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207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207B1
KR101360207B1 KR1020070033811A KR20070033811A KR101360207B1 KR 101360207 B1 KR101360207 B1 KR 101360207B1 KR 1020070033811 A KR1020070033811 A KR 1020070033811A KR 20070033811 A KR20070033811 A KR 20070033811A KR 101360207 B1 KR101360207 B1 KR 10136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delete delete
display module
prin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0681A (en
Inventor
유인석
김민수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207B1/en
Publication of KR2008009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6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하우징; 및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상기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영역과 그 나머지 영역이 경계선으로 구획되지 않도록 그래데이션(gradation)이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이 서로 다른 색깔에 의하여 단이 져서 보이는 것을 극복할 수 있게 되므로 외관이 개선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housing; And a display module embedded in the terminal housing, wherein a display window is formed in the terminal housing to visually display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and the display window includes an area for displaying the visual information; By forming a gradation so that the remaining area is not partitioned by the boundary line, the display module can overcome the appearance of being cut by different colors, thereby improving appearance.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Cell phone, mobile phone, handse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1 show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4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도 5는 도 4의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도 6은 도 4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도 7은 도 4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켜진 상태의 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is turned 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200: 휴대 단말기 110,210: 단말기 하우징100,200: mobile terminal 110,210: terminal housing

120,220: 디스플레이 모듈 121,221: 디스플레이 윈도우120,220: display module 121,221: display window

122,222: 베이스 커버 123,223: 인쇄층122,222: base cover 123,223: printing layer

130,230: 키패드 140,240,234: 그래데이션130,230: keypad 140,240,234: grad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splay module.

이동통신 전화기 또는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or a PDA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function such as allowing a user to view or process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r information while using the mobile terminal.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무선 송수신이라는 기본적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또는 전송, 음악파일의 재생, 방송의 수신, 또는 무선 인터넷 등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가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are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supporting the capturing or transmission of photos and videos, the reproduction of music files, the reception of broadcasts, or the wireless Internet,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아울러, 그러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엘시디(LCD) 또는 키패드는 그러한 예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은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외관을 형성하기도 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nvenient interface environment that enables users of such portable terminals to access multimedia information easily and quickly. An LCD or keypad may be such an example, and they may be placed outside the portable terminal to form an appearance for easy access.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는 주변 영역과의 경계를 두기 위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뚜렷한 구획선이 존재한다. 이러한 뚜렷한 구획선은 특히 하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고 상부에 윈도우가 있는 하우징을 배치하는 경우, 엘시디의 색상과 윈도우 주변의 색상의 차이를 유발하게 되어 마치 단이 있는 것처럼 보여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display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has a distinct division lin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have a boundary with a peripheral area. Such a distinct partition line may cause a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of the LCD and the color around the window, especially when the display module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housing with the window on the upper s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 주변의 영역 사이에 단이 있는 것처럼 보여지지 않게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does not appear to have a stage between a display module and an area around the display modu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하우징; 및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상기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영역과 그 나머지 영역이 경계선으로 구획되지 않도록 그래데이션(gradatio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housing; And a display module embedded in the terminal housing, wherein a display window is formed in the terminal housing to visually display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and the display window includes an area for displaying the visual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adation is formed so that the remaining area is not partitioned by a boundary lin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그래데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dation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gradually darker toward the edge of the display window.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투광성의 베이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커버의 표면에 인쇄되며, 상기 그래데이션을 형성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isplay window comprises: a translucent base cover; And a printed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forming the grad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과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하면에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window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printing layer may be pri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cov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window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printing layer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cov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는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는 투광성의 보호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ve prot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lay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투명한 수지 필름이 인몰드(in-mold)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by in-mold of a transparent resin film on which the printing layer is prin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상기 베이스 커버에 전사(轉寫)된 후 투명 도료가 입혀져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 transparent paint after the printing layer is transferred to the base cov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에는 입력을 위한 키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keypad for input.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하우징; 및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조명되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하우징은 상기 키패드의 각 키를 나타내는 표지(標識)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키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키 윈도우는 상기 각 표지의 영역과 나머지 영역이 경계선으로 구획되지 않도록 그래데이션(gradatio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도 개시한다.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terminal housing; And a keypad illuminated on the terminal housing and visually displayed, wherein the terminal housing is provided with a key window for displaying a mark indicating each key of the keypad from the outside. Also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gradation is formed such that the region of the region and the remaining region are not partitioned by a boundary li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 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일부분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ure 1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전방에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내장된 단말기 하우징(110)을 구비한다. 무선통신을 위하여 번호나 문자의 입력 또는 특수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하측에 키패드(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측에는 통화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홀(171)이 형성될 수 있다. 키패드(130)는 누름방식으로 입력하는 형태 또는 접촉방식으로 입력하는 형태 등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housing 110 in which a display module 120 is built in the front. The keypad 1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20 to execute input of a number or a letter or a special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peaker hole that outputs voice during a call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20. 171 may be formed. The keypad 130 may be in a form of a pressing method or a form of a contact method.

휴대 단말기(100)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이른바 '바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바디로 이루어져 어느 한 바디가 회전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이른바 '폴더 타입' 또는 어느 한 바디가 슬라이드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이른바 '슬라이드 타입'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rmed of a so-called 'bar type' made of one body as shown in FIG. 1.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o-called 'folder type' in which any one body is rotated to be opened or closed by being composed of at least two bodies, or a so-called 'slide type' in which any one body is opened or closed by sliding.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방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의해 표시되는 시각정보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1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윈도우(121)가 단말기 하우징(110)과 별개로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하우징(110)에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면적을 갖는 관통창(111)이 형성되며, 관통창(111)은 디스플레이 윈도우(121)에 의하여 덮여지고 있다.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120, a display window 121 is formed so that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module 120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window 121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housing 110.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through housing 111 having an area of at least the display module 120 is formed in the terminal housing 110, and the through window 111 is covered by the display window 121. have.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자체 발광에 의하거나 다른 발광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영역을 조명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 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a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20 may use a method of illuminating the display area by self-luminous or by using other light emitting mean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ganic Light Emitting Diaode) may be used.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윈도우(121)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영역과 그 나머지 영역이 경계선으로 구획되지 않도록 그래데이션(gradation; 140)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12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테두리는 그래데이션(140)이 있는 구간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영역 사이의 명확한 경계선이 없으므로 내부의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디스플레이 윈도우(121) 사이에 높이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display window 121 has a gradation 140 formed such that an area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remaining area are not divided by a boundary line.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120 located inside the display window 121 is located in the section where the gradation 140 is located. Accordingly, since there is no clear boundary line between the regions, it may be possible to eliminate the appearanc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display window 121.

그래데이션(140)의 구간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 및 표시부분의 선명도를 고려하여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참고하면, 그래데이션(140)은 디스플레이 윈도우(1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게 형성되고 있다. The section of the gradation 140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sharpness of the display portion. Referring to FIG. 2, the gradation 140 is formed to become darker toward the edge of the display window 121.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윈도우(121)는 투광성의 베이스 커버(122)와 베이스 커버(122)의 하면에 배치되며, 그래데이션(140)이 형성된 인쇄층(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window 121 is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ssive base cover 1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cover 122, and is composed of a print layer 123 having a gradation 140 formed thereon.

인쇄층(123)은 그래데이션(140)을 형성하여야 할 구간에 서로 다른 밝기를 갖도록 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인쇄하거나 같은 농도의 인쇄작업을 여러 번 하여 구간에 따라 다른 밝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print layer 123 may be implemented to have different brightness in the section to form the gradation 140 to be printed in one job or to implement different brightness depending on the section by printing the same density several times. have.

인쇄층(123)은 디스플레이 윈도우(121)에 직접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수지 필름에 먼저 위와 같은 인쇄층(123)을 형성한 후 그 수지필름을 디스플레이 윈도우(121)의 하면에 부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The print layer 123 may be formed by printing directly on the display window 121. Alternatively, a method of attaching the resin film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121 after forming the above-described print layer 123 on the resin film is also possible.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켜진 상태의 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4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is turned on.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20), 스피커(270) 및 회로기판(232) 등이 내장된 단말기 바디(2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바디(201)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221) 및 키패드(230)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말기 하우징(210)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20) 및 키패드(230)는 단말기 하우징(210)의 표면에서는 물리적 경계, 예를 들어, 조립틈(clearance)을 형성하지 않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terminal body 201 in which a display module 220, a speaker 270, a circuit board 232, and the like are embedded. The front side includes a terminal housing 210 in which a display window 221 and a keypad 230 are integrally formed to view a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220. The display module 220 and the keypad 230 do not form a physical boundary, for example, an assembly clearance,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210.

키패드(230)는 단말기 하우징(210)에 조명되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여러 위치에서 키패드(230)의 각 키를 나타내는 표지(標識)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키 윈도우(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키 윈도우(221)의 하부에는 키 윈도우(221)를 조명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233)가 구비된다. 키패드(230)는 접촉에 의하여 입력을 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The keypad 230 is formed to be illuminated and visually displayed on the terminal housing 210. That is, a key window 221 is formed so that a cover (標 識) representing each key of the keypad 230 is visible from outside at various positions, and the key window 221 is illuminated at the bottom of the key window 221.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233 is provided. The keypad 230 may be provided with sensing means (not shown) to allow input by contact.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윈도우(221) 및 키 윈도우(231)에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어두워지도록 그래데이션(240)(2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 플레이 윈도우(221) 및 키 윈도우(231)는 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 모듈(220) 또는 발광부(233)에 의하여 조명되는 부분 사이의 명확한 경계선이 없이 점점 짙어지는 그래데이션(240)(234)에 의하여 주변과의 영역의 구분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하부의 디스플레이 모듈(220) 또는 회로기판(231)이 디스플레이 윈도우(221) 또는 키 윈도우(231)와 다른 위치에 있어서 단이 지게 보이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gradations 240 and 234 are formed in the display window 221 and the key window 231 so as to become darker toward the edges. Accordingly, the display window 221 and the key window 231 are gradually thickened without a clear boundary between the edge and the portion illuminated by the display module 220 or the light emitting unit 233 (240, 234) By removing the separation of the area from the surroundings. The display module 220 or the circuit board 23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window 221 or the key window 231 may be sol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 may be reduced.

도 6을 참고하면, 단말기 하우징(210)은 디스플레이 모듈(220)과 키패드(230)를 보호하는 베이스 커버(222)와, 베이스 커버(222)의 표면에 배치되는 인쇄층(223) 및 인쇄층(223)의 외부에 배치되는 보호층(224)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housing 210 includes a base cover 222 that protects the display module 220 and the keypad 230, a printed layer 223, and a printed laye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cover 222. The protective layer 224 is disposed outside the 223.

인쇄층(223)은 보호층(224)에 인쇄된 후 보호층(224)과 함께 베이스 커버(222)에 인 몰드(in-mold) 등의 방법에 의하여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베이스 커버(222)에 수지필름에 먼저 인쇄되고 그 인쇄된 것을 베이스 커버(222)에 전사(轉寫)시킨 후 수지필름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inted layer 223 is formed by being printed on the protective layer 224 and then attached to the base cover 222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layer 224 by a method such as in-mold or the base cover 222. It is possible to be formed by first printing the resin film on the resin film and transferring the printed material to the base cover 222 and then removing the resin film.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작동중일 때, 디스플레이 모듈(220)에서 나온 빛은 단말기 하우징(210)을 비추게 된다. 투광성의 베이스 커버(222)와 인쇄층(223) 및 보호층(224)을 차례로 통과함에 따라 중심쪽으로 밝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어두워지는 조명배치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윈도우(221)에 의하여 보여지는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220)의 가장자리까지가 되어 화면이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display module 120 is in operation,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module 220 illuminates the terminal housing 210. As it passes through the light-transmissive base cover 222, the printed layer 223, and the protective layer 224, an illumination arrangement that is bright toward the center and darker toward the edges is form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area seen by the display window 221 becomes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220, resulting in an enlarged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이 경계선으로 구획되지 않고 부드러운 그래데이션을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이 서로 다른 색깔에 의하여 단이 져서 보이는 것을 극복할 수 있게 되므로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area and the peripheral area are formed in the display window without being partitioned by a boundary line, the display module is able to overcome what is seen by being cut by different colors. The appearance is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1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기 하우징; 및Terminal housing; And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조명되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A keypad illuminated on the terminal housing and visually displayed; 상기 단말기 하우징은 상기 키패드의 각 키를 나타내는 표지(標識)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키 윈도우가 형성되며, The terminal housing is formed with a key window for displaying a mark (각) representing each key of the keypad from the outside, 상기 키 윈도우는 상기 각 표지의 영역과 나머지 영역이 경계선으로 구획되지 않도록 그래데이션(gradatio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key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dation (gradation) is formed so that the area of each cover and the remaining area is not divided into a boundary lin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그래데이션은 상기 각 표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어두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gradation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arker toward the edge direction of each co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윈도우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key window, 투광성의 베이스 커버; 및Translucent base cover; And 상기 베이스 커버의 표면에 인쇄되며, 상기 그래데이션을 형성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printed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forming the gradation.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키 윈도우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과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하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key window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printing layer is formed by being pri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cov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키 윈도우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key window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printing layer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cover.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는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는 투광성의 보호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lay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 protecting the printed layer is further formed.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투명한 수지 필름이 인몰드(in-mold)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rotective lay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mold transparent resin film printed with the printed layer.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상기 베이스 커버에 전사(轉寫)된 후 투명 도료가 입혀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transparent paint after the printing layer is transferred to the base cover.
KR1020070033811A 2007-04-05 2007-04-05 Mobile terminal KR101360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11A KR101360207B1 (en) 2007-04-05 2007-04-0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11A KR101360207B1 (en) 2007-04-05 2007-04-05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81A KR20080090681A (en) 2008-10-09
KR101360207B1 true KR101360207B1 (en) 2014-02-10

Family

ID=4015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811A KR101360207B1 (en) 2007-04-05 2007-04-05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2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1855B2 (en) 2014-07-08 2020-02-18 Signify Holding B.V.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sking an edge transition
CN110103602B (en) * 2019-04-30 2021-06-18 浙江星星科技股份有限公司 Multi-point printing method for dense dots of window pa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271A (en) * 2004-06-30 2006-02-16 Yazaki Corp Meter dial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271A (en) * 2004-06-30 2006-02-16 Yazaki Corp Meter dial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81A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757B1 (en) Mobile terminal
KR101228452B1 (en) Keypad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US8982055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100397657B1 (en) Structure for keypad having function of transmission luminescence
US20080044001A1 (en) Handset and base unit with semi-translucent finish
JP2006060334A (en) Key button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with the same
CN100534102C (en) Film layer, assembly and method for alter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station
US7224945B2 (en) Mobile station having overlapping translucent material layer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3731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ntuating graphical elements on a mobile handset housing
KR101360207B1 (en) Mobile terminal
KR101091385B1 (en)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779669C (en) Key lighting assembly
EP1182850A2 (en) Communication unit with personalising feature
KR101303155B1 (en) Mobile terminal
JP2001352379A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7379B1 (en) A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keypad
JP3733373B2 (en) Key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device
JP3038994U (en) Mobile phone operation sticker
JP3052220U (en) Portable goods
CN1747495A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constellation information display
JP3050970U (en) Mobile phone
KR101119474B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249550Y1 (en) Structure for krypad a having function of transmission luminescence
KR20130007240A (en) Mobile terminal
JP2009098527A (en) Led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