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503B1 -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 Google Patents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503B1
KR101368503B1 KR1020120132622A KR20120132622A KR101368503B1 KR 101368503 B1 KR101368503 B1 KR 101368503B1 KR 1020120132622 A KR1020120132622 A KR 1020120132622A KR 20120132622 A KR20120132622 A KR 20120132622A KR 101368503 B1 KR101368503 B1 KR 10136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olf club
cleaning module
shoes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한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60Cleaning or maintenance of golf clubs, putters, shoes or other golf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63B2209/026Ratio fibres-tot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은 세척부와 고정부를 포함한다. 세척부는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하며, 직물 또는 종이로 형성된다. 세척부가 직물로 형성되는 경우 기모가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오염 물질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세척부는 복수장의 직물 또는 종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층으로의 오염 물질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직물이나 종이의 뒷면이 비닐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고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세척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세척부를 골프 슈즈에 고정시킨다. 고정부는 후크로 형성되어 골프 슈즈의 조임홀에 고정되거나, 고무끈으로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은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골프 슈즈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일 필요 없이 서 있거나 걷는 중에도 골프채 헤드를 세척할 수 있어 경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Cleaning module for golf club and golf shoes using it}
본 발명은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슈즈에 고정되어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세척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세척부를 골프 슈즈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많아졌으며, 실내 골프장이나 실외 골프장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실내 골프장은 주로 연습을 위해 많이 이용하며, 어느 정도의 실력을 갖춘 골프 이용자는 실외 골프장에서 경기를 하게 된다. 실외 골프장은 넓은 코스에 숲이나 연못, 모래 구덩이 등이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골프 이용자는 코스를 이동하며 코스에 형성된 홀에 골프공을 넣어 승부를 겨룬다.
골프 이용자는 개인의 경력이나 실력에 따라 다양한 골프채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골프채는 샤프트, 그립, 헤드로 구성된다. 샤프트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일단에 골프 이용자가 골프채를 잡을 수 있도록 그립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부분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추고 있다. 헤드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과 지면과 마찰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데, 골프공의 타격을 좋게 하기 위해서 헤드에는 복수의 홈 또는 돌출부 등이 형성된다.
골프 사용자가 실내 골프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골프채가 오염되는 일이 많지 않으나, 실외 골프장의 경우에는 흙이나 모래, 물 등이 헤드의 타격면에 묻게 된다. 헤드에 이러한 이물질이 묻으면, 스윙시 골프공이 미끄러지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공을 날리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며, 헤드의 수명도 짧아지므로 헤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 골프 경기가 다 끝난 후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경기 중 직접 또는 제3자가 수건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 10-2008-0003481에는 골프채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경기가 다 끝난 후에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면, 골프채 헤드에 형성된 홈 등에 이물질이 박혀 잘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고, 진흙같은 경우 단단히 굳어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경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역시 경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골프채 헤드를 닦을 수건 등을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불편하다. 이에 경기 중에 간단하게 헤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면서도, 경기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3481호 (공개일: 2008.01.08)
본 발명의 목적은 경기 중에도 간편하게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할 수 있는 골프채 세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채 세척 모듈의 처리가 간편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골프채 세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은 세척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세척부는 골프 슈즈에 고정되며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한다. 고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세척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세척부를 골프 슈즈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에서 세척부는 하부에 플렉시블한 받침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은 골프 슈즈와 접하는 세척부의 뒷면이 벨크로(velcro)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에서 세척부는 복수 장의 직물 또는 종이를 구비하며, 복수 장의 직물 또는 종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은 직물 또는 종이의 뒷면이 비닐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에서 고정부는 후크로 형성되어 골프 슈즈에 형성된 조임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슈즈는 골프채 세척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은 골프 슈즈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골프채에 묻은 오염 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새 것으로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에서 세척부의 최상부의 직물이 제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이 골프 슈즈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 및 골프채 세척 모듈이 장착된 골프 슈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이 장착된 골프 슈즈를 이용하여 골프채 헤드를 세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100)은 세척부(110)와 고정부(120)를 구비한다. 세척부(110)는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하는 부분으로, 골프 슈즈의 상부에 장착된다. 세척부(110)는 면섬유, 모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든 직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면 직물을 기모 가공한 융, 코듀로이의 경우 두께감이 있고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직물 이외에도 두께감이 있고 흡수력이 좋은 펠트 등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제작 및 처리가 간편하도록 종이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세척부(110)가 종이로 제작되는 경우 종이가 물에 젖어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을 잘 흡수하면서도 잘 찢어지지 않고, 두께감이 있는 한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세척부(110)는 모 또는 아크릴 소재로, 까끌까끌한 상부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모 또는 아크릴 소재는 카페트의 일면처럼 길이감이 있는 기모 가공이 용이하며,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모 소재는 천연 소재이므로 제작 단가가 높아질 수 있는바,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에 있어서는 합성 섬유인 아크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페트의 일면처럼 형성된 직물 자체의 기모를 이용하여 골프채의 헤드를 문지르면 골프채 헤드에 형성된 홈이나 돌출부 사이에 끼인 오염 물질이 더 잘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세척부(110)는 직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직물은 그 형태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 물질의 원활한 세척을 위하여 세척부(110)의 하부에 플렉시블한 받침판(112)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112)은 1~2mm 두께의 고무 또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112)이 세척부(110)의 직물을 받쳐 줌으로써, 골프채 세척 모듈이 골프 슈즈에 안정된 형태로 고정되며,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할 때 세척부(110)가 밀리지 않고 오염 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골프 슈즈와 접하는 세척부(110)의 뒷면은 밸크로(velcro) 테이프(114)로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의 면에는 갈고리 형상의 섬유가 형성되어 있어, 골프 슈즈 표면의 섬유에 걸려 세척부(110)를 골프 슈즈에 더욱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세척부(110)를 골프 슈즈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 제거시 세척부(1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세척부(110)에 받침판(112)이 형성된 경우에는 받침판(112)의 뒷면에 벨크로 테이프(114)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10)의 단부에는 고정부(120)가 연결된다. 고정부(120)는 세척부(110)를 골프 슈즈에 고정시킨다. 세척부(110)의 단부에 고정부(120)의 연결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의 일단은 세척부(110)에 연결되며, 타단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골프 슈즈의 끈을 엮는 홀에 걸쳐진다. 편의상 골프 슈즈에 구비된 끈을 엮는 홀을 골프 슈즈의 조임홀이라고 한다. 골프 슈즈의 조임홀에 끈을 엮어 조임으로써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골프 슈즈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120)에 의해 골프채 세척 모듈(100)이 골프 슈즈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세척부(110) 상에서 고정부(120)가 연결된 홀이 형성된 간격은 골프 슈즈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골프 슈즈의 조임홀의 간격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고정부(120)가 각각 골프 슈즈의 조임홀에 걸쳐짐으로써, 세척부(110)가 골프 슈즈의 상부에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10)가 직물이나 종이로만 형성되는 경우 세척부(110)가 고정부(120)와 연결된 홀에 의해 찢어질 수 있으므로, 고정부(120)가 세척부(1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세척부(110) 상에서 고정부(120)와 연결되는 홀에 아일렛을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세척부(110)의 하부에 받침판(112)이 형성되는 경우, 받침판(112)에 고정부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에서 세척부의 최상부의 직물이 제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척부(110)는 한 장의 직물 또는 종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경기 중 많은 양의 오염 물질로 인하여 세척부(110)가 오염된 경우 새 것으로의 교환이 어렵다. 원활한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서는 경기 중 지속적으로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도, 세척부(110)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청결한 세척부로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복수 장의 직물 또는 종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10)는 복수 장의 직물 또는 종이가 적층되어 있으며, 골프채를 세척하고 오염이 된 최상부의 직물을 손으로 떼내어 제거할 수 있다. 최상층의 직물 또는 종이를 제거함으로써 세척부(110)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부(110)에 적층된 직물 또는 종이를 다 사용하면 적층된 형태의 직물이나 종이를 리필할 수 있다. 직물이나 종이의 적층은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부(110)가 골프채 헤드에 묻은 오염 물질을 세척할 때, 물 등이 묻는 경우 아래에 적층된 직물이나 종이에 물이 흡수되어 상부의 직물을 제거하더라도 아래의 직물이 오염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부(110)를 형성하는 직물의 뒷면을 기름종이 또는 비닐로 형성하여 물기가 다른 직물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세척부(110)가 종이로 형성되는 경우 뒷면이 비닐로 코팅되면 세척부(110)가 물에 젖더라도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물이나 종이의 뒷면에 기름 종이를 부착하거나 비닐 등을 코팅하여 적층함으로써 세척부(110)를 제조할 수 있다.
직물이나 종이가 적층된 세척부(110)에서 최상부의 직물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고정부(120)와 직물 등이 연결되는 부분과 직물 등의 가장자리 사이에 절취선이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받침판(112) 위에 복수 장의 직물이나 종이가 적층되는 경우, 직물이나 종이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직물 또는 종이에는 고정부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받침판(112)에만 고정부를 연결시켜 직물이나 종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이나 종이 상에서 고정부(120)와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부(120)와 분리되도록 라운딩 처리하여 최상부의 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세척부(110)의 뒷면, 즉 세척부(110)가 복수 장의 직물이나 종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직물이나 종이의 최하부층의 뒷면에 벨크로(velcro) 테이프(114)가 형성될 수 있다. 골프채 세척 모듈과 골프 슈즈가 접하는 부분이 벨크로 테이프(114)로 형성됨으로써, 골프체 세척 모듈이 골프 슈즈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세척부(110)의 최하부층이 받침판(112)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받침판(112)의 뒷면에 벨크로 테이프(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이 골프 슈즈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 및 골프채 세척 모듈이 장착된 골프 슈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채 세척 모듈(100)은 골프 슈즈의 조임홀에 고정될 수 있다.
골프 슈즈는 사용자가 골프 연습이나 경기시 착용하는 신발로서, 바닥면에는 잔디 등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스파이크 또는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골프 슈즈는 주로 끈으로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폭을 조절하며, 골프 슈즈의 끈을 엮기 위해 골프 슈즈 중앙에 2열로 배열된 홀(편의상 조임홀이라 함)이 구비된다. 2열로 배열된 조임홀에 골프 슈즈의 끈이 교차하여 통과함으로써 골프 슈즈의 폭이 조여진다. 고정부(120)는 이러한 골프 슈즈의 조임홀에 일단이 걸쳐지며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고정부(120) 중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120a, 120b)는 골프 슈즈(220)의 상부 조임홀에,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120c, 120d)는 골프 슈즈(220)의 하부 조임홀에 걸쳐져 고정된다. 4개의 고정부(120a, 120b, 120c, 120d)가 각각 골프 슈즈(220)의 조임홀에 걸쳐짐으로써 세척부(110)가 골프 슈즈(220)의 상면에 장착된다. 장착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골프채 세척 모듈(100)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오른쪽이나 왼쪽, 한 쪽 골프 슈즈에만 장착될 수도 있고, 골프 슈즈 양쪽에 모두 장착될 수도 있다. 골프채 세척 모듈은 골프 슈즈의 중앙에 고정되며, 경기 중 오염된 골프채 헤드를 세척부(110)에 마찰시킴으로써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100)은 골프 슈즈의 상부에 걸쳐져 장착되는 것으로 골프 경기를 하거나 걷는 중에도 아무런 불편이 없으며, 사용자는 그립을 쥔 상태로 골프채의 헤드를 문지르기만 하면 되므로 허리를 구부릴 필요도 없다. 이에 따라, 경기 중 샷을 한 직후 바로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며, 서 있거나 걷고 있는 상태로도 골프채 헤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20)는 고무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20)가 고무끈으로 형성되는 경우 세척부(510)의 양 둘레에 고무끈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슈즈의 둘레를 감싸면서 장착되게 된다. 고정부(520)가 고무끈으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경우 후크에 의해 고정되는 것보다 세척부(510)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골프 슈즈(600) 상부의 보다 넓은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이 장착된 골프 슈즈를 이용하여 골프채 헤드를 세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허리를 숙일 필요없이 골프 슈즈의 상면에 골프채 헤드를 문지르기만 함으로써 골프채 헤드에 묻은 오염 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경기의 효율이 좋아지며, 골프채 헤드의 수명도 길어진다.
본 발명은 골프 슈즈에 결합되는 것으로, 쉽게 탈착이 가능하므로 실내에서 골프를 하는 경우 또는 실외에서 골프를 하는 경우에 따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채 세척 모듈은 사용전 상태에서 오염 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으로 덮여 있을 수 있다. 골프채 세척 모듈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직포 또는 비닐로 제조된 케이스에 넣어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 세척 모듈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골프 슈즈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골프채 헤드를 닦음으로써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골프 사용자는 골프채를 뒤집어 헤드를 닦는 불편함 없이 경기를 편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헤드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켜 경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잔디나 모래 위에서 타격을 하고 바로 골프채 헤드를 세척함으로써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고 다음 타격을 위한 최상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500 : 골프채 세척 모듈 110, 510 : 세척부
112 : 받침판 114 : 벨크로 테이프
120, 520 : 고정부 200, 600 : 골프 슈즈

Claims (7)

  1. 골프 슈즈에 고정되며 골프채의 헤드를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부를 골프 슈즈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후크로 형성되어 골프 슈즈에 형성된 조임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 세척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의 하부에 플렉시블한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 세척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골프 슈즈와 접하는 상기 세척부의 하부는 벨크로(velcro) 테이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 세척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복수 장의 직물 또는 종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장의 직물 또는 종이가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 세척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또는 종이의 뒷면은 비닐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 세척 모듈.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골프채 세척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슈즈.
KR1020120132622A 2012-11-21 2012-11-21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KR10136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622A KR101368503B1 (ko) 2012-11-21 2012-11-21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622A KR101368503B1 (ko) 2012-11-21 2012-11-21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503B1 true KR101368503B1 (ko) 2014-02-27

Family

ID=5027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622A KR101368503B1 (ko) 2012-11-21 2012-11-21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5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2175A1 (en) * 2018-10-03 2020-04-09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79903S1 (en) 2022-01-10 2023-03-07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81692S1 (en) 2020-04-02 2023-03-28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11641910B2 (en) 2018-10-03 2023-05-09 Stomp Patents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96087S1 (en) 2022-01-10 2023-08-22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1005736S1 (en) 2022-12-06 2023-11-28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207U (ja) * 1992-04-21 1993-11-16 將治 福嶋 ゴルフ靴用クラブフェース清掃器
US6128801A (en) * 1997-07-28 2000-10-10 Winsor Corporation Shoe sole cleaners
JP2008264082A (ja) * 2007-04-17 2008-11-06 Unitech Medical Kk 携帯型クリーナー
US20110131742A1 (en) * 2006-01-23 2011-06-09 Manfred Cheung Golf Ball Cleaning 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207U (ja) * 1992-04-21 1993-11-16 將治 福嶋 ゴルフ靴用クラブフェース清掃器
US6128801A (en) * 1997-07-28 2000-10-10 Winsor Corporation Shoe sole cleaners
US20110131742A1 (en) * 2006-01-23 2011-06-09 Manfred Cheung Golf Ball Cleaning Pad
JP2008264082A (ja) * 2007-04-17 2008-11-06 Unitech Medical Kk 携帯型クリーナ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2175A1 (en) * 2018-10-03 2020-04-09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10779706B1 (en) 2018-10-03 2020-09-22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30959S1 (en) 2018-10-03 2021-09-21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11337584B2 (en) 2018-10-03 2022-05-24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11641910B2 (en) 2018-10-03 2023-05-09 Stomp Patents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81692S1 (en) 2020-04-02 2023-03-28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79903S1 (en) 2022-01-10 2023-03-07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996087S1 (en) 2022-01-10 2023-08-22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D1005736S1 (en) 2022-12-06 2023-11-28 Stomp Patent Llc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03B1 (ko) 골프채 세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골프 슈즈
US8413352B2 (en) Club head cleaning attachment for a golf shoe
US4912800A (en) Cleaning device for golf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US10828545B2 (en) Footwear-based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US6256830B1 (en) Athletic shoe cleaner
US7302728B2 (en) Cleaning implement for golfers
US7587780B2 (en) Shoe cleaning sand rake
US8882605B1 (en) Golf tool kit
US5809669A (en) Golf-club head cleaning device
US20110180102A1 (en) Golf towel
US8715117B1 (en) Ball retrieval sports racket
US20090293215A1 (en) Golf club cleaning pads attachable to shoes
US20190176002A1 (en) Three Section Golf Towel
US8171593B2 (en) Golf towel
CN211645841U (zh) 一种弹性卷材草坪
US20060075589A1 (en) Multi-purpose towel for golf equipments
US8032969B1 (en) Attachable brush for footwear
KR20100001243U (ko) 골프클럽 일체형 오물제거장치
KR200437651Y1 (ko) 휴대용 골프공 세척기
US20110108060A1 (en) Golf towel with dry and wet section
CN207575721U (zh) 一种高尔夫球打击垫
KR20090002935A (ko) 골프채 헤드 세척솔이 구비된 골프화
WO2012019608A1 (en) A shoe sole cleaning device
KR101974751B1 (ko) 골프클럽 헤드 클리너
US20070119012A1 (en) Greens tow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