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121B1 -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121B1
KR101358121B1 KR1020120020584A KR20120020584A KR101358121B1 KR 101358121 B1 KR101358121 B1 KR 101358121B1 KR 1020120020584 A KR1020120020584 A KR 1020120020584A KR 20120020584 A KR20120020584 A KR 20120020584A KR 101358121 B1 KR101358121 B1 KR 10135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laying
buoyancy
control unit
st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8786A (en
Inventor
박성국
박선규
유홍재
이희원
임옥진
홍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121B1/en
Publication of KR2013009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5Pipe-lay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설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는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파이프라인의 입수를 안내하며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스팅거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laying a subsea pipeline and a lay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subsea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located behind the pipe laying line, and the lamp is provided on the structure to guide the acquisition of the pipeline and to form a pipeline support path associated with the stinger of the pipe laying line It may include.

Description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설시스템{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Submarine pipeline laying apparatus and laying system including same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서 수중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ea pipeline la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line lay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pipeline placed in the water in the rear of the pipe laying vessel and a lay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으로는 S형 부설법(S-Laying)과 J형 부설법(J-Laying)이 알려져 있다.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Pipe Laying Vessel)으로부터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S형으로 내리면서 부설하는 방식이다. J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으로부터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J형으로 내리면서 부설하는 방식이다.S-laying and J-laying are known as methods for laying pipelines on the seabed. The S-type method is a method of laying down the pipeline from the Pipe Laying Vessel to the S-shaped bottom. The J-fitting method is a method of laying pipelines down from the pipe line to the J-bottom.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 위의 여러 작업영역에서 용접, 비파괴검사, 피복작업 등을 수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파이프라인을 파이프부설선 후미 쪽으로 이동시켜 스팅거(Stinger)로 지지하는 가운데 수중으로 내려 부설한다. 파이프부설선 후미의 스팅거는 수중으로 진입하는 파이프라인이 안전한 곡률로 휘어져 내리도록 지지한다. In the S-type laying method, pipelines are formed by welding,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coating work in various working areas on the pipe laying line. The pipeline is then moved to the rear of the pipe laying vessel and laid down underwater while supported by a stinger. Pipeline The stinger at the end of the line supports the pipeline that enters into the water with a safe curvature.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의 여러 작업영역에서 파이프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J형 부설법에 비해 파이프라인의 부설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이 방식은 파이프라인을 심해에 부설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어려워 수심이 얕은 곳에서 파이프라인를 부설하는 경우에 선호되고 있다. 수심이 깊을수록 수중에 내려지는 파이프라인의 무게가 증가하여 스팅거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The S - type piping method has a faster pipeline lay - up speed than the J - type piping method because it can perform piping work in various work areas of pipe pipelines. However, this method is preferred when pipelines are laid at shallow depth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pply pipelines to deep sea waters. This is because the deeper the water, the greater the weight of the pipeline, and the greater the load on the stinger.

미국특허 US 3,559,413호는 파이프부설선 후방에 별도로 부유체를 설치하고, 이 부유체와 연결된 케이블을 수중으로 내려 수중의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U. S. Patent No. 3,559, 413 has proposed a technique for separately installing a float in the rear of a pipe laying vessel and lowering a cable connected to the float to support underwater pipelines.

그러나, 부유체와 연결된 케이블을 수중으로 내려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기술은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된 지지부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However, the technique of supporting the pipeline by lowering the cable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in water may be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pipeline because the support portion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able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파이프라인 부설 중 기상악화 시 등에는 파이프라인의 부설작업을 중단하고, 이후 파이프라인의 부설작업을 재개하기 위한 선행작업을 하는데, 이를 이른바 Abandonment & Recovery 작업(이하: A&R 작업이라 한다.)이라 한다. 즉, 파이프라인의 부설작업을 중단하는 경우 파이프라인의 끝단을 와이어에 고정하고 부설선에 마련된 윈치(Winch)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내려놓는 포기(Abandonment)작업을 수행하고, 파이프라인의 부설작업을 재시작하는 경우 다시 윈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의 끝단을 해상으로 끌어올리는 회생(Recovery)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A&R작업의 경우 일련의 작업과정이 복잡해지고, 심해작업의 경우 대용량의 윈치가 요구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weather is worsening during pipeline laying, the pipeline laying work is suspended, and afterwards, the preceding work is carried out to resume laying the pipeline, which is called Abandonment & Recov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R). This is called. In other words, when the laying of the pipeline is stopped, the end of the pipeline is fixed to the wire and the abandonment of laying the pipeline on the sea floor is carried out by using the winch provided in the laying line. When restarting the laying work, use winch again to recover the pipeline to the end of the pipeline. In the conventional A & R work, a series of work processes are complicated, and in the case of deep sea work, a large amount of winches are required.

특허문헌 1: 미국특허 US 3,559,413호(1971. 02. 02. 공고)Patent Document 1: US Patent No. 3,559,413 (August 02, 1971)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수중으로 내리는 파이프라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심해 파이프라인의 부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line laying apparatus and a lay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o enable the laying of deep sea pipeline by stably supporting the pipeline falling into the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윈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A&R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line laying apparatus and an lay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hat can easily perform A & R work without using a winc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파이프라인의 입수를 안내하며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스팅거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상의 파이프라인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located at the rear of the pipe laying vessel, a lamp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guide the acquisition of the pipeline and forming a pipeline support path associated with the stinger of the pipe laying vessel, and on the lamp It may include a detachable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ipeline to the structure.

상기 램프는 구조물의 중심축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lamp may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tructure.

상기 램프는 상기 스팅거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mp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with the stinger.

상기 구조물은 상기 파이프부설선에 상기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includ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tructure to the pipe laying vessel.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밸라스트탱크와, 상기 구조물이 해저로 가라앉거나 상승하도록 상기 구조물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Ballast tanks provided on the structure to provide buoyancy, and buoya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structure so that the structure sinks or rises to the sea floor.

상기 부력조절유닛은 상기 밸라스트탱크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밸라스트탱크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utside air supply line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ballast tank when the water of the ballast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외기공급라인의 일단은 상기 밸라스트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해상의 부이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ast tank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buoy at sea.

상기 부력조절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중성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조물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unit may raise and lower the structure by providing a neutral buoyancy to the structure.

상기 구조물이 파이프지지위치와 포기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to be located between the pipe support position and the abandoned position.

외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력조절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uoyanc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receiver.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라인을 안내하는 스팅거가 형성된 파이프부설선과,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기 구조물의 중심축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스팅거와 결합되어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상의 파이프라인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pe laying vessel formed with a stinger for guiding the pipeline, and a structure positioned behind the pipe laying vessel to provide buoyancy for supporting the pipeline, the structure is the center of the structure It may include a ramp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axis and coupled with the stinger to form a pipeline support path, and a detachable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ipeline on the ramp to the structure.

상기 파이프부설선에 상기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tructure to the pipe laying line.

상기 구조물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유닛과, 상기 구조물이 해저로 가라앉거나 상승하도록 상기 부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파이프라인의 입수를 안내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팅거의 무게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램프상의 파이프라인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착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 buoya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structur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so that the structure sinks or rises to the sea flo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located behind the pipe laying vessel, a lamp provided on the structure to guide the acquisition of the pipeline, a suppo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amp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stinger, and It may include a detachable unit provided to secure the pipeline on the lamp to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는 부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에 파이프부설선의 스팅거와 연계되어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는 램프가 마련되어 수중으로 내리는 파이프라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ably support a pipeline falling into the water by providing a ramp that forms a pipeline support path in connection with a stinger of the pipe laying vessel in a structure providing buoyancy.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는 구조물이 해상 또는 해저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윈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A&R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A & R work without using the winch is provided that the structure can be elevated to the sea or the seabed.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는 원격으로 구조물의 상, 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structure.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는 밸러스트탱크에 의해 구조물의 흘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팅거의 대응하는 높이로 램프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lamp to the corresponding height of the stinger because the draft can be adjusted by the ballast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의 고정장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의 A&R(Abandonment & Recovery)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의 승, 하강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의 포기(Abandonment)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부설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pipeline la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of a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 & R (Abandonment & Recovery) operation state of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bandonment state of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ipeline la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시스템은 S형 부설법(S-Laying)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할 수 있는 파이프부설선(100)과, 파이프부설선(100)의 후방에서 수중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300)을 지지하여 파이프라인(300)의 심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ubsea pipeline la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 laying vessel 100 capable of laying a pipeline on the seabed by an S-laying method and a pipe.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pipeline 300 which is laid underwater in the rear of the laying vessel 100 to allow the deep sea installation of the pipeline 300.

파이프부설선(100)은 선체(110)의 저부에 추진을 위한 복수의 추진기(111)를 구비할 수 있다. 선체(110) 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들(310)을 보관하는 보관실(112)이 마련되고, 상측에 복층으로 구성되는 갑판들(121,122)에는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파이프라인(300)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영역이 마련된다. Pipe laying vessel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pellers 111 for propulsion at the bottom of the hull (110). The hull 1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room 112 for storing the pipes 3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ipes 300 are connected to the decks 121 and 122 formed of a double layer on the upper side to produce the pipeline 300. A work area is provided.

작업영역은 파이프를 길게 연결하여 최종 파이프라인(300)을 만드는 메인 작업라인(130)과, 메인 작업라인(130)으로 공급할 파이프들을 소망하는 길이로 연결하는 복수의 서브 작업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작업라인(140)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베벨링, 예열, 용접,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작업라인(130)과 같은 층의 갑판(122) 또는 다른 층의 갑판(121)에 병렬 작업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work area includes a main work line 130 connecting the pipes long to form a final pipeline 300, and a plurality of sub work lines 140 connecting pipes to be supplied to the main work line 130 to a desired length. can do. The sub work line 140 may include work areas for performing beveling, preheating, welding, inspection, etc. for connecting pipes, and may include a deck 122 or another floor of the same floor as the main work line 130. The deck 121 may be arranged to form a parallel work line.

메인 작업라인(1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수(101) 쪽으로부터 선미(102)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여기에는 복수 개소에 용접영역(131)이 마련됨으로써 서브 작업라인(140)에서 생산된 파이프들을 직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빠르게 연결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에도 용접부분의 검사 및 피복을 위한 작업영역이 각각 마련된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operation line 130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from the bow 101 to the stern 102. As shown in Fig. Here, welding areas 131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so that the pipes produced in the sub-work line 140 can be quickly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pipes are arranged in series. The main work line 130 is provided with a work area for inspecting and covering the welded portions, respectively.

메인 작업라인(130) 후미 쪽에는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수중으로 안내하기 위해 선미(102)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안내부(125)가 마련된다. 또 메인 작업라인(130)에는 수중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파이프라인(300)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텐셔너(150,Tensioner)가 설치될 수 있다.At the rear of the main operation line 130, an inclined guide portion 125 is provided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ern 102 to guide the produced pipeline 300 to the water. In addition, the main work line 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nsioners 150 to move the pipeline 300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pipeline 300 to be placed in the water.

선체(110) 후미 쪽에는 메인 작업라인(130)으로부터 이송되는 파이프라인(300)을 지지하는 스팅거(160)가 설치된다. On the rear side of the hull 110, the stinger 160 for supporting the pipeline 300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work line 130 is installed.

스팅거(160)는 경사안내부(125)와 연계된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측으로 이송되는 파이프라인(300)이 안전한 곡률로 휘어져 내릴 수 있도록 한다.The stinger 160 forms a pipeline support path associated with the inclined guide part 125 so that the pipeline 300 transferred to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can be bent down to a safe curvature.

스팅거(160)는 파이프라인(30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경사진 한 쌍의 롤러(162)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스팅거(160)의 단부에는 후술할 램프(240)와 연계되어 파이프라인(300)의 지지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램프(240)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부(164)가 마련된다(도 3 참조).The stinger 160 is arranged with a pair of inclined rollers 162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smooth transfer of the pipeline 300, and the end of the stinger 160 is associated with a lamp 240 to be described later A first connector 164 is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lamp 240 to form a support path of the pipeline 300 (see FIG. 3).

이러한 파이프부설선(100)은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은 해역(대략 1000m 미만)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경우 스팅거(160)에 작용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 해저 파이프라인을 부설할 수 있다. 즉 후술할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연결하지 않고서도 해저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심이 깊은 해역(대략 1000m 이상)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경우에는 후방에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연결함으로써 S형 부설법으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다. 물론, 파이프라인(300)의 직경이 커서 곡률반경이 크고 무게가 증가할 경우에는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도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다.Since the pipe laying vessel 100 lays the pipeline 300 in a relatively shallow sea area (less than about 1000 m), the weight of the pipeline 300 acting on the stinger 160 is relatively large. Can be used to lay subsea pipelines. That is, the pipeline 300 can be laid on the seabed without connecting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laying the pipeline 300 in the deep sea (approximately 1000m or more) by connecting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to the rear can be laid pipeline 300 by the S-type laying method. Of course, when the diameter of the pipeline 300 is larg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is large and the weight increases,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may be used even in a shallow sea area.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시 물에 뜬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물(210)과, 구조물(210)을 파이프부설선(100)의 후미 쪽에 연결하는 연결장치(220)와, 파이프부설선(100)의 스팅거(160)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조물(210) 하부에 설치된 램프(240)와, 구조물(210)에 부력을 제공하는 밸라스트탱크(250)와, 구조물(210)이 해저로 가라앉거나 상승할 수 있도록 구조물(2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유닛(2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connects the structure 210 to maintain the state floating in water during the pipeline laying operation, and connects the structure 210 to the rear side of the pipe laying line 100. To provide buoyancy to the structure 210 and the lamp 240 is installed below the structure 210 to form a pipeline support path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device 220 and the stinger 160 of the pipe laying vessel 100 The ballast tank 250 and the structure 210 may include a buoyancy control unit 260 that can adjust the buoyancy of the structure 210 to sink or rise to the seabed.

구조물(210)은 너비가 넓고 바닥이 평평한 바지선(barge)의 선체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구조물(210)은 그 중심축을 따라 램프(240)가 전, 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뜰 수 있는 상태이면 될 것이므로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는 있다. 복수의 부유체를 철골구조물로 연결한 형태이거나, 동일한 두 선체를 평행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갑판 쪽에서 연결한 쌍동선의 형태일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구조물(210) 또는 이에 장착되는 구성의 위치나 방향을 언급하면서 파이프부설선(100)이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이라 한다.The structure 210 may be provided similar to the hull of a barge having a wide width and a flat bottom. Of course, the structure 210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since the lamp 24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amp 240 is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central axis thereof. It may be in the form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with steel structures, or in the form of catamarans connected from the deck side in the same spaced apart two hulls. 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laying line 100 moves forward while referring to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structure 210 or a component mounted thereto is referred to as 'front'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rear'.

구조물(210)과 파이프부설선(100)을 연결하는 고정유닛(22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트러스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유닛(220)은 한쪽 단부가 구조물(210)의 전방 쪽 상부에 마련된 지지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편 단부가 고정핀(223) 등에 의해 파이프부설선(100) 후미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xing unit 220 connecting the structure 210 and the pipe laying line 100 may be provided as a long truss structur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xing unit 22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1 provided in the upper front of the structure 210, the opposite end is also rotatable to the rear of the pipe laying line 100 by a fixing pin 223, etc. Can be connected.

파이프부설선(100)의 후미에는 고정유닛(220)의 결합을 위해 고정핀(223)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22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유닛(220)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파이프부설선(100) 쪽 단부를 분리한 후 후방으로 회전시켜 구조물(210)의 갑판 위의 제2고정부(224)에 고정핀(223)을 쳬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220)을 파이프부설선(100)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는 파이프부설선(100) 위에 마련된 크레인(103: 도 1 참조)을 이용할 수 있다.A first fixing part 222 to which the fixing pin 223 is coupled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ipe laying line 100 to couple the fixing unit 220. Fixing unit 220 may be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when not in use to remove the end portion of the pipe laying vessel 100 is rotated to the rear second fixing part 224 on the deck of the structure 210 It can be fixed by connecting the fixing pin 223 to. When the fixing unit 220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pipe laying vessel 100, a crane 103 (see FIG. 1) provided on the pipe laying vessel 100 may be used.

램프(2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설선(100)의 스팅거(160)와 대응하는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구조물(210)에 마련될 수 있다.2 to 4, the lamp 240 may be provided in the structure 210 while maintain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tinger 160 of the pipe laying line 100.

램프(240)는 전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몰 형성된 구조물(210)의 중심축(212)에 형성되며 그 경사각은 도2와 같이 일정각을 유지하거나, 파이프라인(300)의 부설시 요구되는 곡률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완만하게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amp 240 is formed on the central axis 212 of the structure 210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ts inclination angl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angle as shown in FIG. Correspondingly,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rear side.

램프(240)의 전방에는 스팅거(160)의 제1연결부(164)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242)가 마련되어 스팅거(160)의 제1연결부(164)를 램프(240)의 제2연결부(242)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파이프부설선(100)과 구조물(210)이 해상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파이프라인 부설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파이프라인(300)의 지지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The front of the lamp 24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or 242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164 of the stinger 160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connector 164 of the stinger 160 to the second connector of the lamp 240 ( By inserting and fixing to 242, the pipe laying line 100 and the structure 210 form a support path of the pipeline 3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ipeline laying work even when relative movement is performed at sea.

램프(240)의 전면에는 스팅거(16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14)가 마련되며, 스팅거(160)의 하부가 지지부(21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팅거(160)에 걸리는 파이프라인(300)의 하중을 구조물이 지지하게 할 수 있다.The front of the lamp 24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214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stinger 160, the lower part of the stinger 16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214, the pipeline is caught on the stinger 160 ( The structure may be supported by a load of 300).

구조물(210)의 전방에서 스팅거(160)의 단부가 지지되고, 구조물(210)의 후방에서 파이프라인(300)이 해저로 진출하게 되어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에 걸리는 하중이 구조물(210)의 전, 후에 걸쳐 분산되게 되어 램프(240)에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도 구조물(210)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 end of the stinger 160 is supported in front of the structure 210, the pipeline 300 is advanced to the seabed in the rear of the structure 210, the load applied to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is the structure 210 Before and after the dispersion, the structure 210 may maintain a stable posture even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lamp 240.

램프(240)와 스팅거(160)의 연결은 일 예로 고리형태의 제2연결부(242)에 제1연결부(164)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램프(240)와 스팅거(160)의 상호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연결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lamp 240 and the stinger 160 may be provided by inser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64 into the ring-shaped second connecting portion 242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various ways of connecting may be employed to minimize the mutual movement of the 160.

램프(240)에는 스팅거(160)로부터 이송된 파이프라인(300)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입수할 수 있도록 스팅거(160)에 배치된 롤러(164)와 동일, 유사한 형태로 롤러(244)가 마련될 수 있다.The lamp 240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244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roller 164 disposed on the stinger 160 so that the pipeline 300 transferred from the stinger 160 can move and receive smoothly. Can be.

일 실시 예에서는 램프(240)가 해수면 상하에 걸쳐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스팅거(160)로부터 이송된 파이프라인(300)은 램프(2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입수하게 되는데, 설계에 따라서는 램프(240)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파이프라인(300)이 스팅거(16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입수한 후 램프(240)를 따라 해저로 하강하게 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mp 240 is inclined over the sea level, so that the pipeline 300 transferred from the stinger 160 is obtained while moving along the lamp 240. Depending on the design, the lamp 240 is Located below the sea level, the pipeline 300 may be obtained while moving along the Stinger 160 and then descended to the seabed along the ramp 240.

밸라스트탱크(250)는 구조물(210)의 흘수를 조절함으로써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ballast tank 250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structure by adjusting the draft of the structure 210.

밸라스트탱크(2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구획된 복수의 챔버(251,252,25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ballast tank 250 includes a plurality of chambers 251, 252, and 253 that are mutually partitioned.

복수의 챔버(251,252,253)는 상호 구획된 상태에서 전, 후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조물(210)의 양 측면 쪽에 상호 대등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210)은 각 챔버(251,252,253)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배출시킴으로써 흘수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 챔버(251,252,253)의 수위를 다르게 하여 구조물(2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hambers 251, 252, and 253 may be arranged successively in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in a mutually partitioned stat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wo sides of the structure 210 may be provided in an equivalent form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e 210 may adjust the draft by filling or discharging water in the chambers 251, 252, and 253, and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tructure 210 by changing the level of each chamber 251, 252, 253 as necessary.

이와 같이 밸라스트탱크(250)는 각 챔버(251,252,253)의 수위를 조절하여 구조물(2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팅거(160)로부터 램프(240)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llast tank 250 may naturally connect the pipeline support path leading from the stinger 160 to the lamp 24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ructure 210 by adjusting the level of each chamber 251, 252, 253.

구조물(210) 하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210)은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하는 과정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동작을 통해 자세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 시 스스로 추진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azimuth thrusters may be installed below the structure 210. The structure 210 can adjust the postur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zimus thruster in the process of laying the pipeline 300, it may be propelled by itself if necessary.

본 실시예는 구조물(210)이 해저로 가라앉도록 하거나 상승하도록 구조물(210)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유닛(260)을 포함한다.This embodiment includes a buoyancy control unit 260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structure 210 to allow the structure 210 to sink or rise to the seabed.

부력조절유닛(260)은 밸라스트탱크(250)에 물을 공급하거나 밸라스트탱크(25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급, 배수장치(261,262,263)와, 해저에 위치한 구조물(210)을 해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밸라스트탱크(25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밸라스트탱크(250)내에 부압이 걸리지 않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라인(265)을 포함한다.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supplies water to the ballast tank 250 or discharges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261, 262, 263) to the outside of the ballast tank 250, and the structure 210 located on the sea floor to the sea When the water of the ballast tank 2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increase the air pressure supply line 265 for supplying air so that negative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ballast tank 250.

급, 배수장치(261,262,263)는 수중펌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챔버(251,252,253)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 챔버(251,252,253)의 수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supply / drainage devices 261, 262, and 263 may be formed as submersible pumps, and may be formed in plural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hambers 251, 252, and 253, respectively, to independently adjust the water levels of the chambers 251, 252, and 253.

급, 배수장치(261,262,263)는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파이프라인 부설선(100)에 결합시에는 소정량의 물을 각 챔버(251,252,253)에 공급하여 스팅거(160)와 램프(240)의 높이가 대응되도록 한 후, 파이프라인 부설 시에는 파이프라인(300)의 하중에 따라 각 챔버(251,252,253)의 물을 배출하여 필요시 구조물(210)이 큰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supplying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to the pipeline laying vessel 100,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devices 261, 262 and 263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chambers 251, 252 and 253 so that the stinger 160 and the lamp 240 may be discharged. After the height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pipeline 210 may discharge water from each chamber 251, 252, 253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ipeline 300 so that the structure 210 may have a large buoyancy if necessary.

급, 배수장치(261,262,263)는 구조물(210)이 해저에 가라앉을 수 있도록 밸라스트탱크(250)에 물을 채울 수 있으며, 해저에 가라앉은 구조물(210)이 상승할 수 있도록 밸라스트탱크(25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할 수 있다.The supply and drainage devices 261, 262, and 263 may fill the ballast tank 250 so that the structure 210 may sink to the sea floor, and the ballast tank 250 so that the structure 210 that has sunk on the sea floor may rise. )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외기공급라인(265)은 해저에 가라앉은 구조물(210)의 밸라스트탱크(250)에서 물이 배출되는 경우 부압이 걸리지 않도록 공기를 공급해주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밸라스트탱크(250)에 연통되고 타단은 해상과 연통한다. 따라서, 급, 배수장치(261,262,263)를 이용하여 해저에 위치한 구조물(210)의 밸라스트탱크(250)에서 물을 배출시키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공기를 밸라스트탱크(250)에 주입할 수 있게 된다. The outside air supply line 265 is for supplying air so that negative pressure is not applied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ballast tank 250 of the structure 210 that has sunk on the seab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llast tank 250.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sea. Therefore,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ballast tank 250 of the structure 210 located on the sea floor using the supply and drain devices 261, 262 and 263, the corresponding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ballast tank 250.

외기공급라인(265)의 타단은 해상에 위치한 부이(280)에 고정되어 해면 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265 may be fixed to the buoy 280 located on the sea to be positioned on the sea surface.

부이(280)는 구조물(210)에 위치되어 구조물(210)이 해저로 가라앉는 경우 구조물(2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부이(280)와 구조물(210)을 연결하는 연결선에는 외기공급라인(265)이 결합되거나, 도 7과 같이 연결선 자체를 외기공급라인(265)으로 대체할 수 있다.The buoy 280 is located in the structure 210 so a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ructure 210 when the structure 210 sinks to the sea floor, and the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buoy 280 and the structure 210 to The outside air supply line 265 may be combined, or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on line itself may be replaced wit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265.

부설장치(200)는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기 작업시 파이프의 마감처리 후 구조물(210)에 파이프라인(300)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착탈유닛(2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ying device 200 includes a detachable unit 270 that can firmly fix the end of the pipeline 300 to the structure 210 after finishing the pipe during the aeration work, as shown in FIGS. 4 and 6. can do.

착탈유닛(270)은 파이프라인(300)을 구조물(210)에 고정시키거나 파이프라인(300)을 구조물(210)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것으로써, 포기작업을 위해 부력조절유닛(260)을 이용하여 구조물(210)을 해저로 가라앉게 하기 전에 착탈유닛(270)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300)의 단부를 구조물(210)에 고정시켜 구조물(210)이 해저로 가라앉더라도 파이프라인(300)이 구조물(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Detachable unit 270 by fixing the pipeline 300 to the structure 210 or by fixing the pipeline 300 from the structure 210, by us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for abandon operation Before the structure 210 sinks to the sea floor, the end of the pipeline 300 is fixed to the structure 210 using the detachable unit 270 so that the pipeline 300 sinks to the sea floor even if the structure 210 sinks to the sea floor. To prevent it from leaving structure 210.

또한, 파이프라인 부설 또는 회생 작업시에는 착탈유닛(270)을 해제하여 파이프라인(300)이 램프(240)에 대해 상대 운동 할 수 있게 하여 파이프라인(300)의 부설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during pipeline laying or regenerative operation, the removal unit 270 is released to allow the pipeline 300 to move relative to the lamp 240 so that the pipeline 300 may be laid.

본 실시예는 도 9와 같이, 부력조절유닛(26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160)와, 송신부(16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91)와, 수신부(291)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부력조절유닛(2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 the transmission unit 160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the receiving unit 291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ransmitting unit 160, and receiving in the receiving unit 291 The control unit 29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may be further included.

송신부(160)는 파이프라인 부설선(100)에 마련되는 것으로, 기상 조건 등을 파악하여 A&R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A&R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한다.The transmission unit 160 is provided in the pipeline laying line 1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 R work is necessary by grasping weather conditions and the like, the worker transmits a signal for performing A & R work.

수신부(291)는 송신부(1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93)에 전달하고, 제어부(293)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부력조절유닛(260)을 제어하여 해상의 구조물(210)에서 부력을 제거하여 해저로 가라앉게 하거나, 해저에 가라앉은 구조물(210)에 부력을 공급하여 해상으로 부상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293)의 신호에 따라 급, 배수장치(261,262,263)를 구동하여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구조물(210)이 파이프지지위치와 포기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ceiver 291 receive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6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293, and the controller 293 controls 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to provide buoyancy in the marine structure 210. It is to be removed to sink to the seabed, or to supply buoyancy to the structure 210 submerged on the seabed to rise to the sea, the buoyancy is adjusted by driving the supply and drainage (261, 262, 263)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293 As a result, the structure 2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ipe support position and the abandoned position.

파이프지지위치는 구조물(210)이 해상에 위치하여 파이프부설작업이 가능한 위치 및 회생위치를 포함한다.The pipe support position includes a position where the structure 210 is located on the sea and a position where the pipe laying operation is possible and a regenerative position.

포기위치는 해저의 어느 일 위치를 말하며 해저면에 위치하는 것뿐 만 아니라 해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라도 부설된 파이프라인(300)이 이동되지 않도록 해류 등의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Abandoned position refers to any one position of the sea floor, and not only located on the sea floor, but also a position where the influence of currents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installed pipeline 300 is not moved even if it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 bottom. It may include.

다음은 이러한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how to use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은 곳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때는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사용하지 않고 파이프부설선(100)만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때는 도 1과 같이, 수중에 내려지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파이프부설선(100)의 후방에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설치하여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수중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다.When laying the pipeline 300 at a relatively shallow depth, the pipeline 300 may be laid on the sea floor using only the pipe laying line 100 without using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And when laying the pipeline 300 in a relatively deep depth, as shown in Figure 1, because the weight of the pipeline 300 is lowered in the water increases,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to the rear of the pipe laying line 100 Pipeline 300 can be laid in the state in which the pipeline support path is extended in the water by installing a).

파이프라인 부설장치(200)를 파이프부설선(100)에 연결할 때는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210)에 마련된 고정유닛(220)을 파이프부설선(100) 후미 쪽으로 펼쳐 파이프부설선(100)에 연결할 수 있다. When connecting the pipeline laying apparatus 200 to the pipe laying line 100, as shown in Figures 1 and 4, the fixed unit 220 provided in the structure 210 to expand the pipe laying line 100 toward the rear pipe Can be connected to the laying line (100).

파이프라인 부설작업 중 기상 조건 등을 파악하고, 더 이상 부설작업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면 포기작업을 수행한다.Understand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pipeline laying work,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lay it out, give up.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한 후 착탈유닛(270)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300)을 구조물(2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After finishing the end of the pipe as shown in Figure 6 using a removable unit 270 is fixed to the pipeline 300 to the structure 210 firmly.

이 후, 설치선(100)이 포기 신호를 발신하면 수신부(291)가 이를 수신하고, 제어부(293)가 부력조절유닛(260)을 제어하여 밸라스트탱크(250)에 물을 채운다. 밸라스트탱크(250)에 물이 채워지면 부설장치(2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로 가라앉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installation line 100 transmits the abandon signal, the receiving unit 291 receives it, and the control unit 293 controls 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to fill the ballast tank 250 with water. When the ballast tank 250 is filled with water, the laying apparatus 200 sinks to the sea floor as shown in FIG. 7.

이 때 부설장치(200)와 연결된 부이(280)는 해상에 위치하여 부설장치(200)가 가라앉은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oy 280 connected to the laying apparatus 200 may be located on the sea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laying apparatus 200 has sunk.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설장치(200)가 해저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기상 조건 등이 좋아져 파이프라인 부설작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설치선(100)이 회생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부(291)가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93)가 부력조절유닛(260)을 제어함으로써 밸라스트탱크(25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만큼 외기공급라인(265)을 통해 해상의 공기가 밸라스트탱크(250)에 유입되어 급, 배수장치(261,262,263)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ipeline laying oper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weather condition is improved in the state where the laying apparatus 200 sinks to the sea floor, the installation line 100 transmits a regenerative signal, and the receiving unit 291. The controller 293 receives this to discharge the water in the ballast tank 250 to the outside by controll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260. At this time, the sea air is introduced into the ballast tank 250 throug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265 as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supply and drainage (261, 262, 263) is overloaded.

밸라스트탱크(250)에 물이 배출되면 부설장치(200)는 해면까지 상승하게 되어 파이프라인 부설작업을 위한 선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ballast tank 250, the laying apparatus 200 may rise to the sea surface to perform a preceding work for laying the pipeline.

다음으로 착탈유닛(270)을 개방하고, 파이프라인(300)의 단부에 후속하는 파이프라인을 결합시켜 파이프라인의 부설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Next, the attachment / detachment unit 270 may be opened, and the laying of the pipeline may be resumed by coupling the subsequent pipeline to the end of the pipeline 300.

본 실시예에서는 부력조절유닛으로 밸라스트탱크에 물을 공급하거나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부설장치의 승, 하강을 조절하고 있으나, 잠수함의 승, 하강 원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구조물의 밸라스트탱크에 물을 채워 구조물의 중력을 조절하고, 별도의 부력탱크를 마련하여 부력탱크에 압축공기를 빼내거나 불어넣음으로써 부력탱크에 물을 공급하거나 부력탱크의 물을 배수시켜 중성부력을 조절하여 부설장치를 승, 하강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uoyancy control unit supplies water to the ballast tank or discharges the water to adjus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aying apparatus, but the submarine's lifting and lowering principle can be applied, and at this time, the ballast of the structure Fill the tank with water to adjust the gravity of the structure, and prepare a separate buoyancy tank to draw or blow compressed air into the buoyancy tank to supply water to the buoyancy tank or to drain the water from the buoyancy tank to adjust the neutral buoyancy. The device can be raised and lowered.

100: 파이프 부설선, 160: 스팅거,
200: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210: 구조물,
220: 고정유닛, 240: 램프,
250: 밸라스트 탱크, 260: 부력조절유닛,
261,262,263: 급, 배수장치, 265: 외기공급라인,
270: 착탈유닛, 280: 부이,
291: 수신부, 293: 제어부.
100: pipe laying vessel, 160: stinger,
200: pipeline laying device, 210: structure,
220: fixed unit, 240: lamp,
250: ballast tank, 260: buoyancy control unit,
261, 262, 263: supply and drainage, 265: air supply line,
270: detachable unit, 280: buoy,
291: receiving unit, 293: control unit.

Claims (15)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파이프라인의 입수를 안내하며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스팅거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상의 파이프라인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A structure located behind the pipe laying vessel,
A ramp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guide the acquisition of the pipeline and to form a pipeline support path associated with the stinger of the pipeline;
And a detachable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ipeline on the ramp to th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구조물의 중심축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mp is a subsea pipeline laying device formed inclined downwar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스팅거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amp subsea pipeline laying apparatus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sti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파이프부설선에 상기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ucture is a subsea pipeline laying apparatus comprising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tructure to the pipe laying vess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밸라스트탱크와,
상기 구조물이 해저로 가라앉거나 상승하도록 상기 구조물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ballast tank provided on the structure to provide buoyancy;
A subsea pipeline la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buoya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structure so that the structure sinks or rises to the sea flo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유닛은 상기 밸라스트탱크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밸라스트탱크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buoyancy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air supply line for supplying air to the ballast tank when the water in the ballast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라인의 일단은 상기 밸라스트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해상의 부이에 연결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end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ast tank and the other end is a subsea pipeline laying device connected to the buo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중성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조물을 승하강시키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a subsea pipeline laying device for providing a neutral buoyancy to the structure to raise and lower the struc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파이프지지위치와 포기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so that th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pipe support position and the abandoned 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외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is a subsea pipeline lay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receiving unit.
삭제delete 파이프라인을 안내하는 스팅거가 형성된 파이프부설선과,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기 구조물의 중심축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스팅거와 결합되어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상의 파이프라인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시스템.
A pipe laying vessel having a stinger for guiding the pipeline,
Located in the rear of the pipe laying vessel and includes a structure for providing a buoyancy for supporting the pipeline,
The structure is provided inclined downwar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tructure and includes a lamp coupled to the stinger to form a pipeline support path, and a removable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ipeline on the lamp to the structure.
Subsea pipeline laying syste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설선에 상기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Subsea pipeline lay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tructure to the pipe laying vessel.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유닛과,
상기 구조물이 해저로 가라앉거나 상승하도록 상기 부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Buoya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struct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control unit to sink or climb the structure to the sea floor.
파이프부설선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어 파이프라인의 입수를 안내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팅거의 무게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램프상의 파이프라인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해저파이프라인 부설장치.
A structure located behind the pipe laying vessel,
Lamps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guide the acquisition of the pipeline,
A support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amp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stinger;
A subsea pipeline laying apparatus comprising a detachable unit provided to fix the pipeline on the ramp to the structure.
KR1020120020584A 2012-02-28 2012-02-28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58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84A KR101358121B1 (en) 2012-02-28 2012-02-28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84A KR101358121B1 (en) 2012-02-28 2012-02-28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86A KR20130098786A (en) 2013-09-05
KR101358121B1 true KR101358121B1 (en) 2014-02-24

Family

ID=4945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584A KR101358121B1 (en) 2012-02-28 2012-02-28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1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66B1 (en) * 2017-05-15 2018-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ransfer apparatus using loading hose
CN112059573B (en) * 2020-09-01 2022-11-22 王海彬 ROV oper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flexible linkage of pipel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9413A (en) * 1968-02-07 1971-02-02 Pan American Petroleum Corp Adjustable stinger for use in laying pipeline in water covered areas
US3901043A (en) * 1972-11-21 1975-08-26 Saipem Spa Apparatus for laying a pipeline on the sea-bottom from a floating vessel
EP0388101A1 (en) * 1989-03-13 1990-09-1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Laying underwater cables
US20070059104A1 (en) * 2005-09-09 2007-03-15 Terje Clau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Pipel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9413A (en) * 1968-02-07 1971-02-02 Pan American Petroleum Corp Adjustable stinger for use in laying pipeline in water covered areas
US3901043A (en) * 1972-11-21 1975-08-26 Saipem Spa Apparatus for laying a pipeline on the sea-bottom from a floating vessel
EP0388101A1 (en) * 1989-03-13 1990-09-1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Laying underwater cables
US20070059104A1 (en) * 2005-09-09 2007-03-15 Terje Clau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Pipe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86A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1925A (en) Deep water lay barge and method
US8562256B2 (en) Floating system connected to an underwater line structure and methods of use
USRE29591E (en) Column stabilized stinger transition segment and pipeline supporting apparatus
WO200612579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installing oilfield equipment at the water bottom
EP1169218B1 (en) Floating offshore construction, and floating element
CN102762446A (en) Undersea pipe-laying
US9834907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currently trenching, laying and burying underwater pipeline
CN110984994B (en) Laying and recovering system and method of fully flexible pipe ocean mining system
CN102454828A (en) Pipeline recycling and discarding technology in deepwater S-shaped submarine pipeline laying process
CN112728211B (en) Construction method for carrying sewage sea area sea drainage pipe to put water in place and carry at sea in place
EA010342B1 (en) Process, system and equipment for the towing of underwater pipelines
EP1022501A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36983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urface towing of flowlines
KR101358121B1 (en)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CN110185057B (en) Too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lifting and erecting steel pipe piles of offshore wind power single pile foundation
KR101335253B1 (en) Floating support device for pipeline, and submerged-pipeline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EA029692B1 (en) Laying ramp for a pipeline, laying unit comprising such a laying ramp for a pipelin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laying unit
KR101335249B1 (en) Floating support and pipeline laying vessel having the same
KR101358144B1 (en) Floating support device for pipeline, and submerged-pipeline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861902B1 (en) Guide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pipeline from a laying vessel onto the bed of a body of water
KR20130093304A (en) Pipe laying vessel
US3690111A (en) Offshore pipeline installation method
KR101335252B1 (en) Floating support device for pipeline, and submerged-pipeline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7618626A (en) Improved deep water semi-submersible pipe laying crane ship
KR101390861B1 (en) Pipe lay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