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146B1 -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146B1
KR101362146B1 KR1020070049076A KR20070049076A KR101362146B1 KR 101362146 B1 KR101362146 B1 KR 101362146B1 KR 1020070049076 A KR1020070049076 A KR 1020070049076A KR 20070049076 A KR20070049076 A KR 20070049076A KR 101362146 B1 KR101362146 B1 KR 10136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ube
coating layer
liquid crystal
fluorescent lamp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508A (ko
Inventor
박기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14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61/42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by transforming the wavelength of the light by luminescence
    • H01J61/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램프는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형광램프와,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를 수납하는 보텀 커버와, 상기 각 형광램프와 마주보도록 상기 보텀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램프 보임 현상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확산판과 형광램프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 및/또는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할 수 있다.
형광램프, 방전관, 코팅층, 램프 보임, 확산판

Description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FLUORESCENT LAMP,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백 라이트 유닛에서 발생되는 램프 보임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광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에 있어서, 방전관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른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도 6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의 측정 포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램프 보임 현상의 최소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 : 방전관 4 : 제 1 전극
6 : 제 2 전극 8 : 코팅층
10 : 형광램프
본 발명은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액정셀들과 이들 액정셀들 각각에 공급될 비디오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로 구성된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패널에 조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을 액정패널에 표시한다.
종래의 백 라이트 유닛은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과,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이용한 종래 의 백 라이트 유닛은 휘도가 낮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수은 함유에 따른 환경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고휘도 및 장수명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열음극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열음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열음극 형광램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그 위에 확산판을 배치하여 램프들로부터의 광을 액정패널에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음극 형광램프를 이용한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는 열음극 형광램프의 두께가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비해 두껍기 때문에 열음극 형광램프와 확산판의 간격을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켜야 한다. 즉, 열음극 형광램프와 확산판의 간격이 가까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 상에 램프들이 보이는 램프 보임(Lamp Mura)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램프 보임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열음극 형광램프와 확산판의 간격을 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는 열음극 형광램프를 적용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광램프는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형광램프와,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를 수납하는 보텀 커버와, 상기 각 형광램프와 마주보도록 상기 보텀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백 라이트 유닛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형광램프와,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를 수납하는 보텀 커버와, 상기 각 형광램프와 마주보도록 상기 보텀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광램프(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광램프(10)는 내벽에 형광물질이 형성된 방전관(2)과, 방전관(2)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4, 6)과, 방전관(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형광램프(10)는 열음극형, 냉음극형 및 외부전극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음극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형광램프(10)는 제 1 및 제 2 전극(4, 6)에 인가되는 램프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방전관(2)의 형광물질에서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방출한다.
코팅층(8)은 방전관(2)의 외부 표면에 방전관(2)의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코팅층(8)의 면적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2)의 중앙부에서 양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때, 방전관(2)의 중앙부에서의 코팅층(8)은 방전관(2)의 중심으로부터 110°~ 130°범위(θ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방전관(2)의 중앙부와 양가장자리 사이의 중간부에서의 코팅층(8)은 방전관(2)의 중심으로부터 55°~ 65°범위(θ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방전관(2)의 양 가장자리에서의 코팅층(8)은 방전관(2)의 중심으로부터 0°~ 3°범위(θ3)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코팅층(8)은 방전관(2)의 중앙부에서의 대각선이 방전관(2)의 길이방향의 대각선보다 짧은 마름모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코팅층(8)은 재질의 반사율에 따라 방전관(2)의 형광물질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반사시키게 된다. 이때, 코팅층(8)은 산화 알루미늄(Al2O3)의 재질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코팅층(8)의 반사율이 40%일 경우, 방전관(2)의 형광물질에서 발생된 광의 60%는 코팅층(8)을 투과하고, 40%는 코팅층(8)에 의해 반사된다. 결과적으로, 코팅층(8)은 방전관(2)의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른 면적으로 형성되어 방전관(2)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투과시킴으로써 방전관(2)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광램프(10)는 방전관(2)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코팅층(8)을 포함함으로써 방전관(2)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 균일도가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100)은 제 1 및 제 2 전극(4, 6)을 가지는 복수의 형광램프(10)와, 복수의 형광램프(10)를 수납하는 보텀 커버(110)와, 각 형광램프(10)의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보텀 커버(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측면 프레임(120)과, 각 형광램프(10)의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보텀 커버(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측면 프레임(130)과, 복수의 형광램프(10)에 대향되도록 보텀 커버(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판(140)과, 확산판(14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시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형광램프(10) 각각은 도 2에 관련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 성을 가지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러한, 각 형광램프(10)는 방전관(2)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코팅층(8)을 포함함으로써 방전관(2)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광을 발생하여 확산판(140)에 조사한다.
보텀 커버(110)는 복수의 형광램프(10)와 대향되는 바닥면과, 형광램프(10)의 길이 방향에 대향되도록 바닥면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과, 바닥면에 대향되도록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텀 커버(110)의 바닥면 및 경사면에는 각 형광램프(10)로부터의 광을 확산판(14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112)가 부착된다.
제 1 측면 프레임(120)은 각 형광램프(10)의 제 1 전극(4)을 포함하는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보텀 커버(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 1 측면 프레임(120)은 각 형광램프(10)에 대향되는 경사면과, 경사면에 형성되어 각 형광램프(10)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복수의 램프 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측면 프레임(120)은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보텀 커버(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 2 측면 프레임(130)은 각 형광램프(10)의 제 2 전극(4)을 포함하는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보텀 커버(1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 2 측면 프레임(130)은 각 형광램프(10)에 대향되는 경사면과, 경사면에 형성되어 각 형광램프(10)의 타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복수의 램프 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2 측면 프레임(130)은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보텀 커버(110)의 타측에 설치된다.
한편, 보텀 커버(110)는 양측에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120, 130) 각각이 설치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태를 가지게 된다.
확산판(140)은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120, 130)이 설치된 보텀 커버(110)의 전면 개구부 상에 배치된다. 즉, 확산판(140)은 보텀 커버(110)의 안착부와,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120, 13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때, 보텀 커버(110)의 중앙부분에는 확산판(1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140)은 복수의 형광램프(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영역으로 확산시켜 광학 시트(150)에 조사한다.
복수의 광학 시트(150)는 확산판(140)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 및/또는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복수의 광학 시트(150)는 확산판(140)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기 위한 2장의 프리즘 시트(152, 15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광학 시트(150)는 확산판(140)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여 확산시킨 후 재집광하기 위한 하부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형광램프(10)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8)에 의해 각 방전관(2)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백 라이트 유닛 상에서 방전관(2)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른 휘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의 측정 그래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라이트 유닛을 복수의 측정 포인트(P1 내지 P25)로 나누고, 각 측정 포인트(P1 내지 P25)의 휘도를 기초하여 백 라이트 유닛의 중앙부 휘도(CL)와,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변의 휘도(LL) 및 우변의 휘도(RL)를 분석한 것이다. 이때, 좌변의 휘도(LL)는 제 13, 제 15 및 제 19 측정 포인트(P13, P15, P19)의 휘도의 합(L13+L15+L19)을 제 1, 제 3 및 제 6 측정 포인트(P1, P3, P6)의 휘도의 합(L1+L3+L6)으로 나눈 것이며, 우변의 휘도(RL)는 제 14, 제 18 및 제 20 측정 포인트(P14, P18, P20)의 휘도의 합(L14+L18+L20)을 제 1, 제 3 및 제 6 측정 포인트(P1, P3, P6)의 휘도의 합(L1+L3+L6)으로 나눈 것이다.
도 6의 휘도 측정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보임 현상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확산판(140)과 형광램프(10)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은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형광램프(10)를 수납하는 보텀 커버(110)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100)과, 백 라이트 유닛(100) 상에 배치되는 액정패널(300)과, 백 라이트 유닛(100)과 액정패널(300)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300)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200)와, 액정패널(300)의 가장자리와 보텀 커버(110)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백 라이트 유닛(100)은 도 4에 관련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100)는 방전관(2)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코팅층(8)을 포함함으로써 각 방전관(2)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광을 발생하여 액정패널(300)에 조사한다.
패널 가이드(200)는 보텀 커버(110)의 안착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광학 시트(150) 및 확산판(140)을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광학 시트(150) 및 확산판(14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때, 패널 가이드(200)와 확산판(140) 사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제 1 패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패드는 패널 가이드(200)와 확산판(140) 사이의 갭을 제거하여 광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패널 가이드(200)는 액정패널(300)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가이드(200)에는 액정패널(300)의 배면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패널 안착부가 마련된다.
액정패널(300)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304)과, 두 어레이 기판(302, 304) 사이의 셀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미도시)와, 스페이서에 의해 마련된 액정공간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액정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의 비표시영역에는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접속되는 데이터 패드영역과,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접속되는 게이트 패드영역이 마련된다.
데이터 패드영역에는 데이터 라인들에 화상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집적회로(312)가 실장된 복수의 데이터 회로필름(310)이 부착된다. 각 데이터 회로필름(31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데이터 회로필름(310)은 데이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 등을 데이터 집적회로(312)에 공급하고, 데이터 집적회로(31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한다. 여기서, 데이터 집적회로(312)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방식에 의해 회로필름(310) 없이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게이트 패드영역에는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집적회로(322)가 실장된 복수의 게이트 회로필름(320)이 부착된다. 각 게이트 회로필름(32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또는 칩 온 필름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게이트 회로필름(320)은 데이터 회로필름(310)과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을 통해 데이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 집적회로(322)에 공급하고, 게이트 집적회로(322)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각 게이트 라인에 공급한다. 여기서, 게이트 집적회로(322)는 칩 온 글라스 방식에 의해 회로필름 없이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에 실장되거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과 함께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의 배면에는 복수의 광학 시트들(150)과 마주보는 하부 편광필름이 부착된다. 하부 편광필름은 복수의 광학 시트들(15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때, 하부 편광필름의 투과축은 액정층의 배향 방향과 일치하도록 소정의 각도에 배치된다.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304)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302)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304)의 배면에는 상부 편광필름(미도시)이 부착된다. 상부 편광필름은 액정층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304)을 투과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때, 상부 편광필름의 투과축은 하부 편광 필름의 투과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액정패널(300)은 보텀 커버(110)에 배치된 패널 가이드(200)의 패널 안착부에 배치된다. 이때, 패널 가이드(200)의 패널 안착부와 하부 편광필름 사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제 2 패드(미도시)가 배치된다. 제 2 패드는 패널 가이드(200)와 액정패널(300) 사이의 갭을 제거하여 광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액정패널(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케이스(400)는 액정패널(300)의 전면 비표시영역과 보텀 커버(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다. 이때, 케이스(400)는 보텀 커버(110)의 측면을 감싸는 패널 가이드(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형광램프(10)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8)에 의해 각 방전관(2)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가 균일함으로써 램프 보임 현상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확산판(140)과 형광램프(10)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백 라이트 유닛(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함으로써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는 방전관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각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램프 보임 현상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확산판과 형광램프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 및/또는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갖도록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면적은 상기 방전관의 양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에서의 대각선이 상기 방전관의 길이방향의 대각선보다 짧은 마름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방전관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나머 지를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재질은 산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7.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형광램프와,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를 수납하는 보텀 커버와,
    각 형광램프와 마주보도록 상기 보텀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형광램프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갖도록 상기 방전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 휘도와 좌우측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면적은 상기 방전관의 양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방전관의 중앙부에서의 대각선이 상기 방전관의 길이방향의 대각선보다 짧은 마름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방전관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나머지를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재질은 산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형광램프는 열음극형, 냉음극형 및 외부전극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4.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시트들과,
    상기 복수의 광학 시트들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20070049076A 2007-05-21 2007-05-21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KR10136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76A KR101362146B1 (ko) 2007-05-21 2007-05-21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76A KR101362146B1 (ko) 2007-05-21 2007-05-21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08A KR20080102508A (ko) 2008-11-26
KR101362146B1 true KR101362146B1 (ko) 2014-02-12

Family

ID=4028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076A KR101362146B1 (ko) 2007-05-21 2007-05-21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308U (ko) * 1995-12-02 1997-07-31 액정표시소자의 백 라이트 장치
KR100380838B1 (ko) * 1999-08-20 2003-04-1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 백 라이트용 조명 장치 및 백 라이트용조명 장치의 형광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308U (ko) * 1995-12-02 1997-07-31 액정표시소자의 백 라이트 장치
KR100380838B1 (ko) * 1999-08-20 2003-04-1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 백 라이트용 조명 장치 및 백 라이트용조명 장치의 형광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08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265B2 (en) Optical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7105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light guiding plate comprising a protrusion and method having the same
US7927001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534706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8264634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0138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75353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2137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287356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362146B1 (ko)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US200700468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494242B2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 diffuser plate having indented portions and a reflective plate having lamp insertion portions
US7520653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068327A (ko) 액정표시장치
US20140226363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80008860A (ko) 액정 패널 및 확산판 수납용 중공형 몰드,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96636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8004719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98209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04919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117058A (ko) 확산 부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US20070159045A1 (en) Backlight unit of LCD
JP2002109941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平面表示装置
KR2007011887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5363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