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61B1 -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 Google Patents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61B1
KR101369461B1 KR1020110030593A KR20110030593A KR101369461B1 KR 101369461 B1 KR101369461 B1 KR 101369461B1 KR 1020110030593 A KR1020110030593 A KR 1020110030593A KR 20110030593 A KR20110030593 A KR 20110030593A KR 101369461 B1 KR101369461 B1 KR 10136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late
row
side plat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1263A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ublication of KR2011011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2열 배치를 통하여 착석한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 및 착석한 이용자와 출입하는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을 전방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개인공간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한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2측면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의 2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reate a personal space capable of achieving omni-directional blocking between the seated user and the seated user and the entering and exiting user through the continuous two-row arrangement,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To provide an inexpensive "reading desk unit". "Reading room desk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ide plates are installed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spaced apart;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footstoo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plate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The width of the plat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is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Description

독서실용 책상 유닛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본 발명은 독서실용 책상 유닛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및 그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and its arrangement.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독서실은 다수의 이용자에게 학습 또는 독서를 위한 개인공간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개인공간은 일반적으로 독서실용 책상에 의하여 형성된다. As is well known, a reading room is a facility that provides a large number of users with a personal space for learning or reading. Such a personal space is generally formed by a desk for a reading room.

독서실에는 필연적으로 다수의 이용자들이 출입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공간은, 착석한 이용자의 집중력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착석한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 및 착석한 이용자와 출입하는 이용자 간의 시선차단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Inevitably, a large number of users enter and exit the reading room. Therefore, the personal space provided to the user should be formed so as to easily block the gaze between the seated users and the gaze between the seated users and the accessing users in order not to impair the concentration of the seated users.

이러한 개인공간의 효과적인 형성을 위하여, 독서실 사업자는 독서실용 책상의 다양한 구조 및 배치를 시도해 왔다. In order to effectively form such a personal space, a reading room operator has attempted various structures and arrangements of a reading room desk.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10991호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제1단위 책상과 제2단위 책상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인접한 학습자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서로 간섭을 일으킴이 없이 학습효과가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독서실용 책상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의 경우에는, 착석한 이용자가 후방에서 출입하는 이용자의 시선을 느끼게 되므로, 착석한 이용자는 안정감을 잃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인공간은 출입하는 이용자의 시선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착석한 이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밖에 없다.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10991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unit desk and a second unit desk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 partition wall therebetween, so that the learners are not shown because they are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Discloses a reading room desk configured to enhance learning effect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reading room desk, the seated user feels the gaze of the user coming in and out of the rear, so that the seated user loses the sense of st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personal space formed by the desk for the reading room is exposed to the eyes of the user who enters and exits, the privacy of the seated user may be infringed.

다른 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0449327호는, 서로 직교하여 십자형을 이루게 결합된 다수의 기본판과, 상기 각 기본판의 각 가장자리에서 직교하여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과 함께 불교 사찰을 표시하는 마크를 이루는 4개의 측면판을 구비하되, 상기 기본판과 측면판에 의해 각각의 출입구를 가지도록 형성된 4개의 공간 내측에는 상기 기본판의 면에서 출입구를 향하여 책상판이 돌출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의 경우에도 역시, 착석한 이용자가 후방에서 출입하는 이용자의 시선을 느끼게 되므로, 착석한 이용자는 안정감을 잃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인공간 역시 출입하는 이용자의 시선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착석한 이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밖에 없다.For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449327 has a plurality of base plates joined to form a cross shap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re join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orthogonally at each edge of each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Together with four side plates forming a mark for displaying Buddhist temples, the interior of the four spaces formed to have respective entrances by the base plate and the side plate, the desk plate protrudes toward the entrance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Disclosed is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However, even in the case of such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the seated user loses a sense of stability because the seated user feels the gaze of the user coming in and out of the rear. In addition, since the personal space formed by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is also exposed to the eyes of the user who enters and exits, the privacy of the seated user may be infringed.

또 다른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840호는, 수용함과 책을 받치는 상판이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부착되어 지지기능을 하는 판상인 측면판으로 구성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일측 측면판이 개인실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일측 측면판의 전방 내측면에 다른 독서실용 책상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바가 일측 종단면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 측면판은 전방으로 일측 측면판 보다 짧게 연장되어 구성되고, 후방으로 다른 독서실용 책상의 바에 대응되도록 본체를 지나서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 측면판의 후방에 바의 종단면에 나사못을 체결할 수 있도록 홀이 천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일측 측면판의 전방 종단면에서 상대측 측면판의 전방종단면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는 본체의 후방종단면에서 도어의 후방 종단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의 연속적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개인공간은, 착석한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 및 착석한 이용자와 출입하는 이용자 간의 시선차단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8840 is provided in a desk composed of a main body consisting of a container and a top plate supporting a book, and a side plate which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has a plate-like support function. ; The one side side plate is configured to extend forward to secure the private room, the front side of the one side side plat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other reading room desk, one side end surface is configured, the counter side side plate Is configured to extend shorter than the side of the side plate to the front, and extends past the main body to correspond to the bar of the other reading room desk to the rear, and the hole to fasten the screw to the end surface of the bar at the rear of the mating side plate Disclosed is a desk for a reading roo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erforated, the dist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rom the front longitudinal section of the one side side plate to the front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ating side plate is the same as the distance from the rear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oor It was. The personal space formed by the continuous arrangement of the desk for the reading room can be easily achieved by blocking the gaze between the seated users and the gaze between the seated users and the accessing users.

독서실 사업자가 고려해야만 하는 또 다른 사항은 개인공간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의 최소화이다. 즉, 개인공간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독서실 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 더 많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Another consideration for reading room operators is minimizing the cost of providing personal spa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required to form a personal space. There is also a need to create more personal space in the limited space in the reading room.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어서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작에 필요한 판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더 많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키는 데 있어서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In order to reduce the cost for the production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amount of plate material necessary for the manufacture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In order to create more personal space, it is advantageous to arrange the reading desk desk units in two rows in succession.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840호에 개시된 독서실용 책상을 2열로 연속 배치하는 경우, 개인실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측 측면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벽면은, 서로 맞닿는 2열의 배치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중복된다. 이러한 중복되는 측면판의 사용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continuously arranging the reading room desk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38840 in two rows, the wall surfaces formed by one side plate extending forward to allow the securement of the private room are mutually different. It overlaps in construct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wo rows which abut. The use of such overlapping side plates raises the cost of manufacturing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necessary to form a personal space.

또한, 앞에서 언급한 등록특허공보 제10-0449327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840호에 개시된 독서실용 책상 유닛은 2열 연속 배치에 부적합하다.In addition, the desk units for reading room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10-0449327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8840 are unsuitable for two-row continuous arrangement.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2열 배치를 통하여 착석한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 및 착석한 이용자와 출입하는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을 전방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개인공간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한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reate a personal space capable of achieving omni-directional blocking between the seated user and the seated user and the entering and exiting user through the continuous two-row arrangement,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To provide an inexpensive "reading desk uni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2열 배치를 통하여 착석한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 및 착석한 이용자와 출입하는 이용자 간의 시선 차단을 전방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개인공간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속된 2열 배치에 사용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a personal space capable of achieving omni-directional blocking between the seated user and the seated user and the accessing user through a continuous two-row arrangement. To provide a " reading room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ading room desk unit used in the continuous two-row arrangemen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은,"Reading room desk uni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에 있어서,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caffol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며,The first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 ,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2측면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의 2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is less than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독서실용 책상 유닛이다.
It is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다른 구현예는, 제2측면판의 후단 또는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1태양은,The first aspect of the "reading unit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다수의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하기 위한 배치구조로서,As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continuously arranging the plurality of desk units for reading roo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wo rows,

제1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1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고,In constructing the first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sk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row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제2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상기 제1열의 방향과 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2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며,In configuring the second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the desk units constituting the second row are substantially straight. To be placed in the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직선상의 격벽을 이루도록 하는,Wherein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straight partition wall,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이다.
It is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2태양은, The second aspect of the "reading unit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하기 위한 배치구조에 있어서,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caffol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고,The first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that abuts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

제1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1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고,In configuring the first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sk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row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제2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상기 제1열의 방향과 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2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며,In forming the second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the desk units constituting the second row are placed in a straight line. To be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격벽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의 전단부와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의 전단부가 겹쳐지도록 하는,The first side plate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substantially one continuous partition wall,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To overlap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이다.
It is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3태양은,The third aspect of the "reading unit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하기 위한 배치구조에 있어서,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caffol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고,The first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that abuts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

제1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1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고,In constructing the first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sk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row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제2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상기 제1열의 방향과 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2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며,In configuring the second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the desk units constituting the second row are substantially straight. To be placed in the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직선상의 격벽을 이루도록 하는,Wherein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straight partition wall,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이다.
It is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2태양 및 제3태양에서도, 제2측면판의 후단 또는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Also in the second and third aspects of the "reading room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ding room desk unit further comprising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can be used.

본 발명의 책상 유닛은, 본 발명의 배치구조에 따라 2열로 연속배치되므로써, 타열의 인접 타유닛의 제1측면판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 및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시선이 실질적으로 차단되는 개인공간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개인공간의 형성에 필요한 책상 유닛의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책상 유닛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2열 연속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제1열과 제2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1열과 제2열 사이의 통로가 생략된다. 즉, 독서실 내부 공간 중 통로가 차지하는 비중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독서실 공간에 더욱 많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The desk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two rows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number of plat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plate of the adjacent other units in the other row and the back plates of the adjacent other units in the same row Without using a plate, it is possible to form a very effective personal space in which eyes in all directions, front, rear, left and right are substantially blocke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sk uni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 spa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Further, in the two-column continuous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desk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by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s omitt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portion of the passagewa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reading room, and thus it is possible to form more personal spaces in the same reading room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1태양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측면판의 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2태양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2태양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sk unit for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desk unit for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한 쌍의 측면판(10, 20)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후면판(30)은 측면판(10, 20)의 후방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후면판(30)의 좌측단은 측면판(10)의 후단과 접하고 있고, 후면판(30)의 우측단은 측면판(20)의 후단과 접하고 있다. The pair of side plates 10 and 20 are vertically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ar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ide plates 10 and 20. That is, the left end of the back plate 3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10, and the right end of the back plate 3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20.

책상판(40)은 측면판(10, 20)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책상판(40)의 좌측단은 측면판(10)과 접하고 있고, 책상판(40)의 우측단은 측면판(20)과 접하고 있으며, 책상판(40)의 후단은 후면판(30)과 접하고 있다. The desk plate 40 is horizontally provided between the side plates 10 and 20. The left end of the desk plate 4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late 10, the right end of the desk plate 4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late 20, and the rear end of the desk plate 4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plate 30.

또한, 수납함(50)이 책상판(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선반(60)은 수직위치상으로 책상판(40)과 수납함(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발판(70)은 책상판(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함(50), 선반(60) 및 발판(70)의 좌측단은 측면판(10)과 접하고 있고, 그들의 우측단은 측면판(20)과 접하고 있으며, 그들의 후단은 후면판(30)과 접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box 50 is provided on the desk plate 40. The shelf 60 is installed between the desk plate 40 and the storage box 50 in the vertical position. The footrest 7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desk plate 40. The left ends of the storage box 50, the shelf 60, and the footrest 70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plate 10, and the right end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plate 20, and their rear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back plate 30. have.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측면판(10)은, 도 1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할 때 제1열과 제2열을 구분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2측면판(20)은, 도 1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할 때, 제1열과 제2열 전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통로와 접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제1측면판(10)을 좌측에 배치하고 제2측면판(20)을 우측에 배치하고 있으나, 제1측면판(10)을 우측에 배치하고 제2측면판(20)을 좌측에 배치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에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측면판이 제1측면판으로서 기능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큰 측면판이 제2측면판으로서 기능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ide plate 10 serves to form a partition that separates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when the reading desk desk units of FIG. 1 are arranged in two rows. The second side plate 20 comes into contact with passa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when the reading desk desk units of FIG. 1 are arranged in two rows. (In FIG. 1, the first side plate 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side plate 2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but the first side plate 1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second side plate 20 is dis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ly small side plate functions as the first side plate and a relatively wide side plate functions as the second side plate regardless of the position.

제1측면판(10)의 폭(A)은 제2측면판의 폭(B)보다 작다. 또한, 제2측면판의 폭(B)은 제1측면판(10)의 폭(A)의 2배보다 작다. 이때, 2A-B의 값은 이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의 폭으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2A-B의 값은 약 20 cm 내지 약 100 cm 일 수 있다.
The width A of the first side plate 10 is smaller than the width B of the second side plate. In addition, the width B of the second side plate is smaller than twice the width A of the first side plate 10. At this time, the value of 2A-B is provided as the width of the doorway for the user's entrance and exit. For example, the value of 2A-B can be about 20 cm to about 100 cm.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1태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1태양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의 배치구조에서는, 도 1의 책상 유닛의 다수개를 2열로 연속배치하고 있다. 도 2에서는, 도 1의 수납함(50), 선반(60) 및 발판(70)의 표시가 생략되어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the 1st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reading rooms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rangement of Fig. 2, a plurality of desk units of Fig. 1 are arranged in two rows in succession. In FIG. 2, the display of the storage box 50, the shelf 60, and the footrest 70 of FIG. 1 is abbreviate | omitted.

제1열에 있어서, 다수개의 책상 유닛이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되어 있다. 즉,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은 모두, 후면판(30)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 사이의 간격은, 제1측면판(10)의 폭(도 1의 A) 만큼,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 역시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In the first row, a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re all arranged such that the back plate 30 faces downward.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side plates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is kept constant by the width (A in FIG. 1) of the first side plates 10.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re plac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ccordingly, the first side plates 10 of the first row of desk units facing each other with the second side plates 2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re also substantially aligned.

제2열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책상 유닛이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은 모두, 후면판(30')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연속배치 방향은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연속배치 방향의 역방향이다.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 사이의 간격은, 제1측면판(10')의 폭(도 1의 A) 만큼,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 역시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Also in the second row, a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re all arranged such that the rear plate 30 'faces upward. Therefore, the continuous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is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side plates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is kept constant by the width (A in FIG. 1) of the first side plates 10'.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re plac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ccordingly,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plate 2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re also substantially aligned.

또한,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직선상의 격벽을 이루고 있다. 즉, 제1측면판(10')의 폭(도 1의 A) 만큼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들의 사이사이에,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들이 삽입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과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은, 제1열과 제2열을 구분하는, 하나의 연속된 격벽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straight partition. That is, between the first side plates 10 of the first row of desk units that are spaced by the width (A in FIG. 1) of the first side plate 10 ′, One side plate 1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 10 ′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form a continuous partition wall that separates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Done.

이러한 방식으로 도 1의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함에 따라, 각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 10')은 제1열과 제2열을 구분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20, 20')은 제1열과 제2열 전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통로와 접하게 된다.In this manner, by continuously arranging the desk units of FIG. 1 in two rows, the first side plates 10 and 10 'of each desk unit serve to form a partition that separates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and 20 'of each desk unit come into contact with passa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s a whole.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개인공간(100)이 형성된다. 개인공간(100)의 좌변은 제1측면판(10')과 타열의 제1측면판(1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우변은 제2측면판(2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상변은 후면판(3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하변은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30')에 의하여 차단된다. 한편, 개인공간(100)의 우변 하단부에는, 2A-B 만큼의 폭을 갖는 출입구가 형성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personal spaces 100 are formed. The lef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first side plate 10 ′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other row. The righ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second side plate 20 '. The upper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rear plate (30 '). The lower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rear plate 30 'of other units adjacent to the same row.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an entrance having a width of 2A-B is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 유닛은, 본 발명의 배치구조에 따라 2열로 연속배치되므로써, 타열의 인접 타유닛의 제1측면판(10)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 및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30')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시선이 실질적으로 차단되는 개인공간(100)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개인공간의 형성에 필요한 책상 유닛의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sk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two rows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back plate of the same sheet material and other adjacent units in the same row as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other units adjacent to the other rows. Without using the plate material as much as the plate 30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a personal space 100 in which the eyes of all direction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ubstantially blocke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sk uni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 spa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나아가, 본 발명의 책상 유닛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2열 연속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제1열과 제2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1열과 제2열 사이의 통로가 생략된다. 즉, 독서실 내부 공간 중 통로가 차지하는 비중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독서실 공간에 더욱 많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the two-column continuous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desk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by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s omitt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portion of the passagewa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reading room, and thus it is possible to form more personal spaces in the same reading room space.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다른 구현예는, 제2측면판의 후단 또는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2측면판의 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어(80)가 힌지(85)에 의하여 제2측면판(20)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다. 도어(80)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개인공간(100)의 우변 하단부의 출입구를 통한 시선의 유입/유출 마저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도어(80)는 2A-B 만큼의 폭을 가지면 충분하다. 한편, 도어(80)의 기능은 출입구를 통한 시선의 유입/유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위한 것이므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어(80)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힌지(85)는, 도어(80)가 도 2의 개인공간(100)의 내부로 열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면, 도어(80)가 도 2의 개인공간(100)의 외부로 열렸을 때,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1열과 제2열 전체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통로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sk unit for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In FIG. 3, the door 8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20 by a hinge 85. The door 80 functions to block even the inflow / outflow of the gaze through the doorway of the lower righ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shown in FIG. 2. Therefore, it is sufficient that the door 80 has a width of 2A-B.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unction of the door 80 is for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inflow / outflow of the eye through the doorway, as shown in Figure 3, the lower end of the door 80 may be open. On the other hand, the hinge 85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door 80 is opened to the interior of the personal space 100 of FIG. Thus, when the door 80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of FIG. 2,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passa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ows shown in FIG. 2 are blocked.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2태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2태양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2nd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reading rooms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배치구조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10, 20);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30);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40);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미도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미도시),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미도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이 사용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는 측면판을 제1측면판(10)이라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는 측면판을 제2측면판(20)이라한다.In the arrangement of Figure 4, a pair of side plates (10, 20) are installed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spaced apart; A rear plate 3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40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not shown) installed above the desk plate, a shelf (not shown) installed above the desk plate, a footrest (not shown) installed below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Many reading room desk units are used. The side plate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wo rows of the pair of side plates are called the first side plates 10. Among the pair of side plates, the side plates positioned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passageway in two rows of continuous plates are referred to as second side plates 20.

도 4의 배치구조에 사용되고 있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에 있어서는, 제1측면판(10)의 폭이 제2측면판(20)의 폭보다 반드시 작을 필요는 없다. 즉, 제1측면판(10)의 폭과 제2측면판(20)의 폭이 같을 수도 있고, 제1측면판(10)의 폭이 제2측면판(20)의 폭 보다 클 수도 있다. 물론, 제1측면판(10)의 폭이 제2측면판(20)의 폭 보다 작을 수도 있다.In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used in the arrangement of FIG. 4,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10 is not necessari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20. That is,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20 may be the same, and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1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20. Of course,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1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20.

도 4의 제1열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책상 유닛이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되어 있다. 즉,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은 모두, 후면판(30)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 역시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Also in the first row of Fig. 4, a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re all arranged such that the back plate 30 faces downward.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re plac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ccordingly, the first side plates 10 of the first row of desk units facing each other with the second side plates 2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re also substantially aligned.

도 4의 제2열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책상 유닛이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은 모두, 후면판(30')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연속배치 방향은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연속배치 방향의 역방향이다. 또한,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2측면판(20')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2열의 책상 유닛들의 제1측면판(10') 역시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다.Also in the 2nd column of FIG. 4, many desk units are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re all arranged such that the rear plate 30 'faces upward. Therefore, the continuous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is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re plac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ccordingly,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plate 2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re also substantially aligned.

다만, 도 4의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와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가 겹쳐져 있다. 제1측면판(10, 10')의 전단부라 함은, 제1측면판(10, 10')의 폭방향의 양 말단 중, 후면판(30, 30')에 접하는 말단(즉, 후단)의 반대쪽 말단부를 의미한다.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와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가 겹쳐지도록 함에 있어서,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의 내면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의 내면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내면'이라 함은 책상판(40)과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후단이 제2열의 책상 유닛의 후면판(30')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비록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이 정확히 동일선상에 놓여지지는 않지만,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은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격벽을 이루게 된다. However,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FIG. 4,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overlap.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side plates 10 and 10 'are the ends (that is, the rear ends) of the first side plates 10 and 10'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rear plates 30 and 30 'in the width direction. Means the opposit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first row of desk units and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overlap so that the first side plate of the first row of desk units (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erm 'inner surface' means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esk plate 40.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plate 30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With this arrangement,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re not exactly in line, but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The first side plate 10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partition wall.

도 4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점은,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와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가 겹쳐지는 부분(화살표 1로 표시되어 있음),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후단이 제2열의 책상 유닛의 후면판(30')에 맞닿는 부분(화살표 2로 표시되어 있음) 등에, 예를 들면, 볼트-너트 또는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을 적용하여, 제1열의 책상 유닛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을 매우 간단하게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역으로, 볼트-너트 또는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을 단순히 해제하기만 하면 되므로, 서로 고정되어 있는 제1열의 책상 유닛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을 해체하는 것 역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Particularly useful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FIG. 4 is a portion w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overlap ( (Indicated by arrow 1), a portion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is in contact with the rear plate 30 'of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indicated by arrow 2), for example. For example, by apply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nuts or screws, it is possible to fix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very simply. On the contrary,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release the fastening means such as the bolt-nut or the screw, it is also very easy to dismantle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which are fixed to each other.

도 4의 배치구조에 있어서도, 각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 10')은 제1열과 제2열을 구분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20, 20')은 제1열과 제2열 전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통로와 접하게 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개인공간(100)이 형성된다. 개인공간(100)의 좌변은 제1측면판(10')과 타열의 제1측면판(1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우변은 제2측면판(2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상변은 후면판(3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하변은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30')에 의하여 차단된다. 도 4의 배치구조 역시, 책상 유닛이 2열로 연속배치되므로써, 타열의 인접 타유닛의 제1측면판(10)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 및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30')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시선이 실질적으로 차단되는 개인공간(100)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개인공간의 형성에 필요한 책상 유닛의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열과 제2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있으므로, 제1열과 제2열 사이의 통로가 생략된다. 즉, 독서실 내부 공간 중 통로가 차지하는 비중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독서실 공간에 더욱 많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Also in the arrangement of FIG. 4, the first side plates 10 and 10 ′ of each desk unit serve to form partition walls that separate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and 20 'of each desk unit come into contact with passa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s a whol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personal spaces 100 are formed. The lef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first side plate 10 ′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other row. The righ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second side plate 20 '. The upper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rear plate (30 '). The lower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rear plate 30 'of other units adjacent to the same row. The arrangement of FIG. 4 also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plat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oth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ack plate 30 'of the other unit adjacent to the same row as the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wo rows. Without using a board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form a very effective personal space 100 is substantially blocked eyes in all directions.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sk uni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 spa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Furthermore, since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s omitt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portion of the passagewa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reading room, and thus to create more personal spaces in the same reading room spac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2태양의 다른 구현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의 제2태양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other embodiment of the 2nd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reading rooms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aspect of the arrangement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도 4의 배치구조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책상 유닛을 사용하되,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와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가 겹쳐지도록 함에 있어서,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의 외면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의 외면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외면'이라 함은, 책상판(40)과 접하는 면(즉, '내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한다. 또한,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후단부의 외면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후단부의 외면이 겹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비록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이 정확히 동일선상에 놓여지지는 않지만,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은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격벽을 이루게 된다. In the arrangement of Fig. 5, the same desk units as those used in the arrangement of Fig. 4 are used, bu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of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In superimposing the front ends of the plates 10 ',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first row of desk unit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It is supposed to be in contact. In this case, the term 'outer surface' mean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esk plate 40.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re overlapped. With this arrangement,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re not exactly in line, but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The first side plate 10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partition wall.

도 5의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와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전단부가 겹쳐지는 부분(화살표 1로 표시되어 있음),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후단부의 외면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의 후단부의 외면이 겹쳐지는 부분(화살표 3으로 표시되어 있음) 등에, 예를 들면, 볼트-너트 또는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을 적용하여, 제1열의 책상 유닛과 제2열의 책상 유닛을 매우 간단하게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FIG. 5, the portion w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overlap (indicated by arrow 1).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second row of desk units (indicated by arrow 3) Etc., for example, by apply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nuts or screws, the desk units in the first row and the desk units in the second row can be fixed very simply to each other.

도 5의 배치구조에 있어서도, 각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10, 10')은 제1열과 제2열을 구분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20, 20')은 제1열과 제2열 전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통로와 접하게 된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개인공간(100)이 형성된다. 개인공간(100)의 좌변은 제1측면판(10')과 타열의 제1측면판(1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우변은 제2측면판(2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상변은 후면판(30')에 의하여 차단된다. 개인공간(100)의 하변은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30')에 의하여 차단된다. 도 5의 배치구조 역시, 책상 유닛이 2열로 연속배치되므로써, 타열의 인접 타유닛의 제1측면판(10)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 및 동열의 인접 타유닛의 후면판(30')에 해당하는 만큼의 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시선이 실질적으로 차단되는 개인공간(100)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개인공간의 형성에 필요한 책상 유닛의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열과 제2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있으므로, 제1열과 제2열 사이의 통로가 생략된다. 즉, 독서실 내부 공간 중 통로가 차지하는 비중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독서실 공간에 더욱 많은 개인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Also in the arrangement of FIG. 5, the first side plates 10 and 10 ′ of each desk unit serve to form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s 20 and 20 'of each desk unit come into contact with passa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s a whol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personal spaces 100 are formed. The lef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first side plate 10 ′ and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other row. The right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second side plate 20 '. The upper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rear plate (30 '). The lower side of the personal space 100 is blocked by the rear plate 30 'of other units adjacent to the same row. The arrangement of FIG. 5 also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plat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plate 10 of the other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ack plate 30 'of the other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row because the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wo rows. Without using a board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form a very effective personal space 100 is substantially blocked eyes in all directions.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sk uni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 spa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Furthermore, since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is omitt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portion of the passagewa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reading room, and thus it is possible to form more personal spaces in the same reading room space.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3태양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1태양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3태양에 있어서는, 제1측면판의 폭과 제2측면판의 폭이 같을 수도 있고, 제1측면판의 폭이 제2측면판의 폭 보다 클 수도 있다.
A third aspect of the "reading room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ide plates are installed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apart;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caffol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e first aspect of the "reading room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third aspect of the "reading room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may be the same, and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is equal to that of the second side plate. It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본 발명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 배치구조"의 제2태양 및 제3태양에서도, 제2측면판의 후단 또는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각 열을 구성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의 후단과, 동열에서 그에 인접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의 전단의 거리 만큼의 폭을 가지면 충분하다.Also in the second and third aspects of the "reading room desk uni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ding room desk unit further comprising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can be used. It is sufficient for the door to have a width equal to the distanc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constituting each row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row.

10, 10' ----- 제1측면판; 20, 20' ----- 제2측면판; 30, 30' ----- 후면판; 40 ----- 책상판; 50 ----- 수납함; 60 ----- 선반; 70 ----- 발판; 80 ----- 도어; 100 ----- 개인공간10, 10 '----- first side plate; 20, 20 '----- second side plate; 30, 30 '----- backplane; 40 ----- desk plate; 50 ----- box; 60 ----- shelf; 70 ----- scaffolding; 80 ----- door; 100 ----- Personal space

Claims (6)

삭제delete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2측면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의 2배 보다 작으며,
상기 독서실용 책상 유닛은 상기 제2측면판의 후단 또는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
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sk plate, a footrest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 ,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is less than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The desk unit for the reading room further comprises a door hinged to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Desk unit for reading room.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2측면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측면판의 폭은 상기 제1측면판의 폭의 2배 보다 작은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하기 위한 배치구조로서,
제1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1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제2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상기 제1열의 방향과 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2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직선상의 격벽을 이루도록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
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footstoo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Among the pair of side plates, the first side plate is located on the side that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s.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late is less than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late as a layout structure for arranging the reading unit desk unit in two rows,
In constructing the first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sk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row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In configuring the second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the desk units constituting the second row are substantially straight. To be placed in the
Wherein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straight partition wall,
Arrangement structure of desk unit for reading room.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하기 위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고,
제1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1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제2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상기 제1열의 방향과 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2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격벽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의 전단부와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의 전단부가 겹쳐지도록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
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caffol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The first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that abuts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
In configuring the first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sk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row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forming the second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the desk units constituting the second row are placed in a straight line. To be
The first side plate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substantially one continuous partition wall,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To overlap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rrangement structure of desk unit for reading room.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후방에 연결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책상판; 및 선택적으로,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함, 상기 책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독서실용 책상 유닛을 2열로 연속배치하기 위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1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제2측면판은 2열 연속 배치시에 통로에 접하는 쪽에 위치하고,
제1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같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1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제2열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을 상기 제1열의 방향과 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배치하되, 제2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책상 유닛의 제2측면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1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열의 책상 유닛의 제1측면판이 서로 교번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직선상의 격벽을 이루도록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
A pair of side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desk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optionally, a storage box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helf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plate, a scaffol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p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The first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which forms the partition wall in two rows of continuous arrangemen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s located on the side that abuts the passageway in the two rows of continuous plate,
In constructing the first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sk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row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In configuring the second row, the plurality of desk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s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the desk units constituting the second row are substantially straight. To be placed in the
Wherein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plates of the desk units of the second row altern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straight partition wall,
Arrangement structure of desk unit for reading room.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실용 책상 유닛이 상기 제2측면판의 후단 또는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 유닛의 배치구조.6. The layout structure of a reading room desk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ading room desk unit further comprises a door hinged to a rear end or a front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7. .
KR1020110030593A 2010-04-02 2011-04-04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KR1013694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0624 2010-04-02
KR1020100030624 2010-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263A KR20110111263A (en) 2011-10-10
KR101369461B1 true KR101369461B1 (en) 2014-03-06

Family

ID=4502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593A KR101369461B1 (en) 2010-04-02 2011-04-04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7911A (en) * 2012-11-13 2013-02-06 张旭丰 Multifunctional desk
KR200492758Y1 (en) * 2018-11-06 2020-12-04 김래영 Desk arrangement structure of reading room
KR102167699B1 (en) * 2019-04-04 2020-10-19 이충인 Desk type furniture with individual storage sp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44Y1 (en) * 1990-03-10 1992-10-08 김성기 Reading room desk
KR19990010991U (en) * 1997-08-30 1999-03-25 이규남 Reading room desk
KR200276538Y1 (en) * 2002-03-08 2002-05-24 임성진 Edge protector of foodhold on desk for reading ro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44Y1 (en) * 1990-03-10 1992-10-08 김성기 Reading room desk
KR19990010991U (en) * 1997-08-30 1999-03-25 이규남 Reading room desk
KR200276538Y1 (en) * 2002-03-08 2002-05-24 임성진 Edge protector of foodhold on desk for reading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263A (en)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5373A (en) Modular flooring system
US20070271856A1 (en) Workspace dividing system with integrated viewing portal
KR101369461B1 (en)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US20080016804A1 (en) Workspace dividing system with integrated seating system
KR20240063734A (en) Lower part cover plate of bulkhead of public toilet
JP2004360171A (en) Office configuration facility
JP4899996B2 (en) Upper cabinet device at desk
JP4216771B2 (en) building
JP6254555B2 (en) Indoor building
JP4911465B2 (en) Table system
KR100929009B1 (en) Block type partition with height and width control
JP3187878U (en) Bulkhead unit
JP6976055B2 (en) Product display unit
KR200492758Y1 (en) Desk arrangement structure of reading room
JP5150005B1 (en) Building material coordination confirmation tool
KR100449327B1 (en)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JP3228861U (en) Partition panel set and partition structure
WO2024084822A1 (en) Spatial structure
JP7122100B2 (en) Moving partition device
BE1017256A3 (en) Modular cupboard and its corresponding support profile involve lower and upper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support profiles which offer support for intermediate panels
JP2022072207A (en) Partition device and partition device group
KR20190063299A (en) Display module and assembly thereof
JP2022039160A (en) Shield partition
JP3181947U (en) Assembled inner house
JP6220230B2 (en) Panel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