ (ω)), so that the center of the envelope Each electrode finger is provided so as to be odd symmetric with respect to.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convert a real RF signal into a complex RF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between the real part and the imaginary part.

본 발명의 목적은 고성능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더블 쿼드러처 주파수 변환기 등에서 크기의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전파 트랙의 특성 편차를 방지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환기에서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는 전달 함수 HI(ω)와 전달 함수 HQ(ω)가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전파 트랙 상에 배치되는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가 4상 일방향성 변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복소 계수 버셜 필터(120-1, 제1 실시예), 복소 계수 버셜 필터(120-2, 제2 실시예) 및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3, 제3 실 시예)에 대해서 차례대로 설명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miniaturization of size in a double quadrature frequency converter or the like used in a high-perform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revent characteristic deviation of a radio wave track. To this end, in the frequency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a SAW converter having a propagation function HI (ω) and a transfer function HQ (ω) composed of one propagation track and disposed on one propagation track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Hereinafter,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 the complex coefficient vertical filter 120-1, the first embodiment, the complex coefficient vertical filter 120-2,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The filter 120-3 and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order.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에 설치된 양방향성 변환기(200)와, 출력측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에 의해 구성된다. 양방향성 변환기(200)는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여 양방향으로 전파한다.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는 실수축 성분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I+, I-)와 허수축 성분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Q+, Q-)에 접속되고, 양방향성 변환기(200)로부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상기 양방향성 변환기(20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도 1의 구성에 비해 그 크기가 매우 작다. 이하, 양방향성 변환기(200)의 구성 및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installed at an input side and a four phase one-way transducer 300 provided at an output side. It is composed by.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excites a surface acoustic wave to propagate in both directions.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I + and I- for outputting the real axis component and the output terminals Q + and Q- for outputting the imaginary axis component, and is propagated from the bidirectional converter 200. The directivity is directed toward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so as to efficiently receive the surface acoustic wave. Since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mposed of one propagation track as shown in Fig. 2, its size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bidirectional converter 20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phase one-way converte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양방향성 변환기(200-1) 및 양방향성 변환기(200-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기판 상에 설치되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음양 전극지로 이루어진 빗살 형상 전극(Inter-digital Transducer : IDT)으로 이루어진다. 음양 전극지는 일반적으로 도 4a와 같이 한 개를 세트로 또는 도 4b와 같이 2개를 세트로 하여 구성되고, 각각, 싱글 전극(도 4a), 더블 전극(도4b)으로 불린다. 또한 가중치 부여를 행하기 위해서 교차폭이 장소마다 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1 and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2 are comb-shaped electrodes (inter-digital transducers) formed of negative and negative electrode fingers disposed on a piezoelectric substrate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 IDT). The yin-yang electrode finger is generally composed of one set as shown in Fig. 4A or two sets as shown in Fig. 4B, and is called single electrode (Fig. 4A) and double electrode (Fig. 4B), respectively. It can also be designed so that the crossover width varies from place to place in order to weight.

도 4a에 도시된 IDT(210)는 입력 단자(220) 및 접지 단자(230)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220)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IDT(210)에서 압전성에 의해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가 여진되고, 이 탄성 표면파(250, 260)는 압전 기판의 좌우 방향, 즉 도 4a의 지면 좌우 방향으로 전파한다. The IDT 210 shown in FIG. 4A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220 and the ground terminal 230.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220, mechanical distortion is caused by piezoelectricity in the IDT 210 to excite the surface acoustic wave,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s 250 and 260 a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iezoelectric substrate, that is, in FIG. Propag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round.

마찬가지로, 도 4b에 도시된 IDT(215)는 입력 단자(225) 및 접지 단자(235)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225)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압전성에 의해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IDT(215)에 탄성 표면파가 여진되고, 이 탄성 표면파(255, 265)는 압전 기판의 좌우 방향, 즉 도 4b의 지면 좌우 방향으로 전파한다. Similarly, the IDT 215 shown in FIG. 4B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225 and the ground terminal 235.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225, mechanical distortion is caused by piezoelectricity to excite the surface acoustic wave to the IDT 215,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s 255 and 265 a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iezoelectric substrate, that is, in FIG. Propag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round.

한편, 도 3에 도시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로는 1주기 내에 각 전극 간의 중심거리가 1/4 파장으로 배열된 적어도 4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4상 변환기 또는 그룹 타입 변환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차례대로 설명한다. Meanwhile, as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shown in FIG. 3, a four-phase transducer or a group-type transducer composed of at least four electrodes in which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arranged at a quarter wavelength within one cycle may be used. have. Hereinafter, it demonstrates in order.

도 5는 도 3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의 일 실시예로서 4상 변환기(31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참조 부호(A)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는 1주기 내에 각 전극 간의 중심거리가 1/4 파장으로 배열된 4개의 전극(310a, 310b, 310c 및 310d)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전극의 폭은 1/8 파장이다. 또한, 전극(310a)은 출력 단자(I-)에 접속되고, 전극(310b)은 출력 단자(Q+)에 접속되고, 전극(310c)는 출력 단자(I+)에 접속되고, 전극(310b)은 출력 단자(Q-)에 접속된다. 4상 변환기(3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4개의 전극(310a, 310b, 310c, 310d)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각 단위가 반복 배열된 것이다. 각각의 전극에는 서로 위상이 1/4 파장 차이의 전계가 인가되어 탄성 표면파를 수신한다. 5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four-phase converter 310 as an embodiment of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of FIG. 3.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reference numeral A shown in FIG. 5. FIG. 6 shows four electrodes 310a, 310b, 310c and 310d in which the center distance between each electrode is arranged at a quarter wavelength within one cycle. Here, the width of each electrode is 1/8 wavelength. In addition, the electrode 310a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the electrode 310b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 the electrode 310c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 and the electrode 310b is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our-phase converter 310 is a unit in which the four electrodes 310a, 310b, 310c, and 310d are arranged in one unit. Each electrode is applied with an electric field of a quarter wavelength difference from each other to receive surface acoustic waves.

한편, 도 6의 참조부호(B)를 참조하면, 출력 단자(Q-)에 접속되는 전 극(310d)은 출력 단자(Q+)와의 사이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함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 단자(Q+)는 전극(310d)과 교차하는 장소에서 브릿지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7은 출력 단자(Q+) 및 출력 단자(I-)에 형성되는 브릿지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브릿지 형상이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 단자(I+)에 접속되는 전극(310c)은 출력 단자(I-) 사이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한다. 이 때문에 출력 단자(I-)는 전극(310c)과 교차하는 장소에서 브릿지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reference numeral B of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de 310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intersects with the output terminal Q + in three dimensions. For this reason, the output terminal Q + is formed three-dimensionally in the shape of a bridge at the place where it intersects with the electrode 310d. FIG. 7: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bridge shape formed in the output terminal Q + and the output terminal I-. In FIG. 7, the bridge shape is exaggerat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Similarly, the electrode 310c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 intersects three-dimensionally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I-. For this reason, the output terminal I- is formed three-dimensionally in the shape of a bridge at the place where it cross | intersects the electrode 310c.

도5의 실시예에 따른 4상 변환기(310)는 후술하는 도 8 및 도10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타입 변환기(320, 330)에 비해 특성 면에서 우수하다. 다만 도 8 및 도10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타입 변환기는 도 5의 실시예에서처럼 입체적인 브릿지 형상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대적으로 제작하기에는 용이한 면이 있다.The four-phase converter 3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s superior in characteristics to the group type converters 320 and 3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10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since the group type co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10 does not need to adopt a three-dimensional bridge shap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5, it is relatively easy to manufacture.

도 8 및 도 10은 도 3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룹 타입 변환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8 and 10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group type convert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of FIG. 3.

도 8은 그룹 타입 변환기의 일 실시예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참조 부호(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에는 그룹 타입 변환기(320)를 구성하는 하나의 그룹인 전극들(320a, 320b, 320c, 320d, 320e, 320f, 320g, 320h, 320i)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전극들의 그룹은 출력 단자(I-)에 대응된다. 전극(320a, 320b, 320e, 320f)은 출력 단자(I-)에 접속되고, 전극(320c, 320d, 320g, 320h, 320i)은 접지 단자(GND)에 접속된다. 또한, 다른 출력 단자(Q-, I+, Q+)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극들의 한 그룹이 대응된다. 그룹 타입 변환 기(320)에서 각 전극의 폭은 1/8 파장이며, 각 전극 간의 중심거리는 1/4 파장으로 배열된다. FIG. 8 is an embodiment of a group type converter, and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nlarged reference numeral C shown in FIG. 8. 9 illustrates electrodes 320a, 320b, 320c, 320d, 320e, 320f, 320g, 320h and 320i which are one group constituting the group type converter 320. The group of electrodes shown in FIG. 9 corresponds to the output terminal I-. The electrodes 320a, 320b, 320e, 320f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and the electrodes 320c, 320d, 320g, 320h, 320i are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GND. In addition, for the other output terminals Q−, I +, Q +, a group of electrodes corresponds to the same. In the group type converter 320, the width of each electrode is 1/8 wavelength, and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arranged at 1/4 wavelength.

도 10은 그룹 타입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참조 부호(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에는 그룹 타입 변환기(330)를 구성하는 하나의 그룹인 전극들(330a, 330b, 330c, 330d)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전극들의 그룹은 출력 단자(I-)에 대응된다. 전극(330a, 330c)은 출력 단자(I-)에 접속되고, 전극(330b, 330d)은 접지 단자(GND)에 접속된다. 또한, 다른 출력 단자(Q-, I+, Q+)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극들의 한 그룹이 대응된다. 그룹 타입 변환기(330)에서 전극(330a, 330b, 330c)의 폭은 1/4 파장이며, 전극(330d)의 폭은 1/2 파장이다. 또한, 1/4 파장 폭의 전극 간의 중심거리는 1/2 파장이다.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a group type converter, and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nlarged reference numeral D shown in FIG. 10. 11 illustrates electrodes 330a, 330b, 330c, and 330d as one group constituting the group type converter 330. The group of electrodes shown in FIG. 11 corresponds to the output terminal I-. The electrodes 330a and 330c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 and the electrodes 330b and 330d are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GND. In addition, for the other output terminals Q−, I +, Q +, a group of electrodes corresponds to the same. In the group type converter 330, the widths of the electrodes 330a, 330b, and 330c are 1/4 wavelength, and the width of the electrode 330d is 1/2 wavelength. In addition, the center distance between electrodes of 1/4 wavelength width is 1/2 wavelength.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타입 변환기는 변환기 내에서 각 전극의 반사파가 서로 상쇄되므로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타입 변환기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다만,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타입 변환기는 전극의 폭이 도 8의 실시예보다 넓어서 상대적으로 제작하기에는 용이한 면이 있다.The group type co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has superior characteristics as compared to the group type co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since the reflected waves of each electrode cancel each other in the converter. However, in the group type co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width of the electrode is wider than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8, and thus it is relatively easy to manufactur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단자(in+, in-)에 실수 RF 신호가 입력되면, 양방향성 변환기(200)에서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이 발생하여 탄성 표면파가 여진되고, 이 탄성 표면파는 양방향성 변환기(200)의 양방향으로 전파된다. 양방향성 변환기(200)로부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신호는 전파 방향으로 설치된 4상 일방향 성 변환기(300)에 의해 수신되고,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이 행해지면서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12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a real RF sig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s (in +, in-), mechanical distortion due to piezo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to excite the surface acoustic wave,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 propagates in both directions of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 The surface acoustic wave signal propagated from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is received by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300 installed in the propagation direction, a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while polymerization integ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mpulse responses of the right and the odd functions. do.

이 때,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에서는 복소 신호의 실수 성분이 출력 단자(I+, I-)로부터 출력되고, 복소 신호의 허수 성분이 출력 단자(Q+, Q-)로부터 출력된다. 이로써, 음의 주파수를 억압하면서 목적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측에서 목적 외 신호에 대한 억압비를 높게 할 수 있는 필터를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the real component of the complex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I + and I-, and the imaginary component of the complex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 and Q-. Thereby, the filter which can raise the suppress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non-target signal on the frequency side in which the target signal exists while suppressing a negative frequency can be obtained.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에 의하면 이미지 억압도가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며,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크기가 매우 작다. 또한 또 양방향성 변환기(200)를 사용함으로써,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good image suppression characteristic is obtained, and its size is very small because it is composed of one propagation track. In addition, by using the bidirectional converter 200,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에 설치된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와, 출력측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에 의해 구성된다.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는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여 양방향으로 전파한다.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는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로부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방향성이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도 1의 구성에 비해 그 크기가 매우 작다. 이하, 단상 일방향성 변환 기(4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6,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gle-phase one-way converter 400 installed at an input side and a four-phase one-way converter 300 installed at an output side. It is configured by The single 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exci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to propagate in both directions.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300 is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ality is directed toward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so that the surface acoustic wave propagated from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can be efficiently received. As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5 to 11 may be adop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one propagation track as shown in FIG. 14, its size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ingle-phase one-way converter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로는 내부 반사를 이용한 것, 뱅크형 반사기를 이용한 것,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크기의 차이를 이용한 것, 결정의 이방성에 의한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주로 전극지 구조의 비대칭성을 이용하고 있다.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may include internal reflection, bank type reflector, difference in magnitude of electromechanical coupling coefficient, crystal anisotropy, and the like. Asymmetry is used.

일 예로서,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기판 상에 설치된 1주기(파장)에 2개의 1/8 파장 전극지와 1개의 3/8 파장 전극지로 이루어진 빗살 형상 전극(Single 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 SPUDT)(410), 입력 단자(420) 및 접지 단자(430)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가중치 부여를 행하기 위해서 교차폭이 장소마다 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has a comb-tooth shape consisting of two 1/8 wavelength electrode fingers and one 3/8 wavelength electrode finger in one cycle (wavelength) provided on the piezoelectric substrate as shown in FIG. 15. It is composed of an electrode (Single 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SPUDT) 410, an input terminal 420 and a ground terminal 430. It can also be designed so that the crossover width varies from place to place in order to weight.

SPUDT(410)는 입력 단자(420) 및 접지 단자(430)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420)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SPUDT(410)에서 압전성에 의해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가 여진되고, 이 탄성 표면파는 굵은 전극의 반사에 의해 압전 기판의 우측 방향, 즉 도 15의 지면 우측 방향으로 전파한다. 일방향성이 나타나는 대역폭은 굵은 전극의 반사 계수에 의존하고, 일반적으로는 광대역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대역폭이 좁은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다. The SPUDT 410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420 and the ground terminal 430.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420, the surface acoustic wave is excited by the mechanical distortion caused by piezoelectricity in the SPUDT 410,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 is reflec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iezoelectric substrate by the reflection of the thick electrode, that is, FIG. Propagates to the right side of the page. The bandwidth in which unidirectionality appears depends on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thick electrode and is generally difficult to widen, and thus can be used in a relatively narrow bandwidth system.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단자(in+, in-)에 실수 RF 신호가 입력되면,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에서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이 발생하여 탄성 표면파가 여진되고, 이 탄성 표면파는 일방향으로 전파된다.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로부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신호는 전파 방향으로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 기(300)에 의해 수신되고,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이 행해지면서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12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a real RF sig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s in + and in-, mechanical distortion due to piezoelectricity occurs in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400 to excite the surface acoustic wave, and the surface acoustic wave propagates in one direction. The surface acoustic wave signal propagated from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is received by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300 installed in the propagation direction, and is again subjected to polymerization integration based on the impulse response of the right function and the odd function. Is converted into a signal.

이 때,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에서는 복소 신호의 실수 성분이 출력 단자(I+, I-)로부터 출력되고, 복소 신호의 허수 성분이 출력 단자(Q+, Q-)로부터 출력된다. 이로써, 음의 주파수를 억압하면서 목적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측에서 목적 외 신호에 대한 억압비를 높게 할 수 있는 필터를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300, the real component of the complex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I + and I-, and the imaginary component of the complex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 and Q-. Thereby, the filter which can raise the suppress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non-target signal on the frequency side in which the target signal exists while suppressing a negative frequency can be obtained.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에 의하면 상기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억압도가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며,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크기가 매우 작다. 또한,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400)는 양방향성 변환기에 비해 협대역 특성을 가지지만, 일방향으로만 탄성 표면파를 전파하고,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모두를 4상 일방향성 변환기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good image suppression characteristic can be obtained, and since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one propagation track, its size is very large. small. In addition, although the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400 has narrower band characteristics than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the surface acoustic wave propagates only in one direction and receives all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ed by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3)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에 설치된 양방향성 변환기(200)와, 출력측에 설치된 2개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1, 300-2)에 의해 구성된다. 양방향성 변환기(200)는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여 양방향으로 전파한다.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1, 300-2)는, 양방향성 변환기(200)로부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방향성을 양방향성 변환기(20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양방향성 변환기(200) 및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1, 300-2)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4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3)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도 1의 구성에 비해 그 크기가 매우 작다.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provided on the input side and two four phase one-way filters provided on the output side, as shown in Figs. It is comprised by the converters 300-1 and 300-2.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excites a surface acoustic wave to propagate in both directions.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300-1 and 300-2 direct the respective direc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so as to efficiently receive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As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and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300-1 and 300-2,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shown in FIGS. 4A to 11 may be adopted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ince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one propagation track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size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3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 small.

이처럼, 제3 실시예에 다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는 2개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1, 300-2)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서는 양방향성 변환기(200)로부터 4상 일방향성 변환기(300)의 반대측으로 출력되는 탄성 표면파 신호를 반드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의 구성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신호를 모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억압도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며 하나의 전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크기가 매우 작다. As such,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wo four-phase one-way transducers 300-1 and 300-2.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surface acoustic wave signal output from the bidirectional transducer 20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300 may not be effectively used.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ll surface acoustic wave signal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can be effectively used. The image suppression is also very small in size, as in the first embodiment, because good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and are composed of one propagation track.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의 주파수-진폭 특성을 나타낸다. S21(입력 단자에서 I 단자로의 통과 특성)과S31(입력 단자에서 Q 단자로의 통과 특성)을 살펴보면, 주파수-진폭 특성이 거의 일치하여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2 shows the frequency-amplitud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S21 (passing characteristics from the input terminal to the I terminal) and S31 (passing characteristics from the input terminal to the Q terminal),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amplitude characteristics are almost identical and have good characteristic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의 주파수-위상 특성을 나타낸다. S21(입력 단자에서 I 단자로의 통과 특성)과S31(입력 단자에서 Q 단자로의 통과 특성)을 살펴보면, 임의의 주파수에 대해서 90도의 위상차가 발생하여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3 shows the frequency-phas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S21 (passing characteristics from the input terminal to the I terminal) and S31 (passing characteristics from the input terminal to the Q terminal), it can be seen that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occurs for an arbitrary frequency and thus has good characteristics.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의 이미지 억압 특 성, 즉 음의 주파수 영역의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도 14에서 USB(Upper Sideband)는 양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특성을 나타내고, LSB(Lower Sideband)는 음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특성을 나타내며, 주파수의 절대값을 취하여 양과 음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주파수-진폭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도 14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음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억압비(이미지 억압도)가 68dB로서 매우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4 shows image sup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egative frequency domain. In Fig. 14, USB (Upper Sideband) represents a characteristic in the positive frequency domain, and LSB (Lower Sideband) represents a characteristic in the negative frequency domain, tak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frequency and taking the frequency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frequency domain- The amplitude characteristics are simultaneously shown. As can be clearly seen from Fig. 14, it can be seen that the suppression ratio (image suppression degree) in the negative frequency region has a very good characteristic as 68 dB.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및 주파수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이를 수 있음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lex coefficient universal filter and the frequency conver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at these naturally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된 실시예에서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의 구체적 구성예로서, 복소 계수 버셜 필터(120-1, 제1 실시예), 복소 계수 버셜 필터(120-2, 제2 실시예) 및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120-3,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제1 SAW 변환기와 이 탄성 표면파에 대해서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을 행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제2 SAW 변환기로 이루어지고, 제1 SAW 변환기 및 제2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가 4상 일방향성 변환기로 구성되는 모든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와 이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에 대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a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 the complex coefficient vertical filter 120-1 (first embodiment) and the complex coefficient vertical filter 120-2, the second embodiment Example) and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120-3 (third embodiment) ar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a first SAW transducer that excites a surface acoustic wave and a second SAW transducer that generates a real part and an imaginary part of a complex signal by performing polymerization integration on the surface acoustic wave based on an impulse respon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complex-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s and at least one of two SAW transducers composed of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4상 변환기(310)와 그룹 타입 변환기(320, 330)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모든 구성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the four-phase converter 310 and the group type converters 320 and 330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ur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can be employed.

본 발명에 따르면,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를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SAW 변환기와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SAW 변환기로 구성하고, 각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4상 일방향성 변환기로 구성함으로써 크기의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전파 트랙의 특성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e filter is composed of a SAW transducer that excites a surface acoustic wave and a SAW transducer that generates a real part and an imaginary part of a complex signal by polymerizing and integrating based on an impulse response, and at least one of each SAW converter By constructing a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lex-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a frequency converter us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the siz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variation of the propagation track.

Claims (16)

RF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제1 SAW 변환기 및 A first SAW converter which inputs an RF signal and causes surface acoustic waves to cause mechanical distortion by piezoelectricity; and 상기 탄성 표면파에 대해서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제2 SAW 변환기를 포함하고, And a second SAW converter for polymerizing and integrating the surface acoustic wave based on the impulse responses of the right function and the odd function to generate the real part and the imaginary part of the complex signal. 상기 제1 SAW 변환기 및 제2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At least one of the first SAW transducer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composed of four or more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양방향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성 변환기이고,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b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both directions.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중 어느 한쪽의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a surface acoustic wave of any one of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일방향으로 전파하는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이고,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one direction.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ropagated surface acoustic wav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양방향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성 변환기이고,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b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both directions.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각각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2개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And said second SAW transducers are two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respectively installed at positions capable of receiving respectiv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1주기 내에 각 전극 간의 중심거리가 1/4 파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4개의 전극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And said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comprises at least four electrodes in which a center distance between each electrode is arranged at a quarter wavelength within one perio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4개의 출력 단자와 적어도 4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has four output terminals and at least four electrodes, 상기 적어도 4개의 전극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출력 단자 각각에 접속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And wherein each of said at least four electrodes is connected to each of said four output terminals and arrang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그룹 타입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And said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is a group type transduc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4개의 출력 단자, 접지 단자 및 복수 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has four output terminals, a ground terminal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소정 개수의 전극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각 그룹 내의 전극들이 상기 4개의 출력 단자 중 상기 각 그룹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des as a group of electrodes in each group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output terminals of the complex coefficients, characterized in that Transversal filter. RF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압전성에 의한 기계적 왜곡을 일으켜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제1 SAW 변환기와 상기 탄성 표면파에 대해서 우함수 및 기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기초로 중합 적분하여 복소 신호의 실수부 및 허수부를 생성하는 제2 SAW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SAW 변환기 및 제2 SAW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는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 The first SAW transducer, which causes mechanical distortion due to piezoelectricity to excite surface acoustic waves by inputting an RF signal, and polymerizes and integr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based on the impulse response of the right function and the odd function, thereby real and imaginary parts of the complex signal. A second coefficient SAW transduc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AW transducer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소정 주파수의 로컬 신호를 생성시키는 국부 발진기 및 A local oscillator for generating a local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상기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와 상기 국부 발진기에 접속되고, 상기 복소 계수 트랜스버셜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소 신호와 상기 국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컬 신호를 승산하여 주파수를 변환하는 복소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a complex mixer connected to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the local oscillator and converting the frequency by multiplying the complex signal output from the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the local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oscillator. Frequency converter.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양방향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성 변환기이고,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b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both directions.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중 어느 한쪽의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the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surface acoustic wave of any one of th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일방향으로 전파하는 단상 일방향성 변환기이고,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single-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one direction.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said second SAW transducer is a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ropagated surface acoustic wave.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SAW 변환기는 상기 탄성 표면파를 양방향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성 변환기이고, The first SAW transducer is a bidirectional transducer that propagates the surface acoustic wave in both directions. 상기 제2 SAW 변환기는 상기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 표면파 각각을 수신 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2개의 4상 일방향성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said second SAW transducers are two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s respectively installed at positions capable of receiving respective surface acoustic waves propagating in both directions.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1주기 내에 각 전극 간의 중심거리가 1/4 파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4개의 전극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said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comprises at least four electrodes in which a center distance between each electrode is arranged at a quarter wavelength within one period.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4개의 출력 단자와 적어도 4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has four output terminals and at least four electrodes, 상기 적어도 4개의 전극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출력 단자 각각에 접속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each of said at least four electrodes is connected to and arranged in each of said four output terminals.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그룹 타입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And said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is a group type converter.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상기 4상 일방향성 변환기는 4개의 출력 단자, 접지 단자 및 복수 개의 전극 들을 구비하고, The four-phase unidirectional converter has four output terminals, a ground terminal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소정 개수의 전극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각 그룹 내의 전극들이 상기 4개의 출력 단자 중 상기 각 그룹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기.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des as a group of electrodes in each group ar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the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group of the four output terminals and the ground terminal is arranged .
KR1020070016137A 2006-09-22 2007-02-15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KR1013699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6830 2006-09-22
JP2006256830A JP4685740B2 (en) 2006-09-22 2006-09-22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12A KR20080027112A (en) 2008-03-26
KR101369909B1 true KR101369909B1 (en) 2014-03-04

Family

ID=3935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37A KR101369909B1 (en) 2006-09-22 2007-02-15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85740B2 (en)
KR (1) KR10136990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697A (en) * 1998-03-11 2001-05-25 아끼구사 나오유끼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07A (en) * 1989-06-08 1991-01-21 Murata Mfg Co Ltd Modulation and demodulation circuit
DE10228757A1 (en) * 2002-06-27 2004-01-22 Infineon Technologies Ag Receiver arrangement, especially for mobile radi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697A (en) * 1998-03-11 2001-05-25 아끼구사 나오유끼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79066A (en) 2008-04-03
KR20080027112A (en) 2008-03-26
JP4685740B2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0877B2 (en) Elastic wave filter
KR100840872B1 (en) Balanced acoustic wave filter device
EP0184508A2 (en) Surface acoustic wave transducer
US20100194495A1 (en) Duplexer
CA2403770A1 (en) A dual mod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with improved symmetry and increased stop-band attenuation
US6710676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device
JPWO2007049754A1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06068086A1 (en) Balance type saw filter
JP2002290205A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JP3826816B2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US7429905B2 (en) Balanced acoustic wave filter
JP2003526240A (en) Surface wave converter with optimized reflection
US7489210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nd transmitter-receiver
US6424239B1 (en) Differential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KR100757684B1 (en) Balanced typ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4513261A (en) Low-loss acoustic wave filter device
KR101369909B1 (en)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JP4800026B2 (en) Complex coefficient transversal filter and frequency converter
JP4120549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KR100842608B1 (en) Frequency converter
JP4637718B2 (en)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JP3999977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device
JP2008166956A (en) Frequency converter
JP5111585B2 (en)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S613033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