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734B1 -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734B1
KR101369734B1 KR1020120144202A KR20120144202A KR101369734B1 KR 101369734 B1 KR101369734 B1 KR 101369734B1 KR 1020120144202 A KR1020120144202 A KR 1020120144202A KR 20120144202 A KR20120144202 A KR 20120144202A KR 101369734 B1 KR101369734 B1 KR 10136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terminal
control module
err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득찬
강준형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텔라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라딘 filed Critical (주)텔라딘
Priority to KR102012014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은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통신기기간에 다양한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을 이용한 산업용 전자기기들은 무선카드 결제기,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통신 중계기 감시장치, 화재 경보기 장치, 보안단말기, ATM 네트워크의 백업용 장치 등 다양한 것이 있다.
그러나, 특정장소 등에 설치된 통신기기가 오류가 발생하거나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특정장소로 사람이 직접 방문하여 통신기기를 분해 후 재조립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오류가 발생한 통신기기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통신기기의 동작을 멈추고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원격에서 단말 등의 통신기기의 오류를 모니터링하고 수정할 수 있는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은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에러가 검출되면, 상기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장치는 단말중앙처리장치,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에러가 검출되면, 상기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 또는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는 단말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은 외부 단말로부터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로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장치는 외부 단말로부터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 수신을 처리하는 서버통신모듈, 상기 단말의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로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송신하는 서버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설치 이후에 수정이나 변경이 필요한 상황이 생겼을 때, 원격에서 빠른 에러 검출과 발생한 에러를 수정함으로써 통신기기의 품질을 항상 우수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통신기기의 품질과 네트워크환경 등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검출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원격에서 통신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통신기기 수정을 위해 기술자를 파견하지 않아도 되어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태정보”는 통신기기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태정보신호”는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전자파 등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태정보와 상태정보신호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태정보를 제1상태정보, 제2상태정보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상태정보라는 용어는 제1상태정보와 제2상태정보 모두 포함하거나 그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태정보는 네트워크 환경정보도 포함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제어 통신장치는 단말(100)과 서버(200)를 포함한다. 단말(100)은 단말메모리(110), 단말중앙처리장치(CPU)(120), 단말통신회로(130)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100)은 단말표시장치(140), 단말입력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단말(100)은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태블릿(Tablet) 컴퓨터, 이동전화, 미디어 플레이어, PDA 등, 그리고 이러한 아이템 둘 이상의 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장치일 수 있다. 단말(100)은 오직 휴대용 전자장치의 한 예이고, 단말(100)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메모리(1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단말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메모리(11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중앙처리장치(1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장치, 예를 들어 단말통신회로(130) 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이나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단말원격제어모듈(111)(또는 명령어 세트), 단말통신모듈(113)(또는 명령어 세트)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메모리(110)는 다양한 모듈이나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값은 단말메모리(110)에 저장된 값이 가능하다.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고,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 또는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고,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게 제어한다.
또한, 단말원격제어모듈(111)와 단말통신모듈(113)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단말통신모듈(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통신모듈(113)은 하나 이상의 단말외부포트(미도시)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촉진시키고 단말통신회로(130)와 단말외부포트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원격제어모듈(111)과 단말통신모듈(113)은 하나의 단일칩 상에서 구현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중앙처리장치(12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단말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100)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단말중앙처리장치(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될 수 있다.
단말표시장치(140)는 사용자와 단말(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단말표시장치(14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단말표시장치(140)를 통해서 데이터 등을 볼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입력장치(150)는 사용자와 단말 단말(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단말입력장치(150)는 사용자가 단말(100)에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터치스크린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단말표시장치(140)와 단말입력장치(150)가 일체로 될 수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단말(100)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표시되는 데이터를 보고, 터치스크린 접촉으로 단말(100)이 사용자의 다양한 명령을 수신하고,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단말통신회로(13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단말통신회로(130)는 전기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한다. 단말통신회로(130)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통신회로(130)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무선통신에 의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Wireless Fidelity, Wi-Fi)(예를 들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및/또는 IEEE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및/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용 프로토콜 또는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상태정보는 WCDMA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표준, 프로토콜에 적용 가능하다.
서버(200)는 서버메모리(210), 서버중앙처리장치(CPU)(220), 서버통신회로(230)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200)는 서버표시장치(240), 서버입력장치(250), 서버외부포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서버(200)는 여러 개의 단말(100)와 통신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가 가능하다. 서버(200)는 이러한 전자장치의 한 예이고, 서버(200)가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서버(200)의 여러 구성요소 중 서버표시장치(240)는 단말표시장치(140), 서버입력장치(250)는 단말입력장치(150)와 그 기능이 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메모리(2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서버원격제어모듈(211), 서버통신모듈(213)(또는 명령어 세트)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버메모리(210)는 다양한 모듈이나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서버원격제어모듈(211)은 단말(100)의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면, 단말(100)로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단말(100)로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버원격제어모듈(211)은 단말(100)의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서버통신모듈(213)은 하나 이상의 서버외부포트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촉진시키고 서버통신회로(230)와 서버외부포트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서버통신모듈(2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통신모듈(213)은 외부 단말(100)로부터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 수신을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2는 단말에서 원격제어 통신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태정보는 네트워크 환경정보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주파수 정보(Freq.: Frequency), 기지국 단위를 구분하는 번호인 기지국 번호(PSC : Primary Synchronization Code), 현재 획득하고 있는 채널(주파수 신호)의 신호세기(CPICH-RSCP : Common PIlot CHanel - Received Signal Code Power),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 대 잡음 비(ECIO : Chip Energy/Others Interference), 데이터 송수신 시 그 데이터의 블록(Block) 당 에러(error) 비율(BLER : BLock Error Rate), 수신세기(RX), 송신세기(TX), WCDMA 시스템의 국가별 사업자 별 구분자(PLMN ID :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 기지국 상위 단의 구역정보(LAC/RAC : Location Area Code / Routing Area Code), WCDMA 에서 16진수값을 갖는 최소단위 구분자(CELL ID : CELL IDentity), MM(Mobility Management), GMM(Gprs Mobility Management)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정보(MM/GMM State), 코어 네트워크 구분자(CN ID : Core Network IDendity), 네트워크에 그 서비스(Service) 사용 가부를 물어 허용된 경우(0)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0을 제외한 값)을 나타내는 정보(Reject GMM/MM/PDP), IP를 획득하여 패킷(Packet)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PDP : Packet Data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단말(100)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210). 이러한 모니터링은 정기적으로 기 설정되어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이 기 설정에 따라 수행하거나, 서버(200)로부터 모니터링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수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에러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S210).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에러가 검출되면, 검출된 에러수정이 자체적으로 가능한지 판단한다(S230).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210을 다시 수행한다.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검출된 에러수정이 자체적으로 가능하면,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서버(200)로 송신한다(S240). 이때, 수정상태정보는 에러의 내용, 에러수정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100) 및/또는 서버(200)는 이러한 제1상태정보를 저장한다(S250).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이 에러를 수정하는 일 실시예로,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단말메모리(110)에 정확한 데이터의 세팅값을 저장하고 있고, 주기적(예를 들어, 동작중일 때는 1일 1회 00시00분, 단말이 꺼지고 켜지기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새로 켜지는 경우 등) 으로 현재값과 세팅값을 비교하여, 세팅값과 현재값이 다른 경우에 오류로 판단하고 이를 세팅값으로 변경한다.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이 에러를 수정하는 다른 실시예로,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단말메모리(110)에 정확한 데이터의 세팅값과 동작 가능한 범위를 저장하고 있고, 주기적(예를 들어, 동작중일 때는 1일 1회 00시00분, 단말이 꺼지고 켜지기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새로 켜지는 경우 등) 으로 현재값과 세팅값, 동작 가능한 범위를 비교하여, 현재값이 세팅값과 동작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면 오류로 판단하고 이를 세팅값으로 변경한다.단말원격제어모듈(111)이 에러를 수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기본 동작들의 정상동작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네트워크에 레지스트레이션 (registration)/디레지스트레이션(deregistration) 동작, WCDMA의 경우에 네트워크에서 IP를 획득하는 절차(PDP activation), SMS 발수신, 음성 발수신, 모뎀의 인터페이스 USB, UART,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I2C, I2S, SDIO 등의 단말(100)에 구현되거나 구현될 수도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 체크를 주기적(예를 들어, 동작중일 때는 1일 1회 00시00분, 단말이 꺼지고 켜지기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새로 켜지는 경우 등)으로 수행하여 그 동작에 각 각 맞는 시나리오 상 단계에 다다르지 못한 경우에 이를 오류로 판단하고, 오류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서버(200)에서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검출된 에러수정이 자체적으로 가능하지 않으면, 서버(200)로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한다(S260). 서버(200)는 단말(100)이 송신한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수신한다.
서버(200)는 수신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확인하고,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를 서버표시장치(240)로 표시하면 사용자는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의 특정값 변경명령을 하거나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 송신명령을 하고, 서버(200)는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의 특정값 변경명령신호 또는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 신호를 단말(100)로 송신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 또는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한다(S270).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은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한다(S28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서버에서 원격제어 통신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을 포함한 특정 단말(100)로부터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예를 들어, 제2상태정보신호)를 수신한다(S310).
서버(200)는 서버표시장치(240)를 통하여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예를 들어, 제2상태정보)를 표시하고(S320), 사용자는 서버표시장치(240)를 통해서 단말(100)의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자 및/또는 서버(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태정보에서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 신호 대 잡음 비(ECIO), 수신세기(RX)와 송신세기(TX)의 비(RX/TX), MM(Mobility Management), GMM(Gprs Mobility Management)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정보(MM/GMM State), 네트워크에 그 서비스(Service) 사용 가부를 물어 허용된 경우(0)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0을 제외한 값)을 나타내는 정보(Reject GMM/MM/PDP) 등의 내용으로 에러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네트워크의 주파수 정보(Freq.), 기지국 단위를 구분하는 번호인 기지국 번호(PSC), WCDMA 시스템의 국가별 사업자 별 구분자(PLMN ID) 등을 내용으로 주변 네트워트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환경의 파악은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 신호 대 잡음 비(ECIO), 현재 획득하고 있는 채널(주파수 신호)의 신호세기(CPICH-RSCP) 등으로 파악 가능한데,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의 경우 -51 ~ -112 정도의 폭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51에 가까워질수록 네트워크의 신호 상태가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신호 대 잡음 비(ECIO)는 일반적인 환경에서 -6정도인데, 0의 값이 잡음이 없는 상태이고, -12정도가 되면 잡음이 많다고 판단하며, 현재 획득하고 있는 채널(주파수 신호)의 신호세기(CPICH-RSCP)는 데이터(Data) 채널과는 상관없이 파일럿(Pilot) 채널만의 신호세기로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세기와 송신세기 비(RX/TX power)는 네트워크와 단말(100)의 위치(거리), 환경(RF)에 따라 신호 세기를 높였다/낮추었다 하는 값을 보여주는 것으로. 서로 멀리 있거나 잡음이 많을수록 그 신호세기는 커진다. WCDMA 시스템의 국가별 사업자 별 구분자(PLMN ID), WCDMA 에서 16진수값을 갖는 최소단위 구분자(CELL ID), 코어 네트워크 구분자(CN ID : Core Network IDendity) 등은 단말(100)이 위치한 곳의 정보를 알려준다.
또한, MM(Mobility Management), GMM(Gprs Mobility Management)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정보(MM/GMM State), 네트워크에 그 서비스(Service) 사용 가부를 물어 허용된 경우(0)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0을 제외한 값)을 나타내는 정보(Reject GMM/MM/PDP) 등은 현재 단말이 MM service/GMM service/PDP service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데, 0의 값을 제외한 모든 값은 실패의 경우이다.
서버(200)의 서버원격제어모듈(S211)은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의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한지 확인한다(S330).
서버(200)의 서버원격제어모듈(S211)은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의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면, 단말(100)로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송신한다(S340).
서버(200)의 서버원격제어모듈(211)은 단말원격제어모듈(111)의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단말(100)로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송신한다(S350).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 또는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거나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원격제어 통신방법에 의해서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포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단말
110: 단말메모리
111: 단말원격제어모듈
113: 단말통신모듈
120: 단말중앙처리장치
130: 단말통신회로
140: 단말표시장치
150: 단말입력장치
200: 서버
211: 서버원격제어모듈
213: 서버통신모듈
220: 서버중앙처리장치
230: 서버통신회로
240: 서버표시장치
250: 서버입력장치

Claims (9)

  1. 원격제어 통신장치에 있어서,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에러가 검출되면, 상기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은 단말메모리에 저장된 값인 원격제어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정보신호 및 상기 제2상태정보신호는 현재 획득하고 있는 채널(주파수 신호)의 신호세기(CPICH-RSCP),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 신호 대 잡음 비(ECIO), 데이터 송수신 시 그 데이터의 블록(Block) 당 에러(error) 비율(BLER), 수신세기(RX), 송신세기(T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원격제어 통신방법.
  4. 단말중앙처리장치,
    에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에러가 검출되면, 상기 에러를 수정하고 제1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에러정보를 포함한 제2상태정보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 또는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원격제어모듈을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로 변경하는 단말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원격제어 통신장치.
  5. 원격제어 통신장치에 있어서,
    외부 단말로부터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로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통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통신방법은
    상기 단말의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정보신호 중 현재 획득 가능한 전체 채널의 신호세기(RSSI), 신호 대 잡음 비(ECIO), 수신세기(RX)와 송신세기(TX)의 비(RX/TX), MM(Mobility Management), GMM(Gprs Mobility Management)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정보(MM/GMM State), 네트워크에 그 서비스(Service) 사용 가부를 물어 허용된 경우(0)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0을 제외한 값)을 나타내는 정보(Reject GMM/MM/PDP)를 확인하는 원격제어 통신방법.
  7. 외부 단말로부터 에러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신호 수신을 처리하는 서버통신모듈,
    상기 단말의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로 수정단말원격제어모듈신호를 송신하는 서버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원격제어 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원격제어모듈은 상기 단말의 상기 단말원격제어모듈 특정값 변경으로 에러의 수정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원격제어 통신장치.
  9. 상기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120144202A 2012-12-12 2012-12-12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KR10136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02A KR101369734B1 (ko) 2012-12-12 2012-12-12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02A KR101369734B1 (ko) 2012-12-12 2012-12-12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734B1 true KR101369734B1 (ko) 2014-03-06

Family

ID=5064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02A KR101369734B1 (ko) 2012-12-12 2012-12-12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7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29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KR20070117954A (ko)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디바이스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29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KR20070117954A (ko)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디바이스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818B2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US10313892B2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US11012970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and electronic device
CN107306441B (zh) 发送蓝牙广播帧的方法、装置及无线接入点
CN111107612B (zh) 一种带宽部分的配置方法及装置
KR20140063334A (ko)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309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on Sidelink SL, and Terminal
US7903599B1 (en) Call-detection algorithm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y low-cost internet-base-station (LCIB) pilot beacons with macro-network communications
US85715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WLAN radio receiver gain in a wireless device
US11503488B2 (en) Non-standalone architecture frame alignment
KR101369734B1 (ko) 원격제어 통신방법 및 장치
US8737352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167225A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hando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WO2022087914A1 (zh) 波束测量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621024B (zh) 一种wifi园区ap设备自动布放的方法
CN109714722B (zh) 室内天线的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924902B (zh) 无线网络断开方法、装置及电子装置
US93074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a communication session from a source base station to a target base station without terminating the session
JP2010177922A (ja) 基地局、基地局の制御方法
EP4033807A1 (en) Method for processing uplink reference signal, and related apparatus
WO2023160571A1 (zh) 干扰或自激处理方法及装置、中继节点及宿主基站
US20240137781A1 (en) Spatial relation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24037401A1 (zh) gap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4104078A1 (zh) 测量放松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40040410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onfigu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