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627B1 - 유아용 완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627B1
KR101364627B1 KR1020120117397A KR20120117397A KR101364627B1 KR 101364627 B1 KR101364627 B1 KR 101364627B1 KR 1020120117397 A KR1020120117397 A KR 1020120117397A KR 20120117397 A KR20120117397 A KR 20120117397A KR 101364627 B1 KR101364627 B1 KR 101364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binding
tube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2011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완구는, 결속부와 음향발생수단이 형성되는 기둥부; 및 탄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결속부의 내부에는 연결부재의 양단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재가 완구의 외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아들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안전하게 물거나 씹을 수 있으며, 유아들의 신체에 부딪히더라도 충격이 전해지지 않고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완구{PLAYTHING FOR INFANT}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흔들림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면서 동시에 연결부재가 빛을 발산하여 유아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어 유아가 물거나 빨더라도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유아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완구는 아직 사물의 용도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유아들이 손으로 만져보고 촉감을 느껴보거나 잡고 흔들어서 소리를 듣고 입으로 물어보거나 함으로써 흥미를 가지고 사물의 성질이나 특성 등을 자연스럽게 학습하여 유아들의 인지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장난감을 가리킨다.
이중 딸랑이와 치아발육기는 이제 막 치아가 나기 시작하고 사물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는 유아들이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유아용 완구이다.
딸랑이는 유아들이 수유를 하거나 가만히 누운 상태에서 울거나 보채게 되면 다양한 색상의 구슬이 내장된 딸랑이를 흔들어 일정한 소리를 내는 청각적 효과를 통해 유아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치아발육기는 유치가 나기 시작해 잇몸이 간지럽고 통증을 느끼는 아기들이 물어서 씹음으로써 일시적으로 간지러움이나 통증을 달래주는 기구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7227(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유아용 치발기 겸용 놀이기구'에서는 딸랑이와 치발기가 동시에 형성된 유아용 완구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손잡이부(1)와, 치발기부(5)와, 딸랑이부(7)가 각기 나뉘어져 있어서 아직 사물의 용도를 구분하지 못하는 유아들이 손잡이부(1)나 딸랑이부(7)를 물거나 씹게 되고, 딸랑이부(7)를 손으로 파지하고 흔들게 되면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의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치발기부(5) 등에 모서리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유아들이 자유롭게 손으로 잡고 흔들다가 눈과 같이 충격에 약한 부분이 부딪히게 되면 놀라거나 심할 경우 상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유아용 완구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유아들이 완구의 어느 부분을 잡고 흔들어도 소리가 발생하고, 안전하게 물거나 씹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들의 신체와 접촉하는 완구의 외부를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고, 완구의 모서리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함으로써 유아들의 신체에 부딪히더라도 충격이 전해지지 않고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으로 잡고 흔들어서 소리가 나는 청각적인 효과 이외에도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아용 완구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결속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음향발생수단이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결속부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양단에 각각 결속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음향발생수단이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결속부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속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속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향발생수단은 중공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음향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상기 결속부와 상기 음향발생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회전코일과, 상기 회전코일의 내측에 형성된 절연관 내부를 왕복 유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왕복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빛을 투과하는 연질의 튜브관과, 상기 튜브관에 매입되는 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빛을 투과하는 연질의 중공 튜브관으로 형성되거나, 빛을 투과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속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반사되도록 반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완구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재가 완구의 외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아들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안전하게 물거나 씹을 수 있으며, 유아들의 신체에 부딪히더라도 충격이 전달되지 않고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청각적인 효과 이외에도 연결부재가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하고, 유아가 완구를 잡고 흔들면 연결부재를 통해 빛이 발산되는 시각적인 효과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지속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고 시각적인 인지능력이 발달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100)는 기둥부(10)와, 기둥부(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
연결부재(2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유아들이 손으로 잡거나 입에 물었을 경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아들의 완력이나 팔의 근력으로도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하고, 입에 물었을 경우 잇몸이 상하지 않도록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연결부재(2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기둥부(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속부(11)의 측면을 따라 양단부가 결합되며, 유아들이 용이하게 손으로 잡고 흔들거나 탄력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쉽게 입으로 물거나 씹을 수 있도록 완구(100)의 중심에 형성되는 기둥부(10)를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을 향하는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재(20)의 볼록한 형태는 나선형이나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0)가 좌,우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태의 지름은 기둥부(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완구(100)는 대략 구면체(spherical body) 형태로 형성된다.
기둥부(10)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유아용 완구(10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그 구성으로는, 양단부에 형성되는 결속부(11)와, 중간부에 형성되는 음향발생수단(13)과, 결속부(11)와 음향발생수단(1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향발생수단(13)은 기둥부(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어른이나 유아가 완구(100)를 흔들게 되면 경쾌한 소리가 발생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스(14)와, 내부에 형성되는 음향부재(미도시)로 구성된다.
케이스(14)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면체 또는 계란형태로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되어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조립홀(16)에 연결관(17)의 단부를 끼워서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연결관(17)과 결합된다.
음향부재(미도시)는 케이스(14)의 내면에 부딪힘으로써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체 또는 단편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금속이나 암석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관(17)은 원통 또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결속부(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형성되어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결속부(1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연결부재(20)를 장착한 뒤에 서로 결합된다.
결속부(11)의 측면에는 연결부재(20)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결속홀(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0)의 양단부는 결속홀(12)에 끼워져서 접착제 또는 열융착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100)는 좌,우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20)의 좌,우 폭이 기둥부(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는 기둥부(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속부(11)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완구(100)의 중심에 형성되는 기둥부(10)를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을 향하는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기둥부(1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20)가 좌,우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태의 좌,우 폭은 기둥부(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완구(100)는 대략 회전타원체(Spheroid)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100)는 결속부(11)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20)의 양단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발광다이오드(33)가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부(30)는 코일을 지나는 자속이 변할 때 코일에 유도 기전력(전압)이 생겨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자기 유도의 원리를 이용하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어른이나 유아가 완구(100)를 상,하로 흔들게 되면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발광 다이오드(33)에 빛이 들어오도록 이루어진다.
발광부(30)는 발광 다이오드(33)와, 충전지(35)와, 회전코일(32)과, 절연관(37)과, 영구자석(31)과, 완충부재(34) 및 전선(36)으로 구성된다.
절연관(37)은 부도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회전코일(32)이 감기고, 그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원통형의 영구자석(31)이 형성된다.
절연관(37) 내부의 양단부에는 영구자석(31)의 상,하 유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력적인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관(37)의 일단부에는 회전코일(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35)가 형성되어 영구자석(31)의 유동이 멈추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발광 다이오드(33)가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31)의 상,하 유동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충전한다. 충전지(35)의 일단부에는 발광 다이오드(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영구자석의 왕복 유동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는 실시예는 이외에도 다양하며 본원 발명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발광부(30)는 연결관(17)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 결속부(11) 측으로 발광 다이오드(33)가 돌출된다.
그리고, 결속부(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결속부(11) 내부에 돌출되는 발광 다이오드(33)의 빛이 반사되어 연결부재(20)의 단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각 반사판(38)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재(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빛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23)가 형성된 튜브관(22)으로 형성된다.
튜브관(22)의 양측은 결속부(11)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33)에 의해 빛이 조사되며, 이와 같이 조사된 빛이 튜브관(22)의 중공부(23)를 따라 반사되어 튜브관(22)의 전체가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빛의 투과율이 높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100)는 연결부재(20)가 튜브관(21)과, 튜브관(21)에 매입되는 광섬유(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완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광섬유(22)는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가 형성되고,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가 형성되어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한 광학적 섬유이며,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어 내부를 통과하는 빛의 손실률도 낮고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튜브관(21)은 빛을 투과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광섬유(22)를 매입하여 광섬유(22) 내부를 통과하는 빛이 튜브관(21)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발광하게 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아용 완구는 어른이나 유아들이 연결부재(20)를 손으로 잡고 흔듦으로써 음향발생수단(13)에서 소리가 발생되고, 고정자석(31)과 회전코일(32)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33)에 전원이 공급되어 연결부재(20)가 빛을 발산함으로써 청각 및 시각적으로 유아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이 입으로 물거나 빨더라도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안전하고, 유아들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연결부재(20)를 잡고 늘리거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재미와 동시에 변형하는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유아용 완구 10 : 기둥부
20 : 연결부재 30 : 발광부
11 : 결속부 31 : 영구자석
12 : 결속홀 32 : 회전코일
13 : 음향발생수단 33 : 발광 다이오드
14 : 케이스 34 : 완충부재
15 : 음향부재 35 : 충전지
16 : 조립홀 36 : 전선
17 : 연결관 37 : 절연관
21 : 광섬유 38 : 반사판
22 : 튜브관

Claims (10)

  1. 유아용 완구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결속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음향발생수단이 형성된 기둥부;
    상기 결속부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속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2. 유아용 완구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결속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음향발생수단이 형성된 기둥부;
    상기 결속부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되,
    상기 기둥부는 상기 결속부와 상기 음향발생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회전코일과, 상기 회전코일의 내측에 형성된 절연관 내부를 왕복 유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왕복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속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수단은 중공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음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빛을 투과하는 연질의 튜브관과, 상기 튜브관에 매입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빛을 투과하는 연질의 중공 튜브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빛을 투과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반사되도록 반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완구.
KR1020120117397A 2012-10-22 2012-10-22 유아용 완구 KR10136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397A KR101364627B1 (ko) 2012-10-22 2012-10-22 유아용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397A KR101364627B1 (ko) 2012-10-22 2012-10-22 유아용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627B1 true KR101364627B1 (ko) 2014-02-19

Family

ID=5027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397A KR101364627B1 (ko) 2012-10-22 2012-10-22 유아용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761A (zh) * 2019-05-10 2019-07-05 泛美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可以快速立体搭建的磁性积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003A (en) * 1986-05-22 1989-03-28 Chun Yip Silver Ware Limited Teething ring with an enclosed amusement member on a diametral shaft
JPH06255A (ja) * 1992-06-18 1994-01-11 Pigeon Corp 吊りメリー
KR200297754Y1 (ko) * 2002-08-26 2002-12-11 김동환 딸랑이
JP2004350838A (ja) * 2003-05-28 2004-12-16 Pigeon Corp 学習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003A (en) * 1986-05-22 1989-03-28 Chun Yip Silver Ware Limited Teething ring with an enclosed amusement member on a diametral shaft
JPH06255A (ja) * 1992-06-18 1994-01-11 Pigeon Corp 吊りメリー
KR200297754Y1 (ko) * 2002-08-26 2002-12-11 김동환 딸랑이
JP2004350838A (ja) * 2003-05-28 2004-12-16 Pigeon Corp 学習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761A (zh) * 2019-05-10 2019-07-05 泛美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可以快速立体搭建的磁性积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616B2 (en) Teether
US6827317B1 (en) Baby bottle accessory
US20090205580A1 (en) Battery Operated Pet Toy
US20130331000A1 (en) Stuffed children's toy with therapeutic feature
JP4962877B2 (ja) 鎮静用おしゃぶり
KR101364627B1 (ko) 유아용 완구
US3690324A (en) Baby{40 s pacifier
KR102137466B1 (ko) 애완견용 리드줄 조절장치
CN208193683U (zh) 一种新型多功能安抚牙胶玩具
CN202723272U (zh) 新型婴儿床
CN214546512U (zh) 一种可伸缩式逗猫棒
US9757616B2 (en) Oral function device
KR100558169B1 (ko) 유아용 보호구
KR101189599B1 (ko) 개선된 구조의 치아발육기
CN213589719U (zh) 可供儿童娱乐用的套环
CN212523010U (zh) 一种玩具娃娃
JP3224464U (ja) 形象玩具
CN213373862U (zh) 一种婴儿牙胶
CN204446553U (zh) 具有微血管再生保健功能的儿童玩具
CN214209434U (zh) 一种带有表情变化功能的触觉球
JP3174423U (ja) 音声応答玩具
CN212941407U (zh) 一种摇铃玩具
CN110433503B (zh) 一种儿童成长用智能陪护机器人
CN213847000U (zh) 安抚棒
CN211485759U (zh) 一种儿童牙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