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467B1 -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467B1
KR101358467B1 KR20120062337A KR20120062337A KR101358467B1 KR 101358467 B1 KR101358467 B1 KR 101358467B1 KR 20120062337 A KR20120062337 A KR 20120062337A KR 20120062337 A KR20120062337 A KR 20120062337A KR 101358467 B1 KR101358467 B1 KR 10135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line
unit
comparison
user terminal
eng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532A (ko
Inventor
한상대
Original Assignee
한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대 filed Critical 한상대
Priority to KR2012006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4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532A/ko
Priority to US14/405,786 priority patent/US20150127642A1/en
Priority to PCT/KR2013/003506 priority patent/WO20131875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주제에 따른 시대사를 연표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연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서로 간에 다른 분야의 시대사를 한눈에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건들을 주제별로 정리하며, 발생시기와 사건내용을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며, 상기 주제별로 사건조회 요청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내의 사건내용과 발생시기를 연표화 하는 엔진부; 및, 상기 엔진부와 연동하며, 상기 엔진부에 상기 사건들을 주제별로 요청하여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한 연표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한 연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제별로 사건 조회를 요청 받는 경우, 요청 받은 두 개의 이상의 연표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사용자가 설정한 비교기간 단위에 맞도록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며, 사용자가 연표의 비교기간을 변경하면 해당 단위로 비교연표를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Active Chronicle Comparing System on Website}
본 발명은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제별로 발생한 사건과 발생시기를 연표로 보여주고, 다중의 연표들을 한 화면에 비교 출력되도록 하며, 비교기간 단위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표라 함은 역사와 같이 특정 주제에 대해 발생한 과거 사건들을 일목요연하게 시기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연표를 활용하는 선행문헌으로써,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45850에는 세계사, 한국사, 개인생애사를 연표로 정리하고, 해당 연표를 웹사이트를 통해 보여주는 웹사이트를 통한 디지털 연표 제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을 보면, 온라인상에서 세계사, 한국사, 개인생애사를 날짜순으로 보여줌으로써, 세계사와 한국사 그리고 개인생애사를 동시에 조회하고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은 세계사, 한국사, 개인생애사 라는 3 개의 고정된 주제를 날짜순서로 보여 주기만 할 뿐, 다른 주제를 추가한다던지 날짜의 비교 단위를 조정할 수 없어 그 활용 범위가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다른 필요성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사건과 발생시기를 연표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연표를 다른 연표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서로 다른 분야의 시대사를 한눈에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연표를 비교함에 있어 각 주제별 사건을 1년, 10년, 100년 단위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비교기간 단위로 재구성하여 하나의 연표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각 분야의 시대사들을 기간단위별로 비교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은 주제별로 발생한 사건들의 발생시기와 사건내용을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며, 사건 조회 요청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내의 사건내용과 발생시기를 이용하여 연표데이터를 생성하는 엔진부; 및, 상기 엔진부와 연동하며,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한 연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제별로 사건 조회를 요청 받는 경우, 요청 받은 두 개의 이상의 주제별 연표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사건과 시기를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연표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비교기간 단위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대사를 연표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연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서로 간에 다른 분야의 시대사를 한눈에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제의 연표를 비교함에 있어 각 연표에 표시되는 사건을 십년, 백년 단위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비교기간 단위에 따라 발생한 사건들을 재분류하여 하나의 연표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각 분야에서 발생한 시대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비교 자료 및 편집 자료로써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사에 관한 시대사 뿐만아니라 인물, 철학, 예술, 학문, 기술, 스포츠, 제품 및, 회사연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연표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해당 연표를 다른 주제의 연표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서 역사, 인물, 철학, 예술, 학문, 기술,스포츠 제품 및 회사연혁등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관한 연표를 다양한 조합으로 한눈에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표데이터의 각 비교화면에 대한 고유한 URL주소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전달함으로써, 연표데이터의 조합을 다른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의 구동순서에 따른 플로워차트.
도 3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건과 주제들을 검색하기 위한 초기 화면이 사용자단말에 표시된 상태의 이미지.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면에서 중국사의 주제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에 연표데이터를 출력한 화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 한국사의 연표데이터를 추가한 상태의 이미지.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면에 유럽사의 연표데이터를 추가한 상태의 이미지.
도 7은 분야를 바꾸어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라는 인물의 생애와 연혁 주제를 비교하여 연표데이터를 출력한 화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에서 연표데이터의 비교기간 단위를 십년으로 설정한 상태의 이미지.
도 9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에서 연표데이터의 비교기간 단위를 백년으로 설정한 상태의 이미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의 구동순서에 따른 플로워차트이다. 도 3은 연표 비교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중국사를 검색하여 결과가 사용자단말에 표시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면에서 중국사(간편)을 선택하여 사용자단말에 연표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 한국사의 연표데이터를 추가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면에 유럽사의 연표데이터를 추가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7은 주제를 바꾸어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라는 두 명의 인물을 비교하여 연표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에서 연표데이터의 비교기간을 십년으로 설정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에서 연표데이터의 비교기간을 백년으로 설정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10), 엔진부(20) 및, 사용자단말(3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는 주제별로 발생한 사건들의 발생시기와 사건내용을 DB화하여 저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주제와 사건들은 각 나라의 역사, 인물, 철학, 예술, 학문, 기술, 스포츠, 제품 및 회사연혁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0)는 역사 및 인물 뿐만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관한 DB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비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엔진부(20)는 데이터베이스부(10)와 연동하며, 사용자가 사건 조회 요청시에 선택한 주제의 사건과 시기를 연표데이터(1)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엔진부(20)는 데이터베이스부(10)를 검색하며, 다중의 주제를 선택한 경우 이를 하나의 비교연표로 생성 한다. 또한 사용자가 비교기간 단위(1년, 10년, 100년, 천년, 만년, 백만년, 억년)를 변경하면 이를 기준으로 연표를 재구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30)은 엔진부(20)와 연동하며, 엔진부(20)에 사건들을 주제별로 요청하여 엔진부(20)에서 생성한 연표데이터(1)를 디스플레이하며, 엔진부(20)에 비교기간을 요청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단말(30)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피씨, 노트북, 스마트폰 및, 태블릿피씨와 같은 컴퓨터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단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된 결과에서 중국사에 대한 주제를 선택하게 되면, 엔진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중국사에 관한 연표데이터(1)를 사용자단말(30)의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30)에서는 또 다른 주제를 검색 및 선택하여 중국사와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른 주제(토픽)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30)에서 한국사에 관한 주제(토픽)를 추가하게 되는 경우, 엔진부(20)에서는 중국사의 연표데이터(1)와 한국사에 관한 연표데이터(1)를 병합생성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사와 한국사에 관한 비교 연표데이터(1)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단말(30)에서는 이 상태에서 또 다른 주제를 입력하여 중국사 및 한국사와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 또 다른 주제(토픽)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30)에서 유럽사에 관한 토픽을 추가하게 되는 경우, 엔진부(20)에서는 중국사와 한국사 및 유럽사에 관한 세 개의 비교 연표데이터(1)를 생성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사와 한국사 및 유럽사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단말(3)에서 역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단말(3)에서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라는 인물에 대한 주제를 차례로 선택하는 경우, 엔진부(20)에서는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에 대한 두 개의 비교 연표데이터(1)를 생성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출력 비교하게 된다. 물론 역사와 인물을 함께 비교할 수도 있으며, 그밖에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모든 주제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비교할 수 있다.
즉, 엔진부(20)는 사용자단말(30)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제별로 사건 조회를 요청 받는 경우, 요청 받은 두 개의 이상의 주제별 연표데이터(1)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생성하여 사용자단말(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은 시대사를 연표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연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서로 간에 다른 분야의 시대사를 한눈에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은 서로 간에 다른 분야의 시대사를 비교할 수 있는 관점에 볼 때, 하나의 연표만을 출력하는 종래 선행문헌에서 예측될 수 없는 다른 효과를 발휘한다 할 것이다.
한편, 엔진부(20)는 연표생성부(21)및 비교기간설정부(22)를 포함할수 있다.
상기 연표생성부(21)는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사건들을 검색하여 연표데이터(1)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간설정부(22)는 연표생성부(21)에 저장된 시기데이타에 따라 사건데이타가 특정 비교기간 단위로 재구성해 출력되도록 기간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연표생성부(21) 및 비교기간설정부(22)를 포함하는 엔진부(2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라는 인물 연대기을 비교하는 경우, 엔진부(20)에서는 사용자단말(30)로 비교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최초 년 단위,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의 연혁사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그대로 년도별로 출력한 상태이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30)은 비교기간설정부(22)를 통해 비교기간 단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간(2)을 10년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비교기간설정부(22)는 각각의 연표데이터(1)에 출력되는 사건들을 사용자단말(30)이 요청한 비교기간인 10년 단위로 재구성하여 사용자단말(30)에 출력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30)에서 비교기간(2)을 100년으로 설정하는 경우, 비교기간설정부(22)는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라는 각각의 연표데이터(1)에 출력되는 사건들을 사용자단말(30)이 요청한 100년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단말(30)에 출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교기간설정부(22)에서 시기데이타에 따라 사건데이타를 특정 기간별로 나누는 경우에 비교기간(2)의 설정값은 1년, 10년, 100년, 천년, 만년, 백만년 및, 억년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어 사용자단말(30)에서 요청하는 기간으로 연표데이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은 서로 다른 시대사를 비교함에 있어 각각 시대사의 사건을 십년, 백년 단위와 같이 비교기간별로 정리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을 단위로 발생한 사건들을 화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각 분야에서 발생한 시대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비교 자료 및 편집 자료로써의 활용성을 현저하게 극대화시키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를 위한 각각의 연표데이터(1)를 엔진부(20)에서 생성하여 사용자단말(30)로 출력하는 경우, 엔진부(20)에서는 연표데이터(1)을 구성한 주제와 비교기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URL주소를 생성하며, 사용자단말(30)로 연표데이터(1)와 함께 해당 연표데이터(10)의 URL주소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30)로 전송되는 URL주소는 각각의 연표데이터(1)마다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비교기간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30)에서는 자신이 비교자료로써 편집한 비교연표의 URL주소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URL주소로 다시 접속하게 되면, 해당 URL주소에 고유한 비교연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응용하여, 사용자단말(30)에서는 해당 URL주소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자신이 보았던 고유의 비교연표를 다른 사용자도 그대로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은 연표데이터(1)의 생성시에 이와 연동하는 고유한 URL주소를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생성된 비교연표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도 매우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매우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10 ; 데이터베이스부 20 ; 엔진부
30 ; 사용자단말 21 ; 연표생성부
22 ; 비교기간 설정부 1 ; 연표데이터
2 ; 비교기간

Claims (4)

  1. 주제별로 발생한 사건들의 발생시기와 사건내용을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며, 사건 조회 요청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내의 사건내용과 발생시기를 이용하여 연표데이터를 생성하는 엔진부; 및,
    상기 엔진부와 연동하며,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한 연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제별로 사건 조회를 요청 받는 경우, 요청 받은 두 개의 이상의 주제별 연표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연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엔진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건들을 검색하여 상기 연표데이터를 출력하는 연표생성부; 및, 상기 연표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비교연표가 특정 기간 단위로 출력되도록 기간을 설정하는 비교기간설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비교기간설정부를 통해 비교기간 단위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연표생성부는 상기 비교연표에 출력되는 사건들을 상기 사용자단말이 요청한 비교기간 단위에 따라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출력하며,
    상기 비교기간설정부에서 상기 비교연표를 특정 기간 단위로 구분하는 경우에 비교기간의 설정값은 1년, 10년, 100년, 천년, 만년, 백만년 및, 억년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엔진부를 통해 상기 연표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엔진부에서는 비교연표를 구성한 비교주제와 비교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RL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연표데이터의 URL주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KR20120062337A 2012-06-11 2012-06-11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KR10135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2337A KR101358467B1 (ko) 2012-06-11 2012-06-11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US14/405,786 US20150127642A1 (en) 2012-06-11 2013-04-25 Active chronicle comparison system using websites
PCT/KR2013/003506 WO2013187598A1 (ko) 2012-06-11 2013-04-25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2337A KR101358467B1 (ko) 2012-06-11 2012-06-11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532A KR20120092532A (ko) 2012-08-21
KR101358467B1 true KR101358467B1 (ko) 2014-02-11

Family

ID=4688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2337A KR101358467B1 (ko) 2012-06-11 2012-06-11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27642A1 (ko)
KR (1) KR101358467B1 (ko)
WO (1) WO2013187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01B1 (ko) * 2017-11-29 2018-06-04 주식회사 피씨엔 전통문화 융복합 지원을 위한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7693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Chronology providing method, chronology provi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hronology provid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678A (ko) * 1998-06-29 2000-01-25 주윤식 캡슐수치를 이용한 연도표시방법
US20030063136A1 (en) * 2001-10-02 2003-04-03 J'maev Jack Ivan Method and software for hybrid electronic note taking
KR200308014Y1 (ko) * 2003-01-02 2003-03-17 김현옥 연대기적 지도 퍼즐
KR20100111157A (ko) * 2009-04-06 2010-10-14 임무혁 구약연대기 서비스 방법
US20110087655A1 (en) * 2009-10-09 2011-04-14 Yahoo! Inc. Search Ranking for Time-Sensitive Queries by Feedback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7693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Chronology providing method, chronology provi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hronology providing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7642A1 (en) 2015-05-07
WO2013187598A1 (ko) 2013-12-19
KR20120092532A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ha et al. Schema. org: Evolution of Structured Data on the Web: Big data makes common schemas even more necessary.
Hall et al. Social curation on the website Pinterest. com
US201101536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iaging Of Information Feeds
US10372769B2 (en) Displaying results, in an analytics visualization dashboard, of federated searches across repositories using as inputs attributes of the analytics visualization dashboard
US9614933B2 (en) Method and system of cloud-computing based content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platform with content blocks
US10970345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carrying out a search for information available over a network
Jang et al. Assessing the carrying capacity of Twitter and online news
Sundaramoorthy et al. Newsone—an aggregation system for news using web scraping method
Bowman Statista
Harcup Alternative journalism
KR101358467B1 (ko) 웹사이트를 이용한 연대기의 능동적 비교 시스템
Lerner At the Forge Syndication with RSS
Wolpers et al. Bridging repositories to form the MACE experience
US20160188603A1 (en) Quotation management platform
Shaw et al. Integrating collaborative bibliography and research
Woolston Paper piracy sparks online debate
Kalou et al. Combining the best of both worlds: A semantic web book mashup as a Linked Data service over CMS infrastructure
Papadakis et al. Employing Twitter hashtags and linked data to suggest trending resources in a digital library
Mihaljevic-Brandt et al. zbMATH author profiles: open up for user participation
Beel et al. The Architecture of Mr. DLib's Scientific Recommender-System API
Steiner Enriching unstructured media content about events to enable semi-automated summaries, compilations, and improved search by leveraging social networks
Falk DoReMus
Rios Book Review: Her Stories: Daytime Soap Opera & US Television History
Catasta et al. B-hist: Entity-centric search over personal web browsing history
Badrinath et al. Investigating Conceptual Metaphors for Covid-19 on Social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