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63B1 -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 Google Patents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63B1
KR101359563B1 KR1020130099215A KR20130099215A KR101359563B1 KR 101359563 B1 KR101359563 B1 KR 101359563B1 KR 1020130099215 A KR1020130099215 A KR 1020130099215A KR 20130099215 A KR20130099215 A KR 20130099215A KR 101359563 B1 KR101359563 B1 KR 10135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reflector
eyepiece
objective lens
el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이성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9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0Peri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8Aiming or laying mean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speed, direction,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of the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사화기의 전술적인 운용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써, 잠망경과, 상기 잠망경을 가늠자에 접합시키는 가늠자 접합부로 이루어진 가늠자 연장관을 부착하여 조준점을 수직 상방으로 연장시켜 곡사화기의 조준범위를 확장시켜주는 곡사화기 가늠자에 관한 것으로서,
접안렌즈부, 상기 접안렌즈부와 수평을 이루지 않으며 외면에 제1발광구결합홈이 형성된 대물렌즈부 및 상기 대물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접안렌즈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조준점을 조준할 때 사용되는 팔꿈치포경과, 상기 팔꿈치포경 하단에 장착되며 상호조정 시 곡사화기의 편각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편각조정장치와, 상기 편각조정장치 하단에 장착되며 곡사화기의 사각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사각조정장치와, 상단은 대물반사경부, 하단은 접안반사경부로 구성된 잠망경 및 상기 접안반사경부에 부착된 가늠자 접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팔꿈치포경의 대물렌즈부에 접합되는 가늠자 연장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Extension Pipe Attached Sight}
본 발명은 가늠자 연장관 접합을 통해 조준점을 수직 연장시켜 조준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곡사화기 가늠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늠자는 곡사화기에서 포신을 표적 방향으로 지향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곡사화기란 목표물을 직접 조준으로 사격하지 않고 관측자로 하여금 풍향, 거리, 장애물의 높이 따위를 계산하게 하여 관측자의 유도에 따라 간접적으로 조준하여 사격하는 화기를 말하며, 일례로 박격포, 야포, 견인포 등이 있다.
도 1은 곡사화기의 사시도이다.
박격포, 야포 등과 같은 곡사화기는 관측소, 사격지휘소, 포진지 간의 협동 작업에 의해 표적을 향하여 탄을 발사한다. 관측소에서 표적에 대한 좌표 등과 같은 관측제원을 구하여 사격지휘소에 전송하면, 사격지휘소에서는 수신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제원을 구하여 포진지에 전송한다. 포진지에서는 사격지휘소로부터 제공된 사격제원에 따라 박격포와 같은 곡사화기의 격발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직접 표적을 조준하지 않고 관측자로 하여금 관측하게 하고, 관측자의 유도에 따라 사격하는 방법을 간접사격이라 한다.
한편, 곡사화기는 다수의 포가 한 단위로 운용되는데, 문단위로 각각 사격제원을 산출하여 표적방향으로 설치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1문의 포(기준포)만 표적방향으로 설치하고 나머지 포(날개포)를 기준포와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단계를 거쳐 운용된다. 상기의 단계를 상호조정이라 부르는데, 상호조정은 날개포의 가늠자로 기준포의 가늠자를 조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호조정을 통해 곡사화기의 효과적인 화력지원을 도모한다.
도 2는 상호조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호조정은 기준포에서 산출된 각 날개포에 대한 편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편각이란 곡사화기의 포신이 지향한 방향(사격선) 또는 사격선의 후방연장선으로부터 가늠자로 조준하고 있는 조준점의 조준선에 이르는 우회수평각(수평시계방향 각도)이다. 기준포의 가늠자로 날개포를 조준했을 때의 편각과 날개포의 가늠자로 기준포를 조준했을 때의 편각 차이를 180 (약 3200milliradian)로 맞춰주면, 엇각의 원리에 의해 각 포의 사격선이 평행을 이루게 되어 상호조정이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 팔꿈치포경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는, 조준점을 조준할 때 사용되는 팔꿈치포경과, 상기 팔꿈치포경 하단에 장착되며 상호조정 시 곡사화기의 편각을 미세하게 조정할 때 사용되는 편각조정장치와, 상기 편각조정장치 하단에 장착되며 곡사화기의 포신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사각)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사각조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의 팔꿈치포경은 꺾인 형상으로, 빛을 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통과시켜주는 접안렌즈를 포함하는 접안렌즈부, 상기 접안렌즈부와 수평을 이루지 않으며 외부의 빛을 통과시켜주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대물렌즈부, 상기 대물렌즈부를 통과한 빛이 상기 접안렌즈부에 도달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렌즈부 외면에 발광구를 결합할 수 있는 발광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팔꿈치포경은, 대물렌즈부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접안렌즈부는 위를 향하도록 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팔꿈치포경의 구조상, 사람의 눈보다 낮은 시야로 조준하기 때문에 조준범위가 좁을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지형의 기복, 우거진 수목 등의 환경에서는 날개포의 가늠자로 기준포의 가늠자를 제대로 조준하지 못해 상호조정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로 곡사화기를 운용하거나, 포진지 흉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호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의 경우, 기준포와 날개포의 조준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사격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포진지 흉벽의 절개로 인하여 생존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망경 및 상기 잠망경을 가늠자에 접합시키는 가늠자 접합부로 이루어진 가늠자 연장관을 접합하여 조준점을 수직 상방으로 연장시켜 곡사화기의 조준범위를 확장시켜주는 곡사화기 가늠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접안렌즈부, 상기 접안렌즈부와 수평을 이루지 않으며 외면에 제1발광구결합홈이 형성된 대물렌즈부 및 상기 대물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접안렌즈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조준점을 조준할 때 사용되는 팔꿈치포경과, 상기 팔꿈치포경 하단에 장착되며 상호조정 시 곡사화기의 편각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편각조정장치와, 상기 편각조정장치 하단에 장착되며 곡사화기의 사각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사각조정장치와, 상단은 대물반사경부, 하단은 접안반사경부로 구성된 잠망경 및 상기 접안반사경부에 부착된 가늠자 접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팔꿈치포경의 대물렌즈부에 접합되는 가늠자 연장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가늠자 연장관의 가늠자 접합부가 상기 팔꿈치포경의 제1발광구결합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늠자 연장관의 대물반사경부 외면에 제2발광구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늠자 연장관에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곡사화기 가늠자의 조준점을 가늠자 연장관을 이용하여 수직 상방으로 연장시킨 것으로, 조준범위의 확장을 통해 지형 기복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호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늠자 연장관의 상단에 발광구를 결합하여, 야간에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형과 환경에서도 곡사화기의 전술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늠자 연장관에 구비된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를 이용하여 가늠자 연장관이 정확한 수직 상방을 유지한다면, 사격의 정확도에도 영향이 없다.
도 1은 곡사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호조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 팔꿈치포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곡사화기 가늠자 팔꿈치포경의 단면도이다.
도 6는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늠자 연장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발광구꽂이홈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가늠자 접합부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대물렌즈부에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팔꿈치포경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발광구결합홈이 형성된 가늠자 연장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가 구비된 가늠자 연장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는, 접안렌즈부(201), 반사경, 대물렌즈부(200) 및 제1발광구결합홈(203)을 포함하며 조준점을 조준할 때 사용되는 팔꿈치포경(20), 상기 팔꿈치포경(20) 하단에 장착되며 상호조정 시 곡사화기의 편각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편각조정장치(21) 및 상기 편각조정장치(21) 하단에 장착되며 포신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사각)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사각조정장치(22)로 이루어진 종래의 곡사화기 가늠자와, 상기 팔꿈치포경(20)의 제1발광구결합홈(203)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진 가늠자 접합부(31) 및 잠망경(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팔꿈치포경(20)의 대물렌즈부(200)에 접합되는 가늠자 연장관을 포함한다.
도 7은 가늠자 연장관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늠자 연장관은, 상단의 대물반사경(3000)을 포함하는 대물반사경부(300) 및 하단의 접안반사경(3010)을 포함하는 접안반사경부(301)로 이루어진 잠망경(30)과, 상기 잠망경(30)의 접안반사경부(301)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잠망경(30)의 접안반사경(3010)에서 반사된 빛이 팔꿈치포경의 대물렌즈부로 입사되도록 상기 잠망경(30)의 접안반사경부(301)와 상기 팔꿈치포경의 대물렌즈부를 접합시켜주는 가늠자 접합부(31)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는 제1발광구꽂이홈(203) 및 가늠자 접합부(31)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늠자 접합부(31)는 팔꿈치포경의 제1발광구결합홈(203)에 결합 가능한 구조로, 발광구 대신 결합되어 잠망경의 접안반사경부와 상기 팔꿈치포경의 대물렌즈부를 접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대물렌즈부(200)에 가늠자 연장관(3)이 접합된 팔꿈치포경(20)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팔꿈치포경과는 달리 빛이 가늠자 연장관(3)의 상단에 있는 대물반사경(3000)으로부터 반사되며 하단에 있는 접안반사경(3010)에 다시 반사되어 팔꿈치포경(20)의 대물렌즈부(20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상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제2발광구결합홈(32)이 형성된 가늠자 연장관(3)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늠자 연장관(3)의 대물반사경부(300) 외면에 제2발광구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발광구결합홈(32)에 발광구를 결합함으로써 야간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야간 조준이 용이해진다.
도 12는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33)가 구비된 가늠자 연장관(3)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늠자 연장관(3)에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3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늠자 연장관(3)이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히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늠자 연장관(3)의 접합이 사격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1 : 곡사화기 포신 2 : 곡사화기 가늠자
20 : 팔꿈치포경 200 : 대물렌즈부
2000 : 대물렌즈 201 : 접안렌즈부
2010 : 접안렌즈 202 : 반사경
203 : 제1발광구결합홈 21 : 편각조정장치
22 : 사각조정장치 3 : 가늠자 연장관
30 : 잠망경 300 : 대물반사경부
3000 : 대물반사경 301 : 접안반사경부
3010 : 접안반사경 31 : 가늠자 접합부
32 : 제2발광구결합홈 33 :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

Claims (4)

  1. 접안렌즈부, 상기 접안렌즈부와 수평을 이루지 않으며 외면에 제1발
    광구결합홈이 형성된 대물렌즈부 및 상기 대물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접안렌즈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조준점을 조준할 때 사용되는 팔꿈치포경과,

    상기 팔꿈치포경 하단에 장착되며 상호조정 시 곡사화기의 편각을 조
    정할 때 사용되는 편각조정장치와,

    상기 편각조정장치 하단에 장착되며 곡사화기의 사각을 조정할 때 사
    용되는 사각조정장치와,

    상단은 대물반사경부, 하단은 접안반사경부로 구성된 잠망경 및 상기
    접안반사경부에 부착된 가늠자 접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팔꿈치포경의 대물렌즈부에 접합되는 가늠자 연장관

    을 포함하는 곡사화기 가늠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 연장관의 가늠자 접합부가 상기 팔꿈치포경의 제1발광구결합홈
    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화기 가늠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 연장관의 대물반사경부 외면에 제2발광구결합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화기 가늠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 연장관에 수평수포 및 수직수포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화기 가늠자
KR1020130099215A 2013-08-21 2013-08-21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KR10135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215A KR101359563B1 (ko) 2013-08-21 2013-08-21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215A KR101359563B1 (ko) 2013-08-21 2013-08-21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563B1 true KR101359563B1 (ko) 2014-02-06

Family

ID=5027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215A KR101359563B1 (ko) 2013-08-21 2013-08-21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60B1 (ko) * 2014-11-05 2015-05-15 국방과학연구소 도수운반형 포발사체를 위한 디지털 가늠자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386A (en) 1982-01-04 1984-01-24 Fields Max H Artillery training aid
US4555856A (en) 1983-07-11 1985-12-03 Brown Dewey E Bow sight
JPH11211996A (ja) * 1998-01-27 1999-08-06 Hakko Shoji:Kk 照準望遠鏡
US20040212878A1 (en) 2003-04-28 2004-10-28 Leupold & Stevens, Inc. Compact spotting scope with side focus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386A (en) 1982-01-04 1984-01-24 Fields Max H Artillery training aid
US4555856A (en) 1983-07-11 1985-12-03 Brown Dewey E Bow sight
JPH11211996A (ja) * 1998-01-27 1999-08-06 Hakko Shoji:Kk 照準望遠鏡
US20040212878A1 (en) 2003-04-28 2004-10-28 Leupold & Stevens, Inc. Compact spotting scope with side focus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60B1 (ko) * 2014-11-05 2015-05-15 국방과학연구소 도수운반형 포발사체를 위한 디지털 가늠자 및 그 제어방법
WO2016072547A1 (ko) * 2014-11-05 2016-05-12 국방과학연구소 도수운반형 포발사체를 위한 디지털 가늠자 및 그 제어방법
US10222214B2 (en) 2014-11-05 2019-03-05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Digital sight for hand-carried projectile-fir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9685T3 (es) Pantalla de marcador láser dinámico para dispositivo de puntería
ES2921177T3 (es) Sistema de puntería de arma de fuego con telémetro y método para adquirir un blanco
US20120144720A1 (en) Gun sight reticle having open sighting areas for bullet drop compensation
ES2612909T3 (es) Equipo de control de disparo para un arma de fuego ligera
KR20120083278A (ko) 발사 제어 시스템
US20080276473A1 (en) Method of projecting zero-convergence aiming beam on a target and zero-convergence laser aiming system
US9074845B2 (en) Fire-control system
RU136148U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гнем
US10697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aiming vector of a firearm
KR101359563B1 (ko) 가늠자 연장관이 접합된 곡사화기 가늠자
CN203561793U (zh) 反觇式雷达标定瞄准器
US9389045B2 (en) Aiming device for guns
US10545009B1 (en) Anti-cant indicator
CN206905620U (zh) 增强现实透视瞄准系统
US20230044032A1 (en) Automatic multi-laser bore-sighting for rifle mounted clip-on fire control systems
CN103575166B (zh) 反射式瞄准镜及枪械
BR112016029091B1 (pt) Veículo blindado, método de disparo de míssil e uso do dispositivo de orientação de míssil por laser
CN203572322U (zh) 一种潜式全息枪瞄准器光学系统
CN103576307A (zh) 潜望式狙击瞄准镜
US10801812B2 (en) Boresight alignment device for aiming systems
CN103591845B (zh) 潜式全息枪瞄准器光学系统
KR20090028108A (ko) 실화기에 장착된 레이저 발사기의 정렬 시스템 및 정렬방법
CN203587880U (zh) 潜望式狙击瞄准镜
CN101532801A (zh) 可隐蔽射击的激光瞄准具
ES2869437T3 (es) Procedimiento para operar un sistema de arm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