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936B1 - Drain sew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Drain sewag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5936B1 KR101365936B1 KR1020130083528A KR20130083528A KR101365936B1 KR 101365936 B1 KR101365936 B1 KR 101365936B1 KR 1020130083528 A KR1020130083528 A KR 1020130083528A KR 20130083528 A KR20130083528 A KR 20130083528A KR 101365936 B1 KR101365936 B1 KR 101365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tube
- granular
- length
- sew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여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입관과 유출관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recei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wage recei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n in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introduced sewag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입상관은 오수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에 수직되게 세워지며, 그 상단에 맨홀뚜껑이 위치하도록 지상까지 수직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general, the standing tube is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forming a space to receive the sewage, and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length to the ground so that the manhole cover is located at the top.
그러나 지하에 위치하는 본체의 매립 깊이에 따라 입상관의 길이는 상이하게 되므로 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입상관을 구비하거나 본체 깊이에 대응하도록 입상관 길이를 조절하는 일은 여간 힘든 작업이 아니다.
However, since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pth of embedding of the main body located in the basement, it is not difficult to provide a granular pipe having a corresponding length o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depth.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관과 하부관의 2피스로 구성되는 입상관이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길이 조절되도록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ewage recei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tube to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granular tube is composed of two pieces of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관과 하부관의 2피스로 분리 조립되며, 상부관과 하부관이 나사산에 의해 서로 맞물려 길이 조절이 되는 입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granular tube lengt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into two pieces of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is composed of a granular tube which is adjusted to the length by engaging with each other by a screw thread. Achieved by a sump for adjust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관은 그 상단의 외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tube forms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n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관은 링 형태의 하단면 중앙부를 따라 하부관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ube forms a lower tube insertion space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관삽입공간의 외벽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screw threa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lower tube insertion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관은 그 상단의 외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ube forms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n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관은 링 형태의 상단면 중앙부를 따라 상부관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tube forms an upper tube insertion space along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ing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관삽입공간의 외벽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screw threa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correlation insertion space.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는 상부관과 하부관의 2피스로 구성되는 입상관이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길이 조절됨으로써 본체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입상관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입상관을 길이에 맞추기 위해 입상관을 절단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길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sewage recei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is a granular pi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bod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composed of two pieces of the upper pipe and the lower pipe by adjusting the thread length. It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length without the cumbersome work such as cutting the granular tube to fit the granular tube to the length.
도 1은 본 발명의 동결방지를 위한 오수받이의 전체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체의 측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체의 측단면도,
도 5는 본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역류방지용칸막이의 측단면도,
도 7은 슬러지배출용스크류의 단면도,
도 8은 악취방지용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이음관의 일 측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
도 11은 이음관의 타 측 사시도,
도 12는 입상관 전체 단면도,
도 13은 입상관과 이음관의 체결 상태 정면도,
도 14는 맨홀의 개방 상태 단면도,
도 15는 받침대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assembly of the sewage collecting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l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3 is a sid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body;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rti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udge discharge screw;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dor preventing trap;
9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fitting pipe,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fitting pipe,
12 is a full sectional view of the granular tube,
13 is a front view of the fastening state of the standing pipe and the joint pipe,
14 is an open state sectional view of a manhol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sewage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assembly of the su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입관과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로부터 지면까지 설치되는 입상관(200), 상기 본체(100)와 입상관(200)을 수밀하게 연결시키는 이음관(300), 상기 본체(100)의 유입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입구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용트랩(미 도시, 본체 내부에 위치), 상기 입상관(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면 상에 노출되는 맨홀뚜껑(500), 상기 본체(100)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받침대(6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wage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상기 본체(100)는 도 2와 도 3의 사시도 및 도 4의 측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 형태의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각 측면에서 1개 혹은 2개 형성되어 있는 유입관(101) 및 유출관(102)과,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열선(120)과,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제거시키도록 수용부(100)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입상관 상단까지 세워진 슬러지배출용스크류(미 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s. 2 and 3 and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the
상기 수용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공간부이며, 동일 크기를 가지는 각 측면은 유입관(101)과 유출관(10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유입관(101)은 상기 수용부(110)의 일 측면 상부의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로 및 세로로 4등분된 측면의 상부 일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이와 마찬가지로 일 측면과 이웃하는 양 측면에도 동일한 위치에 유입관(101)이 형성되어 있다.Likewise, the
이때 일 측면 상부에는 동일 형상을 가지는 다른 유입관이 포함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한 쌍의 유입관은 측면 상부에서 그 중앙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one sid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other inlet tube having the same shape, for this purpose, a pair of inlet tube is formed in a position symmetrical with each other from the center in the upper side.
상기 유입관(101)과 수용부(110) 내부는 서로 관통하도록 수용부(110) 측면은 관통형의 유입구(103)를 형성하고 있다.The
또한 상기 유입관(101)은 측면과 접하는 외표면의 경계선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유입관리브(105)를 형성하고 있어 유입관(101)의 벽면에 발생하게 되는 수압 혹은 외압에 의해 유입관(101)이 일 측으로 휘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관리브(105)는 유입관(101) 일 측의 외표면으로부터 수용부(110) 측면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삼각형태의 살이며, 이와 같은 형태의 유입관리브(105)들은 동일 간격을 가지며 적어도 상, 하, 좌, 우의 4 군데 이상 동일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유출관(102)은 상기 수용부(110)의 일 측면과 마주하는 타 측면 하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유출관(102)은 유입관(101) 보다 비교적 큰 관경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관의 1.5~2배가 되는 관경을 가지도록 하여 복수개의 유입관(101)들로부터 동시에 유입되는 오수를 정체됨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유출관(102)과 수용부(110) 내부는 서로 관통하도록 수용부(110) 측면은 관통형의 유출구(104)를 형성하고 있다.The
또한 상기 유출관(102)은 측면과 접하는 외표면의 경계선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유출관리브(106)를 형성하고 있어 유출관(102)의 벽면에 발생하게 되는 수압 혹은 외압에 의해 유출관(102)이 일 측으로 휘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출관리브(106)는 유출관(102) 일 측의 외표면으로부터 수용부(110) 측면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삼각형태의 살이며, 이와 같은 형태의 유출관리브(106)들은 동일 간격을 가지며 적어도 상, 하, 좌, 우의 4 군데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유출관(102)은 그 내벽에 역류방지용칸막이(107)가 형성되어 있어, 유출관(102)으로 유출된 오수가 역류하여 다시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용칸막이(107)는 유출관(102)의 일측 내벽에 위치하는 반원형태의 칸막이이며, 그 반원형의 테두리는 유출관(102) 내벽과 맞닿아 수밀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유출관으로부터 유출된 오수는 통과시키고 유출관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차단시키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이를 위해 상기 역류방지용칸막이(107)는 그 반원형 테두리의 양 측이 유출관(102) 내벽을 관통하는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반원형의 테두리면은 유출관(102) 내벽의 관경 둘레를 따라 일정 두께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턱(109)의 측면과 면접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이때, 상기 단턱(109)은 역류방지용칸막이(107)의 테두리 면과 면접하도록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되, 수용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역류방지용칸막이(107)가 수용부 반대 방향인 유출수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단턱(109) 면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단턱(109)과 역류방지용칸막이(107)는 서로 다른 극의 약한 자성을 띠도록 하여 유출수의 수압이 발생하지 않을 시에는 단턱 측면과 역류방지용칸막이 테두리면이 서로 더욱 밀착되게 면접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용부(110)는 그 하단인 바닥면에 열선(120)이 부착되어 있어, 열선의 발열로 인해 수용부 바닥면, 특히 인버트 등에 고인 오수에 의한 동결을 방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선(120)은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통해 발열하는 복수개의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선들은 오수에 의한 감전 및 부식 방지를 위해 방수 가능한 매트나 패드 혹은 피복 내에 밀폐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열선(120)은 원거리의 전원 및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자의 온도조절장치 조작을 통해 설정된 온도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한다. The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과 온도조절장치 등은 지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power source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ground.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는 바닥 중앙으로부터 입상관 상단까지 세워지도록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를 구비하고 있어, 수용부 바닥에 모이게 되는 슬러지들을 지상으로 이동시켜 배출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receiving
상기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는 그 하단이 수용부(110) 바닥에 위치하여 바닥에 모인 슬러지를 밀어 올리고, 상단이 입상관 상단에 위치하여 맨홀뚜껑을 개방 시에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는 그 중앙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스크류(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131)는 원통형의 나사산수용체(132)에 수용되어 있다.The
이때 상기 스크류(131)의 나사산은 나사산수용체(132)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여 슬러지가 나사산을 따라 밀려 올라갈 시에 나사산수용체(132)의 벽면과 나사산 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crew thread of the
상기 나사산수용체(132)는 측벽 하단에 슬러지유입구(135)가 형성되어 있어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하고, 측벽 상단에 슬러지유출구(136)가 형성되어 있어 슬러지가 유출되도록 한다.The threaded
이때 상기 나사산수용체(132)가 슬러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수용부(110)의 바닥 중앙에 원형의 홈(139)이 형성되도록 하고, 나사산수용체(132)의 하단은 상기 원형의 홈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바닥에 있던 슬러지가 원형 홈으로 모이게 되면 슬러지유입구(135)를 통해 나사산수용체(132) 내부로 유입시킨다.At this time, the threaded
상기 스크류(131)의 상단 중앙은 모터를 부착할 수 있는 회전축(133)이 구비되어 있어, 전원공급을 받은 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스크류(131)가 회전하게 되고, 나사산수용체(132)의 슬러지유입구(135)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스크류(131)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The upper center of the
상기 스크류(131)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한 슬러지는 나사산수용체(132)의 슬러지유출구(136)를 통해 배출된다.The sludge lifted along the screw thread of the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는 유입구(103)에 악취방지용트랩(400)을 부착하여 수용부의 악취가 유입구를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receiv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방지용트랩(400)은 유입관(101)과 수밀하게 연결되어 유입구(103)를 덮는 유입구덮개(410)와, 유입구(103) 하단에서 수용부(110)의 내벽면과 유입구덮개(410) 사이에서 밀착되게 부착되어 있는 물받이(420)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도 8의 부분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덮개(410)는 유입관(101)의 내벽면과 밀착되도록 그에 대응하는 관경을 가지는 연결관(411)과, 상기 연결관(411)으로부터 수직되는 면을 형성하여 유입구(103)를 덮으며 그 하부로 유입수가 낙하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유입수통로(412)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partial perspective view of FIG. 8, the
이때 상기 유입구덮개(410)의 유입수통로(412)는 수용부(11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도록 장착하여 틈 사이로 물받이(420)가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물받이(420)는 일 측면이 유입구(103) 아래의 수용부(110) 내벽면에 밀착되는 물받이부착면(421)과, 상기 물받이부착면(421) 하단에서 유입수통로(412)로부터 낙하한 유입수가 고이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부(422)로 구성된다.The
상기 물받이부착면(421)은 연결관(411) 하부에서 수용부(110)의 내벽면과 유입수통로(412) 사이에 면착되게 끼워지도록 연결관(411) 관경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부착테두리(4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관(411) 외표면에 상기 부착테두리(423)를 끼우도록 한다.The dripping
또한 상기 물받이(420)의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해, 물받이(420)의 물받이부착면(421)의 양 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탄성을 지닌 걸림턱(425)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425)이 유입수통로(412) 수직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415)에 걸리도록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firmly attach the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관(411)이 유입관(101)에 부착된 상태에서 유입수통로(412)와 수용부(410) 내벽면 사이의 틈으로 물받이(420)의 물받이부착면(421)을 끼운 상태에서 물받이(420)를 상향되게 이동시킴으로써 물받이부착면(421)의 양 측에 형성된 걸림턱(425)이 유입수통로(412) 수직면의 양 측에 형성된 걸림홈(415)에 탄성을 가지며 안착하여 물받이(420)가 하향 이동하지 않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유입수통로(412)의 개방된 하단은 집수부(422)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집수부(422)에 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유입수통로(412)의 하단이 잠기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pen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물받이(420)의 집수부(422)는 그 내부 측면에 고형물을 감지하는 슬러지감지센서(428)가 부착되어 있어, 슬러지가 집수부(422)에 계속적으로 적체되어 유입수통로(412)를 막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수부(422)의 측면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슬러지감지센서(428)는 유입수통로(412) 하단 위치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에 위치하여 슬러지가 유입수통로(412) 높이까지 적체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슬러지감지센서(428)는 생성된 감지신호를 관리자용의 오수받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하고,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받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알람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슬러지 적체상태임을 알리도록 한다.The
상기와 같이 슬러지가 집수부에 적체됨에 따라 악취방지용트랩(400)을 유입관으로부터 탈착시켜 슬러지를 배출한 다음 다시 제자리에 부착시키도록 한다.As the sludge accumulates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집수부(422)는 그 외표면의 측면 및 하면에 열선(429)이 부착되어 있어 집수부에 고인 오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도면에서는 집수부(422)의 외표면에 열선(429)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집수부(422) 내표면에 열선(429)이 부착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 the
상기 열선(429)는 앞서 설명된 수용부(110) 하단의 열선(120)과 동일한 발열선이며 상기 열선(120)과 마찬가지로 전원 및 케이블로 연결되어 설정온도에 따라 발열하도록 한다. The
도 5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700)는 유입관(711)과 유출관(713)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유입관(711)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하나의 유출관(713)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격막구조부를 형성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상기 격막구조부에는 복수개의 입수관(711)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관(713)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일부 함몰된 중앙관로(인버트)와 사이드 관로 및 상기 관로들에 비해 높게 돌출된 내부구획벽(75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structure portion has a central pipe (invert) and the side pipe and the internal partition wall protruded higher than the conduit part to guide the sewage flowing along the plurality of
여기에서, 상기 중앙관로(인버트)는 U트랩(780)과 일체로 형성된다.Here, the central pipe (inve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상기 U트랩(780)은 상기 유입관(7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일정량을 수용하여 오수에 대한 악취가 상기 유입관(711)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에 따라 상기 U트랩(780)은 반구형태로 형성되며 항상 일정량의 오수가 수용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U트랩(780)은 그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열선(790)이 부착되어 있어, U트랩(780)에 고인 오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도면에서는 U트랩(780)의 외표면에 열선(790)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U트랩(780) 내표면에 열선(790)이 부착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 the
상기 열선(790)는 앞서 설명된 수용부(110) 하단의 열선(120)과 동일한 발열선이며 상기 열선(120)과 마찬가지로 전원 및 케이블로 연결되어 설정온도에 따라 발열하도록 한다. The
수용부의 상단은 하기에 설명될 입상관과 수밀하게 연결되기 위해 이들 수용부와 입상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이음관(300)이 위치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300)은 그 하부가 수용부(110)의 사각 상단을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수용부밀봉부(310)를 형성하고, 그 상부가 입상관 하단을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입상관밀봉부(320)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9,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밀봉부(310)는 수용부(110)의 사각 상단 형상에 대응하여 수용부(110)를 덮는 사각 테두리를 가지는 상판(311)과, 상기 상판(311) 테두리 둘레를 따라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수직단턱(312), 상기 상판(311) 중앙으로부터 테두리까지 형성된 원형 통공구(3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상관밀봉부(320)는 원형 통공부(313)부터 수직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3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따라서 상기 수직단턱(312)은 수용부(110) 사각 상단의 측면 테두리와 맞물려 밀폐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연결관(324)은 입상관 하단 테두리와 맞물려 밀폐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Therefore, the
이때 수직단턱(312)은 수용부(110) 사각 상단 테두리의 외측면에서 서로 그 측면이 면착되도록 맞물리고, 연결관(324)은 입상관 하단 테두리의 외측면에서 서로 그 측면이 면착되도록 맞물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혹은 다른 실시예로, 도 9의 A-A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단턱(312)은 그 하면을 따라 홈(319)을 형성하여 수용부(110)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관(324) 역시 그 상면을 따라 홈(318)을 형성하여 입상관 상단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which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the
상기 연결관(324)은 상판(311)과 직선으로 연결되는 리브(315)들을 형성하고 있어 연결관(324) 상단에 입상관이 부착되더라도 흔들림없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315)들은 상판(311)의 코너로부터 연결관(324)의 일정높이까지 연장되는 삼각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리브(315)들은 상판의 4개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311)의 하면은 각 코너에 삽입가이드(316)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가이드(316)와 수직단턱(312) 사이의 틈(수용부 상단의 두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짐)으로 수용부의 사각 테두리 상단이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1, the lower surfac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삽입가이드(316)는 상판 하면의 각 코너에서 상기 수직단턱(312)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ㄱ'자의 단턱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상판의 코너가 라운드형이면 삽입가이드(316) 역시 라운드형이고 상판의 코너가 직각이면 삽입가이드(316) 역시 직각의 형태를 가진다.To this end, the
상기 입상관(200)은 지면으로부터 이음관(300)까지 연결되는 수직의 관이다. The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상관(200)은 그 상단에 맨홀뚜껑(500)이 위치하고, 맨홀뚜껑(500) 아래에 속뚜껑(201)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2, the
상기 입상관(200)은 그 내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 덮개를 형성하도록 하여, 입상관(200)의 측벽으로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하여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상기 입상관(200)은 그 내벽에 내벽 관경에 대응하는 원형의 스티로폼 재질의 복수개의 입상관보온판(210)이 구비되며 상기 입상관보온판(210)들은 입상관(200)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이때 상기 입상관보온판(210)의 관경은 입상관(200) 관경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지고 있어 입상관보온판(210) 외측 테두리가 입상관(200) 내벽에 억지끼움하여 밀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tube diameter of the standing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상관보온판(210)이 중력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입상관(200) 내벽에 단턱(215)을 형성하여 입상관보온판(210)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More preferably, the granular
상기 단턱(215)은 입상관보온판(210)을 받치도록 입상관의 각 동일 높이에서 3개 이상씩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입상관보온판(210)은 그 중앙이 통공부(211)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부(211)를 통해 슬러지배출용스크류가 관통하도록 한다.The granular
이때 상기 통공부(211)의 관경 역시 슬러지배출용스크류 관경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지고 있어 통공부(211) 내측 테두리가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에 밀착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또한 상기 입상관보온판(210)은 그 상면 및 하면에서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열선(217)이 구비되도록 하고, 열선(217)에 전류를 통전하여 입상관보온판(210)이 발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ranular
이때 상기 열선(217)은 앞서 설명된 수용부(110)의 열선(120)과 동일한 전원에 의해 발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입상관(200)은 상부관(220)과 하부관(230)으로 분리되도록 2피스로 구성되어 상부관(220)과 하부관(230)을 맞물리도록 조립하면서 전체 입상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anding
이를 위해 상기 상부관(220)은 하단에 나사산(222)을 형성하게 되고, 하부관(230)은 상단에 나사산(232)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지면으로부터 이음관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관(220)은 링 형태의 하단면 중앙부를 따라 하부관삽입공간(224)을 형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부관(220)의 하부는 외벽과 내벽의 이중벽관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상기 하부관삽입공간(224)을 형성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상부관(220)의 외벽 내측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어, 하부관(230)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맞물려 상부관(220)이 승강 혹은 하강하도록 한다.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이때 상부관 내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하부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관 외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하부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thread is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upper tube, the thread is formed inside the lower tube, and if the thread is form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upper tube, the thread is formed outside the lower tube.
또한 이와 반대로 하부관에 상부관삽입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하부관 내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상부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관 외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상부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On the contrary, the upper tube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in the lower tube. In this case, when the thread is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lower tube, the thread is formed inside the upper tube, and when the thread is form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lower tube, Allow threads to form on the outside of the tube.
또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상관(200)은 그 하부관(230)의 하부로부터 하단까지 이음관고정핀(23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음관고정핀(233)이 이음관의 리브(315)에 끼워지도록 부착됨으로써 입상관(200)이 이음관(300)에 견고하게 세워져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3, the
이를 위해 상기 이음관고정핀(233)은 하부관(230)의 하부로부터 수직 하향되게 이음관의 상판까지 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립 형태를 가진다.To this end, the fitting
또한 상기 이음관고정핀(233)의 하단은 핀셋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음관 각 리브(315)들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itting
이때 상기 이음관고정핀(233)들은 이음관 리브(315)들에 각각 끼워지도록 리브(315)들이 형성되어 있는 이음관 상판(311)의 각 코너 상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fitting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맨홀뚜껑(500)은 상기 입상관(200) 상단에 위치하여 입상관 상단을 개폐시키는 원형의 주철 뚜껑이다. As shown in FIG. 14, the
상기 맨홀뚜껑(500)은 입상관(200)을 개폐시키되, 입상관(2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만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입상관에 구속된 이동거리를 갖도록 하여, 오수받이로 역류되는 오수가 입상관을 통해 차 올라와 맨홀뚜껑(500)을 밀어올릴 경우 맨홀뚜껑(500)이 수압에 의해 튕겨지지 않도록 한다. The
이를 위해 상기 맨홀뚜껑(500)은 그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3~4개의 이탈방지고리(530)가 부착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상기 이탈방지고리(530)는 그 상단이 볼트 체결 등으로 맨홀뚜껑(500)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고정부(531)를 형성하며, 그 하단은 입상관의 상부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가이드홈(229)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하는 걸림부(532)를 형성한다.The
상기 고정부(531)는 볼트 체결로 고정되게 맨홀뚜껑에 부착되어 있어 맨홀뚜껑을 개방할 경우 볼트체결을 해체함으로써 고정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The fixing
또한 걸림부(532)는 그 끝단이 고리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수직가이드홈(229)은 상기 걸림부(532)가 구속된 상태에서 상, 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통로를 형성하되 그 상단은 걸림부가 이탈할 수 없도록 이탈방지턱(228)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고리(530)의 고정부(531)가 맨홀뚜껑(500)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상태에서 맨홀뚜껑(500)을 개방하게 되면 이탈방지고리(530)의 걸림부(532)가 수직 상향 이동하게 되며 이탈방지턱(228)에 의해 걸려 더 이상 상향 이동할 수 없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fixing
상기 받침대(600)는 본체(100)의 하단을 매립 상태의 지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단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사각 링이다.The
도 15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은 수용부(110) 하부의 사각 테두리로부터 수직 하향되게 연장되는 단부이며, 상기 받침대(600)는 상기 본체(100) 하단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수직면(610)과 수평면(620)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5,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받침대(600)의 수직면(610)은 본체(100) 하단의 내측면과 면접하게 되고, 수평면(620)은 본체(100) 하단의 하면과 면접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수평면(620)은 상기 본체(100) 하단의 하면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 하단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받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수직면(610)의 상단은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 덮개인 보온사각판(630)이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보온사각판(630)은 상기 수용부(110) 하면과 상기 수직면(610) 사이에서 상, 하면이 서로 맞닿도록 그에 대응되는 두께와 형상을 가지며, 수용부 하단으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ulating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본체 200 : 입상관
300 : 이음관 400 : 악취방지용트랩
500 : 맨홀뚜껑 600 : 받침대100: main body 200: prize tube
300: pipe 400: odor prevention trap
500: manhole cover 600: stand
Claims (7)
하단은 상기 수용부 상에서 이음관에 의해 밀폐되게 세워지며, 상단은 지면에 노출되는 맨홀뚜껑이 부착되는 입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상관은 상부관과 하부관의 2피스로 분리 조립되며, 상부관과 하부관이 나사산에 의해 서로 맞물려 길이 조절이 되고,
상기 이음관은 상기 수용부의 상단과 밀폐되게 체결되며, 하단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입상관은 상기 하부관 하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음관 하단의 리브에 체결되도록 수직되게 뻗은 이음관고정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Receiving portion for forming a space to collect the efflue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attached to the inlet and outflow to the outlet pipe;
The lower end is built to be sealed by the joint pipe on the receiving portion, the uppe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anular pipe is attached to the manhole cover exposed to the ground,
The granular tube is separated and assembled into two pieces of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screw thread to adjust the length,
The joint pipe is closed to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forms a plurality of ribs at the bottom,
The granular pipe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ipe to form a sewage pip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joint pipe fixing pin vertically extended to be fastened to the rib of the bottom of the pipe.
상기 하부관은 그 상단의 외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pipe is sewage rece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threa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상기 상부관은 링 형태의 하단면 중앙부를 따라 하부관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pipe is sewage rece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ower tube insertion space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 shape.
상기 하부관삽입공간의 외벽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ewage rece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tub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screw threa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lower tube insertion space.
상기 상부관은 그 상단의 외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ipe is sewage rece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crew thread on the outside of the top.
상기 하부관은 링 형태의 상단면 중앙부를 따라 상부관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pipe is sewage rece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pip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upper tube insertion space along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ing shape.
상기 상부관 삽입공간의 외벽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ewage rece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ranular tub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screw threa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upper tube insertion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3528A KR101365936B1 (en) | 2013-07-16 | 2013-07-16 | Drain sewag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3528A KR101365936B1 (en) | 2013-07-16 | 2013-07-16 | Drain sewag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5936B1 true KR101365936B1 (en) | 2014-03-13 |
Family
ID=5064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3528A KR101365936B1 (en) | 2013-07-16 | 2013-07-16 | Drain sewag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593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6042B1 (en) * | 2019-02-21 | 2019-07-03 | 주식회사 뉴보텍 | Drain Sewage Apparatus |
CN118390631A (en) * | 2024-06-11 | 2024-07-26 | 王海军 | Waterproof drainage method for hydraulic engineering constru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547Y1 (en) | 2006-01-16 | 2006-03-28 | (주)대덕화학 | Sewage Collection Unit with Rainwater Collection Unit |
KR100638557B1 (en) | 2006-03-15 | 2006-10-27 | (주)대덕화학 | Sewage collection unit with rainwater collection unit |
KR100892620B1 (en) | 2008-07-23 | 2009-04-08 | 원진테크 주식회사 | Drain sewage |
KR20120058969A (en) * | 2010-11-30 | 2012-06-08 | 박춘석 | Height adjustable drain sewage |
-
2013
- 2013-07-16 KR KR1020130083528A patent/KR1013659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547Y1 (en) | 2006-01-16 | 2006-03-28 | (주)대덕화학 | Sewage Collection Unit with Rainwater Collection Unit |
KR100638557B1 (en) | 2006-03-15 | 2006-10-27 | (주)대덕화학 | Sewage collection unit with rainwater collection unit |
KR100892620B1 (en) | 2008-07-23 | 2009-04-08 | 원진테크 주식회사 | Drain sewage |
KR20120058969A (en) * | 2010-11-30 | 2012-06-08 | 박춘석 | Height adjustable drain sewag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6042B1 (en) * | 2019-02-21 | 2019-07-03 | 주식회사 뉴보텍 | Drain Sewage Apparatus |
CN118390631A (en) * | 2024-06-11 | 2024-07-26 | 王海军 | Waterproof drainage method for hydraulic engineering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5935B1 (en) | Drain sewage apparatus | |
DK2009187T3 (en) | Sanitary installation with a floor drain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sanitary installation | |
RU2694630C2 (en) | Drainage device in assembly, drain device housing for use in such device in assembly and sewer siphon for use in such device in assembly | |
JP4912134B2 (en) | Indirect drainage equipment | |
KR101365936B1 (en) | Drain sewage apparatus | |
KR101328395B1 (en) | Drain sewage apparatus | |
GB2475297A (en) | Clogging resistant drain | |
CA2839144C (en) | Drain box assembly for a convertible splash pad/ice rink structure | |
KR101351274B1 (en) | Drain sewage apparatus | |
KR101369757B1 (en) | Drain sewage apparatus | |
CN105484329B (en) | A kind of overflow drainage device of bathtub | |
US10435872B2 (en) | Leakage prevention module | |
KR101272152B1 (en) | Multi pipe joint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 |
KR20150096630A (en) | A waterproof type double grease trap | |
KR101151960B1 (en) | Apparatus for drain sewage | |
NL2002988C2 (en) | HEAT EXCHANGER FOR A SHOWER DEVICE. | |
US10487484B2 (en) | Encasement | |
US20140197164A1 (en) | Watertight handhole for the transit of cables in outdoor areas | |
KR100923133B1 (en) | A drain sewage with insert type water sealing trap | |
KR101342860B1 (en) | Drainpipe system | |
JP4594242B2 (en) | Rainwater drainage | |
KR20170002282U (en) | Floor drain apparatus | |
KR20090105045A (en) | Apparatus for drain sewage and trap apparatus | |
KR100566098B1 (en) | Water trap | |
KR200462635Y1 (en) | Drain apparatus for the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