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97B1 -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97B1
KR101367397B1 KR1020110076706A KR20110076706A KR101367397B1 KR 101367397 B1 KR101367397 B1 KR 101367397B1 KR 1020110076706 A KR1020110076706 A KR 1020110076706A KR 20110076706 A KR20110076706 A KR 20110076706A KR 101367397 B1 KR101367397 B1 KR 10136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notebook
cooling fa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944A (ko
Inventor
조자룡
Original Assignee
조자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자룡 filed Critical 조자룡
Priority to KR102011007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며 동시에 유에스비 통신기기 및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노트북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며 동시에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쿨링패드의 기능을 다양화시키게 된다.
또한, 외장하드를 쿨링패드 내부에 구성하여 외장하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장하드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Notebook Cooling Pad possible Charge and Communication of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며 동시에 유에스비 통신기기 및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종인 노트북 컴퓨터는 그 휴대를 간편히 하기 위해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춰 노트북 컴퓨터에 내장되는 메인보드 및 탈착식 배터리 등은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케이스에 일체형으로 조립되는데, 이로 인해 메인보드 상에 실장된 CPU 등에서 발생하는 열이 본체케이스의 소정부, 예컨대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조립되는 본체케이스의 바닥판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는 본체케이스가 슬림화됨에 따라 내부 회로의 집중도 또한 높아지고 이와 병행하여 CPU 신호처리속도 및 하드 디스크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많은 열이 발생한다.
이에 기존의 노트북 컴퓨터는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방열팬을 내장하여 내부 열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열팬의 강제배기통로, 즉 다수의 홀형태로 구성되는 강제배기통로는 대개가 본체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방열팬에 의해 수행되는 노트북 컴퓨터의 방열은 그 방열효과가 미비하므로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 CPU 등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의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메인보드에 실장된 각종 칩들의 손상이 야기되거나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8318호에서는 열전소자와 냉각팬이 장착된 알루미늄 재질의 냉각기를 노트북 컴퓨터와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시 발생되는 열을 이중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한 노트북 냉각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배경기술은 노트북 바닥면과 접하는 냉각판에 부착되어 노트북 바닥면을 냉각하는 열전소자와, 냉각기의 후면에 형성된 통풍구에 밀접장착되어 노트북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된 열 및 열전소자의 방열부에서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8318호의 노트북 냉각기는 냉각판의 소정부에 냉원인 열전소자가 부착된 구조를 지니고 있어서, 그 냉각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노트북의 바닥면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노트북의 바닥면에 평면형태 냉각판을 밀착시켜 단순히 면접촉에 의한 냉각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바닥면과 냉각판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여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배경기술은 냉각하는 기능 이외에 편의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아 활용적인 측면에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0298318호(2002.12.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며 동시에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하드를 구성하여 외장하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공유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구성하여 무선공유기를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쿨링패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거치대에 데이터차단버튼을 구성하여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를 경우에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서 분배된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거나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는 미세한 충전과 동시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쿨링패드상면부의 중앙 부위에 쿨링팬을 설치 구성하고, 쿨링팬의 상측에 중앙 부위 벽면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날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바람제공부를 구성하여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의 일부에 국한되지 않고 노트북 전체 바닥면에 제공하여 냉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노트북접속포트(210) 및 어댑터(20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노트북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며 동시에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쿨링패드의 기능을 다양화시키게 된다.
또한, 외장하드를 쿨링패드 내부에 구성하여 외장하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장하드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무선공유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구성하여 무선공유기를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쿨링패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거치대에 데이터차단버튼을 구성하여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를 경우에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서 분배된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거나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는 미세한 충전과 동시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쿨링패드상면부의 중앙 부위에 쿨링팬을 설치 구성하고, 쿨링팬의 상측에 중앙 부위 벽면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날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바람제공부를 구성하여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의 일부에 국한되지 않고 노트북 전체 바닥면에 제공하여 냉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취부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및 스위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형성된 스마트폰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취부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및 스위치부의 전원 분배와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취부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및 스위치부의 전원 분배와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바람제공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이 형성된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노트북접속포트(210) 및 어댑터(20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이 형성된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는 외장하드(800)와;
노트북접속포트(210) 및 어댑터(20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 외장하드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과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 및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이 형성된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는 외장하드(800)와;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 형성된 무선공유기접속포트를 통해 접속되어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공유기(700)와;
노트북접속포트(210) 및 어댑터(20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 외장하드 및 무선공유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과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무선공유기 및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노트북 쿨링패드의 일측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스마트폰거치대에 설치 구성되는 데이터차단버튼(450)과;
상기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를 경우에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서 분배된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데이터차단처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은,
전원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어댑터(205)와,
상기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마트폰접속포트와 제2전력분배부로 각각 분배하는 제1전력분배부(215)와,
노트북과 연결되어 노트북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노트북접속포트(210)와,
상기 노트북접속포트 및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유에스비포트와 스위치부 및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접속포트에 각각 분배하는 제2전력분배부(220)와,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에스비포트(235a)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스마트폰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접속포트(225)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과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접속포트(230a)와,
상기 유에스비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은,
전원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어댑터(205)와,
상기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마트폰접속포트와 제2전력분배부로 각각 분배하는 제1전력분배부(215)와,
노트북과 연결되어 노트북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노트북접속포트(210)와,
상기 노트북접속포트 및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유에스비포트와 스위치부 및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접속포트에 각각 분배하는 제2전력분배부(220)와,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에스비포트(235a)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스마트폰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접속포트(225)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과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접속포트(230a)와,
외장하드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외장하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장하드접속포트(245)와,
상기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스마트폰 및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은,
전원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어댑터(205)와,
상기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마트폰접속포트와 제2전력분배부로 각각 분배하는 제1전력분배부(215)와,
노트북과 연결되어 노트북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노트북접속포트(210)와,
상기 노트북접속포트 및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유에스비포트와 스위치부 및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접속포트에 각각 분배하는 제2전력분배부(220)와,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에스비포트(235a)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스마트폰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접속포트(225)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과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접속포트(230a)와,
외장하드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외장하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장하드접속포트(245)와,
무선공유기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공유기접속포트(250)와,
상기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스마트폰과 외장하드 및 무선공유기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차단처리부는,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 노트북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며 충전시 사용되는 전원보다 낮은 전원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상기 쿨링팬의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9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6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510)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11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중앙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의 상측에 형성되어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하는 바람제공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의,
일측에 거치대삽입홀(185)이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대삽입홀 내부에 슬라이딩부재(180)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스마트폰거치대(500)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람제공부(900)의,
중앙 부위 벽면(920)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날개(91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쿨링패드상면부는,
노트북의 평면형태 바닥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상기 쿨링팬의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9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6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510)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11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쿨링패드에 스마트폰거치대(500)를 구성하여 스마트폰(600)을 충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대를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보관하게 되고 스마트폰을 충전할 경우에 외부로 거치대를 노출시켜 충전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쿨링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외부로 유통시키기 위하여 쿨링패드상면부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110a)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통공을 쿨링패드상면부 전체 면적에 촘촘히 형성하게 되면 위에 장착되는 노트북의 어느 특정 부위만을 냉각시키는 것이 아닌 골고루 냉각시켜 냉각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외부로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어 온오프버튼을 사용자가 눌러 쿨링팬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되고,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돌려서 쿨링팬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은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쿨링팬의 회전수를 빠르게 조작할 수 있으며,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쿨링팬의 회전수를 느리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의 조작에 의해 쿨링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원리는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상기 쿨링패드의 외면에는 노트북접속포트(210), 어댑터(205), 다수의 유에스비포트(235a, 235b, 235c) 등이 형성되어 상기 포트에 각각 노트북, 전원 콘센트, 외부기기 등이 연결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취부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및 스위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형성된 스마트폰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쿨링패드하면부(150)에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155)이 설치 구성되게 되며, 상기 쿨링팬의 어느 일측(도면에서는 상부에 설치 구성하였다.)에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을 설치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는 노트북접속포트, 어댑터, 유에스비포트, 외장하드접속포트, 스마트폰접속포트, 쿨링팬접속포트와 형성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부가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300)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사용자가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현재 세팅된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늘리기 위하여 사용자가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돌리게 되면,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여 쿨링팬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 원리는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외장하드가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9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외장하드도 쿨링패드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스마트폰거치대와 동일하게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어 진다.
또한, 스마트폰거치대(500)가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6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거치대삽입홀(185)이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대삽입홀 내부에 슬라이딩부재(180)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스마트폰거치대(500)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스마트폰거치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게 되면 충전포트부가 노출되어 스마트폰을 충전하게 되는 것이며, 충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마트폰거치대를 내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취부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및 스위치부의 전원 분배와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은,
전원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어댑터(205)와,
상기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마트폰접속포트와 제2전력분배부로 각각 분배하는 제1전력분배부(215)와,
노트북과 연결되어 노트북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노트북접속포트(210)와,
상기 노트북접속포트 및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유에스비포트와 스위치부 및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접속포트에 각각 분배하는 제2전력분배부(220)와,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에스비포트(235a)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스마트폰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접속포트(225)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과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접속포트(230a)와,
외장하드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외장하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장하드접속포트(245)와,
상기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스마트폰 및 외장하드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어댑터(205)를 통해 전원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노트북접속포트(210)를 통해 노트북과 연결되어 노트북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력분배부(215)는 상기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마트폰접속포트와 제2전력분배부로 각각 분배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댑터로부터 5V, 2A를 공급받게 되며, 노트북으로부터 5V, 0.5A를 공급받게 되면, 어댑터에 의해 공급된 2A를 제1전력분배부에서 제공받아 이를 1A씩 스마트폰접속포트(225)와 제2전력분배부(220)로 각각 분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트북으로부터 5V, 0.5A를 공급받아 이를 제2전력분배부(220)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전력분배부(220)는 노트북접속포트 및 제1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유에스비포트와 스위치부 및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된 쿨링팬접속포트에 각각 분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전력분배부(220)는 제1전력분배부에서 1A, 노트북접속포트에서 0.5A를 공급받아 유에스비포트1(235a), 유에스비포트2(235b), 유에스비포트3(235c)에 각각 0.1A를 공급하고, 스위치부에 0.2A를 공급하고, 쿨링팬접속포트에 각각 0.25A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외장하드접속포트(245)를 구성하게 되면 외장하드접속포트에 0.5A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포트와 외장하드와 연결되는 포트,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연결하는 포트 등을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충전용 콘센트가 필요없게 되어 본 발명의 쿨링패드를 통해 스마트폰 충전, 유에스비 통신기기 사용, 외장하드 사용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노트북과 유에스비 통신기기, 스마트폰, 외장하드 등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240)가 형성되어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동작 원리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쿨링패드하면부에 취부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및 스위치부의 전원 분배와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
무선공유기와 연결되어 제2전력분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공유기접속포트(250)를 더 포함하여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일반적인 무선공유기(700)와 연결시켜 노트북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공유기는 노트북 연결시 무선 와이파이 지역을 제공하거나, 직접 무선 데이터선과 연결시에는 노트북 등 무선 통신기기에 무선 통신을 지원하게 되는 일반적인 무선공유기이다.
이때, 상기 데이터처리부(240)는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스마트폰과 외장하드 및 무선공유기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쿨링패드에는,
노트북 쿨링패드의 일측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스마트폰거치대에 설치 구성되는 데이터차단버튼(450)과;
상기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를 경우에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서 분배된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데이터차단처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차단시에는 스마트폰 충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급속 충전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되며, 데이터 통신시에는 미세한 충전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차단버튼(450)을 스마트폰거치대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하여 사용자가 이를 누르게 되면, 데이터차단처리부(400)에서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서 분배된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차단시에는 1A를 스마트폰에 제공하게 되고, 데이터 차단하지 않게 되면 0.5A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데이터차단처리부는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 노트북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며 충전시 사용되는 전원보다 낮은 전원으로 충전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의 바람제공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쿨링패드는,
중앙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의 상측에 형성되어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하는 바람제공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쿨링패드상면부에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아닌 쿨링패드상면부(110)의 중앙 부위에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하는 바람제공부(900)를 설치 구성하고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람제공부(900)의 중앙 부위 벽면(920)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날개(910)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쿨링팬(155)에서 상측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바람제공부에 의해 분산시켜 골고루 퍼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상면에 밀착된 노트북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쿨링패드상면부의 외형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의 평면 형태 바닥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굴곡지게 형성하게 된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노트북의 바닥면에 평면형태 냉각판을 밀착시켜 단순히 면접촉에 의한 냉각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바닥면과 냉각판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여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바람이 노트북의 특정 부위에만 제공되어 전체 냉각이 불가능하여 냉각 속도가 국소부위에만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이 굴곡지게 형성하게 되면 노트북의 최하단 부위와 최상단 부위에만 쿨링패드가 접촉되고 쿨링팬이 위치한 중앙부위는 뜨게 되어 바람의 고른 분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노트북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며 동시에 유에스비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쿨링패드의 기능을 다양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쿨링패드
200 :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
300 : 스위치부
400 : 데이터차단처리부
500 : 스마트폰거치대
600 : 스마트폰
700 : 무선공유기
800 : 외장하드
900 : 바람제공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쿨링팬이 형성된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노트북접속포트(210) 및 어댑터(20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310)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3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노트북 쿨링패드의 일측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스마트폰거치대에 설치 구성되는 데이터차단버튼(450)과;
    상기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를 경우에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에서 분배된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데이터차단처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차단처리부(400)는,
    데이터차단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 노트북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며 충전시 사용되는 전원보다 낮은 전원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9. 삭제
  10. 삭제
  11.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상기 쿨링팬의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9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6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510)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11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의,
    일측에 거치대삽입홀(185)이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대삽입홀 내부에 슬라이딩부재(180)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스마트폰거치대(500)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12.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중앙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의 상측에 형성되어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하는 바람제공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람제공부(900)의,
    중앙 부위 벽면(920)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날개(91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13. 노트북 쿨링패드에 있어서,
    중앙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쿨링팬(155)과,
    노트북접속포트 및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쿨링팬, 스마트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에 전원을 분배하며, 스마트폰 및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통신기기와 노트북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200)과,
    일측에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을 형성하고 있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온오프버튼과 쿨링팬속도제어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경우에 쿨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출력시켜 쿨링팬에 제공하는 스위치부(300)와,
    상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외장하드공간부(160)에 설치 구성되며, 데이터및전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노트북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장하드(800)와,
    상기 외장하드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상측에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쿨링패드하면부(150)와;
    상기 쿨링팬의 상측에 형성되어 쿨링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노트북에 제공하는 바람제공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패드하면부와 결합되는 쿨링패드상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쿨링패드상면부는,
    노트북의 평면형태 바닥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KR1020110076706A 2011-08-01 2011-08-01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KR10136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706A KR101367397B1 (ko) 2011-08-01 2011-08-01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706A KR101367397B1 (ko) 2011-08-01 2011-08-01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944A KR20130014944A (ko) 2013-02-12
KR101367397B1 true KR101367397B1 (ko) 2014-02-24

Family

ID=4789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706A KR101367397B1 (ko) 2011-08-01 2011-08-01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492U (ko) 2014-03-13 2015-09-23 이문준 거치대가 구성된 마우스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7182A (zh) * 2013-11-29 2014-03-26 无锡合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笔记本电脑散热器
EP3430492A4 (en) 2016-07-12 2019-1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ENSATION FOR A POWER LOAD BETWEEN USB CONNECTIONS
KR20190075222A (ko) 2017-12-21 2019-07-01 손하랑 노트북을 위한 마우스 터치패드
KR102137067B1 (ko) 2017-12-29 2020-07-23 이동진 휴대폰 쿨링 케이스
KR200492416Y1 (ko) * 2018-11-16 2020-10-08 (주)알토디자인 마우스패드 겸용 무선충전장치
KR20210118558A (ko) 2020-03-23 2021-10-01 홍상우 공기정화가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쿨링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741A (ko) * 2007-02-14 2008-08-20 배석희 인텔렉스테이션
KR100983860B1 (ko) 2009-02-03 2010-09-28 주식회사 미래보 개인 휴대용 컴퓨터의 냉각겸 경사각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741A (ko) * 2007-02-14 2008-08-20 배석희 인텔렉스테이션
KR20080076689A (ko) * 2007-02-14 2008-08-20 배석희 인텔렉스테이션
KR100952697B1 (ko) * 2007-02-14 2010-04-13 배석희 인텔렉스테이션
KR100983860B1 (ko) 2009-02-03 2010-09-28 주식회사 미래보 개인 휴대용 컴퓨터의 냉각겸 경사각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492U (ko) 2014-03-13 2015-09-23 이문준 거치대가 구성된 마우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944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97B1 (ko) 스마트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쿨링패드
TWI676881B (zh) 行動與平板計算設備(二)
US8248780B2 (en) All-in-one computer
US7706771B2 (en) Inductive power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CN103576809B (zh) 电子设备及其第一、二电子设备和第一电子设备切换方法
US20160360644A1 (en) Heat Dissipation in a Mobile Device to Enable High-Performance Desktop Functionality
TW201223229A (en) Electronic systems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CN102821175A (zh) 具游戏及散热功能的手机外设装置
JP2022122262A (ja) ワイヤレス充電器
CN111386003A (zh) 电子设备的散热方法及电子设备
WO2018121057A1 (zh) 智能终端扩展坞
TW201618500A (zh) 路由裝置
CN207457960U (zh) 一种带路由功能的笔记本电脑散热器
CN204707139U (zh) 一种便于携带和使用的路由器
EP3188579B1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JP2024514756A (ja) ゲームパッド及びその冷却方法
US20080151800A1 (en) On-Chip power managemen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CN114828539A (zh) 散热背夹和电子设备组件
CN209627984U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壳体组件及智能终端
CN219472382U (zh) 一种用于电子终端的散热风扇
CN215991667U (zh) 移动终端散热手柄
CN212259063U (zh) 外接散热器
CN206658074U (zh) 一种散热充电器
CN206117713U (zh) 一种新型多功能路由器
CN214070492U (zh) 一种可拆卸式手机无线充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