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095B1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095B1
KR101363095B1 KR1020070027306A KR20070027306A KR101363095B1 KR 101363095 B1 KR101363095 B1 KR 101363095B1 KR 1020070027306 A KR1020070027306 A KR 1020070027306A KR 20070027306 A KR20070027306 A KR 20070027306A KR 101363095 B1 KR101363095 B1 KR 10136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ensation
voltage
light emit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575A (ko
Inventor
남우진
정인재
김기용
주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0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3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to establish symmetry in driving, e.g. with polarity inver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01L2924/13091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5Read-only memory [ROM]
    • H01L2924/1451EPROM
    • H01L2924/14511EEPROM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데이터 변조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조정하는 비교기; 및 상기 데이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에 있어서 한 화소를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3 및 도 4는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에 의해 초래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동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른 구동 TFT(DRT)의 전류(ΔIOLED)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변조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화소와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보상 데이터 발생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중치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화소와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데이터 변조부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및 제2 가중치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있어서,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내 는 블록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화소와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7는 도 25에 도시된 데이터 변조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화소와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보상 데이터 발생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화소와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5는 도 33에 도시된 데이터 변조부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36은 화소 전류의 실시간 감지 결과로 인한 데이터전압과 보상전압의 변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8은 센서들이 5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진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도 23의 룩업 테이블에서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된 문턱전압 변동양에 따라 수정된 보상전압과 가중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100, 150, 250, 290, 330 : 표시패널
51, 101, 151, 251, 291, 331 : 타이밍 콘트롤러
52, 102, 152, 252, 292, 332 : 데이터 구동부
53, 103, 153, 253, 293, 333 : 스캔 구동부
54, 104, 154, 254, 294, 334 : 화소
55, 155, 255, 335 : 데이터 변조부
61, 111, 261, 301, 341 : 스위치회로
81, 121, 171, 311, 351 : 가산기
82, 122, 172, 312, 352 : 메모리
83, 173, 353 : 디지털 변조회로
105, 156, 295, 336 : 보상 데이터 발생부
123, 174, 313, 354 :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
256, 296, 337 : 센서
257, 297, 338 : 센서 데이터 발생부
314, 315, 355 : 비교기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의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에 의해 초래되는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하도록 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Flat Panel Display, FPD)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한다),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한다)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PDP는 구조와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경박단소하면서도 대화면화에 가장 유리한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지만 발광효율과 휘도가 낮고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스위칭 소자로 TFT가 적용된 TFT LCD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표시소자이지만 비발광소자이기 때문에 시야각이 좁고 응답속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로 대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 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는 도 1과 같이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구비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한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산하게 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도 1과 같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소자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그 유기발광 다이오드소자들을 데이터전압과 스캔전압으로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데이터전압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의 밝기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패씨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 또는, 스위칭소자로써 TFT를 이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의 표시장치로 나뉘어진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은 능동소자인 TFT를 선택적으로 턴-온시켜 발광셀을 선택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gage Capacitor)에 유지되는 전압으로 발광셀의 발광을 유지한다.
도 2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를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서로 교차하는 데이터라인(DL) 및 게이트라인(GL), 스위치 TFT(ST), 구동 TFT(DR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구비한다. 스위치 TFT(ST)와 구동 TFT(DRT)는 N-타입 MOS-FET로 구현된다.
스위치 TFT(ST)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됨으로써 자신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킨다. 이 스위치 TFT(ST)의 온타임기간 동안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은 스위치 TFT(ST)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경유하여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에 인가된다.
구동 TFT(DRT)는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게이트전압 즉, 데이터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전압과 저전위 전원전압(VSS) 사이의 차전압을 저장하여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한 프레임기간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는 도 1과 같은 구조로 구현된다.
도 2와 같은 화소의 밝기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며 그 전류는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압에 의해 조절된다.
구동 TFT(DRT)에 의해 흐르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IOLED)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1
여기서, 'Vth'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k'는 구동 TFT(DRT)의 이동도 및 기생용량을 함수로 하는 상수값, 'L'은 구동 TFT(DRT)의 채널길이, 'W'는 구동 TFT(DRT)의 채널폭을 각각 의미한다.
수학식 1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 (IOLED)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Vth)이나 이동도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에서 표시화상의 화질이 균일하게 되기 위해서는 표시면 전체에서 구동 TFT(DRT)의 균일한 전기적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구동 TFT(DRT)의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Gate bias stress)에 의해 구동 TFT(DRT)는 문턱전압(Vth)이 변하고, 그 결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밝기가 변하여 구동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란 도 3과 같이 TFT의 게이트전압이 지속적으로 정극성전압으로 인가되거나(positive gate bias stress), 도 4와 같이 지속적으로 부극성전압으로 인가될 때(negative gate bias stress), 문턱전압(Vth)이 쉬프트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횡축은 TF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게이트전압(Vg)이고 종축은 TFT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이다. 도 3의 포지티브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에 의해 TFT의 문턱전압은 최초 문턱전압보다 높은 정극성 전압으로 이동하며, 도 4의 네거티브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에 의해 TFT의 문턱전압은 최초 문턱전압보다 낮은은 부극성 전압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는 TFT의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절연막에서 전하가 충전되는 차지 트래핑(charge trapping)과, TFT의 반도체층에서 실리콘 분자의 연결이 끊어져 전하 이동특성이 열화되는 디펙트 크리에이션(defect creation)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2와 같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회로에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이동은 주로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에 의해 일어난다.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TFT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문턱전압을 샘플링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추가하며, 데이터전압과 반대극성의 전압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화소 회로 각각에서 화소 회로의 구동 TFT(DRT)가 겪는 열화만큼 데이터전압의 반대극성 전압을 변동시켜야 하나 이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TFT의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에 의해 초래되는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하도록 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데이터 변조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조정하는 비교기; 및 상기 데이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보상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값을 조정하는 비교기; 및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서로 다른 극성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가중치와 상기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 상기 변조부의 출력과 상기 보상 데이터 발생부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센서의 출력과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와 상기 보상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하는 비교기; 및 상기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상기 화소들에 공급될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데이터 변조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보상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서로 다른 극성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가중치와 상기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변조부의 출력과 상기 보상 데이터 발생부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센서의 출력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와 상기 보상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서로 다른 극성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m×n 개의 화소들(54)이 형성되는 표시패널(50)과,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기초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을 예측하고 그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55)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52)와,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53)와, 상기 구동부들(52, 53)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5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50)에서,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된 화소 영역들에 화소들(54)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패널(50)의 각 화소들(54)에는 고전위 전원전압(VDD)과 저전위 전원전압(VSS)이 공급된다. 화소들(54) 각각은 도 6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TFT(DRT),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변조된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x)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111),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61)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구동 TFT(DRT)는 n 채널 MOS-FET로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데이터 변조부(55)의 메모리에는 다수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변조 전의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이하, "원 데이터전압"이라 함)(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Vth) 열화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경험적 실험치로 결정된 가중치(x)들이 저장된다. 가중치(x)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의 각 계조와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맵핑되어 룩업 테이블로 메모리에 저장된다. 가중치(x)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이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될 때 그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디지털 값으로써 경험적 실험에 의해 결정되고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된다. 가중치(x)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은 TFT에 원 데이터전압(Vdata)을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인가하여 TFT의 전류 변동을 측정하고 그 전류 변동값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으로 환산하고 수학식 4를 만족하는 x 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변조부(55)는 각각의 화소(54) 단위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가중치(x)를 곱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하여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발생한다.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산출하기 위한 가중치(x)는 N으로 나뉘어진 값으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곱해진다.
데이터 구동부(52)는 데이터 변조부(55)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을 통해 각 화소들에 공급될 데이터전압(Vdata')으로 변환한다.
스캔 구동부(53)는 타이밍 콘트롤러(5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5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52)에 공급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 등을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53)와 데이터 구동부(5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DDC, GDC)를 발생한다.
도 7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전류 열화(ΔI)를 나타낸다. 도 7과 같이,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Vdata)이 증가할수록 구동 TFT(DRT)의 전류 열화(ΔI)가 심해진다. 여기서, ΔI=Iafter/Iini로 정의된다. Iini는 구동 TFT(DRT)의 드레인-소스간 초기전류이며, Iafter는 N 번째 프레임기간에 흐르는 구동 TFT(DRT)의 드레인-소스간 전류이다.
도 8은 데이터 변조부(55)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변조부(55)는 가산기(81), 메모리(82), 및 디지털 변조회로(83)를 구비한다.
가산기(8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하고 그 합산값을 메모리(82)에 공급한다.
메모리(82)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에 대응하는 가중치들(x)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 메모리(82)는 가산기(8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을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로 하여 가중치(x)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중치(x)를 디지털 변조회로(83)에 공급한다.
디지털 변조회로(83)는 N으로 나누어진 가중치(x)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곱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산출하고 그 문턱전압 변동 양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하여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발생한다. 디지털 변조회로(83)에 의해 발생된 변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는 데이터 구동부(52)에 공급되고, 데이터 구동부(52)는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각각의 화소에 공급될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data')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Stretched exponential 함수로 모델링된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2
수학식 2에서, Vgs는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으로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같고, Vthi는 구동 TFT(DRT)의 초기 문턱전압이며, t는 구동 TFT(DRT)의 구동시간을 의미한다. τ는 구동 TFT의 스트레스 시간으로써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3
으로 정의된다.
수학식 2에서, t<<τ일 때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ΔVth)는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4
또한, 초기 0sec부터 N 번째 프레임기간까지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변동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는 수학식 4와 같이 N 개의 프레임기간까지 합산된 문턱전압 변동양과 같고 또한, 원 데이터전압(Vdata)의 함수이다. 수학식 4에서, 'x'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ΔVth)과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압(=데이터전압(Vdata))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한 가중치(x)이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5
아래의 수학식 5는 변조된 데이터전압(Vdata') 즉,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이 더해진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나타낸다. 수학식 5와 같이,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이 더해진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IOLED)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6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변동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을 가산하여 데이터전압을 변조하여 표시패널(50) 내에 문턱전압 보상회로를 설치하지 않고도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을 보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그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흐르는 TFT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91 및 S92)
이어서,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누적된 TFT의 전류변동(ΔIds)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으로 환산한 후에, 그 문턱전압 변동(ΔVth)에 기초하여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가중치(x)로 환산한다.(S93) 이렇게 얻어진 가중치(x)는 룩업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룩업 테이블은 데이터 변조부(55)의 메모리(82)에 저장된다.
데이터 변조부(55)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각의 화소별로 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합산하여 그 합산값에 대응하는 가중치(x)를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조부(55)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가중치(x)를 분산하여 분산된 가중치(x)를 매 1 프레임기간마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곱하고, 그 결과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하여 데이터를 변조한다.(S95) 이렇게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는 데이터 구동부(52)에 의해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data')으로 변환되어 데이터라인(D1 내지 Dm)과 스위치 회로(61)를 경유하여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에 공급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m×n 개의 화소들(104)이 형성되는 표시패널(100)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변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을 보상하기 위한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디지털 보상값(Ndi)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02)와,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103)와, 상기 구동부들(102, 103)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10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00)에서,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된 화소 영역들에 화소들(104)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패널(100)의 각 화소들(104)에는 고전위 전원전압(VDD)과 저전위 전원전압(VSS)이 공급된다. 화소들(104) 각각은 도 11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원 데이터전압(Vdata)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고 보상전압(Vndi)에 따라 원 데이터전압(Vdata)으로 인한 문턱전압 변동(ΔVth)이 회복되는 구동 TFT(DRT),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Vdata)과 보상전압(Vndi)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111),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111)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를 포함한다.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의 메모리에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을 회복시키기 위한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 또는 디지털 보상값(Ndi)이 저장된다. 디지털 보상값(Ndi)은 수학식 6과 같이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문턱전압의 변동(ΔVth)과 같고 데이터전압(Vdata)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으로 변환되어 각 화소들에 공급된다.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은 수학식 6과 같이 "Vdata×x=Vndi×y"를 만족하는 값으로써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은 다음과 같은 경험적 실험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이 실험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을 반복적으로 인가하여 TFT의 전류 변동을 측정하고 그 전류 변동에 대응하는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경험적 실험 결과,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은 "Vth=Vdata×x=Vndi×y"을 만족하는 가중치(y)와 보상전압(Vndi)의 디지털 값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는 각각의 화소(104) 단위로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로 인하여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디지털 보상값(Ndi)을 가산하여 그 결과를 보상 데이터로써 데이터 구동부(102)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0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로부터의 보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로부터 발생되는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과 디지털 보상값(Ndi)으로부터 발생되는 부극성 보상전압(Vndi)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교대로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102)는 도 11과 같이 데이터 제어신호(DDC)의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과 부극성 보상전압(Vndi)을 교대로 출력하는 스위치소자들(SW)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극성제어신호(C1)가 하이논리(High logic level)일 때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는 반면, 극성제어신호(C1)가 로우논리(Low logic level)일 때 부극성 보상전압(Vndi)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03)는 타이밍 콘트롤러(10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102)에 공급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 등을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103)와 데이터 구동부(10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DDC, GDC)를 발생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DC)는 각 화소들(104)에 공급될 데이터전압(Vdata)의 극성과 보상전압(Vndi)의 극성을 지시하는 극성제어신호(C1)를 포함한다.
도 12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는 가산기(121), 메모리(122), 및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123)를 구비한다.
가산기(12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하고 그 합산값을 메모리(122)에 공급한다.
메모리(122)는 보상전압(Vndi)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대응하는 가중치들(y)과 디지털 보상값들(Ndi), 또는 디지털 보상값들(Ndi)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123)는 가산기(12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을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로 하여 룩업 테이블에서 디지털 보상값(Ndi)을 선택하여 데이터 구동부(102)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123)로부터의 보상 데이터를 부극성 보상전압(Vndi)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초기 0sec부터 n 개의 프레임기간까지 보상전압(Vndi)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의 회복양(ΔVth)은 수학식 6과 같이 N 개의 프레임기간까지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과 같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7
도 13은 보상전압(Vndi)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과 같이, 구동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전류변동양(ΔI)은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압과 정비례관계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변동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을 보상전압(Vndi)의 가중치(y)로 환산한다. 가중치(y)는 보상전압(Vndi)이 높을수록 절대치가 높은 값으로 결정된다. 가중치(y)와 보상전압(Vndi)은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값이다.
도 14 및 도 15는 데이터 구동부(102)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102)는 각각 k(k는 m보다 작은 정수) 개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k)을 구동하는 다수의 소스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포함한다. 소스 집적회로 각각은 쉬프트 레지스터(131), 데이터 레지스터(132), 제1 래치(133), 제2 래치(13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하, "DAC"라 한다)(135), 및 출력회로(136)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DC)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샘플링 클럭(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극성제어신호(C1) 등을 포함한다.
쉬프트레지스터(131)는 타이밍 콘트롤러(101)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쉬프트 레지스터(131)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시켜 다음 단 집적회로의 쉬프트 레지스터(131)에 캐리신호(CAR)를 전달한다.
데이터 레지스터(132)는 타이밍 콘트롤러(10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의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들을 제1 래치(133)에 공급한다.
제1 래치(133)는 쉬프트 레지스터(131)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레지스터(132)로부터의 데이터들을 샘플링하고, 그 데이터들을 1 수평라인 분씩 래치한 다음, 1 수평라인 분의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한다.
제2 래치(134)는 제1 래치(13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래치한 다음,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에 응답하여 데이터들(RGB, Ndi)을 동시에 출력한다.
DAC(135)는 도 15와 같이 정극성 감마기준전압(GH)이 공급되는 P-디코더(PDEC)(141), 부극성 감마기준전압(GL)이 공급되는 N-디코더(NDEC)(142),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P-디코더(141)의 출력과 N-디코더(142)의 출력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143)를 포함한다. P-디코더(141)는 제2 래치(13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디코드하여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로 변환하고, N-디코더(122)는 제2 래치(11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보상 데이터들을 디코드하여 부극성 보상전압(Vndi)을 출력한다. 멀티플렉서(143)는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과 부극성 보상전압(Vndi)을 선택한다. 이러한 멀티플렉서(123)는 도 11의 스위치소자 역할을 한다.
출력회로(136)는 버퍼를 포함하여 데이터라인(D1 내지 Dk)으로 공급되는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의 신호감쇠를 최소화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의 게이트전극에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그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흐르는 TFT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141 및 S142)
이어서, 본 발명은 TFT의 전류변동(ΔIds)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Vth)로 환산한 후에, "Vth=Vndi×y"를 만족하는 Vndi와 y를 결정한다. 보상전압(Vndi)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Ndi)은 룩업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룩업 테이블은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의 메모리(122)에 저장된다.
보상 데이터 발생부(105)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각의 화소별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합산하여 그 합산값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하여 데이터 구동부(102)에 공급한다. 이 디지털 보상값(Ndi)는 데이터 구동부(102)에 의해 디지털 보상 데이터는 부극성 보상전압(Vndi)으로 변환되어 데이터라인(D1 내지 Dm)과 스위치 회로(111)를 경유하여 구동 TFT(DRT)의 게 이트전극에 공급된다.(S143 및 S144)
보상전압(Vndi)만으로는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를 완전히 보상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는 |Vdata|=|Vy|이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문턱전압 쉬프트에 대한 가중치(x, y)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문턱전압 쉬프트의 보상을 위한 Vy는 |Vdata|>|Vy| 또는 |Vdata|<|Vy|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비정질 실리콘 TFT(a-Si:H TFT)의 전기물성에 의해 좌우된다. |Vdata|<|Vy|인 경우에 데이터 구동부의 집적회로(IC)의 동작전압 범위를 초과하는 Vy는 그 집적회로에서 발생될 수 없다. 또한, 부극성 전압(Negative bias voltage)의 보상전압(Vndi)으로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보상양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 내의 개별 화소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개별 화소들 각각에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열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턱전압 변동양을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발생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의 총합(ΔVth=Vdata×x)으로 정한다. 이러한 구동 TFT(DRT)의 보상전압(Vndi)은 화소마다 다른 최적의 전압으로 인가되어야 하지만, 최적화된 보상전압(Vndi)은 무수히 많은 전압 내에서 선택되어야 하고 그 전압 범위가 감마전압 범위 내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각 화소마다 최적의 보상전압(Vndi)을 인가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표시패널의 구동 상의 이유로 보상전압(Vndi)을 각 화소에 개별로 인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전압(Vdata)과 보상전압(Vndi)을 모 두 화소에 인가하기 위하여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대면적 고해상도 표시패널을 구동하면 화소에서 스캔타임의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개별 화소마다 보상전압(Vndi)을 인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대표적인 보상전압(Vndi)을 표시패널의 모든 화소에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별 화소마다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을 완전히 보상하지 못하므로 그 부족분의 보상을 위하여 데이터전압을 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아래의 제3 실시예와 같이 보상전압(Vndi)을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을 이상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최적 전압 근방의 전압으로 생성하고 또한, 부족한 보상양을 보상하기 위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에 대응하여 데이터전압(Vdata)을 변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11과 같은 화소 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60Hz 프레임 구동에서 한 프레임을 분할하여 정극성 데이터전압과 부극성 보상전압을 화소에 시분할 공급하거나, 30 프레임기간씩 나누어 정극성 데이터전압과 부극성 데이터전압을 화소에 교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m×n 개의 화소들(154)이 형성되는 표시패널(150)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155)와,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와,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디지털 보상 데이터 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52)와,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153)와, 상기 구동부들(152, 153)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15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50),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된 화소 영역들에 화소들(154)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패널(150)의 각 화소들(154)에는 고전위 전원전압(VDD)과 저전위 전원전압(VSS)이 공급된다. 화소들(154) 각각은 도 18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변조된 데이터전압(Vx)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고 보상전압(Vndi)에 의해 문턱전압 특성을 회복하는 구동 TFT(DRT),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변조된 데이터전압(Vx)과 보상전압(Vndi)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161),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161)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조부(155)의 메모리에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Vth) 변동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부여될 제1 가중치들(x)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각 계조와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맵핑된 룩업 테이블(LUT)이 저장되어 있다. 제1 가중치(x)는 수학식 4를 만족하는 조건 즉,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만큼 데이터전 압(Vdata)이 변조되는 가중치로 결정된다. 이 데이터 변조부(155)는 각각의 화소(154) 단위로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제1 가중치(x)를 곱하고 그 결과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하여 데이터를 변조한다.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의 메모리에는 제2 가중치들(y)과 디지털 보상값(Ndi), 또는 디지털 보상값(Ndi)이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맵핑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된다. 제2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은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값들로 결정된다. 이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한다.
데이터 변조부(155)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의 메모리는 도 19와 같이 하나의 메모리로 공용화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52)는 데이터 변조부(155)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로부터의 디지털 보상값(Ndi)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을 통해 각 화소들에 공급될 아날로그 전압들(Vx, Vy)로 변환한다. 이 데이터 구동부(152)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정극성 데이터전압(Vx)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보상값(Ndiy)를 부극성 보상전압(Vndi)으로 변환한다. 데이터전압(Vx)과 보상전압(Vndi)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교대로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152)는 도 18과 같이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Vx)과 보상 전압(Vndi)을 교대로 출력하는 스위치소자들(SW)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153)는 타이밍 콘트롤러(15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5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152)에 공급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 등을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153)와 데이터 구동부(15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DDC, GDC)를 발생한다.
도 19는 데이터 변조부(155)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조부(155)는 가산기(171), 메모리(172), 및 디지털 변조회로(173)를 구비하고, 보상 데이터 발생부(156)는 가산기(171), 메모리(172) 및 보상 데이터 발생회로(174)를 구비한다.
가산기(17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하고 그 합산값을 메모리(172)에 공급한다.
메모리(172)는 제1 및 제2 가중치들(x, y)과, 디지털 보상값들(Ndi)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 메모리(172)는 가산기(17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합산값을 리드 어드레스로 하여 제1 및 제2 가중치(x, 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선택한다. 그리고 메모리(172)는 선택된 제1 가중치(x)를 디지털 변조회로(173)에 공급하고, 선택된 제2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174)에 공급한다.
디지털 변조회로(173)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 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만큼 데이터전압이 변조될 수 있도록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제1 가중치(x)를 곱한다.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174)는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 근방의 값으로 디지털 보상값(Ndi)을 발생한다.
도 20은 제1 및 제2 가중치(x, y)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과 같이, 원 데이터전압(Vdata)이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면 그 데이터전압(Vdata)의 인가시간과 전압레벨에 따라 구동 TFT(DRT)의 소스-드레인간 전류가 변한다. 또한, 데이터전압(Vdata)에 대하여 반대극성을 가지는 보상전압(Vndi)이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면 그 보상전압(Vndi)의 인가시간과 전압레벨에 따라 구동 TFT(DRT)의 소스-드레인간 전류가 변한다.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 또는 보상전압(Vndi)의 절대치 전압이 높을수록, 그리고 데이터전압(Vdata) 또는 보상전압(Vndi)의 인가시간이 길수록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증가에 의해 구동 TFT(DRT)의 소스-드레인간 전류가 증가한다. 구동 TFT(DRT)의 소스-드레인간 전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과 정비례 관계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 데이터전압(Vdata) +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으로 각 화소들에 공급될 데이터전압(Vx)이 조정되도록 제1 가중치(x)를 결정하고, "원 데이터전압(Vdata)의 반대 극성 전압 +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으로 각 화소들에 공급될 보상 전압(Vndi)이 조정되도록 제2 가중치(y)를 결정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그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흐르는 TFT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211 및 S212) 이어서, 본 발명은 TFT의 전류변동(ΔIds)를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으로 환산한 후에,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제1 가중치(y)로 환산한다.(S213 및 S214)
또한,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과 반대극성의 보상전압(Vndi)를 공급하고, 그 보상전압(Vndi)에 의해 흐르는 TFT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215 및 S216) 이어서, 본 발명은 보상전압(Vdni)을 디지털 보상값(Ndi)으로 환산하고, TFT의 전류변동(ΔIds)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으로 환산한 후에,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제2 가중치(y)로 환산한다.(S217, S218)
제1 및 제2 가중치(x, y)와, 디지털 보상값(Ndi)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각 계조별로 맵핑되어 룩업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룩업 테이블은 메모리(172)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Vx+Vy=(Vdata×x)+(Vndi×y)"로 판단한다.(S219) 이렇게 예측된 문턱전압의 변동 양(ΔVth)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가산되어 데이터 구동부(152)에 의해 데이터전압(Vx)으로 변환된 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스위치회로(161)를 경유하여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된다.(S220)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있어서, 가중치(x, y)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화소들(154)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과 보상전압(Vndi)의 감마전압 특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종축은 감마보상전압을, 횡축은 계조(gray scale)를 나타낸다.
구동 TFT(DRT)가 n 타입 MOS-FET로 구현되는 경우에, 도 22와 같이 데이터전압은 5V~10V 사이의 전압으로 계조를 표현하며, 보상전압(Vndi)은 0V~5V 사이의 전압으로 계조를 표현하지 못하고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을 회복시킨다.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 TFT(DRT)의 정극성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은 룩업 테이블의 제1 가중치(x)로부터 얻어지고, 보상전압(Vndi)은 정극성 문턱전압 변동양(+ΔVth)과 동일한 크기(절대치 전압)를 가지는 부극성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대응하는 제2 가중치(y)로부터 얻어진다.
도 23은 룩업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및 제2 가중치(x, y)는 수십 내지 수천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는 짧은 시간 동안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이 적기 때문이다.
경험적 실험에 의해 "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8
"이 되도록 제1 가중치(x)가 결정되며,
Figure 112007022184952-pat00009
"이 되도록 제2 가중치(y)가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된 제1 및 제2 가중치(x, y)는 도 23과 같은 룩업 테이블로 구성된다.
Vdata = 3V와, Vndi = 4V에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은 동일하므로
Figure 112007022184952-pat00010
이 성립된다. 이와 달리, Vdata = 5V이면, 보상전압(Vndi)이 -5V로 발생되더라도
Figure 112007022184952-pat00011
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 데이터 전압(Vdata)이 3V일 때 보상전압(Vndi)을 4V×0.05로 발생하며, 원 데이터 전압(Vdata)이 5V일 때 그 데이터전압을 변조하여 Vx=Vdata+0.06V로 발생하고 보상전압(Vndi)을 -5V×0.048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전압(Vdata 또는 Vx)과 보상전압(Vndi)을 교대로 화소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보상전압(Vndi)과 제2 가중치(y)는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하는 Vndi와 y로 결정된다.
Figure 112007022184952-pat00012
예를 들어, 100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인가되는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이 0.24V라 가정하면, 본 발명은 100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을 -0.24V로 이동시키는 즉, "100×Vndi×y=-0.24"를 만족하는 보상전압(Vndi)의 디지털 보상값(Ndi)을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한다. 한편, 룩업 테이블이 50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었다면 본 발명은 도 24와 같이 100 프레임 단위의 구동에 맞게 룩업 테이블의 문턱전압 변동값을 변환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되는 m×n 개의 화소들(254)과 그 화소들(254)의 전류를 감지(sensing)하는 센서들(256)이 형성되는 표시패널(250)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기초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예측하고 그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보상하기 위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255)와,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252)와,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253)와, 센서(256)로부터의 아날 로그 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변조부(255)에 공급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 발생부(257), 상기 구동부들(252, 253)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25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250)에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센서라인들(S1 내지 Sm), 및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및 센서라인들(S1 내지 Sm)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 등의 배선들이 형성된다.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된 화소 영역들에 화소들(254)과 센서들(256)이 형성된다. 센서들(256)에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평행한 센서라인들(S1 내지 Sm)이 접속된다. 이러한 표시패널(250)의 각 화소들(254)과 센서들(256)에는 고전위 전원전압(VDD)과 저전위 전원전압(VSS)이 공급된다. 화소들(254) 각각은 도 26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TFT(DRT),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변조된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x)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261),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센서들(256)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가 없고 센서라인들(S1 내지 Sm)을 경유하여 센서 데이터 발생부(257)에 접속된 것을 제외하면 화소들(254)의 내부 회로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화소들(254)과 센서들(256)에 포함된 스위치회로(261), 구동 TFT(DR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그들 간의 유기적 연결관계가 서로 동일하다. 스위치 회로(261)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를 포함한다. 도 26에 도시된 구동 TFT(DRT)는 n 채널 MOS-FET로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센서들(256)은 더미 게이트라인(G0)으로부터의 스캔전압(Vscan)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화소들(254)의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데이터 변조부(255)의 메모리에는 다수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Vth) 열화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가중치(x)를 저장한다. 가중치(x)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이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될 때 그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디지털 값으로써 경험적 실험에 의해 결정되고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데이터 변조부(255)는 각각의 화소(254) 단위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가중치(x)를 곱하고, 그 결과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하여 데이터를 발생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조부(255)는 센서 데이터 발생부(257)로부터의 디지터 센서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을 변조 데이터(RGB')와 비교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이 없도록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가중치(x)를 갱신(x')한다.
데이터 구동부(252)는 데이터 변조부(255)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을 통해 각 화소들(254)에 공급될 데이터전압(Vdata')으로 변환한다.
스캔 구동부(253)는 타이밍 콘트롤러(25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 여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스캔 구동부(253)는 타이밍 콘트롤러(25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전압(Vscan)을 더미 게이트라인(G0)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5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252)에 공급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 등을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253)와 데이터 구동부(25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DDC, GDC)를 발생한다.
센서 데이터 발생부(257)는 센서들(256)로부터의 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변조부(252)에 공급한다.
도 27은 데이터 변조부(255)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데이터 변조부(255)는 가산기(271), 메모리(272), 디지털 변조회로(273) 및 비교기(274)를 구비한다.
가산기(27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하고 그 합산값을 메모리(82)에 공급한다.
메모리(272)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대응하는 가중치들(x)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 메모리(272)는 가산기(27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을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로 하여 가중치(x)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중치(x)를 디지털 변조회로(273)에 공급한다.
디지털 변조회로(273)는 가중치(x)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곱하여 N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검출하고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한다. 디지털 변조회로(273)에 의해 발생된 변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는 비교기(274)에 공급된다.
비교기(274)는 화소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간의 상관 관계를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 비교기(274)는 센서 데이터 발생부(257)로부터의 센서 데이터(Soled)와 디지털 변조회로(273)로부터의 데이터(RGB')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으로 환산하고, 그 환산값들을 비교하여 변조된 데이터전압(Vdata')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또한, 비교기(274)는 비교 결과에 따라 변조된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이 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문턱전압의 변동양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줄이기 위하여 메모리(272)에 저장된 가중치(x)를 조정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 전류센서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그 원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흐르는 TFT 전류센서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281 및 S282)
이어서,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누적된 TFT의 전류변동(ΔIds)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으로 환산한 후에,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가중 치(x)로 환산한다.(S283) 이렇게 얻어진 가중치(x)는 룩업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룩업 테이블은 데이터 변조부(255)의 메모리(272)에 저장된다.
데이터 변조부(255)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각의 화소별로 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합산하여 그 합산값에 대응하는 가중치(x)를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한다.(S284) 그리고 데이터 변조부(255)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가중치(x)를 분산하여 분산된 가중치(x)를 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에 가중치(x)를 곱하고 그 결과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한다.(S285) 이렇게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는 데이터 구동부(252)에 의해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data')으로 변환되어 데이터라인(D1 내지 Dm)과 스위치 회로(261)를 경유하여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에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데이터 변조부(255)는 표시패널(250) 내의 센서들(256)로부터 검출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과 변조된 데이터전압(Vdata')을 비교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여부를 판단하고, 문턱전압이 변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턱전압의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룩업 테이블의 가중치(x)를 갱신한다.(S286, S287)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되는 m×n 개의 화소들(294)과 그 화소들(294)의 전류를 감지(sensing)하는 센서들(256)이 형성되는 표시패널(290)과, 가중치(y)를 이용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보상하기 위한 디지털 보상 ㄷ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292)와,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293)와, 센서(296)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변조부(295)에 공급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 발생부(297)와, 상기 구동부들(292, 293)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29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290)에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센서라인들(S1 내지 Sm), 및 이 배선들(D1 내지 Dm, S1 내지 Sm)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 등의 배선들이 형성된다.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된 화소 영역들에 화소들(294)과 센서들(296)이 형성된다. 센서들(296)에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평행한 센서라인들(S1 내지 Sm)이 접속된다. 이러한 표시패널(290)의 각 화소들(294)과 센서들(296)에는 고전위 전원전압(VDD)과 저전위 전원전압(VSS)이 공급된다. 화소들(294) 각각은 도 30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TFT(DRT),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원 데이터전압(Vdata)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301),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센서들(296)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가 없고 센서라인들(S1 내지 Sm)을 경유하여 센서 데이터 발생부(257)에 접속된 것을 제외하면 화소들(294)의 내부 회로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화소들(294)과 센서들(296)에 포함된 스위치회로(301), 구동 TFT(DR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와 그들 간의 유기적 연결관계가 서로 동일하다. 스위치 회로(301)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를 포함한다. 도 30에 도시된 구동 TFT(DRT)는 n 채널 MOS-FET로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센서들(296)은 더미 게이트라인(G0)으로부터의 스캔전압(Vscan)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화소들(254)의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의 메모리에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회복시키기 위한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 또는 디지털 보상값(Ndi)이 저장된다. 가중치(y)는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값으로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러한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는 각각의 화소(294) 단위로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입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합산하고, 그 합산값에 대응하는 가중치(y)를 디지털 보상값(Ndi)에 곱하여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발생한다. 그리고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는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292)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292)는 타이밍 콘트롤러(29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로부터의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을 통해 각 화소들에 공급될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한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로부터 발생되는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과 디지털 보상 데이 터로부터 발생되는 부극성 보상전압(Vndi)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교대로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292)는 도 30과 같이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data)과 아날로그 보상전압(Vndi)을 교대로 출력하는 스위치소자들(SW)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292)는 극성제어신호(C1)가 하이논리일 때 정극성 데이터전압(Vdata)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는 반면, 극성제어신호(C1)가 로우논리일 때 부극성 보상전압(Vndi)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293)는 타이밍 콘트롤러(29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스캔 구동부(293)는 타이밍 콘트롤러(29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전압(Vscan)을 더미 게이트라인(G0)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9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292)에 공급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 등을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293)와 데이터 구동부(29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DDC, GDC)를 발생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DC)는 각 화소들(294)에 공급될 데이터전압(Vdata)의 극성과 보상전압(Vndi)의 극성을 지시하는 극성제어신호(C1)를 포함한다.
센서 데이터 발생부(297)는 센서들(296)로부터의 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에 공급한다.
도 31은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는 가산기(311), 메모리(312),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13), 및 비교기(314)를 구비한다.
가산기(31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하고 그 합산값을 메모리(312)에 공급한다.
메모리(312)는 보상전압(Vndi)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가중치들(y)과 디지털 보상값들(Ndi)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 메모리(312)는 가산기(31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을 리드 어드레스로 하여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13)에 공급한다.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13)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선택한다.
비교기(314)는 화소들에 공급되는 보상전압(Vndi)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간의 상관 관계를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 비교기(314)는 센서 데이터 발생부(297)로부터의 센서 데이터(Soled)와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13)로부터의 디지털 보상값(Ndiy)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으로 환산하고, 그 환산값들을 비교하여 보상전압(Vndi)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ΔVth)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또한, 비교기(314)는 비교 결과에 따라 보상전압(Vndi)에 의해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이 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문턱전압의 변동을 줄이기 위하여 메모리(312)에 저장된 가중치(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조정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 전류센서의 게이트전극에 데이터전압(Vdata)과 반대극성의 보상전압(Vndi)을 공급하고, 그 보상전압(Vndi)에 의해 흐르는 TFT 전류센서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321 및 S322)
이어서, 본 발명은 TFT의 전류변동(ΔIds)를 TFT의 문턱전압 변동(Vth)로 환산한 후에, 문턱전압 변동(Vth)를 가중치(y)로 환산한다.(S323 및 S324) 이렇게 얻어진 가중치(y)와 보상전압(Vndi)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들(Ndi)은 룩업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룩업 테이블은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의 메모리(312)에 저장된다.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각의 화소별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합산하여 그 합산값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룩업 테이블에서 선택한다.(S325) 디지털 보상값(Ndi')은 데이터 구동부(292)에 의해 부극성 아날로그 보상전압(Vndi'=Vndi+ΔVndi)으로 변환되어 데이터라인(D1 내지 Dm)과 스위치 회로(301)를 경유하여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에 공급된다. 여기서, "ΔVndi"는 보상전압(Vndi)에 의해 초래되는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화양을 보상하기 위하여 보상전압(Vndi)에 의해 가산되는 전압이다. 이와 동시에, 보상 데이터 발생부(295)는 표시패널(290) 내의 센서들(296)로부터 검출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과 보상전압(Vndi)을 비교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여부를 판단하고, 문턱전압이 변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턱전압의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룩업 테이블의 가중치(x)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갱신한다.(S326, S327)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되는 m×n 개의 화소들(334)과 그 화소들(334)의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들(337)이 형성되는 표시패널(330)과, 제1 가중치(x)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335)와, 제2 가중치(y)를 이용하여 디지털 보상값(Ndiy)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와,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디지털 보상값(Ndiy)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332)와,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333)와, 센서(337)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변조부(335)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에 공급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 발생부(338)와, 상기 구동부들(332, 333)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33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330)에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센서라인들(S1 내지 Sm), 및 이 배선들(D1 내지 Dm, S1 내지 Sm)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 등의 배선들이 형성된다. 게이트라인들(G0 내지 G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된 화소 영역들에 화소들(334)과 센서들(337)이 형성된다. 센서들(337)에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평행한 센서라인들(S1 내지 Sm)이 접속된다. 이러한 표시패널(330)의 각 화소들(334)과 센서들(337)에는 고전위 전원전압(VDD)과 저 전위 전원전압(VSS)이 공급된다. 화소들(334) 각각은 도 34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TFT(DRT),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Vx)과 보상전압(Vndi)을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341),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센서들(337)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가 없고 센서라인들(S1 내지 Sm)을 경유하여 센서 데이터 발생부(338)에 접속된 것을 제외하면 화소들(334)의 내부 회로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화소들(334)과 센서들(337)에 포함된 스위치회로(341), 구동 TFT(DR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와 그들 간의 유기적 연결관계가 서로 동일하다. 스위치 회로(341)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를 포함한다. 도 34에 도시된 구동 TFT(DRT)는 n 채널 MOS-FET로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센서들(337)은 더미 게이트라인(G0)으로부터의 스캔전압(Vscan)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화소들(334)의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데이터 변조부(335)의 메모리에는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Vth) 변동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부여될 제1 가중치들(x)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LUT)이 저장되어 있다. 제1 가중치(x)는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값으로 경험적 실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이 데이터 변조부(335)는 각각의 화소(334) 단위로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x)를 디지털 비디오 데 이터(RGB)에 곱하고, 그 결과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가산하여 데이터를 변조한다.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의 메모리에는 제2 가중치들(y)과 디지털 보상값(Ndi), 또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LUT)이 저장되어 있다. 제2 가중치(y)는 보상전압(Vndi)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의 상관관계에 따라 보상전압(Vndi)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된다. 이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선택한다.
데이터 변조부(335)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의 메모리는 도 35와 같이 하나의 메모리로 공용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32)는 데이터 변조부(335)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로부터의 디지털 보상값(Ndiy)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을 통해 각 화소들에 공급될 아날로그 전압들(Vx, Vndi)로 변환한다. 이 데이터 구동부(332)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정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Vx)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보상값(Ndiy)를 부극성 보상전압(Vndi)으로 변환한다. 데이터전압(Vx)과 보상전압(Vndi)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교대로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332)는 극성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Vx)과 보상전압(Vndi)을 교대로 출력하는 스위치소자들(SW)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333)는 타이밍 콘트롤러(33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스캔 구동부(333)는 타이밍 콘트롤러(331)로부터의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전압(Vscan)을 더미 게이트라인(G0)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33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332)에 공급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 등을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333)와 데이터 구동부(33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DDC, GDC)를 발생한다.
도 35는 데이터 변조부(335)와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조부(335)는 가산기(351), 메모리(352), 디지털 변조회로(353) 및 비교기(355)를 구비하고,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는 가산기(351), 메모리(352), 보상 데이터 발생회로(354) 및 비교기(355)를 구비한다.
가산기(35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하고 그 합산값을 메모리(352)에 공급한다.
메모리(352)는 제1 및 제2 가중치들(x, 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등재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 메모리(352)는 가산기(35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합산값을 리드 어드레스로 하여 제1 가중치(x, 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선택한다. 그리고 메모리(352)는 선택된 제1 가중치(x)를 디지털 변조회로(353)에 공급하고, 선택된 디지털 보상값(Ndi)을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54)에 공급한다.
디지털 변조회로(353)는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원 데이터전압(Vdata) +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만큼 각 화소들에 공급될 데이터 전압(Vdata')이 조정되도록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제1 가중치(x)를 곱하여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발생한다.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54)는 "보상전압(Vndi) + ΔVndi" 만큼 각각의 화소들에 공급될 보상전압(Vndi)이 조정되도록 디지털 보상 데이터를 발생한다.
비교기(355)는 원 데이터전압(Vdata)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간의 상관 관계와, 보상전압(Vndi)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간의 상관 관계를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 비교기(355)는 센서 데이터 발생부(338)로부터의 센서 데이터(Soled)와 디지털 변조회로(353)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으로 환산하고, 그 환산값들을 비교하여 데이터전압(Vx)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또한, 비교기(355)는 센서 데이터 발생부(338)로부터의 센서 데이터(Soled)와 디지털 보상값 발생회로(354)로부터의 디지털 보상값(Ndiy)를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으로 환산하고, 그 환산값들을 비교하여 보상전압(Vndi)으로 인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이러한 비교기(355)는 비교 결과에 따라 변조된 데이터전압(Vx)이나 보상전압(Vndi)에 의해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이 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문턱전압의 변동양(ΔVth)을 줄이기 위하여 메모리(312)에 저장된 제1 및 제2 가중치(x, y)와, 디지털 보상값(Ndi)을 조정한다.
데이터 변조부(335)는 비교기(355)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x)를 조정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초기전류로 수렴시킨다. 도 36에서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에 의해 데이터 변조부(33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Vx)을 'Vx1'으로 가정한다. 이 Vx1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가 초기 전류 대비 시간이 경과할 수록 감소한다면 비교기(355)는 이러한 전류의 변동을 감지하여 제1 가중치(x)를 상향 조정하여 데이터전압(Vx)을 'Vx2' 또는 'Vx3'로 높여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초기전류로 조정시킨다.
마찬가지로,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는 비교기(355)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y) 및/또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조정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초기전류로 수렴시킨다. 도 36에서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에 의해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로부터 출력되는 보상전압(Vndi)을 'Vndi''로 가정한다. 이 Vndi'1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가 초기 전류 대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한다면 비교기(355)는 이러한 전류의 변동을 감지하여 제2 가중치(y) 및/또는 디지털 보상값을 상향 조정하여 보상전압(Vndi)를 'Vndi2' 또는 'Vndi3'로 높여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LED)의 전류를 초기전류로 조정시킨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 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 전류센서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그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 흐르는 TFT 전류센서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371 및 S372) 이어서, 본 발명은 TFT 전류센서의 전류변동(ΔIds)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Vth)로 환산한 후에, 문턱전압 변동(Vth)를 제1 가중치(y)로 환산한다.(S373 및 S374)
또한,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TFT 전류센서의 게이트전극에 원 데이터전압(Vdata)과 반대극성의 보상전압(Vndi)를 공급하고, 그 보상전압(Vndi)에 의해 흐르는 TFT 전류센서의 드레인-소스간 전류(Ids)를 측정한다.(S375 및 S376) 이어서, 본 발명은 보상전압(Vndi)을 디지털 보상값(Ndi)로 환산하고, TFT 전류센서의 전류변동(ΔIds)을 TFT의 문턱전압 변동(Vth)로 환산한 후에, 문턱전압 변동(ΔVth)을 제2 가중치(y)로 환산한다.(S377, S378)
제1 및 제2 가중치(x, y)와, 디지털 보상값(Ndi)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각 계조별로 맵핑되어 룩업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룩업 테이블은 메모리(172)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제1 및 제2 가중치(x, y)의 합으로 판단한다.(S379) 이렇게 예측된 문턱전압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가산되어 데이터 구동부(332)에 의해 데이터전압(Vx)으로 변환된 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스위치회로(341)를 경유하여 구동 TFT(DRT) 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된다.(S380) 이와 동시에 데이터 변조부(335)는 표시패널(330) 내의 센서들(337)로부터 검출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과 보상전압(Vndi)을 비교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여부를 판단하고, 문턱전압이 변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턱전압의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룩업 테이블의 제1 가중치(x)를 갱신한다.(S381, S382)
이어서, 본 발명은 문턱전압의 변동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보상값(Ndi)을 아날로그 보상전압(Vndi')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을 통해 구동 TFT(DRT)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한다.(S383) 이와 동시에, 보상 데이터 발생부(336)는 표시패널(330) 내의 센서들(337)로부터 검출된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과 보상전압(Vndi)을 비교하여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여부를 판단하고, 문턱전압이 변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턱전압의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룩업 테이블의 제2 가중치(y) 및/또는 디지털 보상값(Ndi)을 갱신한다.(S384, S385)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예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를 계조에 따라 분석하여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보상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예는 표시패널을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블록으로 가상 분할하고 그 블록 내의 특정위치에 존재하는 화소의 전류를 감지하여 그 전류에 따라 구동 TFT의 문턱전압 열화정도를 판단하고 그 문턱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보상전압을 그 블록의 모든 화소들에 공급하거나, 블록 내의 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그 블록의 문턱전압 열화정도를 판단하고 그 문턱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보상전압을 그 블록의 모든 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서 센서는 도 38과 같이 5 개의 그룹(S1 내지 S5)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표 데이터전압(Vdata)을 도 39와 같이 1V, 2V, 3V, 4V, 5V 등으로 정하고,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각의 화소들을 구동하면서 열화된 전류를 통해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계산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중치(x)를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은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보상전압(Vndi)를 적절하게 인가하여 보상된 전류를 통해 구동 TFT(DR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가중치(y)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9는 도 23의 룩업 테이블에서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된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양(ΔVth)에 따라 수정된 보상전압과 가중치(y)의 일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는 룩업 테이블의 정보 갱신이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선택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구동 TFT는 n 채널 MOS-FET로 구현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부극성 데이터전압(네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으로 인하여 문턱전압이 변하는 p 채널 MOS-FET로 구현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전압은 부극성 전압으로 구동 TF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고 보상전압은 정극성 전압으로 구동 TF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데이터전압에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표시패널에 공급하거나, 데이터전압의 극성과 반대극성을 가지는 보상전압에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표시패널에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표시패널에 구동 TFT의 문턱전압에 따라 변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의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형성하고 그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에 따라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보상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보상전압을 발생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에 따라 실시간적으로 데이터의 가중치와 보상전압의 가중치를 갱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데이터 변조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조정하는 비교기; 및
    상기 데이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상기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2.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보상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값을 조정하는 비교기; 및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서로 다른 극성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상기 보상값 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4.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가중치와 상기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상 데이터 발생부;
    상기 변조부의 출력과 상기 보상 데이터 발생부의 출력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센서의 출력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와 상기 보상값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비교기; 및
    상기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상기 화소들에 공급될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을 '0'으로 수렴시키는 값으로 상기 가중치와상기 보상값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데이터 변조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1.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보상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서로 다른 극성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2.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와 그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N(N은 자연수)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가중치와 상기 N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합산된 상기 구동소자의 문턱전압 변동양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변조부의 출력과 보상 데이터 발생부의 출력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센서의 출력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중치와 상기 보상값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와 상기 보상값을 서로 다른 극성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교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70027306A 2007-03-20 2007-03-2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6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306A KR101363095B1 (ko) 2007-03-20 2007-03-2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306A KR101363095B1 (ko) 2007-03-20 2007-03-2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75A KR20080085575A (ko) 2008-09-24
KR101363095B1 true KR101363095B1 (ko) 2014-02-25

Family

ID=4002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306A KR101363095B1 (ko) 2007-03-20 2007-03-2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12B1 (ko) 2008-04-30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064403B1 (ko) 2009-10-07 2011-09-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원장검사가 가능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및 그의 원장검사방법
KR101388286B1 (ko) * 2009-11-24 2014-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065405B1 (ko) 2010-04-14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68244B1 (ko) * 2011-12-30 2014-02-2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문턱전압 센싱 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846A (ko) * 2001-09-28 2003-04-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050036265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구비한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35492A (ja) 2005-02-28 2006-09-07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60128464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846A (ko) * 2001-09-28 2003-04-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050036265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구비한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35492A (ja) 2005-02-28 2006-09-07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60128464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75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17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6654363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JP6138236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483860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KR1020914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4470955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404016B (zh) 顯示驅動裝置、顯示裝置、驅動方法
KR10208199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75564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6502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20065137A (ko) 화소,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50064543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6446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40079685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6309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540556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3022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07259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8046157A (ja) 表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5182382B2 (ja) 表示装置
KR10241667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60015509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303121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10431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182383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