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654B1 -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654B1
KR101363654B1 KR1020120057668A KR20120057668A KR101363654B1 KR 101363654 B1 KR101363654 B1 KR 101363654B1 KR 1020120057668 A KR1020120057668 A KR 1020120057668A KR 20120057668 A KR20120057668 A KR 20120057668A KR 101363654 B1 KR101363654 B1 KR 10136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nea
electrical stimulation
unit
snoring
submandi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4268A (en
Inventor
김승오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654B1/en
Publication of KR2013013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호흡치료장치는 사용자의 흉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청진부; 상기 청진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음향 신호의 변화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음향 신호값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무호흡판별부; 상기 무호흡판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턱밑 근육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여 상기 턱밑 근육의 근 수축을 유도하는 전기자극부; 및 상기 전기자극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획득하여 그 변화를 판별하는 무호흡판별부, 상기 무호흡판별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대상자의 호흡이 멈추었다고 판단될 경우 턱밑 표피를 자극하여 턱밑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수행하는 전기자극부를 통해 근수축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기도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The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thoscope for acquiring an acoustic signal of a chest of a user; An apnea discriminating unit for comparing the change of the sound signal obtained from the stethoscope unit to determine whether it is out of a preset reference sound signal value range; An electrical stimula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pnea discriminating part, and inducing muscle contraction of the submandibular muscle by applying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for acquiring sound generated in the chest of the human body and determining the change thereof,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s breathing is stopp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stimulates the submandibular epidermi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mandibular 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which performs stimulation, causes muscle contraction, thereby enabling airway opening.

Description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은 턱밑 근육에 대한 전기적인 자극을 통한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호흡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호흡의 정상 여부에 따라 턱설근 또는 턱설골근과 같은 턱밑 근육에 인접한 턱밑 표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근수축을 유발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현상을 개선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 and specific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s breathing process is normally performed,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breathing is norm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that electrically stimulates the submandibular epidermis adjacent to the same submandibular muscle to induce muscle contraction, thereby improving snoring and sleep apnea.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나아가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The snoring is through the narrowed airways due to various causes of respiratory airflow during sleep (relaxed soft palate (relative to the softer back part of the mouth)) and palate (necked, sultry in the shape below the center of the oral soft palate). This is a breathing noise caused by vibrations in the surrounding structures of the. In addition, sleep apnea is a frequent occurrence of respiratory arrest during sleep, causing sleep disorders such as severe snoring and daytime drowsiness. Hypoxia caused by sleep apnea can also lead to a variety of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수면 중 코골이 및 무호흡이 발생되는 원인은 수면 중 숨구멍의 주위 근육이 이완되어 숨구멍의 공기흐름을 방해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발생된다. 주로, 목젖 또는 혀와 연결된 근육이 이완되고, 목젖이나 혀가 중력으로 인해 처져 숨구멍을 차단함으로써 발생된다.The cause of snoring and apnea during sleep is caused by the relaxa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pores during sleep, disrupting or blocking the airflow in the pores. Mainly, muscles associated with the neck or tongue are relaxed, and the neck or tongue sags due to gravity, blocking the pores.

코골이의 발생빈도는 30~35세 남성의 20% 및 여성 5%에서 일어나고, 60세 이후에는 남성 60% 및 여성 40%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면 무호흡의 발생빈도는 남성 4% 및 여성 2%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incidence of snoring occurs in 20% of males and 5% of females between 30 and 35 years of age, and in 60% of males and 40% of females after 60 years of age.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sleep apnea is known to occur in 4% of men and 2% of women.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원인은 신경학적 이상과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데, 신경학적인 이상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에서 신경학적 원인은 턱으로부터 혀까지 운영되는 근육(Genioglossus)의 음압 반사 이상과 관련된다.The causes of snoring and sleep apnea are neurological and anatomical abnormalities, many of which are known to be neurological. Neurological causes, among others, are associated with negative pressure reflex abnormalities in the muscle (Genioglossus) that runs from the jaw to the tongue.

한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에는 다이어트, 구강장치, 양압 호흡기, 및 수술적 치료 등이 있다.Meanwhile, method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include diet, oral device, positive pressure respiratory system, and surgical treatment.

이중 양압 호흡기는 기계가 강제적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숨구멍을 열어주는 방식으로서, 제대로 착용만 한다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100% 완치가 가능하다. 단점으로, 코마름, 코막힘, 코점막 자극이 있고, 착용 시 불편하고, 평생 착용해야 하며, 가격이 비싸다.The dual positive pressure respirator is a method in which the machine forcibly blows open the pores, and if worn properly, it can be 100% cur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Disadvantages include nasal congestion, nasal congestion, nasal mucus irritation, inconvenient to wear, lifelong wearing, and expensive.

수술적 치료는 한 번의 시술로 치료가 가능하나, 성공률이 약 40%정도로 낮고, 자주 재발되며, 혀가 막히는 경우 한계가 있고,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Surgical treatment can be treated with a single procedure, but the success rate is as low as 40%, frequent recurrences, limiting when the tongue is blocked, and causing severe pain.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전극을 환자에 이식하여 코골이를 치료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 미국특허 제 6636767 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인용문헌 상에서는 숨구멍을 조절하는 근육이 있는 자극 접촉 부위에 이식된 전극을 통해 근육을 수축시키도록 에너지가 가해지고, 숨구멍을 변경시킨다. 전극은 입 속의 입 천정에 설치되는 컨트롤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데, 컨트롤 장치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된다.As a conventional method of treating snoring by implanting an electrical stimulating electrode in a patient, US Pat. No. 6,636,767 may be exemplified. On this reference, energy is applied to contract the muscles through electrodes implanted in the stimulus contact site with the muscles that control the pores and alter the pores. The electrodes are operated by a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mouth ceiling of the mouth, which is energiz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그러나, 종래기술은 전극을 작동시키는 컨트롤 장치를 수면 전에 입 천정에 설치해야 한다거나 환자의 코골이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컨트롤 장치의 페이싱을 설정하고, 전극을 이식 후에 환자에 맞게 페이싱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is inconvenient to install a control device to operate the electrode on the ceiling of the mouth before sleep, or to monitor the patient's snoring pattern to set the facing of the control device, and adjust the pacing to the patient after the electrode implanted There is this.

미국특허 제 6636767 호U.S. Patent No. 663676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상자의 흉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획득하여 그 변화를 판별하고, 대상자의 호흡이 멈추었다고 판단될 경우 턱밑 표피를 자극하여 턱밑 근육을 긴장시키는 경피접촉 전기자극을 수행하여 근수축을 유발함으로 인해 기도개방을 가능하게 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현상을 개선하게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hest of the subject to determine the chang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s breathing is stopped, the percutaneous contact electrics that stimulate the submandibular muscle to strain the submandibular mus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noring and apnea treatment device that enables snoring and sleep apnea to be improved by performing stimulation to induce muscle contrac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호흡치료장치는 사용자의 흉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청진부; 상기 청진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음향 신호의 변화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음향 신호값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무호흡판별부; 상기 무호흡판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턱밑 근육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여 상기 턱밑 근육의 근 수축을 유도하는 전기자극부; 및 상기 전기자극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nea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thoscope for obtaining an acoustic signal of the chest of the user; An apnea discriminating unit for comparing the change of the sound signal obtained from the stethoscope unit to determine whether it is out of a preset reference sound signal value range; An electrical stimula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pnea discriminating part, and inducing muscle contraction of the submandibular muscle by applying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상기 전기자극부는 턱밑 피부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may be preferably attached to the submandibular skin to operate.

상기 턱밑 근육은 턱설근(genioglossus) 또는 턱설골근(geniohyoidmuscle)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submandibular muscle may be preferably genioglossus or geniohyoidmuscle.

상기 전기자극부는 혀 근육과 가장 가까운 피부에 상기 경피 전기 자극이 행해지도록 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portion may be preferably in a shape such that the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is performed on the skin closest to the tongue muscle.

상기 전기자극부는 사용자의 얼굴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밴드 및 상기 밴드에 부착되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may include a band of a shape surrounding a user's face and an electrical terminal attached to the band.

상기 전기자극부는 사용자 머리의 둘레에 대응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링, 상기 본체링 내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상부링, 상기 본체링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부링, 및 상기 하부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상기 턱밑 피부에 밀착하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body ring is adjustable in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head, an upper ring for connecting across the inside of the body ring, a lower ring disposed to face the upper ring based on the body ring, and the lower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an electrical terminal attached to the r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mandibular skin of the user.

상기 전기자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를 착용한 경우 운동의 대상이 되는 상기 턱밑 근육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소정 개수의 개구부; 및 상기 본체를 착용했을 때에 상기 턱설근 또는 상기 턱설골근 근방의 피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the main body wearable on the head of the user; A predetermined number of openings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located in the vicinity including the submandibular muscle to be exercised when the main body is worn; And an electrode formed in the opening to be positioned on the skin surface near the jaw muscles or the jaw muscles when the main body is worn.

상기 청진부와 상기 무호흡판별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auscultation unit and the apnea discriminating unit may be connected wirelessly.

상기 전기자극부와 상기 무호흡판별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nd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nected wirelessly.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청진부 또는 상기 무호흡판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the stethoscope section or the apnea determination section.

상기 무호흡판별부가 상기 전기자극부에 전송하는 신호는 전기 펄스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is an electrical pulse.

상기 청진부 및 상기 무호흡판별부는 스마트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stethoscope unit and the apnea discriminating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는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획득하여 그 변화를 판별하는 무호흡판별부, 상기 무호흡판별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대상자의 호흡이 멈추었다고 판단될 경우 턱밑 표피를 자극하여 턱밑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수행하는 전기자극부를 통해 근수축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기도개방을 가능하게 한다.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a sound generated in the chest of the human body and determines the change of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the subcutaneous epiderm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s breathing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By stimulat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at perform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s causes muscle contraction, thereby enabling the opening of the airway.

본 발명은 구강내 장치나 수술 등을 시행하는 과거의 경우에 과다한 비용, 공간적 제한, 및 시술 후 사용의 불편함 등의 단점을 극복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excessive cost, space limitations, and inconvenience of use after the procedure in the past for performing oral devices or surgery.

또한, 수면과 진정 환자에 있어 기도폐쇄로 인해 코골이 및 무호흡 현상이 생기면서 수면의 유지와 만족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일상적으로 쉽게 호흡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비침습적이어야 할 필요성을 충족한다.In addition, airway obstruction causes snoring and apnea due to airway obstruction, which reduces the maintenance and satisfaction of sleep, and makes it easy to breathe daily and meets the need to be noninvasive. .

특히, 본 발명은 고령화 사회 및 비만도 증가로 인해 기도폐쇄로 인해 코골이 및 무호흡 현상이 생기면서 수면의 유지와 만족도가 감소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장비로서 양질의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점점 강해진다는 점에서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게 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reasingly strong desire to pursue a quality life as a device to solve the problem of snoring and apnea due to airway obstruction due to the aging society and increased obesity decreases the maintenance and satisfaction of sleep In this regard, demand is likely to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에 대한 개념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감시 유닛의 일 예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부의 일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부의 다른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이는 예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의 사용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ethoscop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time course of the use of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tegrally or separately separated as necessary.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form of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코골이snore 및 무호흡 치료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설명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pnea treatment device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핀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100)는 인체의 순환이나 마취 또는 수면 상태의 호흡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청진할 수 있는 청진 감시 유닛(10), 청진 감시 유닛(10)으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 자극부(40), 청진 감시 유닛(10)와 전기 자극부(40)에 전력을 제공하는 주전원 공급부(50), 및 청진 감시 유닛(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전기 자극부(40)와 주전원 공급부(50)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perform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information from a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and a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capable of auscultating a circulatory, anesthetic or sleeping breath in a human body by wire or wireless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40,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and the main power supply 50 for providing power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Include. Here, the control unit 6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40 and the main power supply unit 50.

청진 감시 유닛(10)은 청진부(20) 및 무호흡 판별부(30)를 포함한다.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includes a stethoscope 20 and an apnea determination unit 30.

청진부(20)는 호흡 및 순환음을 집음하기 위한 집음판(23)과, 집음판(23)에서 집음된 청진음을 디지털 청진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24), 상기 집음판(23)의 일면 상단에 접촉되어 청진 시 집음을 전술한 마이크로폰(24)으로 전달하는 탐침(22)과, 상기 집음판(23)의 타면 둘레에 접착되어 청진 감시 유닛(10)을 환자의 체표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층(21)을 포함한다. The stethoscope unit 20 includes a sound collecting plate 23 for collecting breathing and circulation sounds, a microphone 24 for converting the stethoscop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plate 23 into digital stethoscope data, and the sound collecting plate 23. The probe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urface and delivers the sound-collecting sound to the microphone 24 described above, and is bonded around the other surface of the sound collecting plate 23 to adhere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to the body surface of the patient. An adhesive layer 21 is included.

무호흡 판별부(30)는 호흡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감시기(31), 감시기(31)에서 정상이 아님을 감지하는 경우에 외부로 표시하는 LED(32), 및 감시기(31)와 LED(32)에 예비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기(33)를 포함한다.The apnea determination unit 30 monitors 31 to determine whether breathing is normal, an LED 32 to be displayed to the outside when the monitor 31 detects that it is not normal, and a monitor 31 and an LED 32. Auxiliary power supply 33 for supplying a reserve power to the).

한편, 감시기(31)는 마이크로폰(24)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청진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상 호흡 상태의 청진데이터와 집음된 청진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범위 이상으로 차이 발생 시 이상을 알리는 무선송수신부를 구비한다. 감시기(31)는 메모리 및 무선송수신부와 입출력이 연결되어 이상을 판단하고, 알림 데이터 생성 및 알림을 실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청진 감시 유닛(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에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는 스위치부(12)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monitor 31 compares the memory storing the digital stethoscope data output from the microphone 24 with the stethoscope data of the normal respiratory state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collected stethoscope data to correct an abnormality when a difference occurs over the set range. Informing is provided with 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e monitor 31 further includes a microprocessor for determining an abnormality by connecting an input / output with a memory,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generating notification data and performing notification. Here,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further includes a switch unit 12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microprocessor to input a command to control the microprocessor.

상시 무선송수신부는 블루투스 송수신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기(31)로부터 환자식별 아이디와 무선송수신부의 고유데이터를 알림데이터와 함께 입력받아 무선으로 송출하며, 수신자의 요청에 따라 전술한 고유데이터와 함께 디지털 청진데이터를 송출한다.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may be configured as a Bluetooth transceiver. The patient identification ID and the unique data of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input from the monitor 31 together with the notification data and wirelessly transmitted, and the digital stethoscope data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unique data described above at the request of the receiver.

전술한 무선송수신부의 블루투스 송출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는 공지의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블루투스 이어폰은 수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유데이터로 여러개의 청진 감시 유닛(10)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무선으로 청음할 수 있으며, 이상 알림 수신 시 이상을 알린 청진 감시 유닛(10)에 청음을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LED(32)는 청진 감시 유닛(10)의 작동중임을 나타내며, 감시기(31)의 이상 판단 시 이상을 점등 발광으로 알릴 수 있다.The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the Bluetooth transmission of the above-mentioned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may be configured with a known Bluetooth earphone, and the Bluetooth earphone analyzes the received data and selects one of several stethoscope monitoring units 10 as unique data. By listening to the radio by wireless, you can request to listen to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that informed the abnormality upon receiving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ED 32 indicates that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is in operation, and when the abnormality of the monitor 31 is determined, the abnormality may be notified by light emission.

한편, 본 발명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100)의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을이용하여 환자의 호흡을 무선으로 청음한 후 이를 분석하여 전기 자극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상에 청음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전기 자극은 전기 자극부(4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가능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noring and apnea treatment device 100 can listen to the patient's breathing wirelessly using a smartphone and then analyze it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his may be possible by installing and running an application that enables listening and analysis on the smartphone.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made possible by the wires or wires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ortion 40.

본 발명에서 무호흡 및 코골이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혀와 후두부를 당겨주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전기적 자극에 의한 근육수축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장시간 가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posture pulling the tongue and the head as a practical way to improve apnea and snor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 long time using muscle contrac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3 to 5 show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기 자극부(40,70,80)는 대상자의 턱밑 표피를 통하여 턱밑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수행하여 근수축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기도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기 자극부(40,70,80)는 혀 근육과 가장 가까운 피부에 경피 전기 자극을 수행한다. 상기의 턱밑 근육은 턱설근(genioglossus) 또는 턱설골근(geniohyoidmuscle) 일 수 있다.Electrical stimulation (40, 70, 80) perform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s through the submandibular epidermis of the subject to cause muscle contraction, thereby enabling the opening of the airway. The electrical stimulator 40, 70, 80 performs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skin closest to the tongue muscle. The submandibular muscle may be genioglossus or geniohyoidmuscle.

전기 자극부(40,70,80)는 혀 근육과 가장 가까운 피부에 경피 전기 자극이 행해지도록 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timulation portion 40, 70, 80 may preferably be shaped to allow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to be performed on the skin closest to the tongue muscle.

경피 전기 자극을 행할 수 있는 전기 자극부의 일 실시 형태(40)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얼굴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밴드(41) 및 상기 밴드(41)에 부착되는 전기 단자(44)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41)의 양측 말단부(42)에 배치되는 접착부(43)를 통해 안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전기 단자(44)는 밴드(41)의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어져 턱밑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s an embodiment 40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unit capable of performing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a band 41 having a shape surrounding a user's face and an electrical terminal 44 attached to the band 41 are provided. It may be in the form of containing.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fix at an appropriate pressure on the face through the adhesive portion 43 disposed on both end portions 42 of the band 41. The electrical terminal 44 may be disposed at the central lower end of the band 4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jaw.

전기 자극부의 다른 실시 형태(70)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머리의 둘레에 대응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링(71), 본체링(71) 내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상부링(72), 본체링(73)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72)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부링(73), 및 하부링(73)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턱밑 피부에 밀착하는 전기 단자(74)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s another embodiment 70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the body ring 71 is adjustable in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head, the upper ring 72 connected across the body ring 71, The lower ring 73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ring 72 relative to the main ring 73, and the lower terminal 73 is attached to the lower terminal 73 and the electrical terminal 74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s chin Can be.

전기 자극부의 또 다른 실시 형태(80)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본체(81), 본체(81)를 착용한 경우 운동의 대상이 되는 턱밑 근육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도록 본체(81)에 형성된 소정 개수의 개구부(82), 및 본체(81)를 착용했을 때에 턱설근 또는 턱설골근 근방의 피부면에 위치하도록 개구부(82)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83)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another embodiment 80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the main body 81 which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and when the main body 81 is worn, are located in the vicinity including the submandibular muscle that is the target of exercise. A predetermined number of openings 82 formed in the main body 81, and electrodes 83 formed in the opening 82 so as to be located on the skin surface near the jaw muscle or the sublingual bone when the main body 81 is worn. It may be in the form of.

상술한 전기 자극부(40,70,80)의 다양한 실시예들 외에도 본 발명은 턱밑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턱밑 피부 상에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한 어떤 형태의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electrical stimulator 40, 70, 80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type of structure capable of direct contact on the submandibular skin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100)를 통한 구체적인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use process through 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제어부(60)는 주전원 공급부(50)를 통해 청진 감시 유닛(10) 및 전기 자극부(4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인가하고, 감시기(31) 중 메모리와 설정값을 초기화한다(S10).First, the control unit 60 a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40 through the main power supply unit 50, and initializes the memory and the set value of the monitor 31 (S10). ).

청진 감시 유닛(10)이 호흡 또는 순환음 등을 집음할 수 있도록 환자의 체표면 위에 부착 후 작동을 시작한다(S20). 여기에서, 청진부(20)의 접착층(21)을 통해 환자의 체표면에 접착되고, 집음판(23)과 탐침(22)을 통해 청음을 개시한다. 집음된 청진음은 마이크로폰(24)에 의해 디지털 청진데이터로 변환된다.After the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0 is attached to the body surface of the patient so as to pick up the breathing or circulation sounds, etc. (S20). Here, it is adhered to the body surface of the patient through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stethoscope 20, and the sound is started through the sound collecting plate 23 and the probe 22. The collected stethoscope sounds are converted into digital stethoscope data by the microphone 24.

상기 S20 단계에서 측정된 청진음과 메모리에 기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 청진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The stethoscope sound measured in step S20 is compared with the preset data in the memory to determine whether the stethoscope sound is normal (S30).

상기 S30 단계에서, 환자로부터 획득된 청진음이 정상인 경우에는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 과정 없이 계속적으로 S20 단계에서 청진 상태만을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step S30, when the stethoscope sound obtained from the patient is normal, it is assumed that only the stethoscope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step S20 without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us.

상기 S30 단계에서, 환자로부터 획득된 청진음이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에는 무호흡 판별부(30)의 감시기(31)를 통해 획득된 청진음이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파악한다(S40). 환자로부터 획득된 청진음이 오차 허용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 과정 없이 계속적으로 S20 단계에서 청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S40 단계에서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 상황 발생 시 LED(32)를 통해 알릴 수 있다.In the step S30, if the stethoscope sound obtained from the patient is not the normal ran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ethoscope sound obtained through the monitor 31 of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30 is within the error tolerance (S40). If the stethoscope sound obtained from the patient is within the tolerance range, it is assumed that the stethoscope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at step S20 without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us. On the other han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outside the tolerance range in step S40 can be notified through the LED (32).

상기 S40 단계에서, 환자로부터 획득된 청진음이 오차 허용 범위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60)는 전기 자극부(40)를 통해 턱밑 피부에 전기를 인가한다(S50). In the step S40, when the stethoscope sound obtained from the patient is not the error tolerance range, the control unit 60 applies electricity to the submandibular skin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or 40 (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환자로부터 획득된 청진음을 체크하여 정상 범위인지 여부를 재차 판단하고(S60), 정상 범위인 경우에는 메모리와 설정값을 초기화한다. 그리고, 상기 S60 단계에서, 환자로부터의 청진음이 여전히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S50 단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After the step S50, by checking the stethoscope sound obtained from the patient to determine again whether or not the normal range (S60), in the case of the normal range, the memory and the set value is initialized. And, in step S60, if the stethoscope sound from the patient still out of the normal range to continue to maintain the step S50.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100)는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획득하여 그 변화를 판별하는 무호흡판별부, 상기 무호흡판별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대상자의 호흡이 멈추었다고 판단될 경우 턱밑 표피를 자극하여 턱밑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수행하는 전기자극부를 통해 근수축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기도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The snoring and apnea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bject's breathing is stopp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for acquiring a sound generated from the chest of the human body and determining the change. In this case, it stimulates subcutaneous epidermis and causes muscle contraction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part that performs electrical stimulation to submandibular muscle, thereby enabling airway open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청진 감시 유닛
12 : 스위치부
20 : 청진부
21 : 접착층
22 : 탐침
23 : 집음판
24 : 마이크로폰
30 : 무호흡 판별부
31 : 감시기
32 : LED
33 : 보조 전원 공급기
40,70,80 : 전기 자극부
50 : 주전원 공급부
60 : 제어부
100 :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10: stethoscope monitoring unit
12: switch unit
20: stethoscope
21: Adhesive layer
22 probe
23: sound collecting plate
24: microphone
30: apnea determination unit
31: monitor
32: LED
33: auxiliary power supply
40,70,80: electrical stimulation part
50: main power supply
60:
100: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

Claims (12)

사용자의 흉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청진부;
상기 청진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음향 신호의 변화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음향 신호값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무호흡판별부;
상기 무호흡판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턱밑 근육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여 상기 턱밑 근육의 근 수축을 유도하는 전기자극부; 및
상기 전기자극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A stethoscope for acquiring an acoustic signal of a chest of a user;
An apnea discriminating unit for comparing the change of the sound signal obtained from the stethoscope unit to determine whether it is out of a preset reference sound signal value range;
An electrical stimula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pnea discriminating part, and inducing muscle contraction of the submandibular muscle by applying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bmandibular muscle;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 RTI >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턱밑 피부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attached to the submandibular skin,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턱밑 근육은 턱설근(genioglossus) 또는 턱설골근(geniohyoidmusc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bmandibular mus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oglossus or geniohyoidmuscle,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혀 근육과 가장 가까운 피부에 상기 경피 전기 자극이 행해지도록 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stimula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is performed on the skin closest to the tongue muscle,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사용자의 얼굴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밴드 및 상기 밴드에 부착되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nd of the form surrounding the user's face and the electrical terminal attached to the band,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사용자 머리의 둘레에 대응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링, 상기 본체링 내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상부링, 상기 본체링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부링, 및 상기 하부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상기 턱밑 피부에 밀착하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body ring is adjustable in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head, an upper ring for connecting across the inside of the body ring, a lower ring disposed to face the upper ring based on the body ring, and the lower And an electrical terminal attached to the r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mandibular skin of the user.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를 착용한 경우 운동의 대상이 되는 상기 턱밑 근육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소정 개수의 개구부; 및
상기 본체를 착용했을 때에 상기 턱밑 근육 근방의 피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 main body wearable to the head of the user;
A predetermined number of openings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located in the vicinity including the submandibular muscle to be exercised when the main body is worn; And
An electrode formed in the opening so as to be located on the skin surface near the submandibular muscle when the main body is worn;
≪ / RTI >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부와 상기 무호흡판별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scultation unit and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wirelessly,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와 상기 무호흡판별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nd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wirelessly,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청진부 또는 상기 무호흡판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thoscope section or the apnea determination unit,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호흡판별부가 상기 전기자극부에 전송하는 신호는 전기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apnea discrimin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pulse,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부 및 상기 무호흡판별부는 스마트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무호흡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thoscope and the apnea discrimin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Snoring and Apnea Therapy Devices.
KR1020120057668A 2012-05-30 2012-05-30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101363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68A KR101363654B1 (en) 2012-05-30 2012-05-30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68A KR101363654B1 (en) 2012-05-30 2012-05-30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68A KR20130134268A (en) 2013-12-10
KR101363654B1 true KR101363654B1 (en) 2014-02-17

Family

ID=4998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68A KR101363654B1 (en) 2012-05-30 2012-05-30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6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47A1 (en) * 2015-02-06 2016-08-11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6004A1 (en) 2019-03-28 2022-02-09 Sunrise SA System comprising a sensing unit and a device for processing data relating to disturbances that may occur during the sleep of a subject
CN111631855B (en) * 2020-07-01 2024-04-02 上海健康医学院 Portable low-frequency pulse electric stimulation intelligent snore reliev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CN116322887A (en) 2020-10-01 2023-06-23 旭日有限公司 Wearable device for reducing respiratory effort of sleeping subje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206A (en) * 1993-11-16 1995-05-30 Adaputogen Seiyaku Kk Snore preventive implement
US20100283618A1 (en) 2009-05-06 2010-11-11 Andrew Wolfe Snoring treatment
KR20110088138A (en) * 2010-01-28 2011-08-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to detect sleep apnea and classify its type
US20110230702A1 (en) 2010-03-16 2011-09-22 Kirk Honou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206A (en) * 1993-11-16 1995-05-30 Adaputogen Seiyaku Kk Snore preventive implement
US20100283618A1 (en) 2009-05-06 2010-11-11 Andrew Wolfe Snoring treatment
KR20110088138A (en) * 2010-01-28 2011-08-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to detect sleep apnea and classify its type
US20110230702A1 (en) 2010-03-16 2011-09-22 Kirk Honou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47A1 (en) * 2015-02-06 2016-08-11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68A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664B2 (en) Ear stimulator for creating stimulus signals for ears
US20190388024A1 (en) Device to detect; assess and treat snoring, sleep apneas and hypopneas
RU2719941C2 (en) Training of mouth muscles
US8914116B2 (en) Nose stimulator for producing a stimulation signal to a nose
US7748493B2 (en) Respiration stimulation
US20110166624A1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stimulation of a nerve of the human body
KR20160100900A (en) Implant unit delivery tool
AU2006208603A1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stimulation of a nerve of the human body
JP2009233024A (en) Vagus nerve stimulation system
JP2023538460A (en) Wearable device to reduce respiratory effort in sleeping subjects
WO2016176668A1 (en)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KR10136365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US201601069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CN1134233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eep apnea
JP2022505305A (en) Oral muscle training equipment and methods
US81607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KR20180002807U (en) Snoring and sleep apnea device for preventing
WO2020198453A1 (en) Ileus prevention device
CN218279935U (en) Dental brace type tongue pacing device
KR20190031757A (en) Palatal implant and electronical stimulation system using thereof
WO2023026124A1 (en) Wirelessly powered medical implant for treatment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WO2023209455A1 (en) Medical implant with tissue location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