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655B1 -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 Google Patents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655B1
KR101362655B1 KR1020110093870A KR20110093870A KR101362655B1 KR 101362655 B1 KR101362655 B1 KR 101362655B1 KR 1020110093870 A KR1020110093870 A KR 1020110093870A KR 20110093870 A KR20110093870 A KR 20110093870A KR 101362655 B1 KR101362655 B1 KR 10136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ilding
auxiliary
pill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5069A (en
Inventor
야스히로 요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856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1995B2/en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건물 유닛에 부대해서 연결되어,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확대하고,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쉬운 유연한 부대 구조물을 제공한다.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직방체상의 건물 유닛 (1)의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어,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소형의 부대 유닛 (10)은, 4개의 기둥재 (11)과,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 (12), (13)과,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 (14), (15)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건물 유닛의 하나의 입면을 구성하는 2개의 기둥재에 연결 고정되며, 인접하는 2개의 기둥재와 상부 빔 및 하부 빔으로 구성되는 직방체의 대향하는 2측면 (16)은, 상부 빔 (14)가 2개의 기둥재 (11)에 강접합되고, 하부 빔 (12)가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 (12b)에 의해 2개의 기둥재 (11)에 엔드 플레이트 (12a)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uilding unit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to exp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and to provide a flexible unit structure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The small auxiliary unit 10, which is connected to one elevation of the building unit 1 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and enlarges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has four pillars 11 and lower ends of the pillars. It consists of four lower beams 12 and 13 conne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om four upper beams 14 and 15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wo side surfaces 16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mposed of two adjacent pillars and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are fixed to two pillars constituting the elevation, and the upper beam 14 has two pillars ( 11), the lower beam 12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two pillars 11 through the end plate 12a by means of fasteners 12b such as bolt nuts.

Description

부대 구조물 및 유닛 건물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Auxiliary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본 발명은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건물 유닛에 연결되는 소형의 부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됨으로써 유닛 건물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부대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유닛 건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subsidiary structure connected to a building unit constituting a unit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idiary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an internal space of a unit building and a unit building using the same.

종래, 이러한 종류의 유닛 건물에 있어서, 기초 위에 설치된 하층 유닛의 측면부에 접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층 유닛의 상부에 탑재된 상층 유닛의 측면부에 접합되는 오버행 유닛(overhanging unit)이 있고, 이 오버행 유닛은 기둥과 바닥보와 천장 빔을 접합한 골조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오버행 유닛을 기초 위에 설치된 하층 유닛의 측면부에 접합하여 유닛 건물을 구성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in a unit building of this kind, there is an overhanging unit joined to a side portion of a lower layer unit installed on a foundation or joined to a side portion of an upper layer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layer unit. It consists of a framed structure in which columns, beams and ceiling beams are joined. And this overhang unit is joined to the side part of the lower floor unit provided on the base, and a unit building is compri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평)4-360933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4-360933

이와 같이 구성된 유닛 건물에서 사용되는 오버행 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둥과 바닥보와 천장 빔을 접합한 골조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구조재인 기둥과 바닥보와 천장 빔을 용접 등으로 접합하고 있고, 기준이 되는 건물 유닛과 동일한 제조 공정이 필요하여,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되고 있음과 동시에, 강접합면(剛接合面)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연결되는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overhang unit used in the unit building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frame structure in which pillars, floor beams and ceiling beams are join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illars, floor beams and ceiling beams, which are structural members, are joined by welding and the like.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as that of the building unit to be used is required, which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the cost, and the strength of the steel joint surface is hig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ollow the building unit to be connect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건물 유닛에 부대해서 연결되어 실내 공간을 확대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부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연결되는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쉽고 유연한 구조의 부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분할해서 수송할 수도 있고, 건축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부대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부대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외관에 변화를 갖게 해서 중후한 외관을 가능하게 한 유닛 건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uxiliary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a building unit to expand an interior space, thereby simplifying construction and reducing costs. . It is also to provide an auxiliary structure of a structure that is easy to follow and flexible to the building unit to be connected. Moreover, it can also divide and transport, and can provide the auxiliary structure which can reduce transportation cost by assembling at a building site. Moreover, it is providing the unit building which made the external appearance change and made the external appearance by connecting this auxiliary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대 구조물은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직방체상의 건물 유닛의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소형의 부대 구조물로서, 4개의 기둥재와, 상기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과, 상기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으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건물 유닛의 상기 하나의 입면을 구성하는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4개의 하부 빔 및 4개의 상부 빔은, 상기 4개의 기둥재에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에 의한 연결은, 상기 기둥재에 상기 하부 빔 또는 상부 빔의 양단부에 고착된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대응 접촉시켜 상기 고정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levation of the building unit 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and is a small auxiliary structure that enlarges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and includes four pillar materials and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om four lower beams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ur upper beams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ember constituting the one elevation of the building unit. The four lower beams and the four upper beams are connected to the four pillars by fasteners, and the connection by the fasteners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beam and the upper beams. The fixed beam end joint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대 구조물은, 직방체상으로 구성된 부대 구조물은, 4개의 하부 빔 및 4개의 상부 빔이, 4개의 기둥재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유연하게 구성되어, 연결되는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쉬우며, 지진 등의 변위가 가해졌을 때에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 즉, 건물 유닛에 연결되었을 때 건물 유닛과 일체화하여, 해당 부분에 작용하는 풍압력이나 지진력(외력)을 본체의 건물 유닛에 전달하고, 부대 구조물 자체가 외력에 대항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건물 유닛과 부대 구조물과의 접합부 등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auxilia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tructur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is flexible because four lower beams and four upper beams are connected to four pillars by fasteners such as bolt nuts, It is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to be connected, and can be absorbed flexibly even when a displacement such as an earthquake is applied. That is, when connected to a building unit, it integrates with a building unit, and transmits the wind pressure and seismic force (external force) which act on the said part to a building unit of a main body, and the structure itself does not oppose an external force. For this reason, it can suppress that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junction part of a building unit and an auxiliary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부대 구조물의 다른 양태로는,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직방체상의 건물 유닛의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소형의 부대 구조물로서, 4개의 기둥재와, 상기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과, 상기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으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건물 유닛의 상기 하나의 입면을 구성하는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며, 인접하는 2개의 기둥재와 상부 빔 및 하부 빔으로 구성되는 직방체의 대향하는 2측면은, 상부 빔 또는 하부 빔 중 하나가 2개의 기둥재에 강접합되고, 그 중 다른 하나가 고정구에 의해 2개의 기둥재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에 의한 연결은, 상기 기둥재에 상기 하부 빔 또는 상부 빔의 양단부에 고착된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대응 접촉시켜 상기 고정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mall auxiliary structure connected to one elevation of the building unit 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which enlarges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including four pillars, Four lower beams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ur upper beams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the member constituting the one elevation of the building unit The two opposite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isting of two adjacent pillars and an upper beam and a lower beam are rigidly bonded to one of the two pillars, one of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It is connected to two pillars by a fixture, and the connection by the fixture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lower beam or the upper beam to the pillar. And the beam end joint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ture by correspondingly contacting the beam end joint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대 구조물은, 인접하는 2개의 기둥재와 상부 빔 및 하부 빔으로 구성되는 직방체의 대향하는 2측면이, 상부 빔 또는 하부 빔 중 하나가 2개의 기둥재에 강접합되고, 그 중 다른 하나가 고정구를 통해 연결 고정되기 때문에, 4 코너가 강접합인 측면에 비하여 강도가 낮고 유연한 구조가 되어, 건물 유닛에 연결되었을 때, 이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쉬우며, 지진 등의 변위가 가해졌을 때에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In the auxilia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wo opposing side surface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mposed of two adjacent pillars and an upper beam and a lower beam, one of the upper beam or the lower beam is strongly bonded to the two pillars. Since the other one is connected and fixed through the fixture, the four corners have a lower strength and flexible structure than the side of the steel joint, and when connected to the building unit, it is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It can be absorbed flexibly even when a displacement is applied.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건물 유닛의 상기 부대 구조물을 설치하는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의 상부 빔과 하부 빔 및 2개의 기둥재로 윙 프레임을 2면 형성하고, 상기 윙 프레임은 연직 하중만을 부담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대 구조물에 수평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4개의 상부 빔 또는 하부 빔으로 구성되는 수평구면을 통해 수평력이 건물 유닛 본체에 전달되고, 연직 하중만을 윙 프레임으로 부담하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하여, 경량이고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wo wing fram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beams and two pillars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auxiliary structure of the building unit is installed, and the wing frames bear only a vertical load.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ts on the auxiliary structure, the horizont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uilding unit main body through a horizontal sphere composed of four upper beams or lower beams, and only the vertical load is applied to the wing frame. By simplifying this, it can be light weight and low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대 구조물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양태로는, 상기 고정구에 의한 연결은, 상기 기둥재에 고착된 조인트 부재에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대응 설치시켜 볼트 너트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볼트 너트 접합되는 상부 빔 또는 하부 빔은 2개의 기둥재에 조인트 부재를 통해 연결 고정되기 때문에 볼트 너트 접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부대 구조물의 제작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specific embodiment of 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y the fastener, the beam end joint member correspondingly installed to the joint member fixed to the pillar member is connected to the detachable bolt nut. It is don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pper beam or the lower beam to be bolted to the nu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two pillars through the joint member, bolt nut joining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facilitating manufacture of the auxiliary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대 구조물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다른 양태로는, 상기 4개의 기둥재는 단면 형상이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홈형강 또는 C형강의 개구의 일부를 막도록 고착되고,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이면에는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의 체결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대 구조물을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홈형강 또는 C형강의 개구로부터 조인트 부재 이면의 체결 스페이스에 손을 넣어서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 상부 빔 또는 하부 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pillars are made of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U-shape, and the joint member is part of an opening of the grooved steel or C-shaped steel. And a fastening space for fasteners such as bolt nuts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joint memb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structure can be configured to be light in weight, and the upper beam or the lower beam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a fixture such as a bolt nut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fastening space behind the joint member from the opening of the grooved steel or the C-shaped steel. .

상기 기둥재는 홈형강 또는 C형강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수평상의 보강판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과 함께 상기 조인트 부재를 지지하는 수평상의 보강판이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둥재의 상하 단부의 개구를 수평 보강판으로 막고, 이 보강판과 함께 조인트 부재의 높이에 상당하는 거리를 분리하여 고착된 보강판으로 조인트 부재를 고착하기 때문에, 기둥재의 상하 단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llar material is fixed with a horizontal reinforcing plate closing the openings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grooved steel or the C-shaped steel,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plate supporting the joint member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plat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a pillar material is closed by a horizontal reinforcement board, the joint member is fixed by the reinforcement board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distance corresponded to the height of a joint member with this reinforcement board, and was fixed, and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a pillar material Can improve the strength.

상기 기둥재는 홈형강 또는 C형강의 리브를 보강하는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홈형강 또는 C형강의 리브를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로 보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llar material is fixed with a triangular reinforcement plate for reinforcing ribs of grooved steel or C-shaped steel.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ib of grooved steel or C-shaped steel can be reinforced by a triangular reinforcement plate.

상기 상부 빔 및 하부 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둥재와의 연결부에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가 고착되고, 상기 상부 빔 및 하부 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통해 상기 기둥재에 상기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부 빔이나 하부 빔의 단부와 기둥재의 상하 단부와의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어, 연결 상태가 안정된다. 상기 조인트 부재는 평판상이고, 상하의 광폭부와 중앙의 협폭부가 경사변으로 연결되며, 광폭부에 상기 하부 빔 및 상부 빔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는 상기 상부 빔 및 하부 빔의 길이 방향의 개구를 폐쇄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하의 단부가 굴곡되어 빔재의 상하 플랜지에 고착되는 상하 굴곡부와, 상기 평탄부의 중앙부가 굴곡되어 빔재의 웹에 고착되는 중앙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평탄부에 상기 하부 빔 및 상부 빔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is fixed to the beam end joint member at a connection with the pillar material,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is connected to the fixture through the beam end joint member. It is preferred to be connected by.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onnection by the fastener, such as the bolt nut, between the edge part of an upper beam or a lower beam,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a pillar material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a connection state is stabilized. Preferably, the joint member is flat, and the upper and lower wide portions and the narrow portion at the center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inclined sides,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bolt for connecting the lower beam and the upper beam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wide portion. The end joint member includes a flat portion for closing the open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an upper and lower curved por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t portion are bent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memb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curved to form the beam memb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central bent portion fixed to the web, and a through hole in which a bolt for connecting the lower beam and the upper beam is inserted into the flat portion.

또한, 상기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길이보다 상기 부대 구조물의 상기 장변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의 길이를 따라서, 이 장변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부대 구조물을 연결하여, 건물 유닛의 강도를 보강하지 않고, 장변 방향의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auxiliary structure is shorter than the length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auxiliary structur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is long side direction can be connected along the length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a building unit, and the indoor space of a long side direction can be expanded efficiently, without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building unit.

상기 부대 구조물은, 상기 4개의 기둥재의 적어도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 브레이스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대 구조물의 천장면을 구성하는 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대 구조물은, 비내력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내력 구조체인 부대 구조물을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에 연결함으로써, 부대 구조물에 가해지는 지진이나 풍력 등의 수평력은 건물 유닛에 가해져서,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으로 부담시킬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부대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uxiliary structure is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brace material which connects at least the upper part of the said four pillar material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surface which comprises the ceiling surface of an auxiliary structure can be improved. The auxiliary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bearing structure. By connecting an auxiliary structure, which is a non-bearing structure, to a building unit, which is a load bearing structure, horizontal forces such as earthquakes or wind power applied to the auxiliary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building unit and be burdened by the building unit, which is a load bearing structure. By connecting subsidiary structures that are realized at low cost, the indoor space can be easily expan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닛 건물은, 상기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대 구조물을 상기 건물 유닛에 연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물 유닛은, 기둥재 및 빔재가 전부 강접합되어 있는 내력 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닛 건물은, 연결 고정된 부대 구조물이 유연한 구조이고,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과 함께 지진이나 강풍시 등의 변위를 유연한 구조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대 구조물은, 상기 건물 유닛의 외면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건물 유닛을 연결한 유닛 건물에서, 건물 유닛끼리의 접합면이 아닌 외면, 즉 외주측에 부대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유닛 건물의 외관에 기복을 취할 수 있고, 단순한 의장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is fixed to the build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building unit is a bearing structure in which all the pillar materials and the beam material are steel-bonded. The unit buildin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lexibl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ed and fixed subsidiary structure is flexible, and can absorb a displacement such as an earthquake or a strong wind in a flexibl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uilding unit which is the bear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auxiliary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unit. In a unit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units are connected, by connecting an auxiliary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uilding unit, not to the joint surface of the building units, it is possible to take ups and downs on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and give a change to a simple design. have.

본 발명에 따른 유닛 건물은, 상기 건물 유닛 중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는 상기 부대 구조물은 상기 하나의 입면보다 수평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물 유닛은 상기 부대 구조물의 기둥재와 대향하는 빔재가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닛 건물에서는, 건물 유닛보다 부대 구조물의 수평 방향의 길이가 짧고, 건물 유닛의 기둥과 부대 구조물의 기둥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건물 유닛의 빔재가 보강 부재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상태가 안정된다.In the unit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tructure connected to the elevation of one of the building units is formed shor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one elevation, the building unit is a beam material facing the pillar of the auxiliary structure It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unit buildin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auxiliary structure is shorter than that of the building unit, and even when the pillar of the building unit and the pillar of the auxiliary structure do not coincide, the beam member of the building unit is reinforced with a reinforcing member. The state is stable.

본 발명의 부대 구조물은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건물 유닛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약간의 비용 상승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대 구조물을 복수의 건물 유닛을 나란히 설치 또는 포개서 구성한 유닛 건물에 연결 고정함으로써 유닛 건물의 외관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어, 요철이 있는 중후한 외관의 유닛 건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대 구조물은 그것 자체의 강도를 억제하여 구성되며, 연결되는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쉬워 유연한 구조가 된다.The auxilia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f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be enlarged by a small increas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by being fixed to the building unit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In addition,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auxilia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unit building formed by installing or stacking a plurality of building units side by side,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can be changed, and a unit building having a solid appearance with irregularities can be formed. . In addition, the auxiliary structure is constructed by suppressing its own strength, and it is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to be connected and becomes a flexib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대 구조물인 부대 유닛이 연결 고정되는 건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물 유닛의 기둥재와 빔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2의 건물 유닛의 기둥재와 보강 플레이트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2의 건물 유닛의 보강 플레이트와 빔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고, (a)는 주요부 평면도, (b)는 주요부 정면도, (c)는 (b)의 d0-d0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건물 유닛에 연결 고정되는 부대 유닛의 한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대 유닛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5에 도시되는 부대 유닛을 건물 유닛에 연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a)는 2층의 건물 유닛에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측면도, (b)는 1층의 건물 유닛에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부를 분해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하부 빔의 연결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b), (c)는 (a)의 조인트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1-d1선을 따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d2-d2선 화살 표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d3-d3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d4-d4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대 유닛을 유닛 건물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1개의 건물 유닛의 단변(短邊) 방향과 장변(長邊) 방향으로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b)는 2개의 건물 유닛을 2층으로 하여 4개의 건물 유닛을 이용한 유닛 건물의 1층의 단변 방향으로 1개의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c)는 유닛 건물의 2층의 단변 방향으로 1개의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d)는 유닛 건물의 1층과 2층의 단변 방향으로 2개의 부대 유닛을 상하에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e)는 유닛 건물의 1층의 장변 방향으로 1개의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f)는 유닛 건물의 2층의 장변 방향으로 1개의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g)는 (f)의 부대 유닛보다 짧은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a), (b)는 도 14의 (b)에 상당하는 유닛 건물의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의 전달을 나타내는 설명도, (c), (d)는 도 14의 (d)에 상당하는 유닛 건물의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의 전달을 나타내는 설명도, (e), (f)는 도 14의 (c)에 상당하는 유닛 건물의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의 전달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유닛 건물에 부대 구조물을 연결하고, 유닛 건물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바닥 또는 천장의 수평구면에서 외력을 부담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대 유닛을 유닛 건물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2개의 건물 유닛을 2층으로 한 유닛 건물의 장변 방향으로 부대 유닛을 1, 2층에 포개서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b)는 유닛 건물의 1층의 장변 방향으로 1개의 부대 유닛을 연결하고, 그 위에 발코니를 설치한 주요부 사시도, (c)는 2개의 건물 유닛을 2층으로 함과 동시에 1층에 건물 유닛을 배열한 유닛 건물의 1층의 단변 방향으로 1개의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d)는 2개의 건물 유닛을 2층으로 한 유닛 건물의 1층의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으로 단변용의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e)는 2개의 건물 유닛을 2층으로 한 유닛 건물의 1층의 2개의 건물 유닛의 단변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부대 유닛을 유닛 건물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a) 1개의 건물 유닛의 단변 방향으로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b)는 (a)의 d5 부분의 d6-d6 방향에서 본 화살 표시도, (c)는 (b)의 d7-d7 방향에서 본 화살 표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부대 유닛을 유닛 건물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a)는 1층의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짧은 부대 유닛을 연결한 주요부 사시도, (b)는 (a)의 d8-d8 방향에서 본 화살 표시도, (c)는 (b)의 d9-d9 방향에서 본 화살 표시도이다.
도 20은 기둥재와 빔재와의 연결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부대 구조물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2는 부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부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부대 구조물과 건물 유닛과의 연결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4, 25에서 사용하는 너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7은 부대 구조물과 건물 유닛과의 연결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8은 부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2개의 건물 유닛을 적층한 유닛 건물의 2층 부분에 부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건물 유닛과 부대 구조물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부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유닛 건물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unit to which the unit unit of 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nd fixed.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which shows the junction part of the pillar material and beam material of the building unit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junction of a pillar member and a reinforcing plate of the building unit of FIGS. 1 and 2.
4 shows the junc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building unit of FIGS. 1 and 2 with the beam material, (a)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b)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and (c) is along the line d0-d0 of (b). It is a cross sec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auxiliary unit secured to the building unit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auxiliary unit of FIG. 5.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units shown in Figs. 1 and 5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building unit, (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connecting the auxiliary units to the building units on the second floor, and (b) the building units on the first floor. This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connecting the uni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principal parts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FIG. 5 is disassembled. FIG.
FIG.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details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beam of FIG. 8, and FIGS. 9A and 8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joint plate of (a).
FIG. 10 is a plan view taken along the line d1-d1 of FIG. 8.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arrows d2-d2 in FIG. 8.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3-d3 of FIG. 8.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4-d4 of FIG. 8.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unit building, and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in which an auxiliary unit is connected in a short side direction and a long side direction of one building unit. ,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connecting two auxiliary units in a short side direction of the first floor of a unit building using two building units as two floors, and (c) a short side of the second floor of the unit building.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connecting one subunit in the direction, (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connecting the two subunits up and down in the short direction of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of the unit building, and (e)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connecting one subsidiary unit in the long side direction, (f)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connecting one subsidiary unit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second floor of the unit building, (g) Subsidiary unit shorter than the subsidiary unit in (f) Is th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connected.
(A), (b)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transmission of the vertical load and the horizontal load of the unit building corresponded to (b) of FIG. 14, (c), (d) is in FIG.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ransmission of the vertical load and the horizontal load of a corresponding unit building, (e), (f)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transmission of the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of the unit building which correspond to FIG.14 (c).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in which an auxiliary structure is connected to a unit building,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horizontal sphere of a floor or a ceil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it building.
FIG. 1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unit building, and (a) overlaps an auxiliary unit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in a long side direction of a unit building having two building units as two floor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in which one auxiliary unit is connect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first floor of the unit building, and a balcony is installed thereon, and (c) a first floor of two building units at the same tim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connecting one subsidiary unit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first floor of the unit building in which the building units are arranged in (d).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connecting the unit units for short sides, (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connecting the unit units so as to continue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wo building units on the first floor of a unit building having two building units having two floors.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un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unit building, (a)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connecting the unit units in a short side direction of one building unit, (b) is a portion d5 of (a) Is an arrow view seen from the d6-d6 direction, and (c) is an arrow view seen from the d7-d7 direction of (b).
19 shows a state in which another un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unit building,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connecting short unit units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first floor building unit, (b) (a) (C) is the arrow display figure seen from the d8-d8 direction of (b).
It is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material and a beam material.
It is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auxiliary structure.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uxiliary structure.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incipal part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auxiliary structure.
It is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n auxiliary structure and a building unit.
FIG. 25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FIG. 24 taken in cross section. FIG.
FIG. 26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nut used in FIGS. 24 and 25.
27 is a sectional view of the essential parts,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auxiliary structure and the building unit.
2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ubsidiary structure,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ccompanying the second floor part of a unit building in which two building units are stacked, and (b) show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uilding unit and the subsidiary structure.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shown.
2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unit building.

도 1, 2에 있어서 건물 유닛 (1)은 강제의 구조재를 용접으로 직방체상으로 접합해서 형성한 박스 라멘 구조의 것으로, 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기둥재 (2), (2)…와, 이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장변 방향의 하부 빔(바닥보) (3), (3)과, 단변 방향의 하부 빔(바닥보) (4), (4)와, 4개의 기둥재 (2), (2)…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장변 방향의 상부 빔(천장 빔) (5), (5)와, 단변 방향의 상부 빔(천장 빔) (6), (6)으로부터 직방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건물 유닛 (1)에는, 바닥장선(床根太) (7), (7)…이 하부 빔 (3), (3)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가설되고, 천장장선 (8), (8)…이 상부 빔 (5), (5)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가설되어 있다. 각 기둥재와 각 빔재는 코너부에 보강 플레이트 (9), (9)…를 개재시켜 용접되어 건물 유닛 (1)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건물 유닛 (1)은 구조 계산된 내력 구조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빔 (3), (3), (4), (4)와, 바닥장선 (7), (7)…에 의해 X-Y면을 따르는 수평의 바닥구면이 형성되어 있다.1 and 2, the building unit 1 is a box ramen structure formed by joining a steel structural material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y welding, and has four pillar materials (2), (2). And the lower beams (floor beams) 3 and 3 in the long side direction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illa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wer beams (floor beams) 4 and 4 in the short side direction. Pillar material (2), (2). The upper beams (ceiling beams) 5 and 5 in the long side direction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ross section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the upper beams (ceiling beams) 6 and 6 in the short side direction. Then, the building unit 1 includes floor joists 7, 7. The lower beams 3, 3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eiling lines 8, 8,... It is hypothesiz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upper beams 5 and 5. Each pillar member and each beam member are provided with reinforcing plates 9, 9. It is welded through and raises the rigidity of the building unit 1. The building unit 1 is of a structurally calculated bearing structure. And bottom beams 3, 3, 4, 4, and bottom joists 7, 7... As a result, a horizontal bottom spherical surface along the X-Y plane is formed.

구체적으로는, 건물 유닛 (1)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재 (2)와 빔재(하부 빔 (3), (4), 상부 빔 (5), (6))와의 접합부에는 보강 플레이트 (9)가 개재되어, 기둥재 (2)와 빔재와의 접합부를 보강함으로써 강성을 높이고 있다. 기둥재 (2)와 コ자형으로 굴곡된 보강 플레이트 (9)와의 접합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 (9a)는 웰드부 (w1)로 용접되고, 종판부 (9b)는 웰드부 (w2)로 용접되며, 하판부 (9c)는 웰드부 (w3)으로 용접되어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다. 다른 보강 플레이트 (9), (9)…도 마찬가지로 견고하게 용접되어 있다. 또한, 빔재 (3)과 보강 플레이트 (9)와의 접합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재의 상판부와 하판부는 웰드부 (w4 내지 w6)으로 견고하게 용접되고, 빔재의 종판부는 웰드부 (w7, w8)로 견고하게 용접되어 있다. 또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폿 용접에 의한 스폿부 (s1 내지 s3)으로 견고하게 용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건물 유닛 (1)은 기둥재와 빔재가 보강 플레이트를 개재시켜 견고하게 접합되어, 강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to 4, the building unit 1 is a joining portion between the pillar material 2 and the beam material (lower beams 3, 4, upper beams 5, 6). The reinforcing plate 9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rigidity is increased by reinforcing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pillar material 2 and the beam material. As shown in Fig. 3, the joining portion of the pillar material 2 and the reinforcing plate 9 curved in a U-shape, the upper plate portion 9a is welded to the weld portion w1, and the end plate portion 9b is welded portion ( The lower plate portion 9c is welded to the weld portion w3, and is firmly fixed. Other reinforcing plates 9, 9. Similarly, it is welded firmly. Further, as shown in Fig. 4, the junction between the beam member 3 and the reinforcing plate 9 is firmly welded to the weld portions w4 to w6 b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eam member, and the end plates of the beam member are weld portions. It is welded firmly at (w7, w8). Moreover,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it may weld firmly to the spot parts s1 to s3 by spot welding. In this way, the building unit 1 is firmly joined to the pillar material and the beam material via a reinforcing plate, and has a high rigidity structure.

건물 유닛 (1)의 직방체에 있어서, 장변 방향을 X 방향, 단변 방향을 Y 방향, 높이 방향을 Z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건물 유닛 (1)은, 예를 들면 장변 방향(X 방향)의 길이가 2 내지 5.6 미터 정도로 길고, 단변 방향(Y 방향)의 길이가 1.3 또는 2.5 미터 정도이며, 높이 방향(Z 방향)의 길이가 2.5 내지 3 미터 정도의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건물 유닛 (1)은 장변 방향을 따르는 2개의 입면(X-Z면)과, 단변 방향을 따르는 2개의 입면(Y-Z면)과, 상면 및 저면(X-Y면)의 6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building unit 1, it demonstrates with a long side direction as an X direction, a short side direction as a Y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as a Z direction. The building unit 1 has a length in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about 2 to 5.6 meters, for example, a length in the short side direction (Y direction) of about 1.3 or 2.5 meters, and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about 2.5 to 3 meters. That is, the building unit 1 is comprised from two elevation surfaces (X-Z plane) along a long side direction, two elevation surfaces (Y-Z plane) along a short side direction, and six surfaces of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X-Y surface).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되는 부대 유닛 (10)은, 소형의 직방체를 하고 있고, 6면을 갖는 직방체상의 건물 유닛 (1)의 하나의 입면인 단변측의 측면(Y-Z면)에 연결되도록, 단변측의 측면과 동일한 직사각형의 측면을 갖고 있고,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짧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의 길이가 2 내지 5.6 미터 정도로 긴 것에 대해서 부대 유닛 (10)의 X 방향의 길이는 0.45 내지 2 미터 정도로 짧게 설정되어 있다.The auxiliary unit 10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building unit 1 has a small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YZ surface) on the short side, which is one eleva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ilding unit 1. It has a rectangular side surface similar to the side surface of a short side, and the length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is set short. For example, while the length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is about 2 to 5.6 meters long, the length of the auxiliary unit 10 in the X direction is set short as about 0.45 to 2 meters.

부대 유닛 (10)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박형의 직방체상을 하고 있고, 서로 평행인 4개의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기둥재 (11), (11)…와, 이들의 기둥재의 하단부를 X 방향으로 연결하는 2개의 하부 빔 (12), (12)와, Y 방향으로 연결하는 2개의 하부 빔 (13), (13) 및 기둥재의 상단부를 X 방향으로 연결하는 2개의 상부 빔 (14), (14)와, Y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 빔 (15), (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대 유닛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물 유닛 (1)의 Y-Z 방향의 측면의 직사각형과, 부대 유닛 (10)의 Y-Z 방향의 측면의 직사각형이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건물 유닛 (1)에 부대 유닛 (10)이 연결 고정되었을 때, 외형적으로 건물 유닛 (1)이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나 단차부가 발생하지 않는 형상이 된다.Subsidiary unit 10 is a columnar material 11, 11, which has a thin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S. )… And the two lower beams 12 and 12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se pillars in the X direction, the two lower beams 13 and 13 connecting the Y beams in the Y direction and the upper ends of the pillars in the X direction. It consists of two upper beams 14 and 14 which connect, and the upper beams 15 and 15 which connect in a Y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tangl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uilding unit 1 in the Y-Z direction and the rectangle of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unit 10 in the Y-Z direction have the same shape. By this structure, when the auxiliary unit 1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uilding unit 1, the building unit 1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n appearance, and the shape which does not produce a protrusion or a step part is do.

부대 유닛 (10)은 건물 유닛 (1)의 부대 유닛 (10)을 설치하는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즉 X 방향으로 신장하는 상부 빔 (14), (14)와 하부 빔 (12), (12) 및 2개의 기둥재 (11), (11)로 윙 프레임 (16), (16)을 2면 형성하고 있다. 2면의 윙 프레임 (16), (16)은 대향하고 있는 평행면으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측면 (16), (16)과 동의이다. 또한, 4개의 하부 빔 (12), (12), (13), (13)으로 수평구면으로서 바닥구면이 형성되고, 4개의 상부 빔 (14), (14), (15), (15)로 수평구면으로서 천장구면이 형성된다. 바닥구면은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빔 (13), (13)과,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바닥장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천장구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빔 (15), (15)와,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천장장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천장구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부 빔 (14), (14), (15), (15)와 수평 브레이스재 (17), (17)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unit 10 includes the upper beams 14, 14 and the lower beams 12, which extend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auxiliary unit 10 of the building unit 1 is installed, that is, in the X direction. Wing frames 16 and 16 are formed in two surfaces by 12) and two pillar materials 11 and 11. The wing frames 16 and 16 of two surfaces are comprised from the opposing parallel surface, and are synonymous with the side surface 16 and 16 mentioned later. In addition,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is formed as a horizontal spherical surface with four lower beams 12, 12, 13, and 13, and four upper beams 14, 14, 15, and 15 are formed. The ceiling sphere is formed as a horizontal spher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is composed of the lower beams 13 and 13 and a plurality of floor joists connecting them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eiling spherical surface is composed of the upper beams (15) and (15), and a plurality of ceiling lines connecting them as shown in FIG. Also, the ceiling spherical surface may be composed of four upper beams 14, 14, 15, and 15 and horizontal brace members 17 and 17, as shown in FIG.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4개의 기둥재 (11)은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의 강재로 형성되어 있고, 건물 유닛 (1)의 단면(ㅁ)형의 각기둥의 강재로 형성되어 있는 기둥재와 상이한 구성이며, 부대 유닛 (10)의 비용 감소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부대 유닛 (10)은 기본적으로는 인접하는 건물 유닛 (1)의 하나의 입면에 연결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기본이 되는 건물 유닛 (1)의 강도에 의존하는 비내력 구조체의 구성이며, 부대 유닛 (10) 자체의 강도는 완만하여도 문제는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부대 유닛 (10)은 구조 계산된 강도는 요구되지 않아, 공간을 유지하기 위한 강도만이 요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four column members 11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10 are formed of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a U-shape, and are steel of a square pilla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ㅁ) of the building unit 1. It i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pillar material formed by the structure, and the cost reduction of the auxiliary unit 10 is attained. This auxiliary unit 10 is basically a constitution of a non-bearing structure that depends on the strength of the basic building unit 1 because it is fixed by being connected to one elevation of the adjacent building unit 1. (10) Even if the strength of itself is gentle, there is no problem.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unit 10 is not required for the structurally calculated strength, and is configured to require only the strength for maintaining the space, so that the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부재 중, X 방향을 따르는 상부 빔 (14), (14)는 기둥재 (11), (11)의 상단부에 용접 등으로 강접합되고, 하부 빔 (12), (12)는 기둥재 (11), (11)의 하단부에 고정구로서 볼트 너트 등으로 연결되어 측면 (16), (16)을 구성하고 있다. 즉, 하부 빔 (12)의 양단부에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단부 조인트 부재로서, 엔드 플레이트 (12a)가 고착되어 있다. 이 엔드 플레이트 (12a)는, 상부 빔 및 하부 빔의 길이 방향의 개구를 폐쇄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하의 단부가 굴곡되어 상기 상부 빔 또는 하부 빔의 상하 플랜지에 고착되는 상하 굴곡부와, 평탄부의 중앙부가 굴곡되어 상기 상부 빔 또는 하부 빔의 웹에 고착되는 중앙 굴곡부를 갖고, 평탄부에 하부 빔 및 상부 빔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과 기둥재 (11)의 하단부의 관통 구멍에 볼트를 삽입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하고, 기둥재 (11)과 하부 빔 (12)를 볼트 너트 (12b)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기둥재 (11), (11)의 하단부와 하부 빔 (12), (12)를 강접합하고, 2개의 기둥재의 상단부와 상부 빔 (14), (14)를 볼트 접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mong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10, the upper beams 14 and 14 along the X direction are strongly joined to the upper ends of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lower beam 12, 1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as a fastener with the bolt nut etc., and comprises the side surfaces 16 and 16. As shown in FIG. That is, the end plate 12a is fixed to the both ends of the lower beam 12 as a beam end joint member as shown to FIGS. 8-10. The end plate 12a includes flat portions for closing the open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upper and lower curved portions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t portion are bent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upper beam or the lower beam,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rtion is bent to have a central curved portion fixed to the web of the upper beam or the lower beam,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which the bolt for connecting the lower beam and the upper beam is inserted into the flat portion.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end plat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end of the pillar 11 to be fixed with a nut, and the pillar 11 and the lower beam 12 are connected with the bolt nut 12b. . In addition, the lower ends of the two pillars 11 and 11 and the lower beams 12 and 12 are tightly joined, and the upper ends of the two pillars and the upper beams 14 and 14 are bolted to each other. You may.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X-Z 방향의 부대 유닛 (10)의 측면 (16), (16)은 상부 빔 (14)의 양끝에 기둥재 (11), (11)의 상단부가 강접합된 문(門)형의 접합체의 하단부를 하부 빔 (12)로 연결한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부재 중, Y 방향을 따르는 하부 빔 (13), (13) 및 상부 빔 (15), (15)는 기둥재 (11), (11)…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 연결된 핀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빔 (12), (12)는 기둥재 (11), (11)과 탈착 가능하고, 상부 빔 (14), (14)가 기둥재 (11), (11)과 강접합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대 유닛 (10)의 상부에는, 4개의 기둥재 (11), (11)…을 연결하는 수평 브레이스재 (17), (17)(도 5 참조)이 크로스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만, 이 수평 브레이스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6, the side surfaces 16 and 16 of the auxiliary unit 10 of the XZ direction are strong-bonded by the upper end of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at both ends of the upper beam 14. As shown in FIG. It is a joining surface which connected the lower end part of the door-shaped joined body by the lower beam 12. Moreover, among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10, the lower beams 13, 13 and the upper beams 15, 15 along the Y-direction are column members 11, 11... It is a pin joint surface connected with a fixture such as a bolt nut. As a result, the lower beams 12 and 12 are detachable from the pillars 11 and 11, and the upper beams 14 and 14 are rigidly joined to the pillars 11 and 11. Compared to the existing configuration, the structure is flexi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pillar materials 11, 11... Although the horizontal brace materials 17 and 17 (refer FIG. 5) which connects the two are fixed in the cross state, this horizontal brace material is not necessarily required.

부대 유닛 (10)은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건물 유닛 (1A)의 상부에 2층의 건물 유닛 (1)이 적재 고정되고, 2층의 건물 유닛 (1)에 부대해서 오버행 상태로 연결 고정된다. 이 경우, 부대 유닛 (10)의 하방에 보조 기둥 h를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의 (b)에서는, 기초 K의 상부에 건물 유닛 (1)이 설치 고정되고, 이 건물 유닛 (1)에 부대하여 부대 유닛 (10)이 연결 고정된다. 어느 경우에나, 부대 유닛 (10)은 건물 유닛 (1)을 구성하는 기둥재나 빔재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 너트 등으로 연결 고정된다.The auxiliary unit 10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a two-storey building unit 1 is fixedly mounted on top of the first-floor building unit 1A, and a two-story building unit ( In addition to 1), the connection is fixed in the overhang state. In this case, the auxiliary pillar h may be provided below the auxiliary unit 10. In FIG.7 (b), the building unit 1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K, and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uilding unit 1 in connection. In either case,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fixed to a pillar member and a beam member constituting the building unit 1 with a bolt nut or the like as described later.

여기서, 부대 유닛 (10)의 상세를 도 8 내지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Y 방향의 하부 빔 (13), (13) 및 상부 빔 (15), (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둥재 (11), (11)…에 볼트 접합되어 있다. 즉, 기둥재 (11)을 구성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강의 하단부에는, C형강의 개구를 닫도록 2매의 보강판 (20), (20)이 용접 등에 의해 수평으로 고착되어 있고, 2매의 보강판의 간격은 하부 빔 (13)의 높이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단면 コ자형의 C형강으로 구성되는 기둥재 (11)의 상단부에는, 마찬가지로 C형강의 개구를 닫도록 2매의 보강판 (21), (21)이 용접 등에 의해 수평으로 용착되어 있고, 2매의 보강판의 간격은 상부 빔 (15)의 높이와 일치하고 있다.Here, the detail of the auxiliary unit 10 is demonstrated based on FIGS. The lower beams 13, 13, and the upper beams 15, 15 in the Y direction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10 are columns 11, 11, ... as described above. It is bolted to.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constituting the pillar member 11, two reinforcing plates 20, 20 are horizontally welded or the like so as to close the opening of the C-shaped steel. The gap between the two reinforcing plates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lower beam 13. Further, two reinforcing plates 21, 21 are welded horizontally by welding or the like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member 11 composed of the cross-section C-shaped steel so as to close the opening of the C-shaped steel. The spacing of the two reinforcement plates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upper beam 15.

그리고, 상기 2매의 보강판 (20), (20), (21), (21)과, C형강의 외측의 단부면을 연결하도록 조인트 플레이트 (22), (22)…가 용접 등에 의해 수직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조인트 플레이트는 홈형강 또는 C형강의 개구의 일부를 막도록 고착되고, 상하의 광폭부와 중앙의 협폭부가 경사변으로 연결되며, 광폭부에 하부 빔 (13) 및 상부 빔 (15)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 (23)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 (24), (24)…가 형성되고, 협폭부에 의해 조인트 플레이트 이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기둥재 (11)의 C형강의 내부에 고정구로서 볼트나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인트 플레이트 (22)는, 도 9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 (20), (20)에 용접되는 부분이 삼각형이고, 상하의 삼각형을 연결하는 세판부로 구성한 조인트 플레이트 (22A)나, 2개의 삼각형으로 분할된 조인트 플레이트 (22B)의 형상일 수도 있다.Then, the joint plates 22, 22... So as to connect the two reinforcement plates 20, 20, 21, 21 and the end faces of the outer side of the C-shaped steel. Is vertically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joint plate is fixed to block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grooved steel or the C-shaped steel, the upper and lower wide portions and the central narrow portions are connected by the inclined sides, and the lower beam 13 and the upper beam 15 are connected to the wide portions. Through holes (24), (24) into which bolts (23) are inserted; Is formed, and a bolt and nut can be inserted as a fastener into the C-shaped steel of the pillar 11 through the spac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joint plate by the narrow portion.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joint plate 22 is a joint formed of a thin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triangles with a triangle welded to the reinforcement plates 20 and 20. The shape of the plate 22A or the joint plate 22B divided into two triangles may be sufficient.

건물 유닛 (1)에 대향하는 2개의 기둥재 (11), (11)의 상하 단부에 고착된 보강판 (20), (21)과 조인트 플레이트 (22)에 의해, Y 방향을 따르는 하부 빔 (13), (13)과 상부 빔 (15), (15)의 연결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빔 (13), (13)과 상부 빔 (15), (15)에는, 조인트 플레이트 (22)와 대응 접촉하는 엔드 플레이트 (13a), (15a)가 고착되고, 조인트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 (24), (24)…에 대응하여 볼트 (23)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 (13b), (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빔 (15), (15)와 하부 빔 (13), (13)은 조인트 플레이트 (22)를 통해 볼트 너트 (23)으로 접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lower beam along the Y direction is provided by the reinforcing plates 20, 21 and the joint plate 22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wo pillars 11, 11 facing the building unit 1, 13, 13 and the connection of the upper beams 15, 15 are made. Then, end plates 13a and 15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joint plate 22 are fixed to the lower beams 13 and 13 and the upper beams 15 and 15, and through holes of the joint plate are fixed. 24, 24. Correspondingly, through holes 13b and 15b through which the bolt 23 can be inserted are formed. In this way, the upper beams 15 and 15 and the lower beams 13 and 13 are configured to be joined to the bolt nut 23 via the joint plate 22.

또한, 기둥재 (11)의 상부의 보강판 (21), (21)의 중간에는, C형강의 내측의 리브를 보강하기 위한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25), (25)…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보강된 기둥재 (11)의 리브에는 연결 플레이트 (26), (26)…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고, 이 연결 플레이트와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기둥재 (11)의 동등한 위치에 고착된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수평 브레이스재 (17), (17)이 연결되어 있다. 이 수평 브레이스재 (17), (17)은 중간 위치에 턴버클을 개재시켜서, 길이 및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oreover, in the middle of the reinforcement boards 21 and 21 of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material 11, triangular reinforcement plates 25 and 25 for reinforcing the rib inside the C-shaped steel.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ribs of the pillar member 11 reinforced by this reinforcing plate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s 26, 26,. The horizontal brace members 17 and 17 ar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fixed by this welding or the like and fixed to the same position of the column member 11 positioned on the diagonal line. These horizontal brace materials 17 and 17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a length and tension can be adjusted through a turnbuckle in an intermediate position.

건물 유닛 (1)의 기둥재 (2), (2)에는, 부대 유닛 (10)을 건물 유닛 (1)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고, 기둥재 (2), (2)의 부대 유닛 (10)과 대향하는 상하 단부의 각각에 2개의 설치 구멍 (30), (30)이 형성되고, 이 설치 구멍의 내부에는 부대 유닛 (10)을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는 볼트 (31), (31)이 나사 결합되는 너트 (32), (32)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너트가 용접된 설치 구멍의 중간에는 가이드핀 (33)이 너트 등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핀 (33)은, 건물 유닛 (1)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할 때에, 볼트 체결을 쉽게 하기 위해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가이드핀 (33)의 선단은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The pillar materials 2 and 2 of the building unit 1 are configured to connect the auxiliary units 10 to the building unit 1, and the auxiliary units 10 of the pillar materials 2 and 2 are provided. ), Two mounting holes 30 and 30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facing each other, and a bolt 31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auxiliary unit 10 to the building unit 1 inside the mounting hole. The nuts 32 and 32 to which the 31 is screwed are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guide pin 33 is being fixed to the middle of the installation hole in which two nuts were welded through a nut etc. This guide pin 33 is for positioning in order to facilitate bolt fastening when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uilding unit 1, and the tip end of the guide pin 33 is formed to have a thin end. have.

부대 유닛 (10)에는, 건물 유닛 (1)의 설치 구멍 (30)과 가이드핀 (33)에 대응하고, 기둥재 (11), (11)의 건물 유닛 (1)과 대향하는 면에 3개의 관통 구멍 (27)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2개의 관통 구멍은 볼트 (31), (31)이 삽입되고, 중앙의 관통 구멍에는 가이드핀 (33)이 삽입된다. 그리고, 건물 유닛 (1)의 기둥재 (2)와 부대 유닛 (10)의 기둥재 (11) 사이에는, 스페이서 (35)가 개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페이서 (35)에는, 볼트 (31), (31) 및 가이드핀 (33)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unit 10 corresponds to the installation hole 30 and the guide pin 33 of the building unit 1, and is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building unit 1 of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The through hole 27 is formed. Bolts 31 and 31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and guide pins 33 are inserted into the central through holes. The spacer 35 is interposed between the pillar 2 of the building unit 1 and the pillar 11 of the auxiliary unit 10. The spacer 35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bolts 31, 31 and the guide pin 33 can be inserted.

이와 같이 형성된 부대 유닛 (10)은 기둥재, 빔재가 모두 강접합되어 있는 건물 유닛 (1)에 대하여, 2개의 면(X-Z면)의 기둥재 (11), (11)의 상단과 상부 빔 (14)가 강접합되고, 기둥재 (11), (11)의 하단부와 하부 빔 (12)가 볼트 너트 (12b)로 핀접합된 2개의 측면 (16), (16)이 형성되고, 측면 (16), (16)끼리 4개의 빔재 (13), (13), (15), (15)로 볼트 너트 (23)에 의해 연결하여 접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기둥재나 빔재의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대 유닛 (10)은 기둥재 (11), (11)과 하부 빔 (12)와 상부 빔 (14)로 구성되는 2개의 측면 (16), (16)과 4개의 빔재 (13), (13), (15), (15)로 나누어서 수송하고, 현지에서 빔재를 고정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현지에서 조립하지 않고, 공장에서 직방체상으로 구성하여 수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직방체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일부가 강접합된 X-Z 방향의 2개의 면으로 했지만, Y-Z 방향의 2개의 면을 일부가 강접합된 측면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The auxiliary unit 10 form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upper and upper beams of the pillars 11 and 11 of two surfaces (XZ planes)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unit 1 in which both the pillar material and the beam material are tightly joined. 14 is rigidly joined, and two side surfaces 16, 16 are formed in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illars 11, 11 and the lower beam 12 are pin-joined with bolt nuts 12b, and the side ( 16, and 16, the beams 13, 13, 15, and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olt nut 23 and joined to each other. The cost of ash or beam material can also be reduced. In addition, the auxiliary unit 10 includes two side surfaces 16, 16 and four beam materials 13, which are composed of pillars 11, 11, a lower beam 12, and an upper beam 14, It can also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transports by dividing into (13), (15), and (15), and fixing and assembling a beam material locally. Moreover, it can also be configured and transport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a factory, without granulating locally as need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wo opposing side surfac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10 are two surfaces in the XZ direction in which parts are strongly joined, but the two surfaces in the YZ direction are partly joined by the steel. Of course, it can be done in one aspect.

건물 유닛 (1)을 구성하는 기둥재 (2), (2)…의 상하 단부면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의 내면에는 너트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건물 유닛 (1)의 4개의 기둥재의 상부의 관통 구멍은 건물 유닛 (1)을 수송할 때나, 기초 위에 설치할 때에 매달아 올리기 위한 아이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또한, 부대 유닛 (10)을 구성하는 기둥재 (11), (11)…의 상하 단부면에 고착된 보강판 (20), (21)에도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 (21a)가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의 내면에는 너트 (28)(도 10 참조)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기둥재 (11)의 상단부에는, 이 너트 (28)을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대 유닛 (10) 상에 구축되는 발코니의 기둥재 B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Pillar materials 2, 2 constituting the building unit 1...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 faces of the through holes, and nut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by welding or the like. The through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four pillars of the building unit 1 is equipped with an eye bolt (not shown) for hanging up when transporting the building unit 1 or when installing it on a foundation. Moreover, the pillar materials 11, 11 which constitute the auxiliary unit 10. The through holes 21a are similarly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s 20 and 21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 face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nut 28 (see FIG. 1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s by welding or the like. The nut 28 can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1 by connecting the pillar B of the balcony constructed on the auxiliary unit 10 as shown in FIG. 8.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부대 유닛 (10)의 조립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대 유닛 (10)은 상부가 강접합되고, 하부가 볼트 너트 (12b)로 접합된 2개의 측면 (16), (16)과, 4개의 빔재(하부 빔 (13), (13) 및 상부 빔 (15), (15))로 나누어 수송되고, 현지에서 조립된다. 이 조립은 측면 (16), (16)을 구성하는 기둥재 (11), (11)의 상하 단부에 고정된 조인트 플레이트 (22), (22)…의 관통 구멍 (24), (24)…와, 하부 빔 (13)과 상부 빔 (15)의 엔드 플레이트 (13a), (15a)의 관통 구멍 (13b), (15b)를 합쳐서 볼트 (23)을 삽입하고, 너트를 비틀어 넣어서 고정한다. 볼트나 너트는 조인트 플레이트 (22)의 협폭부에 의해 기둥재 (11)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 (16), (16)은 4개의 빔재 (13), (13), (15), (15)에 의해 결합되어, 직방체상의 부대 유닛 (10)이 완성된다.The assembly of the auxiliary unit 10 of this embodiment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below.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unit 10 has two side surfaces 16 and 16 that are tightly joined at the top and joined by the bolt nut 12b, and four beam members (the bottom beam 13, ( 13) and the upper beams 15, 15) are transported and assembled locally. The assembly is performed by the joint plates 22, 22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llars 11, 11 constituting the side faces 16, 16. Through holes 24, 24. And the through holes 13b and 15b of the lower beam 13 and the end plates 13a and 15a of the upper beam 15 are put together to insert the bolt 23, and the nut is twisted and fixed. The bolt or nut can be inserted into the pillar 11 by the narrow portion of the joint plate 22. Thereby, the side surfaces 16 and 16 are joined by four beam materials 13, 13, 15, and 15, and the rectangular unit unit 10 o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completed.

이와 같이 구성된 부대 유닛 (10)은 소형이며, 2개의 면재(상부 빔 (14) 또는 하부 빔 (12) 중 하나가 강접합되고, 그 중 다른 하나가 핀접합된 측면 (16), (16))와 4개의 빔재(하부 빔 (13), (13) 및 상부 빔 (15), (15))로 분할되기 때문에, 수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대 유닛 (10)은 강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기둥재 (11)이나 빔재 (12), (13), (14), (15)는 소형 경량의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부대 유닛 (10)의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측면 (16), (16)을 용접과 볼트 너트에 의한 핀접합에 의해 제작하고, 측면 (16), (16)을 4개의 빔재로 연결하여 직방체상의 부대 유닛으로 할 수 있어, 건물 유닛과 같은 대규모의 제조 설비가 불필요하게 되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The auxiliary unit 10 thus constructed is compact and has two face plates (one of the upper beam 14 or the lower beam 12 rigidly bonded, the other of which is pinned to the sides 16, 16). ) And four beam materials (the lower beams 13, 13, and the upper beams 15, 15), the transport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auxiliary unit 10 is not required, the pillar material 11 and the beam materials 12, 13, 14, and 15 can use small and light weights, and the auxiliary unit 10 ) Can achieve cost savings. 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16 and 16 can be manufactured by welding and pin-joining with a bolt nut, and the side surfaces 16 and 16 can be connected with four beam materials, and it can be set as an auxiliary unit o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building unit Such a large-scale manufacturing facility becomes unnecessary and can be manufactured easily.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부대 유닛 (10)을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부대 유닛 (10)의 설치면을 건물 유닛 (1)의 피설치면에 대향시켜, 기둥재 (2)와 기둥재 (11) 사이에 스페이서 (35)를 끼우고, 양쪽 유닛을 밀착시킨다. 건물 유닛 (1)의 기둥재 (2), (2)의 상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핀 (33), (33)을 관통 구멍 (27)에 삽입함으로써 건물 유닛 (1)의 기둥재 (11), (11)의 설치 구멍 (30), (30)과, 부대 유닛 (10)의 관통 구멍 (27), (27)이 연통하도록 밀착한다. 그리고, 기둥재 (11)의 관통 구멍 (27)측으로부터 볼트 (31)을 삽입하고, 기둥재 (2)의 내부에 고정된 너트 (32)에 나사 결합시켜 조인다. 조인트 플레이트 (22) 옆의 공간을 통해 볼트 (31)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connects and fixes the auxiliary unit 10 of this embodiment to the building unit 1 is demonstrated below.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auxiliary unit 1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s oppos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building unit 1, and the spacer 35 is sandwiched between the pillar material 2 and the pillar material 11, Close the unit. The pillar member 11 of the building unit 1 by inserting the guide pins 33 and 33 project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llar member 2 of the building unit 1 into the through holes 27. , And the mounting holes 30 and 30 of (11) and the through holes 27 and 27 of the auxiliary unit 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bolt 31 is inserted from the through-hole 27 side of the pillar material 11, and is screwed and fastened to the nut 32 fixed inside the pillar material 2. As shown in FIG. The bolt 31 can be easily inserted through the space next to the joint plate 22.

이와 같이 하여, 건물 유닛 (1)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하면, 건물 유닛 (1)의 내부 공간은 부대 유닛 (10)의 분만큼 확대되어, 내부 공간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X 방향)으로 부대 유닛 (10)을 연결해서 연장하는 경우, 또는 단변 방향(Y 방향)으로 부대 유닛 (10A)를 연결해서 연장하는 경우가 있다. 부대 유닛 (10A)도 기본적으로는 부대 유닛 (10)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2개의 측면 (16a), (16a)(Y-Z면)을 연결하는 4개의 빔재의 길이가 긴 것이 상이할 뿐이다.In this way, when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uilding unit 1,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1 is enlarged by the amount of the auxiliary unit 10, and the internal spac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A,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extend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or in the short side direction (Y direction), the auxiliary unit It may extend by connecting 10A. The auxiliary unit 10A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uxiliary unit 10, and only the long lengths of the four beam members connecting the two side surfaces 16a and 16a (Y-Z plane) are different.

도 14의 (b)에서는, 건물 유닛 (1)을 2개, 2층으로 쌓아 올리고,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의 1층 좌측의 유닛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닛 건물 H의 직방체의 형상으로부터 부대 유닛 부분이 돌출해서 외관에 변화를 부여하고 있고, 이 부대 부분을 예를 들면 현관 부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관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거실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것이나, 수납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나타내는 부대 유닛 (10)은, 건물 유닛 (1)을 적재하는 기초 부분(도시하지 않음)이 부대 유닛 부분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대 유닛은 건물 유닛 (1)에 추종하여 유연하게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In FIG. 14B, two building units 1 are stacked on two and two floors, and the four building units are combined to form a unit building H, and the auxiliary unit 10 is arranged in a unit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floor of the unit building H. The connection is fixed. In this example, the unit unit part protrudes from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unit building H, and a change is given to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is unit part can be used as a front door part, for example. Moreover, it is not limited to a front door part, For example, it can also be used to expand the internal space of a living room, or to be a storage space. As for the auxiliary unit 10 shown in this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art (not shown) which loads the building unit 1 is also formed also in the auxiliary unit part, and the auxiliary unit follows the building unit 1, and is flexible. Absorb the load.

도 14의 (c)에서는, 마찬가지로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의 2층 우측의 유닛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도, 유닛 건물 H의 외관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고, 2층의 건물 유닛 (1)로부터 오버행 상태로 부대 유닛 (10)을 돌출시키고, 내부 공간을 확대하여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나타내는 부대 유닛 (10)은 2층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며, 부대 유닛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보조 기둥 h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14C, the unit building H is similarly constructed by combining four building units 1, and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unit on the 2nd floor right side of this unit building H. In FIG. Also in this example, a change can be given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H, and the auxiliary unit 10 can protrude from the two-story building unit 1 in an overhang state, and the internal space can be enlarged and used effectively. The auxiliary unit 10 shown in this example is mounted on the second floor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unit has an auxiliary pillar h as shown in Fig. 7A.

도 14의 (d)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의 1, 2층 좌측의 유닛에 2개의 부대 유닛 (10)을 상하로 포개서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도, 유닛 건물 H의 외관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고, 1, 2층의 건물 유닛 (1), (1)의 내부 공간을 확대하여 유효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상하층을 관통하는 계단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나타내는 부대 유닛 (10)은 상하에 연속하는 부대 유닛 (10), (10)이 건물 유닛 (1), (1)에 추종하여 유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FIG. 14 (d), four building units 1 are combined to form a unit building H, and two auxiliary units 10 are piled up and connected to the units on the left and second floors of the unit building H. It is fixed. Also in this example, a change can be given to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H,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units (1) and (1)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can be enlarged and effectively used, and particularly as a staircase room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floors. It is available. In the auxiliary unit 10 shown in this example, the auxiliary units 10 and 10 continuous up and down can follow the building units 1 and 1 to have a flexible configuration.

도 14의 (e)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를 구성하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X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장변 방향용의 부대 유닛 (10A)를 1층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도, 유닛 건물 H의 외관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고, 1층의 건물 유닛 (1)의 내부 공간을 확대하여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나타내는 부대 유닛 (10A)는 1층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며, 부대 유닛은 기초 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물 유닛에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다.In FIG. 14E, the unit building H is comprised by combining four building units 1, and the long side direction connect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comprises this unit building H. In FIG. The dragon auxiliary unit 10A is fixed to the first-floor building unit 1. Also in this example, a change can be given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H,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1st-floor building unit 1 can be expanded and used effectively. The auxiliary unit 10A shown in this example is mounted on the first floor portion, and the auxiliary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oundation, and can be flexibly followed in the building unit.

도 14의 (f)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를 구성하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X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장변 방향용의 부대 유닛 (10A)를 2층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도, 유닛 건물 H의 외관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고, 2층의 건물 유닛 (1)의 내부 공간을 확대하여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나타내는 부대 유닛 (10A)는 2층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며, 부대 유닛은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보조 기둥 h를 필요에 따라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의 (g)에서는, 도 14의 (f)의 부대 유닛 (10A)보다 X 방향으로 짧은 부대 유닛 (10A')을 2층의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In FIG. 14 (f), four building units 1 are combined to form a unit building H, and the long side direction connect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H. In FIG. The dragon auxiliary unit 10A is fixed to the two-story building unit 1. Also in this example, a change can be given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H,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two-story building unit 1 can be enlarged and used effectively. The auxiliary unit 10A shown in this example is attached to the second floor portion, and the auxiliary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pillar h as shown in Fig. 7A. In FIG. 14G, the auxiliary unit 10A ', which is shorter in the X direction than the auxiliary unit 10A in FIG. 14F,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uilding unit 1 on the second floor.

이와 같이, 도 14에서 도시한 각 유닛 건물 H에서는, 건물 유닛 (1)을 복수개 중첩하거나, 또는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되고, 외주측의 건물 유닛 중 하나의 입면에 부대 유닛 (10)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 건물 H에서는,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 (1)은, 비내력 구조체인 부대 유닛이 연결되어도 충분한 구조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진력이나 풍력 등이 작용하여도 변형을 억제하여 쾌적한 거주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each unit building H shown in FIG. 14, a plurality of building units 1 are stacked or arranged side by side, and an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an elevation of one of the building unit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have. And in the unit building H, the building unit 1 which is a load-bearing structure has sufficient structural strength even if the auxiliary unit which is a non-bearing power structure is connected, and it suppresses a deformation even when an earthquake force, wind power, etc. act, and has a comfortable habitability. It is equipped with the structure provided.

도 15의 (a), (b)는, 상기한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부대 유닛을 건물 유닛에 연결한 바와 같이, 2층 건물의 유닛 건물인 1층 부분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부대 유닛 (10)의 천장면의 연직 하중은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마끝 빔과 처마뿌리 빔을 거쳐서 윙 프레임(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측면 (16)에 상당)의 기둥재에 전달되고, 바닥면의 연직 하중도 처마끝 빔과 처마뿌리 빔을 거쳐서 윙 프레임의 기둥재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기초 K에 전달된다. 또한, 부대 유닛 (10)에 가해지는 지진력, 풍압력에 기인하는 1층 위의 수평 하중은, 1층 위의 천장 프레임(천장구면)으로부터 건물 유닛 (1)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기초 K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부대 유닛 (10)에 가해지는 연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은, 건물 유닛 (1) 및 기초 K에 전달되기 때문에, 부대 유닛 (10)은 유연한 구조로 건물 유닛 (1)에 추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의 부대 유닛 (10)은 측면 (16), (16)이 유연한 구조이며 건물 유닛 (1)에 추종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윙 프레임 (16), (16)은 연직 하중을 부담하고, 수평 하중은 건물 유닛 (1)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 and (b) of FIG. 15 show an auxiliary unit 10 on a first floor portion which is a unit building of a two-story building, as the auxiliary unit shown in FIG. 14 (b) is connected to a building unit. The connection is fixed. In this example, the vertical load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subsidiary unit 10 is a pillar material of a wing frame (corresponding to the side face 16 in the above embodiment) via the cornice beam and the cornice beam, as shown in (a). The vertical load of the bottom surfa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pillar of the wing frame via the cornice beam and the cornice beam, and finally to the foundation K. In addition, the horizontal load on the first floor due to the seismic force and wind pressure applied to the auxiliary unit 10 is transmitted from the ceiling frame (ceiling spherical surface) on the first floor to the building unit 1, and finally to the foundation K. Delivered. In this way, since the vertical load and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auxiliary unit 10 are transmitted to the building unit 1 and the foundation K,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unit 10 follows the building unit 1 in a flexible structure. In addition, the side unit 16 of this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which the side surface 16, 16 is flexible, and is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ing frames 16 and 16 bear a vertical load, and have a structure which transmits a horizontal load to the building unit 1.

도 15의 (c), (d)는, 상기한 도 14의 (d)에 나타내는 1, 2층에 연속하는 부대 유닛 (10), (10)을 건물 유닛 (1)에 연결한 것과 마찬가지로, 2층 건물의 유닛 건물의 1, 2층 부분에 부대 유닛 (10), (10)을 연결 고정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1층, 2층의 부대 유닛 (10)의 천장면의 연직 하중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마끝 빔과 처마뿌리 빔을 거쳐서 윙 프레임(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측면 (16)에 상당)의 기둥재에 전달되고, 바닥면의 연직 하중도 처마끝 빔과 처마뿌리 빔을 거쳐서 윙 프레임의 기둥재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기초 K에 전달된다. 또한, 부대 유닛 (10)에 가해지는 지진력, 풍압력에 기인하는 2층 위의 수평 하중은, 2층 위의 천장 프레임(천장구면)으로부터 2층의 건물 유닛 (1)에 전달되고, 1층 위의 수평 하중은 1층 위의 천장 프레임(천장구면)으로부터 1층의 건물 유닛 (1)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기초 K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부대 유닛 (1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은, 건물 유닛 (1) 및 기초 K에 전달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부대 유닛 (10)은 측면 (16), (16)이 유연한 구조이기 때문에 건물 유닛 (1)에 추종하기 쉽다.15C and 15D are similar to those of the auxiliary units 10 and 10 continuous to the first and second floors shown in FIG. 14D and the building unit 1, The unit units 10 and 10 are fixed to the 1st and 2nd floors of the unit building of the 2 storey building. In this example, the vertical loads of the ceiling surfaces of the auxiliary units 10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are wing frames (side surface 16 in the above embodiment) via the cornice beam and the cornice beam, as shown in (c). Is transmitted to the pillar of the wing frame via the cornice beam and the cornice beam, and finally to the foundation K. In addition, the horizontal load on the second floor due to the seismic force and wind pressure applied to the auxiliary unit 10 is transmitted from the ceiling frame (ceiling spherical surface) on the second floor to the building unit 1 on the second floor. The above horizontal load is transmitted from the ceiling frame (ceiling surface) on the first floor to the building unit 1 on the first floor, and finally to the foundation K. In this way, since the vertical load and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auxiliary unit 10 are transmitted to the building unit 1 and the foundation K, the auxiliary uni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side surfaces 16 and 16. Since it is a flexible structure, it is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1.

도 15의 (e), (f)는, 상기한 도 14의 (c)에 나타내는 부대 유닛 (10)을 2층의 건물 유닛 (1)에 연결한 것과 마찬가지로, 2층 건물의 유닛 건물의 2층 부분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2층의 부대 유닛 (10)의 천장면의 연직 하중은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마끝 빔과 처마뿌리 빔을 거쳐서 윙 프레임(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측면 (16)에 상당)의 기둥재에 전달되고, 바닥면의 연직 하중도 처마끝 빔과 처마뿌리 빔을 거쳐서 윙 프레임의 기둥재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기초 K에 전달된다. 또한, 부대 유닛 (10)에 가해지는 지진력, 풍압력에 기인하는 2층 위의 수평 하중은, 2층 위의 천장 프레임(천장구면)으로부터 2층의 건물 유닛 (1)에 전달되고, 추가로 1층의 건물 유닛 (1)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기초 K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부대 유닛 (1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은, 건물 유닛 (1) 및 기초 K에 전달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부대 유닛 (10)은 측면 (16), (16)이 유연한 구조이기 때문에 건물 유닛 (1)에 추종하기 쉽다.(E) and (f) of FIG. 15 are similar to those of the unit building of the two-story build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auxiliary unit 10 shown in FIG. 14 (c) is connected to the two-story building unit 1. The unit unit 10 is fixed to the floor portion. In this example, the vertical loa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auxiliary unit 10 on the second floor is a wing frame (corresponding to the side face 16 in the above embodiment) via the cornice beam and the cornice beam, as shown in (e). The vertical load of the floor surfa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pillar of the wing frame via the cornice beam and the cornice beam, and finally to the foundation K. In addition, the horizontal load on the second floor due to the seismic force and wind pressure applied to the auxiliary unit 10 is transmitted from the ceiling frame (ceiling spherical surface) on the second floor to the building unit 1 on the second floor. It is delivered to the building unit 1 on the first floor, and finally to the foundation K. In this way, since the vertical load and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auxiliary unit 10 are transmitted to the building unit 1 and the foundation K, the auxiliary uni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side surfaces 16 and 16. Since it is a flexible structure, it is easy to follow the building unit 1.

여기서, 도 16을 참조하여, 부대 유닛에 작용하는 외력을, 연결된 건물 유닛으로 부담하는 설명을 하면, 도 16의 (a)와 같이, 1층의 장변에 평행하게 연결된 부대 유닛 (10)에서는, 풍력이나 지진 등의 수평력이 작용하면, 2층의 바닥구면 P1에서 이 수평력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부대 유닛 (10)은 비내력 구조체여도,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 (1)의 바닥구면 P1에서 외력에 대항할 수 있고, 유연한 구조의 부대 유닛 (10)을 연결하여 실내의 내부 공간을 저비용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 (1)은, 비내력 구조체인 부대 유닛 (10)이 연결되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구조체로 되어 있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16, when it demonstrates tha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an auxiliary un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ed building unit, as shown in FIG. 16A, in the auxiliary unit 10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ong side of 1st floor, When a horizontal force such as wind or an earthquake acts, the horizontal forc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n the second floor. For this reason, even if the auxiliary unit 10 is a non-bearing structure, it can counteract an external force at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is a bearing structure, and connects the auxiliary unit 10 having a flexible structure to connect the interior space of the room. It can be expanded at low cost. That is, the building unit 1 which is a load bearing structure is a structure which has sufficient strength even if the auxiliary unit 10 which is a non-bearing structure is connected.

도 16의 (b)와 같이, 1, 2층의 장변에 평행하게 연결된 부대 유닛 (10)에서는, 풍력이나 지진 등의 수평력이 작용하면, 마찬가지로 2층의 바닥구면 P1에서 이 수평력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부대 유닛 (10), (10)은 비내력 구조체여도,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 (1)의 바닥구면 P1에서 외력에 대항할 수 있고, 유연한 구조의 부대 유닛 (10)을 연결하여 실내의 내부 공간을 저비용으로 확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b), in the auxiliary unit 1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ong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s, when the horizontal force such as wind or earthquake acts, the horizontal force is similarly supported by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f the second floor. For this reason, even if the auxiliary units 10 and 10 are non-bearing structures, they can counteract an external force at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f the building unit 1 as a bearing structure, and the auxiliary units 10 having a flexible structure are connected to the room. The internal space of the can be expanded at low cost.

도 16의 (c)와 같이, 2층의 장변에 평행하게 연결된 부대 유닛 (10)에서는, 풍력이나 지진 등의 수평력이 작용하면, 마찬가지로 2층의 바닥구면 P1에서 이 수평력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부대 유닛 (10)은 비내력 구조체여도,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 (1)의 바닥구면 P1에서 외력에 대항할 수 있고, 유연한 구조의 부대 유닛 (10)을 연결하여 실내의 내부 공간을 저비용으로 확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c), when the horizontal force such as wind or earthquake acts on the auxiliary unit 1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ong sides of the second floor, the horizontal force is similarly supported by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n the second floor. For this reason, even if the auxiliary unit 10 is a non-bearing structure, it can counteract an external force at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is a bearing structure, and connects the auxiliary unit 10 having a flexible structure to connect the interior space of the room. It can be expanded at low cost.

또한, 도 16의 (d)와 같이, 건물 유닛을 상하에 3개 중첩하고, 1층 부분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한 유닛 건물에서는, 풍력이나 지진 등의 수평력이 작용하면, 2층의 바닥구면 P1과, 3층의 바닥구면 P2에서 이 수평력을 지지한다. 또한, 도 16의 (e)와 같이, 건물 유닛을 상하에 3개 중첩하고, 1층 부분과 2층 부분에 부대 유닛 (10), (10)을 연결 고정한 유닛 건물에서는, 풍력이나 지진 등의 수평력이 작용하면, 2층의 바닥구면 P1과, 3층의 바닥구면 P2에서 이 수평력을 지지한다. 또한, 도 16의 (f)와 같이, 건물 유닛을 상하에 3개 중첩하고, 2층 부분에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한 유닛 건물에서도, 풍력이나 지진 등의 수평력이 작용하면, 2층의 바닥구면 P1과, 3층의 바닥구면 P2에서 이 수평력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부대 유닛 (10)은 비내력 구조체여도, 내력 구조체인 건물 유닛 (1)의 바닥구면에서 외력에 대항할 수 있고, 유연한 구조의 부대 유닛 (10)을 연결하여 실내의 내부 공간을 저비용으로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d), in a unit building in which three building unit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unit 10 is fixed to the first floor portion, when a horizontal force such as wind or earthquake acts, This horizontal forc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and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2 of the third floo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E, in a unit building in which three building unit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units 10 and 10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loor parts, such as wind power and earthquake, etc. When the horizontal force is applied, the horizontal forc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of the second floor and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2 of the third floo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f), even in a unit building in which three building unit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unit 10 is connected and fixed to a second floor portion, when a horizontal force such as wind or earthquake acts, This horizontal forc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1 and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P2 of the third floor. For this reason, even if the auxiliary unit 10 is a non-bearing structure, it can counteract an external force at the bottom spherical surface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is a bearing structure, and connects the auxiliary unit 10 of a flexible structure to lower the internal space of the room. You can zoom in.

도 17의 (a)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를 구성하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X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장변 방향용의 부대 유닛 (10A)를 1층과 2층 건물 유닛 (1), (1)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1, 2층의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대폭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 연장 부분을 오픈 실링(open ceiling)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In (a) of FIG. 17, the unit building H is comprised by combining four building units 1, and the long side direction connect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comprises this unit building H. In FIG. The dragon auxiliary unit 10A is fixed to the 1st and 2nd floor building units (1) and (1). In this example,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s of the 1st and 2nd floor can be enlarged significantly. This extension can also be used as an open ceiling.

도 17의 (b)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를 구성하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X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장변 방향용의 부대 유닛 (10A)를 1층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고, 부대 유닛 (10A)의 상부에 발코니 BL을 설치하였다. 이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대 유닛 (10A)의 기둥재 (11)의 상단부면에 형성한 관통 구멍 (21a)에 볼트 등의 고정구를 통과시키고, 내부의 너트 (28)에 비틀어 넣어서 발코니 기둥 B를 고정할 수 있다.In (b) of FIG. 17, the unit building H is comprised by combining four building units 1, and the long side direction connect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comprises this unit building H. In FIG. The dragon auxiliary unit 10A was fixed to the first-floor building unit 1, and a balcony BL wa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unit 10A.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8, a fastener such as a bolt is passed through a through hole 21a formed i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11 of the auxiliary unit 10A, and the nut 28 inside. Twist to fix Balcony Pillar B.

도 17의 (c)에서는, 건물 유닛 (1)을 상하에 4개 조합함과 동시에 X 방향의 1층 부분에 1개의 건물 유닛 (1)을 배열해서 5개의 건물 유닛을 조합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의 건물 유닛을 4개 조합한 부분과, 1개의 건물 유닛의 1층의 내측 모퉁이 부분에, 단변 방향(Y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부대 유닛 (10)을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도, 부대 유닛 (10)을 현관 스페이스 등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In FIG. 17C, a unit building H in which four building units 1 are combined up and down and one building unit 1 is arranged on the first floor portion in the X direction and five building units are combined is shown. The unit unit H which is connected along the short side direction (Y direction) is fixed to the part which combined four building units of this unit building H, and the inner corner part of the 1st floor of one building unit, have. Also in this example, the auxiliary unit 10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entrance space and the like.

도 17의 (d)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를 구성하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X 방향)을 따라, 단변용의 부대 유닛 (10)을 1층의 건물 유닛 (1)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1층의 건물 유닛 (1)의 내부 공간을 일부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유닛 건물 H의 외관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부대 유닛 (10)을 연결하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의 중간부에 부대 유닛에 맞춰서 중간 기둥을 설치하면 바람직하다.In FIG. 17 (d), four building units 1 are combined to form a unit building H, and for short sides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H. FIG. The auxiliary unit 10 is fixed to the building unit 1 on the first floor. In this example,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1 on the first floor can be partially enlarged.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H can be changed. Moreover, in this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intermediate pillar in accordance with the auxiliary unit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which connects the auxiliary unit 10.

도 17의 (e)에서는, 건물 유닛 (1)을 4개 조합해서 유닛 건물 H를 구성하고, 이 유닛 건물 H를 구성하는 건물 유닛 (1)의 단변 방향(Y 방향)을 따라, 1층의 2개의 건물 유닛 (1), (1)에 연속하도록 부대 유닛 (10B)를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부대 유닛 (10B)도 상기 부대 유닛 (10), (10A)와 동일한 구성이며, 2개의 측면을 4개의 빔재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 예에서는, 1층의 2개의 건물 유닛 (1), (1)에 연속하여 내부 공간을 확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닛 건물 H의 외관에 변화를 부여할 수 있다.In FIG. 17E, four building units 1 are combined to form a unit building H, and along the short side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H, The auxiliary unit 10B is connected and fixed so as to be continuous to two building units (1) and (1). This auxiliary unit 10B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uxiliary units 10 and 10A, and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wo side surfaces with four beam materials. In this example, the internal space can be enlarged in succession to two building units (1) and (1) on the first floor, and a change can be given to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H.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건물 유닛의 단변 방향의 폭보다 부대 유닛의 해당 방향의 폭이 약간 작고, 건물 유닛의 한쪽측의 기둥과 부대 유닛의 한쪽측의 기둥을 일치시켰을 때, 건물 유닛의 다른쪽측의 기둥과 부대 유닛의 다른쪽측의 기둥이 외벽 패널 PL의 두께 분만큼 약간 어긋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건물 유닛의 기둥재와, 부대 유닛의 기둥재를 볼트 고정하거나, 또는 빔 부분에서 연결할 수 있다. 그 밖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unit unit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hen the column on one side of the building unit matches the column on one side of the unit unit In other words, the column on the other side of the building unit and the column on the other side of the unit unit are slightly shifted by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panel PL. In this case, the pillar of the building unit and the pillar of the auxiliary unit may be bolted or connected at the beam portion. In addition, about the substantially equivalent struct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8에 있어서, 건물 유닛 (1)에 연결되는 부대 유닛 (10C)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개의 기둥재 (11)과,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 (12), (12), (13), (13)과,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 (14), (14), (15), (15)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상부 빔 (14)는 기둥재 (11), (11)에 강접합되고, 하부 빔 (12)는 기둥재 (11), (11)에 볼트 접합되어 있다. 이 부대 유닛 (10C)는, y 방향의 길이가 건물 유닛 (1)의 y 방향의 길이보다 외벽 패널 PL의 두께 분만큼 약간 짧기 때문에, 한쪽측의 기둥재를 건물 유닛 (1)의 기둥재와 맞추면 다른쪽측의 기둥재는 건물 유닛의 다른쪽측의 기둥재와 맞지 않아 어긋남이 발생한다.In FIG. 18, the auxiliary unit 10C connected to the building unit 1 includes four pillars 11 and four lower beams 12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illa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om (12), (13), (13) and four upper beams (14), (14), (15) and (15)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eam 14 is strongly joined to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and the lower beam 12 is bolted to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This auxiliary unit 10C has a length of the y direction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y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by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panel PL. If matched, the pillar material on the other side does not match the pillar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building unit, causing misalignment.

즉, 한쪽측의 기둥재는, 상기 도 10,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유닛 (1)의 기둥재 (2)와 부대 유닛 (10C)의 기둥재 (11)은 볼트 (31), 너트 (32)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다른쪽측에서는 기둥재 (2)와 기둥재 (11)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볼트 너트에 의한 연결을 하거나, 또는 빔 부분에서 연결한다. 빔 부분에서 연결할 때는, 도 18과 같이, 기둥재 (2)와 기둥재 (11) 사이에 스페이서 (40)을 끼우고, 건물 유닛 (1)의 하부 빔 (4)와 부대 유닛 (10C)의 하부 빔 (13)을 연결판 (41)을 걸쳐 볼트 너트로 연결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 빔측도 마찬가지로 연결판을 걸쳐 볼트 너트로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도, 부대 유닛 (10C)는 2측면을 구성하는 하부 빔 (12)가 볼트 너트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한 구조가 되어, 연결되는 건물 유닛 (1)에 추종하여 변위 등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대 유닛 (10C)의 건물 유닛 (1)로부터 이격된 장변의 상부 빔은, 기초(도시하지 않음)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pillar member on one side has the bolt member 31 and the nut member 32 of the pillar member 2 of the building unit 1 and the pillar member 11 of the auxiliary unit 10C. ), The pillar material 2 and the pillar material 11 do not coincide on the other side. For this reason, it connects with a bolt nut or connects in a beam part in a state which does not match. When connecting at the beam portion, as shown in FIG. 18, the spacer 40 is sandwiched between the pillar 2 and the pillar 11, and the lower beam 4 and the auxiliary unit 10C of the building unit 1 are fitted. The lower beam 13 is connected with a bolt nut across the connecting plate 41.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beam side is likewise connected with a bolt nut across the connecting plat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unit 10C has a flexible structure because the lower beams 12 constituting the two sides are joined by the bolt nut, so as to follow the building unit 1 to be connected to flexibly displace the displacement. It can absorb. Moreover,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side upper beam spaced apart from the building unit 1 of the auxiliary unit 10C is fixed to the foundation (not shown) by the anchor bolt.

또한,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부대 유닛의 해당 방향의 길이가 작고, 부대 유닛의 기둥재에 대응하여, 건물 유닛의 상부 빔과 하부 빔 사이에 보강 부재로서 중간 기둥을 설치하고, 이 중간 기둥과 부대 유닛의 기둥재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embodiment is smaller in length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unit than the length of the long side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orresponds to the pillar material of the auxiliary unit,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unit. An intermediate pillar is provided as a reinforcing member between the beams, and the intermediate pillar and the pillar member of the auxiliary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bout the substantially equivalent struct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9에 있어서, 건물 유닛 (1)에 연결되는 부대 유닛 (10D)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개의 기둥재 (11)과,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 (12), (12), (13), (13)과,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 (14), (14), (15), (15)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상부 빔 (14)는 기둥재 (11), (11)에 강접합되며, 하부 빔 (12)는 기둥재 (11), (11)에 볼트 접합되어 있다.In FIG. 19, the auxiliary unit 10D connected to the building unit 1 includes four pillars 11 and four lower beams 12 connecting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pilla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om (12), (13), (13) and four upper beams (14), (14), (15) and (15)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eam 14 is rigidly joined to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and the lower beam 12 is bolted to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건물 유닛 (1)에는, 부대 유닛 (10D)의 기둥재 (11)에 맞춰, 하부 빔 (3)과 상부 빔 (5) 사이에 수직으로 C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기둥 (45)(보강 부재)가 세워져 있다. 그리고, 중간 기둥 (45)와 부대 유닛 (10D)의 기둥재 (11) 사이에 스페이서 (46)이 끼워져, 볼트 너트 (4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도, 부대 유닛 (10D)는 2측면을 구성하는 하부 빔 (12)가, 엔드 플레이트 (12a)를 통해 볼트 너트 (12b)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한 구조가 되어, 부대 유닛 (10D)는 연결되는 건물 유닛 (1)에 추종하여 변위 등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의 하부 빔 (3)과 상부 빔 (5) 사이에 중간 기둥 (45)를 세워 설치하기 때문에, 보조 빔으로서 소형 천장 빔 (48)을 설치하여 건물 유닛 (1)을 보강하면 바람직하다. The building unit 1 has an intermediate column 45 (reinforcing member) made of C-shaped steel perpendicularly between the lower beam 3 and the upper beam 5 in accordance with the pillar 11 of the auxiliary unit 10D. Erected The spacer 46 is sandwiched between the intermediate pillar 45 and the pillar member 11 of the auxiliary unit 10D, and is connected by the bolt nut 47. Also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unit 10D has a flexible structure because the lower beam 12 constituting the two sides is joined by the bolt nut 12b through the end plate 12a, thereby providing the auxiliary unit 10D. ) Tracks the building unit 1 to be connected and can flexibly absorb displacement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termediate | middle pillar 45 is er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lower beam 3 and the upper beam 5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the small ceiling beam 48 is provided as an auxiliary beam.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d reinforce the building unit 1.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대 유닛을 구성하는 볼트 너트 등에 의한 기둥재와 빔재와의 연결은, 그 사양에 의해서는 용접 접합과 동등한 고정 접합, 또는 반고정 접합에 가까운 구조적 성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접합에 가까운 상태를 회피하는 연결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핀접합). 도 20에서는, 빔재(하부 빔 (12))의 단부에 빔 단부 조인트 부재로서, 엔드 플레이트 (12c)를 용접하고, 이 엔드 플레이트 (12c)의 중앙부에 연결 플레이트 (12d)를 더 용접하여, 볼트 너트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의 간격을 작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 (12c)가 변형되기 쉬우며, 기둥과 빔과의 연결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llar material and the beam material by the bolt nut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 structural property close to that of fixed welding or semi-fixed welding, which is equivalent to welding welding.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structure which avoids the state near a fixed junction is employ | adopted (pin junction). In Fig. 20, the end plate 12c is welded to the end of the beam material (lower beam 12) as the beam end joint member, and the connecting plate 12d is further welded to the center of the end plate 12c, so that the bolt The space | interval of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nut is inserted is made small. 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end plate 12c is easy to deform | transform, and the flexibility of the connection part of a pillar and a beam can be improved.

도 21은, 부대 유닛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대 유닛은 4개의 기둥재에 4개의 하부 빔 및 4개의 상부 빔이 기둥 우선인 사양으로 형성된 것이었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빔 우선인 사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21의 부대 유닛 (10E)에서는, 4개의 상부 빔 (14A), (14A), (15A), (15A)끼리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 연결되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빔재의 하방에 4개의 기둥재 (11a)가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 연결되어 있다. 기둥재 (11a)의 하방과 4개의 하부 빔과의 연결도, 도시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4개의 하부 빔끼리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 장방형상으로 연결되고,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빔과의 상부에 4개의 기둥재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대 구조물은, 기둥 우선인 구조나, 빔 우선인 구조, 또는 기둥 우선과 빔 우선을 조합한 구조 등 적절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2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unit.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bsidiary unit is formed in four pillars with four lower beams and four upper beams having pillar priority specifications, but in this embodiment, they are formed with beam priority specifications. In the auxiliary unit 10E of FIG. 21, four upper beams 14A, 14A, 15A, and 15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er such as a bolt nut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and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elow the four beam member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ur pillar members 11a are connected by fasteners such as bolt nuts.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11a and the four lower beams is similarly illustrated, although the four lower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shape by fasteners such as bolt nuts and the like.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two pillar materials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uitable structure such as a pillar-first structure, a beam-first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pillar-priority and the beam-priority are comb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 형태는 기둥재 (11), (11)과, 하부 빔 (12)와, 상부 빔 (14)로 구성되는 측면 (16), (16)에 있어서, 상부 빔 또는 하부 빔 중 적어도 하나가 강접합되고, 그 중 다른 하나가 빔 단부 조인트 부재로서 엔드 부재를 통해 볼트 너트로 연결되는 예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상부 빔 (14)와 하부 빔 (12)의 양쪽이 고정구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다른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Moreover,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in the side surfaces 16 and 16 constituted of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the lower beam 12, and the upper beam 14.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rigid connection is made, and the other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olt nut through the end member as the beam end joint member, but in this embodiment, both the upper beam 14 and the lower beam 12 are connected to the fixture. The connection is fixed. Other substantially equivalent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22에 있어서, 부대 유닛 (10F)에서는 4개의 기둥재 (11)은, 단면 형상이대략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의 강재로 형성되어 있어, 부대 유닛 (10F)의 비용 감소가 가능해지고 있다. 하부 빔 (12) 및 상부 빔 (14)도 마찬가지로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의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X 방향을 따르는 상부 빔 (14), (14)는 기둥재 (11), (11)의 상단부에 고정구로서 볼트 너트 등으로 연결되고, 하부 빔 (12), (12)도 기둥재 (11), (11)의 하단부에 볼트 너트 등으로 연결되어 측면 (16A), (16A)를 구성하고 있다. 이 볼트 너트에 의한 연결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엔드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행해지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수평 브레이스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22, in the auxiliary unit 10F, the four pillars 11 are formed of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having a substantially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cost of the auxiliary unit 10F can be reduced. have. Similarly, the lower beam 12 and the upper beam 14 are formed of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The upper beams 14 and 14 along the X-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pillars 11 and 11 with bolt nuts or the like as fasteners, and the lower beams 12 and 12 are also pillars ( 11) and 11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s by bolt nuts or the like to form side surfaces 16A and 16A. The connection by this bolt nut is performed through the end plate (not shown) similarly to the said embodiment.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fix a horizontal brace material as needed.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대 유닛 (10F)를 구성하는 X-Z 방향의 2개의 측면 (16A), (16A)는 2개의 기둥재 및 2개의 빔재를 연결하는 4개소가 모두 강접합이 아닌, 볼트 너트 등에 의한 핀접합으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기둥재 (11), (11)의 상하 단부를 Y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부 빔 (13) 및 상부 빔 (15)도 볼트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대 유닛 (10F)는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대 유닛 (10F)에 지진력이나 풍압력이 작용하여도, 부대 유닛 자체로 대항하는 것이 아닌, 연결되는 건물 유닛에 작용한 힘을 전달하여 건물 유닛이 대항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의 빔재, 즉 하부 빔 (12) 및 상부 빔 (14)가 모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유연한 구조가 되어 있어, 건물 유닛에의 추종성이 높아져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wo side surfaces 16A and 16A in the XZ direction constituting the auxiliary unit 10F are all bolted to a bolt nut or the like, not all of the four places connecting two pillar materials and two beam materials. In addition to being a pin joint, the lower beam 13 and the upper beam 15 which connec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in the Y direction are also connected by the bolt nut. 10F has a flexible structure. For this reason, even if an earthquake force or wind pressure acts on the auxiliary unit 10F, the building unit opposes by transmitting the force acting on the connected building unit instead of opposing the unit unit itself. In this embodiment, since both the upper and lower beam materials, that is, the lower beam 12 and the upper beam 14 are both fixed by the fasteners, the structure becomes more flexible tha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ollowability to the building unit is increased. have.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건물 유닛 (10G)를 구성하는 2측면 (16B), (16B)는 인접하는 2개의 기둥재 (11), (11)과 상부 빔 (14) 및 하부 빔 (12)로 구성되며, 하부 빔 (12)는 2개의 기둥재 (11), (11)의 하단부에 용접 등으로 강접합되고, 상부 빔 (14)는 고정구로서 볼트 너트 등으로 2개의 기둥재 (11), (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도 6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상부 빔 (14)가 볼트 너트로 연결되는 구성이고, 하부 빔 (12)가 용접 등으로 강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핀접합되는 빔이 상하에서 상이할 뿐이고,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어, 외력 등이 부대 유닛 (10G)에 작용했을 때 유연하게 대응하여 연결하는 건물 유닛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two side surfaces 16B and 16B which comprise the building unit 10G consist of two pillar materials 11 and 11 which adjoin, the upper beam 14, and the lower beam 12. The lower beam 12 is tightly joined to the lower ends of the two pillars 11 and 11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upper beam 14 is the two pillars 11 and 11 as a fastener by bolt nuts or the like.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11). In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described above, the upper beam 14 is connected by a bolt nut, and the lower beam 12 is strongly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In this configuration, the beams to be pinned only differ from above and below, and have a flexible structure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or the like acts on the auxiliary unit 10G, the building unit to be connected flexibly and correspondingly. Can transmit power.

또한, 본 발명의 부대 구조물과 건물 유닛과의 연결부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24 내지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 내지 26에 있어서, 부대 유닛 (10D)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며, 부대 유닛 (10D)의 장변 방향(수평 방향)의 길이는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의 길이 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대 유닛 (10D)의 기둥과 건물 유닛 (1)의 기둥을 한쪽측에서 맞추면 다른쪽측에서는 맞지 않아, 부대 유닛 (10D)의 다른쪽의 기둥은 건물 유닛 (1)의 장변 방향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auxiliary | structure structure and building uni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26, the auxiliary unit 10D is connect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as described above,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unit 10D is the building unit 1. It is se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For this reason, if the column of the auxiliary unit 10D and the column of the building unit 1 are matched on one side, it will not match on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column of the auxiliary unit 10D will be in the middle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1. It is located at the degree.

도 24 내지 26에서 도시하는 예에서는, 건물 유닛 (1)의 상부 빔(천장 빔) (5)의 중간부에 접합용 어태치먼트 (51)을 용접하고, 이 어태치먼트에 보강 부재로서 보조 빔 (52)를 연결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 빔 (5)의 상대변측의 상부 빔에도 마찬가지로 어태치먼트 (51)이 용접되고, 보조 빔 (52)가 양쪽 빔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51)은 단면이 C형 또는 U형 등인 강재 (51a)로 형성되고, 이 강재의 상하의 치수를 상부 빔 (5)의 양쪽 리브 사이에 맞춰 절단하고, 강재의 개구를 강판 (51b)로 접합하고 있고, 강재 (51a)의 배면에는 보조 빔 (52)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너트 (53)이 2개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보조 빔 (52)의 양단부에는 연결판 (52a)가 용접되어 있고, 이 연결판에도 볼트를 삽입 관통하는 연결 구멍이 2개 형성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4-26, the joining attachment 51 is welded to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upper beam (ceiling beam) 5 of the building unit 1, and the auxiliary beam 52 is used as a reinforcement member to this attachment. Is connecting. Although not shown, the attachment 51 is similarly welded to the upper beam on the relative side of the upper beam 5, and the auxiliary beam 52 is connected between both beams. The attachment 51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51a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 shape or a U shape, and the like, and the upper and lower dimensions of the steel material are cut between the two ribs of the upper beam 5 to cut the opening of the steel material into the steel plate 51b. The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beam 52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teel material 51a, and the two nuts 53 are fixed to the inside. Moreover, the connecting plate 52a is welded to the both ends of the auxiliary beam 52, and this connecting plate is also provided with two connecting holes which penetrate a bolt.

또한, 강판 (51b)에는 부대 유닛 (10D)를 연결하는 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3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3개의 너트 (53)이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관통 구멍의 내측에 너트 (53)을 용접할 필요가 있지만, 고강도의 너트인 경우, 용접으로 파단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너트를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속 케이스 (54a)에 넣은 너트 결합체 (54)로 하고, 금속 케이스 (54a)를 용접하면 너트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el plate 51b is formed with three through-holes through which bolts connecting the auxiliary units 10D are inserted, and three nuts 53 are fixed insid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weld the nut 53 inside the through hole, but in the case of a nut of high strength, there is a possibility of breaking by welding. For this reason, if the nut is made into the nut assembly 54 put in the metal case 54a as shown in FIG. 26, and a metal case 54a is welded, breakage of a nut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 구조에서는, 건물 유닛 (1)의 상부 빔 (5)와 대향하는 상부 빔 사이에 어태치먼트 (51), (51)을 통해 보조 빔 (52)가 볼트 (56)을 너트 (53)에 비틀어 넣어 연결됨으로써 보강되어 있고, 이 보강된 부위의 상부 빔 (5)의 외측에 스페이서 (55)를 끼워 부대 유닛 (10D)가 연결된다. 즉, 상부 빔 (5)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대 유닛 (10D)의 기둥재 (11)의 조인트 플레이트의 내부로부터 연결 볼트 (56)을 삽입하고, 스페이서 (55)를 관통시켜 어태치먼트 (51) 내의 너트 (53)에 비틀어 넣어 고정한다.In the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in this way, the auxiliary beam 52 connects the bolt 56 to the nut 53 via the attachments 51 and 51 between the upper beam 5 of the building unit 1 and the opposing upper beam. It is reinforced by being twisted in and connected, and the auxiliary unit 10D is connected by inserting the spacer 55 outside the upper beam 5 of this reinforced site | part.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bolt 56 is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joint plate of the pillar 11 of the auxiliary unit 10D located outside the upper beam 5, and the spacer 55 passes through the attachment 51 in the attachment 51. Tighten the nut (53) to fix it.

이와 같이 구성된 부대 유닛의 연결 구조에서는, 부대 유닛 (10D)의 기둥이 위치하는 건물 유닛 (1)의 빔재(상부 빔 (5))의 중간부를 보강할 수 있고, 부대 유닛이 빔재의 중간부에 연결되어도 건물 유닛 (1)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건물 유닛 (1)의 하부 빔도, 동일한 구성의 접합용 어태치먼트를 용접 고정하고, 보조 빔으로서 소형 바닥 빔을 하부 빔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건물 유닛 (1)을 보강하면 바람직하다.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uxiliary unit comprised in this way,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beam material (upper beam 5) of the building unit 1 in which the pillar of the auxiliary unit 10D is located can be reinforced, and the auxiliary unit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beam material. Even if connected, the building unit 1 is reinforced so that the connection can be fixed stabl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beam of the building unit 1 also reinforces the building unit 1 by welding and fixing the attachment attachment for the same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small floor beam between the lower beams as an auxiliary beam. .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부대 유닛 (10D)를 연결하는 건물 유닛 (1)은 보강 부재로서 보조 빔 (52A)와 중간 기둥 (45A)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이 예의 보조 빔 (52A)는 마찬가지로 C형강으로 형성되고, 중간 기둥 (45A)도 C형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빔 (52A)를 연결하기 위한 접합용 어태치먼트 (51A)는, 상부 빔 (5)와 동일한 방향의 C형강을 절단한 형상이고, 상기한 어태치먼트 (51)과 마찬가지로 상부 빔 (5)에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빔 (52A)는 어태치먼트 (51A), (51A)를 통해 볼트 (56) 및 너트 (53)에 의해 상부 빔 (5), (5)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 빔 (5)와 하부 빔(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중간 기둥 (45A)가 연결되어 건물 유닛 (1)은 보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건물 유닛 (1)에서는, 길이가 짧은 부대 유닛 (10D)를 연결하는 부위의 상부 빔 (5) 및 하부 빔이 보조 빔 (52A) 및 중간 기둥 (45A)에 의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유닛 (1)의 연결 부분이 안정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7, the building unit 1 which connects the auxiliary unit 10D is reinforced by the auxiliary beam 52A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pillar 45A as a reinforcement member. The auxiliary beam 52A of this example is similarly formed of C-beams, and the intermediate column 45A is also formed of C-beams. And the joining attachment 51A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beam 52A is a shape which cut | disconnected the C-beam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beam 5, and is similar to the attachment 51 mentioned above to the upper beam 5 Welded The auxiliary beam 52A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beams 5 and 5 by means of the bolt 56 and the nut 53 through the attachments 51A and 51A. In addition, an intermediate pillar 45A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beam 5 and the lower beam (not shown) so that the building unit 1 is reinforced. In the building unit 1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beam 5 and the lower beam of the portion connecting the short unit units 10D are reinforced by the auxiliary beam 52A and the intermediate column 45A. The connection part of the building unit 1 is stabilized.

도 28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 형태의 부대 구조물인 부대 유닛 (10H)는, 발코니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대 유닛 (10H)는,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기둥재 (11), (11)의 하단부를 하부 빔 (12)로 연결하고, 상단부를 상부 빔 (14)로 연결한 윙 프레임 F1과, 도시하지 않지만 반대측의 윙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들 윙 프레임을 하부 빔 (13), (13)과 바닥장선을 용접한 바닥 프레임 (F2)와, 상부 빔 (15), (15)와 천장장선을 용접한 천장 프레임 (F3)을,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조인트 플레이트를 통해 볼트 너트 등으로 연결하여 직방체의 직사각형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The auxiliary unit 10H which is an auxiliary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8 is configured as a balcony unit. This auxiliary unit 10H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two pillars 11 and 11 to the lower beam 12 and the upper ends to the upper beam 14, as shown in Fig. 28 (b). A wing frame F1 connected thereto, a wing frame on the opposite side (not shown), and a bottom frame F2 welded to the lower beams 13 and 13 and a floor joist, and an upper beam 15, The rectangular fram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comprised by connecting the ceiling frame F3 which welded 15 and the ceiling line with a bolt nut etc. through the joint plate similar to the above.

윙 프레임 F1은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빔 (12)와 상부 빔 (14) 중 하나는 용접에 의해 기둥재 (11), (11)에 강접합되고, 다른 하나는 볼트 너트에 의해 기둥재 (11), (11)에 연결되어 있다. 또는, 하부 빔 (12)와 상부 빔 (14)가 모두 볼트 너트에 의해 기둥재 (11), (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처마끝측의 장변 방향의 중단에는 발코니 난간 (18)이 조인트 플레이트 J1을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직방체의 상면, 하면, 양측면을 외벽재(도시하지 않음)로 덮어, 부대 유닛 (10H)가 구성된다.Wing frame F1 is not shown in detail, but similarly to the above embodiment, one of the lower beam 12 and the upper beam 14 is rigidly joined to the pillars 11 and 11 by welding, and the other It is connected to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by a bolt nut. Alternatively, both the lower beam 12 and the upper beam 14 are connected to the pillar materials 11 and 11 by bolt nuts. Moreover, the balcony railing 18 is connected and fixed through the joint plate J1 at the interruption of the long side direction at the edge of an eaves. Thus,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are covered with an outer wall material (not shown) to form the auxiliary unit 10H.

이 예의 부대 유닛 (10H)는, 건물 유닛 (1)의 하나의 입면을 구성하는 부재인 기둥재 (2), (2)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설치 구멍 (30)에 볼트를 통과시켜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이 부대 유닛 (10H)를 유닛 건물의 2층에 연결 고정함으로써, 유닛 건물의 2층 부분에 주위를 둘러싼 캔틸레버 발코니 구성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unit 10H of this example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pillar materials 2 and 2 which are members constituting one elevation of the building unit 1, and is bolted to the installation hole 3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on is fixed by passing through. And by connecting and fixing this auxiliary unit 10H to the 2nd floor of a unit building, it can be set as the cantilever balcony structure surrounding the 2nd floor part of a unit building.

또한, 도 2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부대 구조물은 부대 유닛 (10I)이고, 1층의 건물 유닛의 장변측의 입면(Y-Z면)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부대 유닛 (10I)는 건물 유닛 (1)의 장변측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성되고, 건물 유닛 (1)의 장변측의 입면을 구성하는 양끝의 기둥재 (2), (2)는 일치하지 않으며, 상부 빔과 하부 빔 사이에 접속된 중간 기둥(도시하지 않음)에 부대 유닛의 기둥재를 맞춰서 연결 고정된다. 이 짧은 부대 유닛 (10I)에서는, 건물 유닛 (1)의 장변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부대 유닛 (10I)를 연결함으로써, 유닛 건물의 외관에 의해 변화를 갖게 하여 외관의 다양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tructure of embodiment shown in FIG. 29 is the auxiliary unit 10I, and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elevation (Y-Z surface) of the long side side of the building unit of 1st floor. The auxiliary unit 10I is composed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building unit 1, and the pillar materials 2 and 2 at both ends constituting the elevation of the long side of the building unit 1 do not coincide. It is not connected and fixed to match the pillar of the auxiliary unit to an intermediate pillar (not shown) connected between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In this short auxiliary unit 10I, by connecting the auxiliary unit 10I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long side of the building unit 1,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can be changed to achieve diversification of the external appearanc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방체의 대향하는 2측면의 상부 빔을 강접합하고, 하부 빔을 볼트 접합하도록 구성했지만, 하부 빔을 강접합하고, 상부 빔을 볼트 접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강접합과 볼트 접합한 2측면을,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의 폭이 좁은 2측면으로 한 예를 도시했지만, 단변 방향의 폭이 넓은 2측면으로 할 수도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sign change can be mad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ind of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For example, although the upper beams of the two opposite side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ere hard-bonded and the lower beam was bolt-bonded, the lower beam may be tight-bonded and the upper beam may be bolted-bonded. 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which made the two side surfaces which the steel joint and the bolt joint joined the narrow side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a building unit was shown, it can also be set as the two side surface which is wide in the short side direction.

유닛 건물로서, 건물 유닛을 4개 또는 5개 이용한 예를 도시했지만, 건물 유닛을 2개 또는 3개 이용한 것일 수도 있고, 추가로 다수의 건물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층 이상의 유닛 건물에 복수의 부대 유닛을 연결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부대 유닛을 구성하는 기둥재로서, 홈형강 또는 C형강의 예를 설명했지만, H형강 등의 다른 형상의 강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As a unit building, although the example which used four or five building units was shown, it may be what used two or three building units, and many building units can be used further. In addition, of course, a plurality of auxiliary units can also be fixed to a unit building of three or more floors. 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of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was demonstrated as a pillar material which comprises an auxiliary unit, steel of other shapes, such as H-shaped steel, can also be used.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이 부대 유닛을 이용하여 건물 유닛을 조립하여 구성된 유닛 건물의 외관에 변화를 주어서 중후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고, 부대 유닛을 연결 고정함으로써 유닛 건물의 내부 공간을 확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체의 건물 유닛에 추종하기 쉬운 유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As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unit can be used to assemble a building unit to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unit building, which can have a heavy design, and can connect and secure the unit unit to enlarge the internal space of the unit building. In addition, it can be set as the flexible structure which is easy to follow a building unit of a main body.

1: 건물 유닛
2: 기둥재
3, 4: 하부 빔
5, 6: 상부 빔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부대 유닛(부대 구조물)
11, 11a: 기둥재
12, 13: 하부 빔
12a: 엔드 플레이트(빔 단부 조인트 부재)
12b: 볼트 너트
13a, 15a: 엔드 플레이트(빔 단부 조인트 부재)
14, 14A, 15, 15A: 상부 빔
16, 16B: 일부를 강접합한 측면(윙 프레임)
16A: 볼트 접합된 측면(윙 프레임)
17: 수평 브레이스재
20, 21: 보강판
22: 조인트 플레이트(조인트 부재)
23: 볼트
24: 관통 구멍
25: 보강 플레이트
26: 연결 플레이트
30: 설치 구멍
31: 볼트(고정구)
32: 너트(고정구)
33: 가이드핀
45, 45A: 중간 기둥(보강 부재)
51, 51A: 접합용 어태치먼트
52, 52A: 보조 빔(보강 부재)
H: 유닛 건물
BL: 발코니
B: 발코니 기둥
1: building unit
2: pillar material
3, 4: lower beam
5, 6: upper beam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auxiliary unit (substructure)
11, 11a: pillar material
12, 13: lower beam
12a: end plate (beam end joint member)
12b: bolt nut
13a, 15a: end plate (beam end joint member)
14, 14A, 15, 15A: upper beam
16, 16B: side tightly joined (wing frame)
16A: Bolted Side (Wing Frame)
17: horizontal brace material
20, 21: gusset
22: joint plate (joint member)
23: bolt
24: through hole
25: reinforcement plate
26: connecting plate
30: mounting hole
31: Bolts
32: nut (fixture)
33: guide pin
45, 45A: Middle column (reinforcement member)
51, 51A: attachment attachment
52, 52A: auxiliary beam (reinforcement member)
H: unit building
BL: balcony
B: balcony pillar

Claims (16)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직방체상의 건물 유닛 중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소형의 부대 구조물로서,
상기 부대 구조물은 4개의 기둥재와, 상기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과, 상기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으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건물 유닛의 상기 하나의 입면을 구성하는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4개의 하부 빔 및 4개의 상부 빔은, 상기 4개의 기둥재에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에 의한 연결은, 상기 기둥재에 상기 하부 빔 또는 상부 빔의 양단부에 고착된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대응 접촉시켜 상기 고정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
As a small auxiliary structure connected to the elevation of one of the building units 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to enlarge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The auxiliary structur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four pillars, four lower beams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ur upper beams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 to the member constituting the one elevation of the,
The four lower beams and the four upper beams are connected to the four pillars by fasteners,
The auxiliary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pilla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end of the lower beam or the upper end of the beam attached to the joint member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beam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ture.
유닛 건물을 구성하는 직방체상의 건물 유닛 중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 유닛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소형의 부대 구조물로서,
상기 부대 구조물은 4개의 기둥재와, 상기 기둥재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빔과, 상기 기둥재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빔으로부터 직방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건물 유닛의 상기 하나의 입면을 구성하는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며,
인접하는 2개의 기둥재와 상부 빔 및 하부 빔으로 구성되는 직방체의 대향하는 2측면은, 상부 빔 또는 하부 빔 중 하나가 2개의 기둥재에 강접합되고, 그 중 다른 하나가 고정구에 의해 2개의 기둥재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에 의한 연결은, 상기 기둥재에 상기 하부 빔 또는 상부 빔의 양단부에 고착된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대응 접촉시켜 상기 고정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
As a small auxiliary structure connected to the elevation of one of the building units 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unit building, to enlarge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unit,
The auxiliary structur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four pillars, four lower beams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ur upper beams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 to the member constituting the one elevation of the,
Two opposing side surface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isting of two adjacent pillars and an upper beam and a lower beam, one of the upper beam or the lower beam is tightly joined to the two pillars, the other of which is fixed by two fasteners. Fixed to the column,
The auxiliary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pilla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end of the lower beam or the upper end of the beam attached to the joint member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beam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유닛의 상기 부대 구조물을 설치하는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의 상부 빔과 하부 빔 및 2개의 기둥재로 윙 프레임을 2면 형성하고,
상기 윙 프레임은 연직 하중만을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
The wing fram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wo wing frames are formed of an upper beam, a lower beam, and two pillars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auxiliary structure of the building unit is installed.
And the wing frame bears only a vertical loa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 의한 연결은, 상기 기둥재에 고착된 조인트 부재에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대응 설치시켜 볼트 너트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on by the fastener is detachably connected by bolt nuts by correspondingly installing the beam end joint member to the joint member fixed to the pillar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기둥재는 단면 형상이 コ자형인 홈형강 또는 C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홈형강 또는 C형강의 개구의 일부를 막도록 고착되고,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이면에는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의 체결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our pillars are made of groove-shaped steel or C-shaped steel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U-shaped, and the joint member is fixed to block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grooved steel or C-shaped steel, An auxili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space for fasteners such as bolt nuts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재는 홈형강 또는 C형강의 상단 및 하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수평상의 보강판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과 함께 상기 조인트 부재를 지지하는 수평상의 보강판이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6. The pillar member is fixed to a horizontal reinforcing plate for closing the opening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oved steel or the C-shaped steel,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plate for supporting the joint member is fix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plate. Bag structure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재는 홈형강 또는 C형강의 리브를 보강하는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lumn member is fixed with a triangular reinforcement plate for reinforcing ribs of grooved steel or C-shaped ste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빔 및 하부 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둥재와의 연결부에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가 고착되고, 상기 상부 빔 및 하부 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를 통해 상기 기둥재에 상기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beam end joint member of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is fixed to a connection with the pillar material,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is the beam end joint. The auxili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illar material by the fastener through the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는 평판상이고, 상하의 광폭부와 중앙의 협폭부가 경사변으로 연결되며, 광폭부에 상기 하부 빔 및 상부 빔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 The beam end joint member of claim 8, wherein the beam end joint member is flat, and the upper and lower wide portions and the narrow portion at the center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inclined sides,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a bolt for connecting the lower and upper beams is inserted into the wide portion. The sub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 단부 조인트 부재는 상기 상부 빔 및 하부 빔의 길이 방향의 개구를 폐쇄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하의 단부가 굴곡되어 빔재의 상하 플랜지에 고착되는 상하 굴곡부와, 상기 평탄부의 중앙부가 굴곡되어 빔재의 웹에 고착되는 중앙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평탄부에 상기 하부 빔 및 상부 빔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beam end joint member of claim 8, wherein the beam end joint member comprises: a flat part for closing the open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an upper and lower bent part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t part are bent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material; And the center bent portion of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bent to be fixed to the web of the beam material, and the through hole into which the bolt for connecting the lower beam and the upper beam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lat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유닛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길이보다 상기 부대 구조물의 상기 장변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incid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length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incident structure is shorter than a length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uilding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 구조물은 상기 4개의 기둥재의 적어도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 브레이스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대 구조물.The auxiliar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uxiliary structure includes a horizontal brace material connecting at least an upper portion of the four pillars.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부대 구조물을 상기 건물 유닛에 연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건물.A unit building, wherein 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fixed to the build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유닛은 기둥재 및 빔재가 전부 강접합되어 있는 내력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건물.The unit building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building unit is a load-bearing structure in which all the pillar materials and the beam materials are tightly join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 구조물은 상기 건물 유닛의 외면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건물.The unit building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auxiliary structure is fixedly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유닛 중 하나의 입면에 연결되는 상기 부대 구조물은 상기 하나의 입면보다 수평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물 유닛은 상기 부대 구조물의 기둥재와 대향하는 빔재가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건물.15. The building unit of claim 13, wherein the auxiliary structure connected to one of the building units is shor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one of the building units, and the building unit has a beam member facing the pillar of the auxiliary structure. A unit building, which is reinforced by.
KR1020110093870A 2011-04-07 2011-09-19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KR1013626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5659A JP5081995B2 (en) 2010-04-14 2011-04-07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JP-P-2011-085659 201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69A KR20120115069A (en) 2012-10-17
KR101362655B1 true KR101362655B1 (en) 2014-02-12

Family

ID=4729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70A KR101362655B1 (en) 2011-04-07 2011-09-19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6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298A (en) * 2009-02-05 2010-10-0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Ancilla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2010261273A (en) * 2009-05-11 2010-11-18 Sekisui Chem Co Ltd Incidental assembly and unit building with the incidental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298A (en) * 2009-02-05 2010-10-0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Ancilla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2010261273A (en) * 2009-05-11 2010-11-18 Sekisui Chem Co Ltd Incidental assembly and unit building with the incident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69A (en)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264B1 (en) Ancilla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4928091B2 (en) Seismic frame at the opening of a wooden building
JP3782817B1 (en) Structural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house
JP5953016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5767538B2 (en) Steel connection structure, incidental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5271739B2 (en) Rooftop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5836077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2013032696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rigid frame structure
JP5143971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5400283B2 (en) Building unit connection structure and unit building
KR101362655B1 (en) Accesso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6087986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KR100963587B1 (en)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JPH1046664A (en) Beam penetrative steel frame system
JP6122980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6087987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5004434B2 (en) Steel house
KR20090092540A (en)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KR100963583B1 (en)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JP5793286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5792448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KR100963585B1 (en)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JP2018115491A (en) Building structure
JP5629171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building unit and incidental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3323064B2 (en) Unit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