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54B1 -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4154B1 KR101364154B1 KR1020120033581A KR20120033581A KR101364154B1 KR 101364154 B1 KR101364154 B1 KR 101364154B1 KR 1020120033581 A KR1020120033581 A KR 1020120033581A KR 20120033581 A KR20120033581 A KR 20120033581A KR 101364154 B1 KR101364154 B1 KR 101364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object
- contact
- sensing unit
- light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5—Finger operated miniaturized m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TV용 리모컨, 휴대폰, PDA 등의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는 광감지부;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 및 상기 광감지부를 밀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덮개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조리개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의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광감지부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TV용 리모컨, 휴대폰, PDA 등의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 PC용 광마우스의 기능을 한 단계 발전시킨 형태로써 렌즈 및 센서 등의 모듈을 소형화함과 동시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광신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와 같은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광학 설계된 옵티컬 핑거 마우스(Optical Finger Mouse:OFM)가 TV용 리모컨,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종래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던 키패드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옵티컬 핑거 마우스에 대한 슬림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지만, 옵티컬 핑거 마우스가 슬림화되면 다시 말해서,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동작 성능 담보를 위해 요구되는 최적의 광 경로 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옵티컬 핑거 마우스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의 경우 빛이 진행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가 요구되므로 종래의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구조에서는 슬림화 구성의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옵티컬 핑거 마우스(1a)는 기판(2a), 광차폐부(3a), 렌즈부(4a), 조리개부(5a), 및 덮개부(6a)를 포함하며, 종래의 옵피컬 핑거 마우스(1a)의 경우 기판(2a)상에 배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렌즈부(4a) 및 조리개부(5a)를 통과한 후 덮개부(6a)에 접하는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조리개부(5a) 및 렌즈부(4a)를 통과한 후 기판(2a) 상에 배치되는 수광 센서에 조사되면 수광 센서가 상기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옵티컬 핑거 마우스(1a)의 경우 일반 PC용 마우스와 같이 사용자가 클릭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제공되는 각종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판(2a) 하부면에 돔 스위치(7a)를 추가로 구성하여 돔 스위치(7a)가 덮개부(6a)에 접촉하는 상기 손가락의 압력에 의해 눌러지는 형태로 돔 스위치(7a)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돔 스위치(7a)가 기판(2a) 하부면에 구성됨에 따라 기판(2a)이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판(2a)의 일정 이상의 두께가 요구되고, 돔 스위치(7a)의 두께 또한 0.3mm 이상이므로 결과적으로 옵피컬 핑거 마우스(1a)의 두께가 증가되어 옵티컬 핑거 마우스(1a)의 슬림화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경우 기판(2b), 광차폐부(3b), 렌즈부(4b), 조리개부(5b), 및 덮개부(7b)외에 조리개부(5b)와 덮개부(7b) 사이에 금속판(6b)을 추가로 구성하고 금속판(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2b) 상에 터치 센서를 추가로 구성하여 금속판(6b)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capative touch) 방식에 의해 도 1의 돔 스위치(7a)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경우에도 금속판(6b)의 추가에 따라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슬림화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단일 부품으로 조리개 기능 및 정전식 터치 패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슬림화 및 터치 성능 개선이 가능한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마우스는 기판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는 광감지부;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 및 상기 광감지부를 밀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덮개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조리개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의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광감지부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개부는 양측면 하부로부터 상기 조리개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프랜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랜지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개부를 통하여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 또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판단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부는 도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황동, 또는 인청동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감지부를 차폐하는 광차폐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조리개부 측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리개부를 통과한 광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덮개부 측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 경로 가이드 홈 및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은 OFM(Optical Finger Mouse) 방식의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광감지부가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배치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a1)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는 제1 절전 모드 또는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동작 및 비동작을 반복하는 제2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요 단말의 동작 방법은 FM(Optical Finger Mouse) 방식의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미리 결정된 근접도 이상인 경우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경우, (b1)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는 제1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c1)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 및 비동작을 반복하는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은 FM 방식으로 동작하는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을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이상일 경우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a1)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는 제1 절전 모드 또는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동작 및 비동작을 반복하는 제2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미만인 경우, (c1) 상기 접촉 대상의 상기 덮개부에 대한 근접도를 확인하여 상기 근접도에 따라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의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하는되도록 하는 버튼 동작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은 OFM 방식으로 동작하는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중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근접도가 미리 결정된 근접도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오프시키는 단계; (c)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온 시킨 후 상기 광학 장치가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을 확인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상기 미리 결정된 면적 미만인 경우, (e1)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개부가 광감지부로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과 동시에 정전식 터치 패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돔 스위치또는 금속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높이를 최소화한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리개부를 금속 소재로 형성하여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에 비해 조리개부의 두께를 크게 낮출 수 있고 동시에 손가락의 압력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전식 터치 패드 역할을 수행하는 조리개부를 금속 소재로 형성하여 정전식 터치 패드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터치 패드의 인식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접촉 대상에 의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덮개부 근접도 또는 손가락의 덮개부 접촉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제1 절전 모드, 제2 절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를 휴대용 단말에 적용하는 경우 접촉 대상에 의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덮개부의 근접도 또는 손가락의 덮개부 접촉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제1 절전 모드, 제2 절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옵티컬 핑거 마우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리개부의 사시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조리개부와 기판의 결합 참고도,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조리개부에 대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리개부의 사시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조리개부와 기판의 결합 참고도,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조리개부에 대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는 기판(20), 덮개부(30), 조리개부(40), 렌즈부(50), 및 광차폐부(60)를 포함한다.
기판(20)은 상부에 광원(22), 광원(2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광감지부(24), 및 접촉 감지부(26)가 결합될 수 있고, 상부에 신호 라인(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30)는 기판(20) 상부에 결합되어 광원(22) 및 광감지부(24)를 밀폐한다.
이때, 덮개부(30)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의 동작을 위한 접촉 대상이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접촉 대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일 수 있다.
또한, 광감지부(24)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부(26)는 조리개부(40)를 통하여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 또는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접촉 감지부(26)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지부(24)와 별도로 구성하거나 또는 광감지부(24)가 접촉 감지부(26)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단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리개부(40)는 기판(20)과 덮개부(30) 사이에 결합되어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되어 덮개부(30) 상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조리개부(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기판(20) 상에 형성되는 신호라인(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가 위치하는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광감지부(24)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리개부(40)는 단일 구성으로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되어 덮개부(30) 상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 역할과 동시에 정전식 터치 패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부(40)의 상세 구성은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렌즈부(50)는 조리개부(40)와 기판(20) 사이에 결합되어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조리개부(40) 측으로 조사하고 덮개부(30) 상부면과 접하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조리개부(40)를 통과한 광을 집광시켜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한다.
이때, 렌즈부(50)는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조리개부(40) 측으로 조사하는 프리즘 및 조리개부(40)를 통과한 광을 집광시켜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하는 집광렌즈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는 렌즈 프리즘일 수 있다.
광차폐부(60)는 렌즈부(50)와 기판(20) 사이에 결합되어 기판(20)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60)를 통과한 후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되는 광만 광감지부(24)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광감지부(24)를 차폐하여 산란광이 광감지부(2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의 조리개부의 사시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3의 기판과 조리개부의 결합 참고도이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부(40)는 양측면 하부로부터 조리개부(4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프랜지부(42), 상부면에 형성되어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덮개부(30) 측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 경로 가이드 홈(44), 및 덮개부(30) 상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광감지부(24)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홈(46)을 포함한다.
이때, 조리개부(40)는 황동 또는 인청동과 같은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충격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SUS)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부(40)는 일반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에 금속 도금을 하거나 비금속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있다.
이와 같이, 조리개부(40)가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 종래에 조리개부(40)의 소재로 사용되던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과 비교시에 조리개부(4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개부의 경우 사출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최소 두께가 0.32mm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 기능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금속판(6b)이 추가 구성되는 경우 최소 두께가 0.1mm인 금속판(6b)이 조리개부 상부에 조립되므로 금속판(6b)과 조리개부(5b)를 포함하는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전체 높이는 최소 0.42mm가 증가하게 되어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슬림화에 한계가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의 조리개부(40)의 경우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개 역할 및 정전식 터치 패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의 슬림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랜지부(42)와 기판(20) 상에 형성되는 신호 라인(28)은 프렌지부(42)와 신호 라인(28)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해지도록 전도성 재질의 Ag 에폭시를 이용한 접착 방식 또는 Solder를 이용한 남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프렌지부(42)와 신호 라인(28)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이유는 신호 라인(28)을 통해 조리개부(40)와 기판(20) 상에 결합되는 정전 감지부(2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조리개부(40)가 도 2에 도시된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금속판(6b)과 같이 정전식 터치 패드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옵티컬 핑거 마우스(1b)의 높이 대비 약 0.21mm를 낮출 수 있게 되며, 조리개부(40)가 정전식 터치 패드로서 동작하므로 면적과 인식율이 비례하는 터치 패드의 특성상 터치 패드의 인식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리개부(40)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조리개부(40)의 표면에서 난반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 상에 형성되는 신호라인(28)과 결합되는 프랜지부(42)를 제외한 부분에 불필요한 광선이 입사되는 경우 흡수가 가능하도록 검정색의 자외선(UV)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리개부(4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되고 하부면 및 프랜지부(42)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도록 이중 사출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의 경우 TV용 리모컨,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용 단말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가 휴대용 단말에 적용되는 경우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조리개부(40)를 통하여 덮개부(30)와 덮개부(30)의 상부면에 접하는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접촉 대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 포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마우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일 수 있다.
S2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S3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광감지부(24)를 제1 절전 모드 또는 제2 절전 모드가 되도록 한 후 다시 S10 및 S20을 재수행하며, S2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S4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광감지부(24)를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한 후 광감지부(24)가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S30에서 상기 제1 절전 모드는 광감지부(24)가 동작하지 않는 모드를 의미하고, 상기 제2 절전 모드는 광감지부(24)가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동작 및 비동작을 반복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S40에서 상기 동작 모드는 광감지부(24)가 동작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에서 광감지부(24)의 소비 전류는 5mA, 상기 제1 절전 모드에서 광감지부(24)의 소비 전류는 5μA 이하, 및 상기 제1 절전 모드에서 광감지부(24)의 소비 전류는 1mA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S50에서 광감지부(24)가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의 경우 접촉 감지부(26)에 의해 판단되는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여부에 따라 광감지부(24)를 제1 절전 모드, 제2 절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광감지부(24)의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덮개부(30)와 덮개부(30)의 상부면과 접하는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한다.
S120에서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경우 S13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비근접 시간 다시 말해서,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비근접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이면 S140에서 접촉 감지부(24)가 광감지부(22)를 제1 절전 모드가 되도록 한 후 S110 및 S120을 재수행한다.
이때,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감지부(26)의 감지 범위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한 후 상기 접촉 대상이 제1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경우의 근접도를 의미할 수 있다.
S12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이상인 경우 S15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여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S17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광감지부(24)를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한 후 종료가 이루어진다.
또한, S150에서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이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S16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광감지부(24)를 제2 절전 모드가 되도록 한 후 S110 및 S120을 재수행한다.
여기에서, 접촉 감지부(2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감지부(26)가 상기 접촉 대상이 제2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경우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의 경우 접촉 감지부(26)의 감지 영역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하여 상기 접촉 대상이 제1 영역(a1)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접촉 대상이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광감지부(24)가 제1 절전 모드, 제2 절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광감지부(24)의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순서도 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덮개부(20)와 덮개부(30)의 상부면과 접하는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한다.
S220에서 덮개부(2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S230에서 접촉 감지부(24)가 광감지부(24)를 제1 절전 모드 또는 제2 절전 모드가 되도록 한 후 S210 및 S220 을 재수행하고, S220에서 덮개부(2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S24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광감지부(24)를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한다.
S250에서 광감지부(24)가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을 확인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이상인 경우 S260에서 광감지부(25)가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킨 후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은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x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량(△x) 및 상기 접촉 대상의 y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량(△y)에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S25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미만인 경우 S27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하여 상기 근접도에 따라 버튼 동작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한 후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버튼 동작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의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의 경우 접촉 감지부(26)의 감지 영역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하여 상기 접촉 대상이 제1 영역(a1)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접촉 대상이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광감지부(24)가 제1 절전 모드, 제2 절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광감지부(24)의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동작 모드 시 생성되는 움직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버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상태에서 접촉 감지부(26)가 덮개부(30)와 덮개부(30)의 상부면과 접하는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한다.
이때, S31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상태 다시 말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을 사용 중 덮개부(30)의 상부면과 근접하게 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피부일 수 있다.
S320에서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경우 S310이 재수행되고,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이상인 경우 S33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오프시킨다.
S340에서 광감지부(24)가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하고, S350에서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S340이 재수행되고, S350에서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는 경우 S370에서 광감지부(24)가 상기 접촉 대상이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S34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상태에서 전화 번호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 기타 입력 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포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마우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일 수 있다.
S380에서 광감지부(24)가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을 확인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이상인 경우 S390에서 광감지부(24)가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킨 후 종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S380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인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미만인 경우 S390에서 접촉 감지부(26)가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오프시킨 후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의 경우 접촉 감지부(24)의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 또는 덮개부(30)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중 불필요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중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10)를 통한 정보 확인 또는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이 온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이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20) : 기판
(22) : 광원 (24) : 광감지부
(26) : 접촉 감지부 (28) : 신호 라인
(30) : 덮개부 (40) : 조리개부
(42) : 프랜지부 (44) : 광 경로 가이드 홈
(46) : 조리개 홈 (50) : 렌즈부
(60) : 광차폐부
(22) : 광원 (24) : 광감지부
(26) : 접촉 감지부 (28) : 신호 라인
(30) : 덮개부 (40) : 조리개부
(42) : 프랜지부 (44) : 광 경로 가이드 홈
(46) : 조리개 홈 (50) : 렌즈부
(60) : 광차폐부
Claims (16)
- 기판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는 광감지부;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 및 상기 광감지부를 밀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덮개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조리개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의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광감지부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부는 양측면 하부로부터 상기 조리개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프랜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랜지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개부를 통하여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 또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판단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부는 도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황동, 또는 인청동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부를 차폐하는 광차폐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조리개부 측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리개부를 통과한 광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덮개부 측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 경로 가이드 홈 및 상기 접촉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광감지부 측으로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 삭제
- 삭제
- OFM(Optical Finger Mouse) 방식의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미리 결정된 근접도 이상인 경우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경우, (b1)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근접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근접도 미만인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는 제1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c1)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 및 비동작을 반복하는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OFM 방식으로 동작하는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을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이상일 경우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미만인 경우, (c1) 상기 접촉 대상의 상기 덮개부에 대한 근접도를 확인하여 상기 근접도에 따라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의 일 지점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하는 버튼 동작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지 않으면, (a1)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는 제1 절전 모드 또는 상기 광학 장치의 광감지부가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동작 및 비동작을 반복하는 제2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삭제
- OFM 방식으로 동작하는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단말의 통화 기능 활성화 중 상기 광학 장치의 덮개부와 접촉 대상의 근접도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근접도가 미리 결정된 근접도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오프시키는 단계;
(c)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접촉 대상의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온 시킨 후 상기 광학 장치가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을 확인하여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미리 결정된 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접촉 대상의 움직임 면적이 상기 미리 결정된 면적 미만인 경우, (e1)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581A KR101364154B1 (ko) | 2012-03-30 | 2012-03-30 |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581A KR101364154B1 (ko) | 2012-03-30 | 2012-03-30 |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1077A KR20130111077A (ko) | 2013-10-10 |
KR101364154B1 true KR101364154B1 (ko) | 2014-02-18 |
Family
ID=4963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3581A KR101364154B1 (ko) | 2012-03-30 | 2012-03-30 |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41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0995A (ko) | 2014-01-03 | 2015-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입력 장치를 갖는 전자장치에서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6950A (ko) * | 2005-08-03 | 2007-02-08 | (주)모비솔 |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초박형 포인팅 장치 |
KR100896960B1 (ko) | 2009-01-06 | 2009-05-12 | (주)파트론 | 적층식 광 개방형 초소형 광학장치 |
KR20090051683A (ko) * | 2007-11-19 | 2009-05-22 | 광주과학기술원 | 광 포인팅 장치 |
KR20110032572A (ko) * | 2009-09-23 | 2011-03-30 | 크루셜텍 (주) | 초슬림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
-
2012
- 2012-03-30 KR KR1020120033581A patent/KR1013641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6950A (ko) * | 2005-08-03 | 2007-02-08 | (주)모비솔 |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초박형 포인팅 장치 |
KR20090051683A (ko) * | 2007-11-19 | 2009-05-22 | 광주과학기술원 | 광 포인팅 장치 |
KR100896960B1 (ko) | 2009-01-06 | 2009-05-12 | (주)파트론 | 적층식 광 개방형 초소형 광학장치 |
KR20110032572A (ko) * | 2009-09-23 | 2011-03-30 | 크루셜텍 (주) | 초슬림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1077A (ko) | 201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9442B1 (ko) |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 |
JP6024903B2 (ja) |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 |
WO2016192641A1 (zh) |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 |
US20190205007A1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30135211A1 (en) | Keyboard | |
JP2008510248A (ja) | 超薄型の光学式ジョイスティックおよび超薄型の光学式ジョイスティックを含んだ個人用携帯端末機 | |
US20110186414A1 (en) | Dome switch integrated touch window for mobile terminal | |
KR100970129B1 (ko) | 광 포인팅 장치 및 동작 방법 | |
CN107479768B (zh)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KR101364154B1 (ko) | 초박형 옵티컬 핑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방법 | |
KR101145156B1 (ko) | 압력기반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 |
KR20150087714A (ko) |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 |
JP5197490B2 (ja) | 静電容量型入力デバイス | |
KR100899865B1 (ko) | 초슬림 광포인팅 장치 | |
TW201539290A (zh) | 游標裝置及鍵盤 | |
KR101320681B1 (ko) | 포인팅 디바이스 | |
KR101062905B1 (ko) | 입력영역별 기준압력 조절 가능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 |
KR101639979B1 (ko) | 포인팅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358355B1 (ko) | 터치 패드 | |
KR101119285B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레이져 네비게이션 모듈 | |
KR20100035968A (ko) |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TWI587189B (zh) | 觸控面板 | |
KR100787616B1 (ko) | 초슬림형 광 포인팅장치 키모듈 및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 |
KR101092857B1 (ko) | 초슬림 광조이스틱 | |
KR101092855B1 (ko) |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