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46B1 - Water purif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purif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46B1
KR101359546B1 KR1020070041889A KR20070041889A KR101359546B1 KR 101359546 B1 KR101359546 B1 KR 101359546B1 KR 1020070041889 A KR1020070041889 A KR 1020070041889A KR 20070041889 A KR20070041889 A KR 20070041889A KR 101359546 B1 KR101359546 B1 KR 10135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medium
medium container
ca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3354A (en
Inventor
요시유키 미미츠카
타다히로 카지모토
Original Assignee
산에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오염물이 잘 붙지 않고, 잘못하여 낙하하거나 신체가 접촉하거나 해도, 파손되거나 고통을 받거나 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한 정수 장치를 제공한다.

정수 장치(10)는 입수구(13v) 및 출수구(13w)를 갖는 정수기(13)와, 입수구(13v) 및 출수구(13w)를 수직 하방을 향하여 노출시킨 상태에서 정수기(13)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을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벽면에 고정된 유지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의 외관은 대략 럭비공 형상을 하고, 그 외면 전체는 매끄러운 연속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1)의 외면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은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이 시행되어 있다.

Figure R1020070041889

정수기, 입수구, 출수구, 여과재, 살균기능

It is easy to use even in a relatively small place, and contaminants do not adhere well, even if accidentally fall or contact with the body, does not suffer from damage or pain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device with excellent safety.

The water purifier 10 receives the water purifier 13 having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and the water purifier 13 in a state where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are exposed vertically downward. And a holding member 12 fixed to the wall surface in order to detachably attach the casing 11 to the wall surface. The exterior of the casing 11 has a substantially rugby ball shape, and the whole outer surface is formed in the smooth continuous curved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1 is coated with silver ions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Figure R1020070041889

Water purifier, water inlet, water outlet, filter media, sterilization function

Description

정수 장치{WATER PURIFYING APPARATUS}Water Purifier {WATER PURIF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정수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hich i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FIG. 2 is a side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를 구성하는 정수 유닛의 정면도이다.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constituting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1.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의 저면도이다.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4.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6 is a front view of the holding member constituting the water purify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유지 부재의 분해 저면도이다. FIG. 7 is an exploded bottom view of th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6.

도 8은 도 6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싱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upper casing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싱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ower casing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를 구성하는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정수기를 구성하는 여과재 용기와 도수 캡의 접속기구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 모식도이다. FIG. 12 is a partially omitted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d the water cap constituting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1.

도 13은 도수 캡의 외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uter surface side of a frequency cap.

도 14는 도수 캡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ner surface side of a frequency cap.

도 15는 도 11의 C-C선에서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15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 16은 여과재 용기의 개구 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ning edge part of a filter medium container.

도 17은 도 16의 D-D선에서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17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6.

도 18은 도 16의 E-E선에서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18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6.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10 정수 장치 10a 정수 유닛10 Water Purification Unit 10a Water Purification Unit

11 케이싱 11a 상부 케이싱11 casing 11a upper casing

11b 하부 케이싱 11c 관통구멍11b lower casing 11c through hole

11d 돌기부 11e 리브11d protrusion 11e rib

11g 둘레 가장자리부 12 유지 부재11g circumferential edge 12 retaining member

12a 고정 기판 12b 유지 플레이트12a fixed substrate 12b retaining plate

12c 돌편부 12d 암나사부12c female part 12d female thread

12e 유지구멍 13 정수기12e retaining hole 13 water purifier

13a 여과재 용기 13b 도수 캡13a filter media container 13b frequency cap

13c 본체부 13d 걸어맞춤 홈13c main body 13d fitting groove

13f 내주면 13e 도수 리브13f inner circumference 13e frequency rib

13m,13n 개구부 13r 보강 리브13m, 13n opening 13r reinforcement rib

13s 걸어맞춤 돌기 13v 입수구13s alignment turning 13v inlet

13w 출수구 13x 축심13w outlet 13x shaft

13y 중심면 14 확산부재13y center surface 14 diffusion member

14a 통수구멍 14c 축심14a through hole 14c shaft

14d 돌조부 14e 능선14d stonewall 14e ridge

14f 경사면 14g 경사곡면14f slope 14g slope

14h 수수면 14m 망형상체14h water surface 14m mesh

15 도수부 15a, 15b 단부15 end 15a, 15b end

16 입상 여과재 17 확산실16 Granular Filter Media 17 Diffusion Chamber

N1 나사 S 유동용 스페이스N1 thread S floating space

W 벽면W wall panel

본 발명은 상수도 시설로부터 일반주택 등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정화하는 기능을 구비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of purifying tap water supplied to a general house or the like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최근, 일반주택 등에 공급되고 있는 수돗물에 포함되는 염소 등의 불순물의 폐해를 해소하기 위해서, 욕실이나 세면소 등에서 사용가능한 정수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정수 장치로서는, 활성탄이나 세라믹스 등의 여과재를 여과재 용기 내에 밀착상태로 충전하여 형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이러한 정수 장치를 욕실 등의 급탕수 관로에 배치하면, 수돗물이 정수기를 통과할 때에 염소 등의 불순물이 흡착, 여과되어, 청정한 수돗물을 얻을 수 있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liminate the harmful effects of impurities, such as chlorine contained in the tap water supplied to general houses,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hich can be used in a bathroom, a washroom, etc. has been developed. As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there are some in which a filter medium such as activated carbon or ceramics is filled into a filter medium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and form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s 1 and 2). When such a water purifying device is disposed in a hot water supply pipe such as a bathroom, impurities such as chlorine are adsorbed and filtered when the tap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purifier, thereby obtaining clean tap water.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4-14366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43661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1-31434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14340

특허문헌 1 기재의 「욕실용 정수 장치」는 욕실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접속된 연결 호스와, 샤워 호스나 급수 호스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사용중에는 정수기를 욕실의 바닥면 등에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좁은 장소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사용중에 방해되기도 한다. The "water purifier for bathroom"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is used to connect a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a faucet installed in a bathroom, and a shower hose or a water supply hose. It is hard to use in small place and may be disturbed during use.

한편, 특허문헌 2 기재의 「정수 샤워 장치」는, 욕실의 벽면 등에 정수부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 기재의 「욕실용 정수 장치」와 같이 욕실의 바닥면 등에 둘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중에 방해가 되는 일도 없다. 그러나, 정수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 등이 한창일 때 끼얹어진 온수나 냉수 또는 샴푸나 비누의 거품 등이 정수부의 외면에 잔류하기 쉽고, 장기간 경과하는 동안에 잘 떨어지지 않는 오염물로 되거나, 곰팡이의 원인이 되거나 하는 일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shower devic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can be attached to the water purification unit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i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or the like as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the bathroom"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It is not disturbed during use. However, since the purified water part is exposed, hot water, cold water, or foam of shampoo or soap, which is stuck in the middle of a shower or the like, tends to rema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part, and it becomes a contaminant that does not drop well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causes mold. There is a thing to do.

또, 사용중에 잘못해서 정수부가 벽면으로부터 빠지면, 낙하한 정수부가 바닥면 등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사용자에 부딪혀 고통을 주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또, 정수기에서 정화한 온수를 이용해서 욕조에 급탕을 행하고 있는 경우, 비교적 고온의 온수가 장시간 통과함으로써 뜨거워진 정수부에 사용자가 접촉하면 화상을 입을 우려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purified water portion is accidentally pulled out of the wall during use, the dropped purified water portion may collide with the bottom surface or be damaged, or it may hit the user and cause pain. In addition, when hot water is supplied to a bathtub using hot water purified by a water purifier, there is a risk of burns when the us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part that has been heated by passing relatively high temperature hot water for a long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오염물이 잘 붙지 않고, 잘못해서 낙하하거나, 신체가 접촉하거나 해 도, 정수기가 파손되거나, 고통을 받거나 하는 일이 없는, 안전성이 우수한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easily used even in a relatively narrow place, and contaminants do not stick well, and do not fall or suffer water purifier even if it accidentally falls off or touches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excellent in safety.

본 발명의 정수 장치는, 입수구 및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와,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정수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에 고정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을 매끄러운 연속 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inlet and an outlet, a casing for detachably accommodating the water purifier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outlet are exposed, and the casing on the wall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casing to a wall. A fixed holding member is provid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is formed into a smooth continuous curved surface.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벽에 고정한 상태에서 정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정수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외면은 매끄러운 연속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나 샴푸의 거품 등이 끼얹어져도 오염물이 잘 붙지 않고, 잘못해서 낙하하거나, 신체가 접촉하거나 해도, 정수기가 파손되거나, 고통을 받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정수기가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온수의 통과에 의해 고온으로 된 정수기에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안전성에도 우수하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water purifying device can be used in a state fixed to the wall, it can be easily used even in a relatively narrow plac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housing the water purifier is formed with a smooth continuous curved surface, contaminants do not stick well even when a shower or shampoo foam is splashed on it, and the water purifier is damaged or pained even if it accidentally falls off or contacts the body. I do not accept it. In addition, since the water purifier is housed in the casing, the user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water purifier, which has become hot due to passage of hot water for a long time, and is excellent in safety.

여기에서, 상기 정수기는 입상 여과재가 유동 가능하게 충전된 통 형상의 여과재 용기와, 상기 여과재 용기 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해서 상기 여과재 용기의 축심 방향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입수구와, 상기 여과재 용기 내에 도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여과재 용기의 축심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로부터 도입한 물을 상기 여과재 용기 내에서 상기 출수구를 향해서 나선 류를 그리면서 유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여과재 용기의 내주면에 설치된 나선형상의 도수(導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cylindrical filter medium container filled with a granular filter material flowably, an inlet provided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to introduce water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d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 outlet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for discharging water, and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in order to flow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while drawing a spiral flow toward the water outle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lical frequency portion provided.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입수구로부터 도입된 수돗물은 입상 여과재와 함께 여과재 용기의 내주면의 도수부를 따라 나선류를 그리면서 유동하고, 이때, 물과 입상 여과재는 격렬하게 교반되면서 계속해서 접촉하기 때문에, 수돗물에 포함되는 염소나 불순물 등을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 입상 여과재는 물과 함께 나선류를 그리면서 유동하므로, 입상 여과재의 표면은 고르게 물과 접촉하여, 「물길(항상 물이 통과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정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flows along with the granular filter medium along the channel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while drawing a spiral flow, and at this time, the water and the granular filter medium are continuously contacted with vigorous stirring, so that the tap water Chlorine, impurities, and the like contained can be efficiently adsorbed and removed. In addition, since the granular filter medium flows while drawing a spiral flow with water, the surface of the granular filter medium contacts the water evenly, so that a "water path (part through which water always passes)" is not formed. For this reason, the excellent water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maintain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또, 상기 여과재 용기의 축심 방향의 중심에서 당해 축심과 직교하는 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가 경면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대칭면을 사이에 두고 입수구와 출수구가 좌우 대칭인 구조로 되기 때문에,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의 기능을 반대로 하여, 출수구로부터 물을 도입하고, 입수구로부터 물을 토출하는 사용방법을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설치장소에 따라 입수구 및 출수구를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또, 평상시 사용방법과는 반대로, 출수구에서 물을 송입하고 입수구에서 토출시키면, 여과재 용기 내에 역류를 발생시킬 수 있기 위해서, 여과재 용기 내의 입상 여과재를 세정(역세정) 할 수도 있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the said water inlet and said water outlet may be mirror-symmetric by making the surface orthogonal to the said shaft center in the center of the axial center direction of the said filter medium container symmetrical plane.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symmetrical with a symmetrical surfac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unction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s reversed to introduce water from the outlet and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outlet.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water inlet and outle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In addition, contrary to the usual use method, when the water is fed in from the outlet and discharged from the inlet, the particulate filter medium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can be washed (backwashed) in order to generate backflow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한편, 상기 입수구로부터 도입된 물을 상기 여과재 용기의 외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유도하는 확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입수구와 상기 확산수단 사이에 상 기 확산수단을 향해서 확대된 형상의 확산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vided a diffusion means for guid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in a radial direction, and between the water inlet and the diffusion means to provide a diffusion chamber having an enlarged shape toward the diffusion means. desirable.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입수구로부터 도입된 물은 확산수단을 향해서 확대된 형상의 확산실 내에서 확산하면서 확산수단에 전면적으로 충돌하여, 여과재 용기 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물은 입상 여과재 전체를 향해서 고르게 분산된다. 따라서, 여과 효율이 향상되어, 정화처리 수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collides with the diffusion means entirely while diffusing in the diffusion chamber of the shape enlarged toward the diffusion means, so that the water flows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so that the water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granular filter medium. Therefore,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number of purification treatments can be increased.

또, 상기 확산수단으로서, 상기 입수구로부터 도입된 물이 맞닿는 수수면(受水面)과, 상기 수수면의 주위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통수구멍과, 상기 수수면으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통수구멍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여과재 용기 내주면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조(突條)부를 갖는 확산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Further, as the diffusion means, a water receiving surface in which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contacts, a plurality of water passing hole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water surface, and the water passing holes adjacent from the water receiving surface A diffusion member having a protrusion formed radially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can be provided via the gap.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입수구에서 도입된 물은 수수면에 맞닿은 후,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조부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확산되고, 수수면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통수구멍을 통과하여 입상 여과재를 향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여과효율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조부를 가짐으로써 확산부재 자체의 강성, 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입수구로부터의 유입 수압이 증대해도 잘 변형되지 않아, 유입수량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and then radially diffuses along the radially formed protrusion, and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passages arranged around the water surface, and proceeds toward the particulate filter medium. Therefore, th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reliably improved while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In addition, sinc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diffusion member itself can be increased by having the projections formed radially, even if the inflow water pressure from the inlet is increased, it is hardly deformed,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increase in the inflow water amount.

또한, 상기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에 살균기능을 갖는 코팅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케이싱의 외면이나 내면 등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잡균이 번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ing may be coated with a sterilizing function. Such a structure can prevent mold from occurring on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or propagate various germs, so that it can be kept clean for a long time.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정수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를 구성하는 정수 유닛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의 저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유지 부재의 분해 저면도, 도 8은 도 6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which shows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hich i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A sectional drawing in FIG. 2, FIG. 4 is the integer shown in FIG. Front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which comprises an apparatus,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holding member constituting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7 is an exploded bottom view of th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6.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수 장치(10)는 입수구(13v) 및 출수구(13w)를 갖는 정수기(13)와, 입수구(13v) 및 출수구(13w)를 수직 하방을 향해서 노출시킨 상태에서 정수기(13)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을 벽면(W)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벽면(W)에 고정된 유지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의 외관은 대략 럭비공 형상을 하고, 그 외면 전체는 매끄러운 연속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1)의 외면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은 이온을 함유하는 코팅이 시행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3, the water purifier 10 of this embodiment vertically lowers the water purifier 13 which has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and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A casing 11 for detachably accommodating the water purifier 13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ward the wall, and a retaining member 12 fixed to the wall surface W to detachably attach the casing 11 to the wall surface W. FIG. Equipped with. The exterior of the casing 11 has a substantially rugby ball shape, and the whole outer surface is formed in the smooth continuous curved surface. In addition, a coating containing silver ions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1.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13)와 이것을 수용한 케이싱(11)에 의하여 정수 유닛(10a)이 형성되고, 이 정수 유닛(10a)의 상태에서, 벽면(W)에 고정된 유지 부재(12)에 착탈 가능하다.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2)는 벽면(W)에 고정 부착된 직사각형이고 평판 형상의 고정 기판(12a)과, 고정 기판(12a)의 좌우의 측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1쌍의 유지 플레이트(12b)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플레이트(12b)의 기단측의 모퉁이 부분에 돌출 설 치된 2개의 돌편부(12c)에 삽입한 나사(N1)를 각각 고정 기판(12a)의 4코너 부분에 설치된 암나사부(12d)에 나사결합 함으로써, 2개의 유지 플레이트(12b)는 고정 기판(12a)의 좌우 측가장자리에 서로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고정된다. As shown to FIG. 4, FIG. 5, the water purifying unit 10a is formed by the water purifier 13 and the casing 11 which accommodated this, and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W in the state of this water purifying unit 10a. It is removable to the retaining member 12 which became. As shown in FIGS. 6-8, the holding member 12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rectangular and flat plate-shaped fixed substrate 12a fixed to the wall surface W and the fixed substrate 12a. A pair of retaining plates 12b are attached to each other. Screws N1 inserted into two protrusion pieces 12c protruding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base end side of the holding plate 12b are screw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s 12d provided at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fixing substrate 12a, respectively. Thereby, the two holding plates 12b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fixing substrate 12a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each other in parallel.

2개의 유지 플레이트(12b)에는, 케이싱(11)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유지구멍(12e)이 뚫어져 있기 때문에, 케이싱(11)의 좌우 부분을 유지구멍(12e)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정수 유닛(10a)이 유지 부재(12)에 부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12)를 사용하여 정수 유닛(10a)을 벽면(W)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고정 기판(12a)으로부터 떼어낸 2개의 유지 플레이트(12b)를 각각 정수 유닛(10a)의 케이싱(11)의 좌우 부분에 부착한 후, 정수 유닛(10a)과 함께 고정 기판(12a)에 근접시키고, 유지 플레이트(12b)의 돌편부(12c)를 고정 기판(12a)의 암나사부(12d)에 맞닿게 한 후, 돌편부(12c)에 삽입한 나사(N1)를 각각 고정 기판(12a)의 4코너 부분에 설치된 암나사부(12d)에 나사결합 한다. Since the holding holes 12e of the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asing 11 are drilled in the two holding plates 12b, the water purification unit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sing 11 into the holding holes 12e, respectively. 10a is attached to the holding member 12. In the case where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0a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W using the holding member 12, the two holding plates 12b removed from the fixing substrate 12a are respectively cased 11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0a. After attaching to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close to the fixed substrate 12a together with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0a, the projection piece 12c of the holding plate 12b is fitt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12d of the fixed substrate 12a. After making contact, the screw N1 inserted in the projection piece 12c is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part 12d provided in the four corner | angular part of the fixed board 12a, respectively.

다음에 도 9∼도 14에 기초하여 정수 유닛(10a)(도 4 참조)의 구조, 기능 등 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싱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싱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를 구성하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정수기를 구성하는 여과재 용기와 도수 캡의 접속기구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 모식도, 도 13은 도수 캡의 외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수 캡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Next, the structure, function, etc.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0a (refer FIG. 4) are demonstrated based on FIG. 9-14. FIG. 9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upper casing constituting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4,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ower casing constituting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4, and FIG. The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12 is a partial omission schematic which shows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d water cap which comprise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1, FIG. 13 shows the outer surface side of a water cap.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ner surface side of a frequency cap.

도 4, 도 5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10a)을 구성하는 케이싱(11)은 도 9에 도 시하는 상부 케이싱(11a)과, 도 10에 도시하는 하부 케이싱(11b)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11a) 및 하부 케이싱(11b)은 모두 럭비공을 그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것과 같은 배 형상을 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1a)의 내측은 정수기(13)의 상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11b)의 내측의 좌우 부분에는, 정수기(13)의 입수구(13v), 출수구(13w)를 각각 돌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1c)이 뚫어 설치되고, 관통구멍(11c)보다 중앙근처의 부분에는, 정수기(13)의 좌우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11e)가 형성되고, 리브(11e)보다 중앙근처의 부분에는 정수기(13)를 고정하기 위한 대략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11d)가 설치되어 있다. The casing 11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0a shown in FIG. 4, FIG. 5 is formed with the upper casing 11a shown in FIG. 9, and the lower casing 11b shown in FIG. Both the upper casing 11a and the lower casing 11b have a ship shape such as cutting a rugby ball into a plane including its axis. As shown in FIG. 9, the inside of the upper casing 11a is provided with the cavity which can accommodate the upper half of the water purifier 1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0, through holes 11c for projecting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of the water purifier 13 are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inside the lower casing 11b,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ibs 11e for hold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water purifier 13 are formed in the portion near the center than the hole 11c, and for fixing the water purifier 13 in the portion near the center than the rib 11e.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protrusion 11d is provided.

정수기(13)의 입수구(13v), 출수구(13w)가 각각 관통구멍(11c)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되는 것과 같은 자세로 정수기(13)를 하부 케이싱(11b) 내의 리브(11e) 위에 올려놓고, 하부 케이싱(11b) 및 정수기(13)를 덮도록 상부 케이싱(11a)을 씌우고, 하부 케이싱(11b) 및 상부 케이싱(11a)의 둘레 가장자리부(11g) 끼리를 접합하면 도 4에 도시하는 정수 유닛(10a)이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11b) 및 상부 케이싱(11a)의 둘레 가장자리부(11g) 끼리는 요철 끼워맞춤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하부 케이싱(11b)과 상부 케이싱(11a)을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13 is placed on the rib 11e in the lower casing 11b in such a manner that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of the water purifier 13 respectively protrude from the through holes 11c. When the upper casing 11a is put on to cover the lower casing 11b and the water purifier 13, and the peripheral edges 11g of the lower casing 11b and the upper casing 11a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wate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10a is form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periphery edge part 11g of the lower casing 11b and the upper casing 11a form the uneven | corrugated fitting structure, the lower casing 11b and the upper casing 11a are connected. It can reliably join.

다음에, 도 11∼도 18에 기초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정수 장치(10)를 구성하는 정수 유닛(10a) 내에 수용된 정수기(13)(도 3 참조)의 구조, 기능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11의 C-C선에서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16은 여과재 용기의 개구단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D-D선에서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E-E선에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Next, based on FIGS. 11-18, the structure, function, etc. of the water purifier 13 (refer FIG. 3) accommodated in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0a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1 are demonstrated. FIG. 15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1, FIG. 16 is a view showing an open end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FIG. 17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6, and FIG. Some omissions in cross section.

도 11,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13)는 여과재(16)를 내장하는 원통형상의 여과재 용기(13a)와, 여과재 용기(13a) 양단의 개구부(13n)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도수 캡(13b)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도수 캡(13b)은 동일 형상이고, 반구상의 본체부(13c)에, 축심(13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수구(13v)(출수구(13w))를 돌출설치한 구조이다. 여과재 용기(13a)의 외주에는, 그 축심(13x)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보강 리브(13r)가 축심(13x)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보강 리브(13r)의 양단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 걸어맞춤 돌기(13s)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수 캡(13b)의 개구부(13m)의 내주면에는 L자 형상으로 절곡한 걸어맞춤 홈(13d)이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1, FIG. 12, and FIG. 15, the water purifier 13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cylindrical filter medium container 13a which incorporates the filter medium 16, and the opening part 13n of both ends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respectively. And a cap 13b attached thereto. The left and right frequency caps 13b have the same shape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port 13v (outlet port 13w) is protruded to the hemispherical body portion 13c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aft center 13x.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a reinforcing rib 13r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axial center 13x direction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haft center 13x, and is engaged a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rib 13r. 13s is provided. In addition, an engaging groove 13d bent in an L shape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3m of the cap 13b.

도수 캡(13b)의 개구부(13m)의 내경은 여과재 용기(13a)의 개구부(13n)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재 용기(13a)의 개구부(13n)을 도수 캡(13b)의 개구부(13m)에 끼워 넣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재 용기(13a) 외주의 걸어맞춤 돌기(13s)를, 도수 캡(13b)의 개구부(13m)의 내주의 걸어맞춤 홈(13d)에 끼워 넣고, 여과재 용기(13a) 또는 도수 캡(13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어맞춤 돌기(13s)가 걸어맞춤 홈(13d)의 안쪽부분에 끼워 넣어져, 도수 캡(13b)이 여과재 용기(13a)에 이탈 불능으로 장착된다. 이때, 도수 캡(13b)과 여과재 용기(13a)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되기 때문에, 양자는 견고하게 고착된다.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13m of the water cap 13b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ning 13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he opening 13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s formed of the water cap 13b. It can be made to fit in the opening part 13m. Then, the engaging projection 13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3d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3m of the water cap 13b, and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or the water cap 13b. Is rotated clockwise, the engaging projection 13s is fitted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engaging groove 13d, and the force cap 13b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At this time, since an adhesive agent is interposed between the cap 13b and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both are firmly fixed.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수 캡(13b)의 입수구(13v)는 반구 형 상의 본체부(13c) 내에 연통되고, 본체부(13c)의 내면에는, 복수의 도수 리브(13e)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11 등에서는 「입수구(13v)」와 「출수구(13w)」는 각각 다른 명칭, 부호를 첨부하고 있지만, 여과재 용기(13a)양단의 개구부(13n)에 장착된 도수 캡(13b)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입수구(13v) 및 출수구(13w)의 형상, 기능도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도 1 및 도 11 등이 도시하는 경우와는 반대로, 13w를 입수구로 하고, 13v를 출수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3, FIG. 14, the water inlet 13v of the frequency cap 13b is communicated in the hemispherical-shaped main-body part 13c, and the several inner side ribs 13e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body part 13c. Is radially formed. In addition, in FIG. 1, FIG. 11, etc., although the inlet 13v and the outlet 13w attach a different name and code | symbol, respectively, the frequency cap attached to the opening part 13n of the both ends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 Since 13b) is the same shape,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13w are also the same. For this reason, 13w can be used as a water inlet and 13v can be used as a water outlet as opposed to the case where FIGS. 1, 11, etc. show.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13)는 입상 여과재(16)가 유동 가능하게 충전된 원통 형상의 여과재 용기(13a)와, 여과재 용기(13a) 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해서 여과재 용기(13a)의 축심(13x)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입수구(13v)와, 여과재 용기(13a) 내에 도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여과재 용기(13a)의 축심(13x)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출수구(13w)와, 입수구(13v)로부터 도입한 물을, 여과재 용기(13a) 내에서, 출수구(13w)를 향해서 나선류를 그리면서 유동시키기 위해서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에 설치된 나선형상의 도수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여과재 용기(13a)의 용적의 85∼95% 정도의 체적의 입상 여과재(16)를 충전하고, 여과재 용기(13a) 내에 유동용 스페이스(S)를 설치함으로써 여과재 용기(13a) 내에서의 입상 여과재(16)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water purifier 13 is a cylindrical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n which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is fluidly filled, and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An inlet 13v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axial center 13x direction of the outlet and a outlet 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axial center 13x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for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 13w) and the spiral shape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n order to flow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3v, drawing a spiral flow toward the water outlet 13w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he frequency unit 15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culate filter medium 16 having a volume of about 85 to 95% of the volume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s filled, and the flow space S is provided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o thereby form the inside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he fluidity of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in Esau is secured.

또, 입수구(13v)로부터 도입된 물을 여과재 용기(13)의 외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유도하는 확산수단으로서 대략 원판 형상의 확산부재(14)가 개구부(13m)측에 배치되고, 입수구(13v)와 확산부재(14) 사이에, 확산부재를 향해서 확대한 형상의 확산실(17)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구 형상을 한 도수 캡(13b)의 내측이 확산실(17)로 되어 있다. Further, as a diffusion means for guid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3v radi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 a substantially disk-shaped diffusion member 14 is disposed on the opening 13m side, and the water inlet 13v is provided. Between the and the diffusion member 14, a diffusion chamber 17 of an enlarged shape toward the diffusion member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ide of the hemispherical cap 13b is the diffusion chamber 17.

도 16∼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부재(14)는 입수구(13v)로부터 도입된 물을 맞닿게 하기 위해서 축심(14c) 주위에 형성된 수수면(14h)과, 수수면(14h)의 주위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계란형의 통수구멍(14a)과, 수수면(14h)으로부터 이웃하는 통수구멍(14a) 사이를 경유하여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조부(14d)를 갖는다. 복수의 통수구멍(14a)에는 각각 망형상체(14m)가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6-18, the diffusion member 14 is formed of the water receiving surface 14h formed around the shaft center 14c and the water receiving surface 14h so as to contact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3v. Radial radially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via a plurality of egg-shaped water passage holes 14a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and between the water passage surfaces 14h and the adjacent water passage holes 14a. It has the formed protrusion 14d. A plurality of mesh bodies 14m ar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14a, respectively.

돌조부(14d)의 능선(14e)은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의 돌조부(14d)의 선단에는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을 향해서 내리막 구배를 이루는 경사면(14f)이 설치되고, 이들 경사면(14f)은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수면(14h)과 통수구멍(14a) 사이의 영역에는, 통수구멍(14a)을 향하여 내리막 구배를 이루는 매끄러운 경사 곡면(14g)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수면(14h), 돌조부(14d), 경사면(14f) 및 경사 곡면(14g)은 확산부재(14)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ridgeline 14e of the protruding portion 14d has a linear shape, and an inclined surface 14f that forms a downhill gradient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s provided at the tip of each protruding portion 14d. These inclined surfaces 14f are disposed at positions awa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n the region between the water receiving surface 14h and the water passage 14a, a smooth inclined curved surface 14g is formed to make a downhill gradient toward the water passage 14a. As shown in FIG. 17, FIG. 18, the water receiving surface 14h, the protrusion part 14d, the inclined surface 14f, and the inclined curved surface 14g are formed in the both surfaces of the diffusion member 14. As shown in FIG.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수부(15)는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으로부터 축심(13x)을 향해서 돌출한 나선선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수구(13v)측의 확산부재(14)로부터 출수구(13w) 측의 확산부재(14) 까지의 사이에서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을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여과재 용기(13a)의 축심(13x)이 수평을 이루도록 유지했을 때, 입수구(13v)측의 확산부재(14)의 최하부 에 도수부(15)의 한쪽 단부(15a)가 위치하고, 출수구(13w)측의 확산부재(14)의 최하부에 도수부(15)의 다른쪽 단부(15b)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water-repelling part 15 is formed in the spiral shelf shape which protruded toward the shaft center 13x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and the diffusion member 14 by the water inlet 13v side. ) Is disposed so as to rotat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between the water discharge port 13w and the diffusion member 14. In addition, when the shaft center 13x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is kept horizontal, the one end 15a of the water supply part 15 is located in the lowest part of the diffusion member 14 by the side of the water inlet 13v, and the water outlet ( 13b)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ther end 15b of the frequency part 15 may be located in the lowest part of the diffusion member 14 on the side.

도 1,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 장치(10)를 욕실 등의 벽면(W)에 부착하고, 입수구(13v)로부터 수돗물을 공급하면, 수돗물은 도수 캡(13b) 내의 확산실(17)에 흘러들어가고, 본체부(13c)의 내주면 및 복수의 도수 리브(13e)(도 14 참조)에 의해 방향 변환되거나, 확산되거나 하면서 확산부재(14)의 수수면(14h)에 맞닿고, 그 외주 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확산한 후, 복수의 통수구멍(14a)을 통과하여 여과재 용기(13a)내로 흘러들어간다. 여과재 용기(13a) 내로 흘러들어 온 수돗물은 입상 여과재(16)와 함께 도수부(15)를 따라 나선류를 그리면서 출수구(13w)측의 확산부재(14)를 향하여 유동해 간다. 이러한 유동과정 중에서, 수돗물과 입상 여과재(16)는 격렬하게 교반되면서 계속해서 접촉하기 때문에,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염소나 불순물 등은 입상 여과재(16)에 흡착, 제거된다. As shown in FIG. 1, FIG. 2, when the water purifier 10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of a bathroom etc., and tap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inlet 13v, the tap water will spread | diffuse 17 in the tap cap 13b. ) Flows in contact with the water receiving surface 14h of the diffusion member 14 while being diverted or diffus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3c and the plurality of power ribs 13e (see FIG. 14), After spreading radially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iquid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14a and flows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he tap water which flowed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flows toward the diffusion member 14 at the outlet port 13w while drawing a spiral flow along the water supply part 15 together with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In this flow process, since the tap water and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are in constant contact with vigorous stirring, chlorine o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tap water are adsorbed and removed by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여과재 용기(13a) 내를 입상 여과재(16)와 함께 나선류를 그리면서 유동한 수돗물은 출수구(13w)측의 확산부재(14)의 복수의 통수구멍(14a)을 통과한 후, 도수 캡(13b)의 본체부(13c)의 내주면 및 도수 리브(13e)(도 14 참조)에 의해 수속되어, 출수구(13w)로부터 정화수로서 토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13)를 구성하는 여과재 용기(13a)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입수구(13v) 및 출수구(13w), 확산실(17), 확산부재(14)는 여과재 용기(13a)의 축심(13x) 방향의 중심과 직교하는 중심면(13y)을 사이에 두고 경면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3w를 입수구, 13v를 출수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치장소에 따 라 입수구, 출수구를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 사용상태와는 반대로, 출수구(13w)로부터 물을 송입하고 입수구(13v)로부터 물을 토출시킴으로써, 여과재 용기(13a) 내의 입상 여과재(16)를 세정(역세정)할 수도 있다. The tap water which flowed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ogether with the particulate filter medium 16 while drawing a spiral flow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14a of the diffusion member 14 on the outlet port 13w side, and then the water cap ( It converges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body part 13c of FIG. 13b, and the frequency rib 13e (refer FIG. 14), and is discharged as purified water from the water outlet 13w.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water inlet 13v, the water outlet 13w, the diffusion chamber 17, and the diffusion member 14 which were provided in the right and left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which comprises the water purifier 13 are filter media, respectively.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mirror symmetry may be carried out with the center surface 13y orthogonal to the center of the axial center 13x direction of the container 13a, 13w can also be used as a water inlet and 13v as a water outlet. Therefore,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outlet can be arranged depending on the place of installation, and in contrast to the normal use state,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outlet 13w and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inlet 13v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water inlet 13v.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may be washed (backwashed).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재 용기(13a) 내의 입상 여과재(16)는 수돗물과 함께 나선류를 그리면서 유동함으로써, 모든 입상 여과재(16)는 고르게 수돗물과 접촉하기 때문에, 소위 「물길」이 형성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정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flows while drawing a spiral flow with the tap water, so that all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evenly contact with the tap water, so that a so-called "water path" is not formed. It can maintain a good water purification function for a long time.

입상 여과재(16)의 재질, 성상 등은 한정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일본 엔바이로케미칼사제의 활성탄(상품명) WH2C32/60LLSS 및 WHA28/48을 각각 75질량% 및 20질량%씩과, 본 출원인인 산에스 공업 주식회사 제품의 알루미나·실리카계의 세라믹스 5질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 바, 수돗물 중의 염소나 불순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또, 상기 세라믹스는, 수돗물 중의 물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작용도 갖고 있기 때문에, 정수 장치(10)를 통과시킴으로써 얻어진 정화수는 피부에 친화적이고, 연하고, 냄새도 없다. 이 때문에, 민감한 피부의 사람, 아토피 체질이나 알레르기 체질의 사람에게 따끔따끔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또, 모발의 세정에 사용해도 머리 감은 후에 모발의 뻣뻣함이 없고, 욕탕의 온수가 잘 더럽혀지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도 얻어진다. Although the material, the property, etc. of the granular filter material 16 are not limited, In this embodiment, 75 mass% and 20 mass% of activated carbon (brand name) WH2C32 / 60LLSS and WHA28 / 48 by Enviro Chemical Co., Ltd., respectively, When a mixture of 5% by mass of alumina-silica-based ceramics manufactured by Sanes Industrial Co., Ltd. of the present applicant was used, chlorine, impurities, and the like in tap water could be efficiently removed. In addition, since the ceramics also have a function of finely decomposing clusters of water molecules in tap water, the purified water obtained by passing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10 is skin-friendly, soft, and has no smell. For this reason, it does not give a tingling feeling to a person of sensitive skin, an atopic constitution or an allergy constitution. Moreover, even if it is used for washing hair, there is no stiffness of the hair after washing the hair, and the effect such that the hot water of the bath does not get dirty easily is obtained.

정수 장치(10)는 벽(W)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정수기(13)를 수용하는 케이싱(11)의 외면은 매끄러운 연속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나 샴푸의 거품 등이 끼얹어져도 오염물이 붙기 어렵다. 정수기(13)는 케이싱(11)으로 덮혀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정수 유닛(10a)이 낙하하거나, 정수 유닛(10a)에 신체가 접촉하거나 해도, 정수기(13)가 파손되거나 고통을 받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 정수기(13)가 케이싱(11)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온수의 통과에 의해 고온으로 된 정수기(13)에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우려가 없어, 안전성도 우수하다. Since the water purifier 10 can be used in a state fixed to the wall W, it can be used easily even in a relatively narrow plac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1 accommodating the water purifier 13 is formed with a smooth continuous curved surface, contaminants are less likely to adhere even if a shower or foam of shampoo is splashed. Since the water purifier 13 is covered with the casing 11, the water purifier 13 may be damaged or suffered even if the water purifying unit 10a accidentally falls or the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purifying unit 10a. none. Moreover, since the water purifier 13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11,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a user directly contacts the water purifier 13 which became high temperature by the passage of hot water for a long time, and is also excellent in safety.

또, 입수구(13v)로부터 도입된 수돗물을 여과재 용기(13a)의 외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확산부재(14)를 설치함과 동시에, 입수구(13v)와 확산부재(14) 사이에 확산부재(14)를 향하여 확대한 형상의 확산실(17)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입수구(13v)로부터 도입된 수돗물은 확산부재(14)를 향하여 확대한 형상의 확산실(17) 내에서 확산하면서 확산부재(14)에 전면적으로 충돌하여, 여과재 용기(13a) 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수돗물은 입상 여과재(16) 전체를 향하여 고르게 분산된다. 이 때문에, 여과효율이 높아, 종래의 정화장치보다 정화처리수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guide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3v radi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a diffusion member 14 is provided, and a diffus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inlet 13v and the diffusion member 14. The diffusion chamber 17 of the shape expanded toward 14 is provided. Therefore,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3v collides with the diffusion member 14 as a whole while diffusing in the diffusion chamber 17 having an enlarged shape toward the diffusion member 14 and flowing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Thus, the tap water is dispersed evenly toward the granular filter media 16 as a whole. For this reason,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high, and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urification device.

또, 확산부재(14)는 입수구(13v)로부터 도입된 수돗물이 맞닿는 수수면(13h)과, 수수면(13h)의 주위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통수구멍(14a)과, 수수면(14h)으로부터 이웃하는 통수구멍(14a) 사이를 경유하여 여과재 용기(13a)의 내주면(13f)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조부(14d)를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diffusion member 14 includes a water receiving surface 13h to which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3v abuts,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14a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water receiving surface 13h, and the water receiving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d are formed radially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f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13a via the adjacent water passage holes 14a from 14h.

따라서, 입수구(13v)로부터 확산실(17) 내에 유입한 수돗물은 수수면(14h)에 맞닿은 후, 복수의 돌조부(14d)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확산하고, 수수면(14h)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통수구멍(14a)를 통과하여 입상 여과재(16)를 향하여 진행한 다. 이 때문에,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여과 효율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조부(14d)를 가짐으로써 확산부재(14) 자체의 강성, 강도가 향상되므로, 입수구(13v)로부터의 유입 수압이 증대해도 잘 변형되지 않아, 유입 수량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ap water flowing into the diffusion chamber 17 from the water inlet 13v contacts the water surface 14h, and then diffuses radially alo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d, and is disposed around the water surface 14h. It progresses toward the granular filter medium 16 through the several through-holes 14a which were made. For this reason, while be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reliably. In addition, sinc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diffusion member 14 itself are improved by having the plurality of radially formed protrusions 14d, it is hardly deformed even if the inflow water pressure from the inlet 13v is increased. It can respond.

더욱이, 케이싱(11)의 외면 및 내면(대기와 접촉하고 있는 면)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은 이온을 함유하는 코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1)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잡균이 번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1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are coated with silver ions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the casing 11 may be formed with mold or multiply various germs. It can prevent and keep clean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정수 장치는, 일반가정의 욕실이나 부엌 또는 이발소, 미용실, 애완동물 가게 등의 급탕수 설비의 구성 부재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as a constituent member of a hot water supply facility such as a bathroom or a kitchen of a general home or a barber shop, a beauty salon, a pet shop, and the like.

본 발명에 의해,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오염물이 잘 붙지 않고, 잘못하여 낙하하거나 신체가 접촉하거나 해도, 파손되거나 고통을 받거나 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한 정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ying device which can be easily used even in a relatively small place, and does not easily adhere to contaminants, and does not suffer from damage or pain even if it accidentally falls or the body comes into contact.

Claims (6)

입수구 및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와,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정수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벽면에 고정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을 매끄러운 연속 곡면으로 형성하고,A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inlet and a water outlet, a casing for detachably accommodating the water purifier in a state where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outlet are exposed, and a retaining member fixed to the wall to detachably attach the casing to a wall;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is formed into a smooth continuous curved surface, 상기 정수기는, 입상 여과재가 유동 가능하게 충전된 통 형상의 여과재 용기와, 상기 여과재 용기 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재 용기의 축심 방향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입수구와, 상기 여과재 용기 내에 도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여과재 용기의 축심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로부터 도입한 물을 상기 여과재 용기 내에서 상기 출수구를 향하여 나선류를 그리면서 유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여과재 용기의 내주면에 설치된 나선형상의 도수부를 구비하고,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tubular filter medium container filled with a particulate filter medium so as to be flowable, an inlet provided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to introduce water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 spiral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for flowing out the outlet 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d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while drawing a spiral flow toward the outlet port in the filter medium container for discharge; The power unit of the top, 상기 입수구에서 도입된 물을 상기 여과재 용기의 외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유도하는 확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입수구와 상기 확산수단 사이에 상기 확산수단을 향하여 확대한 형상의 확산실을 설치하고,A diffusion means for guid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radially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and a diffusion chamber having an enlarged shape toward the diffusion means between the water inlet and the diffusion means, 상기 확산수단으로서, 상기 입수구로부터 도입된 물이 맞닿는 수수면과, 상기 수수면의 주위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통수구멍과, 상기 수수면으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통수구멍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여과재 용기 내주면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조부를 갖는 확산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As said diffusion means, said filter medium is interposed between a water receiving surface where water introduced from said water inlet contacts, a plurality of water passing hole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said water surface, and said water passing hole adjacent from said water surface. A water purifying device, comprising: a diffusion member having a projection formed radially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용기의 축심 방향의 중심에서 당해 축심과 직교하는 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가 경면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outlet are arranged in mirror symmetry with a surface orthogonal to the axis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medium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에 살균기능을 갖는 코팅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The wate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casing is coated with a sterilizing function.
KR1020070041889A 2007-04-16 2007-04-30 Water purifying apparatus KR1013595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7506A JP2008264613A (en) 2007-04-16 2007-04-16 Water purification device
JPJP-P-2007-00107506 2007-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54A KR20080093354A (en) 2008-10-21
KR101359546B1 true KR101359546B1 (en) 2014-02-11

Family

ID=4004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889A KR101359546B1 (en) 2007-04-16 2007-04-30 Water purif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64613A (en)
KR (1) KR101359546B1 (en)
TW (1) TWI43096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7692B2 (en) * 2013-03-28 2017-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Groundwater purification equipment
CN108314220B (en) * 2018-03-18 2021-06-18 包晗 Energy-saving domestic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CN109019938A (en) * 2018-10-26 2018-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Water purifier shell and water purifier with 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25Y1 (en) * 1996-06-08 1998-12-01 최한식 Water purifier vessel configuring water purification wall
JP2000301139A (en) 1999-04-23 2000-10-31 Mitsubishi Rayon Co Ltd Portable water purifier
JP2001314340A (en) * 2000-05-08 2001-11-13 Satoshi Sasaki Clear water shower unit
JP3717499B2 (en) * 2003-07-25 2005-11-16 サンエス工業株式会社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25Y1 (en) * 1996-06-08 1998-12-01 최한식 Water purifier vessel configuring water purification wall
JP2000301139A (en) 1999-04-23 2000-10-31 Mitsubishi Rayon Co Ltd Portable water purifier
JP2001314340A (en) * 2000-05-08 2001-11-13 Satoshi Sasaki Clear water shower unit
JP3717499B2 (en) * 2003-07-25 2005-11-16 サンエス工業株式会社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54A (en) 2008-10-21
TW200918462A (en) 2009-05-01
TWI430963B (en) 2014-03-21
JP2008264613A (en)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023B1 (en) Hand held shower head with unitary filter housing
KR101995638B1 (en) The shower cartridge having smell gel
US20130161418A1 (en) Showerhead for generating micro air bubbles
US20080035552A1 (en) Multi-function and multi-layer filtration device
KR101993535B1 (en) The shower cartridge having smell gel
TWI580385B (en) Shower head and cartridge
KR101359546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US20020070293A1 (en) Shower filtration skin care device
US20090014382A1 (en) Filtration faucet system
KR200491288Y1 (en) Filter assembly and Shower having the same
KR200488426Y1 (en) A micro-bubble generator of carbon dioxide
JP2000262428A (en) Purified water shower system, and shelf for purified water shower system, washstand counter, and kitchen counter
JP2000033366A (en) Purifier
KR20090080642A (en) Filter assembly for purifying water
US20090014379A1 (en) Filtration faucet system
CN211246995U (en) Gondola water faucet with filter core
KR20220018347A (en) Functional shower machine
KR101774908B1 (en) Self-replaceable water purification shower with direct connection to the water supply
JP3901814B2 (en) Water purifier
JP3717499B2 (en) Water purifier
US795211A (en) Fountain-sponge.
KR200408181Y1 (en) Shower apparatus with side filters
JPH11239740A (en) Shower head with water-purifying function
KR200152298Y1 (en) Shower head
KR20220114204A (en) Shelf Shower Faucet Combined Filter Assembly for Fauc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