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732B1 -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732B1
KR101369732B1 KR1020130019988A KR20130019988A KR101369732B1 KR 101369732 B1 KR101369732 B1 KR 101369732B1 KR 1020130019988 A KR1020130019988 A KR 1020130019988A KR 20130019988 A KR20130019988 A KR 20130019988A KR 101369732 B1 KR101369732 B1 KR 10136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ponic cultivation
unit
cultivation unit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김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102013001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통공 되어 식재된 포트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삽입구가 다수 이격 구성되는 수경재배부와, 상기 수경재배부 하단을 고정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측으로 공급하는 모터펌프를 수용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받침부에 수용되는 물을 모터펌프에 의해 공급받아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에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유도부와, 상기 낙수유도부에서 낙하 되는 물을 저장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낙하 되도록 하는 낙수저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수경재배부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이루어지는 포트삽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포트삽입구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포트를 삽입하여 수경재배부 외주면을 따라 식재되도록 하고, 상기 포트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낙수저장부를 구비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양하고 많은 수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좁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량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많은 량의 식물 발육 상태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용 수경재배장치{ROOM TYPE HYDROPONICS GROW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실내용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펌프가 구비되는 받침부재에 하단부가 인입되어 수직상으로 고정되는 수경재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경재배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통공되는 포트삽입구를 형성하여 식재된 포트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에는 받침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모터펌프의 구동에 의해 유동된 후 상단에서 낙하 되도록 하는 낙수유도부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낙수유도부에서 낙하 되는 물을 저장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낙하 되도록 하는 낙수저장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실내의 작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식물 식재 및 관리와 재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다량의 식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수분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다량의 식물 발육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대도시의 경우 공동주택 거주 비율이 근 80 %를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대도시 공동 주택에서 자연환경을 접할 수 있는 기회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어, 최근 대도시 공동주택의 경우 녹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생기고 있고, 공동주택 주변에 녹지공원 조성 등이 필수 택지 개발 요소로 선정되고 있다.
또한, 도심지에서의 공동주택이나 일반 주택내에서도 친환경적 식재 및 조경으로 자연미를 연출하기 위해 베란다나 실내 공간 등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고, 일반 음식점 및 사무실 등에서도 인테리어 기능을 겸비한 화분들을 이용한 설치 사례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분류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장소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많은 양 또는 다양한 식재 구성이 어려워 한정된 식물의 재배 또는 식재에만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 층으로 과채류나 식물 등을 식재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화분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수경재배를 위한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수경재배 장치의 경우 통상 사각형태의 캐비넷을 활용하거나 수조를 이용하여 수경재배를 하는 등의 개시 예들이 존재하는데, 그 크기가 상당하고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다양한 종류의 식재 및 많은 량의 식물을 수경재배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경재배 장치는 다량의 식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식물에 수분을 일정하게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어 다량의 식물 발육이 일정하지 않고 수분을 수월하게 공급받는 식물과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는 식물이 발생하여 발육의 차이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에서의 좁은 공간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다양하면서도 많은 량의 식물 재배가 가능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 기능이 우수한 실내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하면서도 많은 량의 식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각각의 식물에 수분을 충분히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다량의 식물 발육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통공 되어 식재된 포트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삽입구가 다수 이격 구성되는 수경재배부와,
상기 수경재배부 하단을 고정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측으로 공급하는 모터펌프를 수용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받침부에 수용되는 물을 모터펌프에 의해 공급받아 상기 수경재배부 상단에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유도부와,
상기 낙수유도부에서 낙하 되는 물을 저장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낙하 되도록 하는 낙수저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수경재배부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이루어지는 포트삽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포트삽입구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포트를 삽입하여 수경재배부 외주면을 따라 식재되도록 하고, 상기 포트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낙수저장부를 구비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양하고 많은 수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좁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량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많은 량의 식물 발육 상태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수경재배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받침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낙수유도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낙수저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낙수저장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낙수저장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낙수저장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괄적 정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수경재배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되 원통형체를 이루는 수경재배부(100)와, 상기 수경재배부(100) 하단을 고정 지지하면서 내부에 물과 상기 물을 상단측으로 공급되도록 펌핑하기 위한 모터펌프(500)를 수용하는 받침부(200)와, 상기 수경재배부(100) 상단을 커버하면서도 상기 받침부(200)에 수용된 물이 상방으로 공급된 후 수경재배부(100) 상단에서 하방측으로 자유 낙하 되도록 가이드하는 낙수유도부(300)와, 상기 낙수유도부(300)에서 낙하 되는 물을 저장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으로 낙하 되도록 하는 낙수저장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경재배부(100)는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며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고 외주면으로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포트삽입구(110)가 경사지게 천공되며 배열 배치되도록 하였다.
상기 포트삽입구(110)는 수경재배부(100)의 외주면을 원형상으로 천공한 상태에서 열성형을 가하여, 도면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트삽입구(110)의 형태가 수경재배부(100) 외표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며 함몰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포트삽입구(110)의 단부측은 수경재배부(100)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부(120)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도 10 에서 보듯이, 상기 포트삽입구(110)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포트(400)가 삽입되었을 때, 식물의 방향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게 되고 포트(400)의 단부측은 상기 포트삽입구(110)로 삽입된 상태에서 포트삽입구(110) 내측단 돌출부(120)를 통해 돌출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물이 식재된 포트(400)가 상기 포트삽입구(110)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낙수유도부(300)를 통해 자유낙하 되는 물이 수경재배부(100) 내부를 따라 자유낙하 되면서 포트삽입구(110)의 돌출부(120)로 돌출되는 포트(400)의 단부측을 적시게 되는데, 상기 포트(400) 단부측으로는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나와 있어 낙수 되는 물로부터 자양분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2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부에 양액과 혼합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외통체(210)와, 중앙으로 삽입공(212)을 갖으며 상기 외통체(210)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211)와, 상기 외통체(210) 바닥면에 안착 되는 띠 형태의 지지원판(220)과, 상기 지지원판(220) 내측으로 하단이 삽입 지지가 되면서 상단측은 상기 수경재배부(100)를 지지하도록 하고 내부에 모터펌프(500)가 수용되도록 하는 고정구(230)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에 양액이 혼합된 물이 수용되는 받침부(200)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펌프(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을 수경재배부(100)측으로 자유낙하 될 수 있도록 펌핑시켜 수경재배부(100) 상단에 구비되는 낙수유도부(300)측으로 유동시킨 다음, 낙수유도부(300)를 통해 물이 자유낙하 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받침부(200)는 외통체(210)와 커버(211)를 이루도록 하는데, 커버(211) 중앙에는 원통형체를 이루는 수경재배부(100)가 안착 되기 위한 고정구(23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230)는 도 3 에서 보듯이, 원형태의 상단지지구(231)와 하단지지구(233)가 이격 고정되는 간격지지구(234)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상단지지구(231)의 외주면측으로 단턱(232)을 이루어 상기 수경재배부(100)의 하단부가 안착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하단지지구(233)는 상기 지지원판(22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여 고정구(230)의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230)는 받침부(200)의 외통체(210)에 삽입되더라도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띠형태의 지지원판(220)의 내주면과 고정구(230)의 하단지지구(233)간 지지에 의해 고정 지지 될 수 있다.
상기 낙수유도부(300)는 전술한 받침부(200)의 외통체(210)에 수용되는 모터펌프(500)로부터 펌핑하여 유도되는 물을, 상기 수경재배부(100) 내부를 통해 자유낙하시키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역할을 갖는 낙수유도부(300)는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경재배부(100)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단커버체(310)와, 상기 상단커버체(310) 하단으로 이격고정구(320)에 의해 이격 고정되어지되 상기 상단커버체(310)의 외경보다 작도록 구성하면서 중앙으로 받침부(200)의 물을 유도하는 호스(510)가 끼워지기 위한 노즐(330)이 구비되고 다수의 낙수공(341)이 천공되는 하단커버체(34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단커버체(340)의 상면측 표면보다 주연부측의 높이가 높도록 주연부단턱(3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주연부단턱(342)에 의해 노즐(330)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도된 물은, 상단커버체(310)의 저면에 부딪힌 후 하단커버체(340)측으로 유동되어질 때, 그 낙수 된 물들이 하단커버체(340) 외주면측으로 흘러 배출되지 않고 하단커버체(340)에 다수 천공되어 있는 낙수공(341)을 통해 하방향으로 낙수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낙수유도부(300)에서 낙수 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낙수저장부(6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경재배부(100)의 내측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낙수유도부(100)에서 낙수 된 물을 저정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로 자연 낙하시키는 과정을 통해 낙수유도부(100)에서 낙수 되는 물을 일정시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포트(40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역할을 갖는 낙수저장부(300)는 도 5내지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단에서 낙수 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저장홈(611)을 갖는 저장용기(610)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610)의 내측 중앙부분에 가이드관(620)을 형성하여 모터펌프(500)에서 공급하는 물을 상단으로 유도하는 호스(510)가 관통 가이드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저장용기(610) 상단 외측으로는 다수개의 낙수절개공(631)이 천공되어 있는 상단돌출부(6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낙수절개공(631)은 저장홈(611)에 물이 일정량 초과되면 하단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여 하단부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낙수저장부(600)는 수경재배부(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지는 돌출부(120)에 안착 되어 수경재배부(100)의 내측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수경재배부(100)에 낙수저장부(600)를 다단으로 구비하게 되어 포트(400)에 식재되어 있는 다량의 식물 발육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다량의 수분을 필요로 하는 식물을 재배할 시 수경재배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낙수유도부(100)에서 낙수 되는 물이 자유 낙하 되어 식물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인해, 수경재배부(100)의 상단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는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수경재배부(100)의 하단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는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본 발명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에 의해 해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낙수저장부(6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각각의 포트(400)에 구비되는 것으로, 낙수유도부(100)에서 1차적으로 수경재배부(100)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낙수저장부(600)로 물이 낙하하여 저장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로 물이 자연낙하하면서 다단으로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에 물이 일정량 저장되어 지고, 이러게 저장된 물을 포트(40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로 흡수하여 결과적으로 수경재배부(100)에 다량으로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식물의 발육을 일정하면서 최상의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낙수저장부(6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7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또 다른 실시 예의 낙수저장부(6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경재배부(100)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20)에 저면이 안착 되는 안착지지구(6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지지구(640)의 내측으로 모터펌프(500)에서 공급하는 물을 상단으로 유도하는 호스(510)가 관통 가이드 되는 가이드관(6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지지구(640)의 상단에는 구획판(650)과 저장부단턱(651)을 구비하여 저장홈(61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지지구(640)의 상단 외측으로는 상단돌출부(6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단돌출부(630)는 저장홈(611)에 물이 일정량 초과 되면 하단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절개공(63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낙수저장부(100)는 안착지지구(640)의 상단에 구획판(650)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650)의 외측에 형성되어 지는 저장부단턱(651)에 의해 저장홈(611)이 형성되어 지는데, 상기 저장홈(611)은 적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도록 구성하여, 저장홈(611)에 물이 고여있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물이 변질 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인 수경재배장치의 수경재배부(100)에 천공되어 있는 포트삽입구(110)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포트(40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예이다.
수경재배부(100)의 하단측은 받침부(20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구(230)의 상단지지구(231)의 단턱(232)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받침부(200)의 외통체(210) 상단을 커버하는 커버(211)의 중앙측 삽입공(212)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다.
한편, 받침부(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에는 일정량의 양액을 투입하여 식물에 필요한 자양분 공급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구(230)의 하단지지구(233) 외주면은 받침부(200)를 구성하는 외통체(210) 바닥면에 띠 형태로 안착 되는 지지원판(220) 내주면과 긴밀히 접하도록 하여, 고정구(230)를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받침부(2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은 고정구(230) 내측 중앙에 위치되는 모터펌프(500)에 의해 펌핑되어, 호스(510)를 타고 수경재배부(100) 상단측을 커버하는 낙수유도부(300)의 하단커버체(340)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노즐(330)측으로 유도되어진다.
이와 같이 유도된 물은 노즐(330)을 통해 상방향으로 배출되는데, 그 배출된 물은 상단커버체(310) 저면에 부딪힌 후 낙하하게 되며, 낙하 된 물은 수경재배부(100)로 그대로 낙하 되지 않고, 하단커버체(340)의 낙수공(341)을 통해 분산되어 낙하하게 된다.
아울러 하단커버체(340)로 낙수 되는 물은 하단커버체(340) 주연부측으로 흘러 외측방향으로 낙수 되지 않고, 반드시 낙수공(341)을 통해 낙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단커버체(340) 주연부측에는 주연부단턱(342)이 일체로 이루어져 노즐(330)을 통해 공급된 물이 주연부단턱(342)에 의해 하단커버체(340) 외주연으로 낙수 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와 같이 낙수공(341)을 통해 낙수 되는 물은 분산되며 자유 낙하하게 되는데, 낙수 과정에서 수경재배부(100)의 포트삽입구(110)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포트(400)의 삽입 단부를 따라 상기 낙수 되는 물이 흐르면서 포트(400) 삽입 단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를 1차적으로 적신 후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에 유입되어 진다.
이와 같이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면 식물의 뿌리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물에 합유 되어 있는 자양분 또한 식물측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경재배부(100)의 상단에 위치한 낙수유도부(300)에서 물이 자유 낙하하면 수경재배부(100)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에 1차적으로 물이 유입된 후 저장홈(611)에 일정량이 물이 채워지면 낙수절개공(631)을 통해 물이 하단으로 자유낙하 하게 되어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에 물이 공급되어 지는 것으로, 이런 과정을 통해 수경재배부(100)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에도 물이 공급되어 일정량 채워지게 된다.
이렇게 다단으로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 전체에 물이 채워지면 포트(40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저장홈(611)에 일정부분 잠기면서 식물에 수분 및 자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수경재배부(100)에 다단으로 식물을 재배하더라고 많은 량의 식물에 수분 및 자양분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 식물의 발육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경재배부(100)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낙수저장부(600)의 저장홈(611)에 물이 일정량 초과하게 되면 낙수절개공(631)을 통해 하단으로 낙하 되어 받침부(200)에 그대로 집수 된 후 재차 모터펌프(500)의 펌핑 운동에 의해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모터펌프(500)의 작동시간을 별도의 타이머를 통해 제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포트(400) 내부로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면서도 고정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쿠션부재(410)를 포트(400)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400)에 삽입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뿌리가 항상 물과 접촉하게 될 경우 썩는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쿠션부재(410) 내부에 관 형태의 뿌리보호관(420)을 구비하여, 식물의 하부측과 뿌리 부분을 감싸며 보호하도록 하였다.
100; 수경재배부 110; 포트삽입구
120; 돌출부 200; 받침부
210; 외통체 211; 커버
212; 삽입공 220; 지지원판
230; 고정구 231; 상단지지구
232; 단턱 233; 하단지지구
234; 간격지지구 300; 낙수유도부
310; 상단커버체 320; 이격고정구
330; 노즐 340; 하단커버체
341; 낙수공 342; 주연부단턱
400; 포트 410; 쿠션부재
420; 뿌리보호관 500; 모터펌프
510; 호스 600; 낙수저장부
610; 저장용기 611; 저장홈
620; 가이드관 630; 상단돌출부
631; 낙수절개공 640; 안착지지구
650; 구획판 651; 저장부단턱

Claims (3)

  1.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통공 되어 식재된 포트(4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삽입구(110)가 다수 이격 구성되는 수경재배부(100)와,
    상기 수경재배부(100) 하단을 고정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상기 수경재배부(100) 상단측으로 공급하는 모터펌프(500)를 수용하는 받침부(200)와,
    상기 수경재배부(100) 상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받침부(200)에 수용되는 물을 모터펌프(500)에 의해 호스(510)로 공급받아 상기 수경재배부(100) 상단에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유도부(300)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실내용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부(100)는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며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고 외주면으로 통공되는 다수의 포트삽입구(110)가 경사지게 천공되며 배열 배치되며, 상기 포트삽입구(110)는 수경재배부(100)의 외주면을 원형상으로 천공한 상태에서 열성형을 가하여, 수경재배부(100) 외표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며 함몰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포트삽입구(110)의 단부측은 수경재배부(100)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수경재배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20)에 의해 하단이 안착 지지가 되는 것으로, 수경재배부(100)의 내측에 다단으로 구비하여 상단에서 자유낙하하는 물을 받아 저장한 후 일정량이 초과하면 하단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저장부(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창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저장부(600)는 상단에서 낙수 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저장홈(611)을 갖는 저장용기(610)의 내측으로 모터펌프(500)에서 공급하는 물을 상단으로 유도하는 호스(510)가 관통 가이드 되는 가이드관(6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610) 상단 외측으로 상단돌출부(6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단돌출부(630)는 저장홈(611)에 물이 일정량 초과되면 하단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절개공(63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저장부(600)는 수경재배부(100)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20)에 저면이 안착 되는 안착지지구(6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지지구(640)의 내측으로 모터펌프(500)에서 공급하는 물을 상단으로 유도하는 호스(510)가 관통 가이드 되는 가이드관(6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지지구(640)의 상단에는 구획판(650)과 저장부단턱(651)을 구비하여 저장홈(61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지지구(640)의 상단 외측으로는 상단돌출부(6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단돌출부(630)는 저장홈(611)에 물이 일정량 초과되면 하단으로 자유낙하 되도록 유도하는 낙수절개공(63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20130019988A 2013-02-25 2013-02-25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36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88A KR101369732B1 (ko) 2013-02-25 2013-02-25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88A KR101369732B1 (ko) 2013-02-25 2013-02-25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732B1 true KR101369732B1 (ko) 2014-03-06

Family

ID=5064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988A KR101369732B1 (ko) 2013-02-25 2013-02-25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928A (ko) * 2019-05-10 2020-11-18 김태균 다층구조를 갖는 타워형 화분
KR20220145571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앤더블유 쇼케이스형 타워조립식 수경재배장치
KR102602737B1 (ko) 2022-12-05 2023-11-16 주식회사알가팜텍 캐비닛형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7857U (ko) * 1989-04-19 1990-11-16
KR930005291Y1 (ko) * 1991-01-05 1993-08-13 이인돈 가정용 입체 무배지 수경재배 장치
KR19990001509A (ko) * 1997-06-16 1999-01-15 이성규 식물의 재배장치
JP2009065926A (ja) * 2007-09-14 2009-04-02 Motoko Shigemori 縦型養液栽培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根菜類育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7857U (ko) * 1989-04-19 1990-11-16
KR930005291Y1 (ko) * 1991-01-05 1993-08-13 이인돈 가정용 입체 무배지 수경재배 장치
KR19990001509A (ko) * 1997-06-16 1999-01-15 이성규 식물의 재배장치
JP2009065926A (ja) * 2007-09-14 2009-04-02 Motoko Shigemori 縦型養液栽培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根菜類育成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928A (ko) * 2019-05-10 2020-11-18 김태균 다층구조를 갖는 타워형 화분
KR102221001B1 (ko) 2019-05-10 2021-02-26 김태균 다층구조를 갖는 타워형 화분
KR20220145571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앤더블유 쇼케이스형 타워조립식 수경재배장치
KR102602737B1 (ko) 2022-12-05 2023-11-16 주식회사알가팜텍 캐비닛형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684B1 (ko)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CA2473590A1 (en) Seed germination and plant supporting utility
US20200093082A1 (en) Nutrient Caps for Vertical Growing System
KR101187429B1 (ko) 다층 회전식 수경재배시스템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101079974B1 (ko) 액자형 벽걸이 화분
KR101369732B1 (ko)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1780235B1 (ko) 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
KR101499320B1 (ko) 펌프가 불필요한 수직식 수경재배기
US8499493B2 (en) Sprout cultivation device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1408995B1 (ko) 식물 재배용기
KR20130052118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1659908B1 (ko)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20110114778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1232643B1 (ko) 수경 재배장치
KR100653373B1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US20060016126A1 (en) Peripheral planting system
KR20170057996A (ko)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KR200450678Y1 (ko) 회전식 다단 재배장치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