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907B1 -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 Google Patents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907B1
KR101357907B1 KR1020120115286A KR20120115286A KR101357907B1 KR 101357907 B1 KR101357907 B1 KR 101357907B1 KR 1020120115286 A KR1020120115286 A KR 1020120115286A KR 20120115286 A KR20120115286 A KR 20120115286A KR 101357907 B1 KR101357907 B1 KR 10135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gateway
communication
overlayed
fixed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단근
추은미
방인규
김태훈
김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1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는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을 관리하는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를 기반으로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계층;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fixed node) 및 게이트웨이(gateway)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클러스터와 구별되는 제2 클러스터와 상기 제1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COMMUNICATION METHOD IN OVERLAYED TWO-LAYER HIERARCHICAL COOPERATION NETWORKS}
아래의 실시예들은 오버레이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고정 노드 및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다중 입출력(MIMO) 전송 시에 클러스터 내의 많은 노드들이 협력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노드들의 파일럿(pilot) 전송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간의 통신 시에 인접 클러스터의 간섭으로 인해 여러 개의 클러스터들이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이트웨이 및 고정 노드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클러스터마다 전송되는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단위로 트래픽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이트웨이가 클러스터 내 통신과 클러스터 간 통신을 위해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상호 간섭을 줄이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 노드에게 수신 파워가 최대이고 간섭이 미리 제거된 빔 패턴을 할당함으로써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는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을 관리하는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를 기반으로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계층;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fixed node) 및 게이트웨이(gateway)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클러스터와 구별되는 제2 클러스터와 상기 제1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의 트래픽을 집적(aggregation)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또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독립적으로 상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상기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가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상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상기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클러스터를 위한 스트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의 개수 +1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정해진 빔 패턴, 편파 및 코드워드를 할당받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스터 및 상기 제2 클러스터는 동일한 섹터(sector) 내에 포함되거나 서로 다른 섹터에 각각 포함되고, 상기 제1 클러스터 및 상기 제2 클러스터가 상기 동일한 섹터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클러스터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에 대해 서로 다른 편파(polarization) 및 서로 다른 코드워드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각 클러스터마다 전송되는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단위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섹터들 각각을 위한 패킷을 송,수신 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에 할당된 편파 및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와 패킷의 수신을 위한 빔을 형성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러스터들에서 전송된 패킷의 목적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을 분류하는 주소 기반 경로 처리부; 상기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각 클러스터마다의 패킷을 처리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송신 안테나에 할당된 편파 및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와 상기 패킷의 송신을 위한 빔을 형성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위한 제1 임계치 및 비-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위한 제2 임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클러스터마다 각 임계치에 도달한 패킷들을 일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동일 섹터 내에 포함된 복수의 클러스터들 중 서로 인접한 클러스터들에게는 서로 다른 편파 및 서로 다른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마다에 할당되는 직교의 코드워드(orthogonal codeword)들이 부족한 경우, 서로 다른 편파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을 구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고정 노드는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에 의해 수신한 상기 멤버들의 트래픽을 집적(aggregation)하여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노드는 상기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을 관리하는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또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독립적으로 상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상기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할당된 자원은 미리 정해진 빔 패턴, 미리 정해진 수직 편파, 미리 정해진 수평 편파 및 미리 정해진 직교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및 고정 노드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클러스터마다 전송되는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단위로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 내 통신 및 클러스터 간 통신을 위해 할당된 서로 다른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상호 간섭을 줄이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노드에게 수신 파워가 최대이고 간섭이 미리 제거된 빔 패턴을 할당함으로써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각 계층을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섹터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2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더 및 고정 노드가 협력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클러스터 및 고정 노드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더 및 고정 노드가 협력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클러스터 및 고정 노드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2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더 및 고정 노드가 독립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에서 클러스터 별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단위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 및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된 2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 별표로 표시된 게이트웨이(Gateway)는 일정 영역을 다수 개의 섹터(Sector)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 섹터들은 다수 개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클러스터들은 편파(polarization) 및 코드(즉, 코드워드들(codewords))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각 클러스터와 외부 백본망의 통신 시에 게이트웨이는 다른 클러스터로 가는 패킷과 외부 백본망으로 가는 패킷을 분류하여 교환 처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백본망으로 가는 패킷을 유선 혹은 무선 백홀(backhaul)을 통해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내에 고정 노드(Fixed Node)(예를 들어, 고정 중계 노드)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는 가상 MIMO(virtual Multi-Input and Multi-Output)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수신한 패킷들을 클러스터 단위로 묶어서 한꺼번에 수신 클러스터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지역별 섹터링(sectoring)을 할 수 있는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섹터 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는 편파와 코드(워드)로 클러스터 간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는 같은 섹터 내에 여러 개의 클러스터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인접 클러스터에게 다른 편파, 코드(워드)를 할당하여 인접 클러스터 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편파는 예를 들어,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게이트웨이는 최상의 위치에 설치된 고정 중계 노드들에게 수신 파워를 최대화 하기 위한 빔포밍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중계 노드들은 고정된 위치에 있으므로 미리 정해져 있는 빔 패턴을 할당함으로써 이용하게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와 외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는 광 케이블(optical cable)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클러스터들은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 클러스터 멤버(cluster member)들 및 클러스터 간 통신을 도와주는 고정 노드(Fixed Node)들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는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모든 클러스터 멤버(즉, 노드(Node))들의 트래픽 스케줄(traffic schedule)을 관리하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시에는 하나의 고정 중계 노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러스터 헤더는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러스터 멤버(cluster member)들은 이동 단말 사용자 등과 같은 실제 사용자, 노드를 의미하며, 클러스터 내 통신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Fixed Node)들은 그 역할에 따라 고정 전송 노드 혹은 고정 중계 노드(fixed relay node)로 동작할 수 있다. 고정 노드들은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또는 클러스터 헤더와 독립적으로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 노드는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에 의해 수신한 멤버들의 트래픽을 집적(aggregation)하여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노드는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할당된 (무선) 자원은 미리 정해진 빔 패턴, 미리 정해진 수직 편파, 미리 정해진 수평 편파 및 미리 정해진 직교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빔 패턴은 간섭이 제거되도록 미리 설계된 빔 패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의 클러스터들 간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게이트웨이(Gateway) 중심의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란 후술하는 도 2와 같이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위한 1계층과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위한 2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와 같이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통신에 대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한편,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무선 자원을 재활용하여 통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개별 패킷을 전달함에 있어 클러스터 단위의 다수개의 통합된 패킷 전달 처리에 의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각 계층을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는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계층(210) 및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계층(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계층(230)은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을 관리하는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를 기반으로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은 각종 다양한 WPAN, WLAN 기반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계층(230)에서는 클러스터 헤더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관리 및 조율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클러스터 헤더는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같은 클러스터 내의 멤버 간 통신은 하나의 멤버가 액세스 포인트로 패킷을 전송한 후,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멤버에게 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계층(210)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fixed node) 및 게이트웨이(gateway)를 기반으로 제2 클러스터와 제1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는 서로 구별되는 클러스터로서 동일한 섹터(sector) 내에 포함되거나 서로 다른 섹터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제2 계층(210)은 같은 클러스터 내에서의 클러스터 멤버들 간의 통신, 및 서로 다른 클러스터에 속한 클러스터 멤버들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클러스터에 속한 클러스터 멤버들 간의 통신을 위해 패킷을 송신하고자 하는 클러스터 멤버는 클러스터 헤더에게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클러스터 헤더는 고정 중계 노드와 협력 MIMO를 형성하여 게이트웨이에게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헤더는 고정 중계 노드들과 트래픽을 균등하게 나누어서 협력 MIMO를 통해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할 수 있다.
클러스터 헤더는 고정 중계 노드의 도움없이 단독으로 게이트웨이에게 패킷을 MIMO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는 패킷을 클러스터 단위로 모아서 해당 수신 클러스터에게 포워딩(forwarding)할 수 있다.
제2 계층(210)에서는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위한 관리 및 조율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내의 유동 노드가 아닌 고정 노드만이 2계층 전송에 참여할 수 있다.
고정 전송 노드가 한 개인 경우, 고정 전송 노드와 게이트웨이 간에는 SIMO(Single Input Multi Output)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전송 노드가 복수 개인 경우, 고정 전송 노드와 게이트웨이 간에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중계 노드는 편파, 코드워드들(codewords) 및 미리 정해진 빔 패턴 등을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할당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빔 패턴이란 간섭이 제거되도록 미리 설계된 빔 패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각 섹터 별 편파 및 빔 패턴을 형성하는 안테나, 즉 섹터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마다의 트래픽 특성 별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 노드, 특히 고정 중계 노드는 클러스터 내(1 계층) 통신 및 클러스터 간(2 계층)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패킷 집적(aggregation) 기능 및 협력(cooperatio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고정 노드는 클러스터 헤더들로부터 멤버들의 트래픽을 수신한 후, 패킷을 집적(Aggregation)을 하여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노드는 분산 MIMO 전송을 위한 여러 개의 고정 전송 노드가 설치 될 수 있으며, 망운영자는 클러스터 간(2 계층) 통신을 위해 고정 노드를 최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여러 개의 고정 노드가 설치가 될 경우 가상(virtual) MIMO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고정 노드가 패킷을 배분하여 전송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섹터에 있는 클러스터와의 통신 및 동일 섹터 내의 인접한 클러스터들과의 통신을 할 때, 각 클러스터는 서로 다른 편파와 다른 코드워드 확산을 통하여 패킷을 동시에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목적지 클러스터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클러스터에서는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와 MIMO 안테나(MIMO antenna)가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300)는 수신 안테나(310), 입력 인터페이스부(320), 주소 기반 경로 처리부(330), 스케줄링부(340), 출력 인터페이스부(350) 및 송신 안테나(3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310)는 복수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섹터들 각각을 위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수신 안테나(310)에 할당된 편파 및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와 패킷의 수신을 위한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인터페이스부(320)는 일정 영역을 섹터(Sector) 모듈들로 구성한 후, 각 섹터에 할당된 편파, 코드워드를 통해 클러스터의 고정 전송 노드들과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다수 개의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소 기반 경로 처리부(330)는 클러스터들에서 전송된 패킷의 목적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기반으로 패킷을 분류할 수 있다. 즉, 주소 기반 경로 처리부(330)는 클러스터들에서 전송된 패킷의 목적 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패킷이 다른 클러스터로 전달되어야 할 지, 아니면 유선 백본망으로 전달되어야 할 지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주소 기반 경로 처리부(330)는 해당 패킷이 다른 클러스터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패킷을 스케줄링부(340)로 전달하고, 해당 패킷이 유선 백본망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코어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스케줄링부(340)는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각 클러스터마다의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스케줄링부(340)는 각 클러스터마다의 패킷을 일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부(340)는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위한 제1 임계치 및 비-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위한 제2 임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클러스터마다 각 임계치에 도달한 패킷들을 일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으로는 VoIP 패킷을 예로 들 수 있고, 비-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으로는 Data 패킷을 예로 들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송신 안테나(360)에 할당된 편파 및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와 패킷의 송신을 위한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부(350)는 다수 개의 섹터 각각을 위한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들(360), 즉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부(350)는 동일 섹터 내에 포함된 복수의 클러스터들 중 서로 인접한 클러스터들에게는 서로 다른 편파 및 서로 다른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부(350)는 복수의 클러스터들마다에 할당되는 직교의 코드워드(orthogonal codeword)들이 부족한 경우, 서로 다른 편파를 함께 이용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을 구별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섹터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의 출력 인터페이스부(350)는 편파와 코드워드를 통해 클러스터 간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즉, 같은 섹터 내에 여러 개의 클러스터가 존재 시에 인접 클러스터에게 다른 편파, 코드를 할당하여 인접 클러스터 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부(350)는 다수 개의 섹터들 각각을 위한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들, 즉 섹터 안테나부(Sector Antenna)(400)들(Sector #1, #2, #3, #4)을 포함할 수 있다.
섹터 안테나부(400)는 해당 섹터 안에 포함된 각 클러스터들을 위한 베이스밴드 신호부(410), 수직 편파부(Horizontal Polarization State)(430), 수평 편파부(Vertical Polarization State)(450) 및 편파 다중화(Polarization Mux)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신호부(410)는 각 클러스터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혹은 데이터)를 k개의 스트림(stream)들로 나눌 수 있다. 나누어진 k개의 스트림들은 클러스터 내의 k 개의 고정 노드, 즉 고정 중계 노드와 협력 MIMO를 통해 목적 주소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헤더가 고정 중계 노드들과 함께 협력 MIMO를 수행할 경우, 베이스밴드 신호부(410)는 스트림을 k+1개로 나눌 수 있다.
클러스터 헤더가 고정 중계 노드들과 함께 협력 MIMO를 수행할 경우의 송신 안테나 구성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만약, 클러스터 헤더만이 클러스터 간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신호부(410)는 스트림을 나누지 않고,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클러스터 헤더만이 클러스터 간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송신 안테나 구성은 도 7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베이스밴드 신호부(410)를 통해 전달되는 스트림들 혹은 정보는 각 클러스터 별로 할당되는 직교의 코드워드와 결합된 후, 필요에 따라 수평 편파부(430) 혹은 수평 편파부(450)로 전달될 수 있다.
수평 편파부(430)는 각 클러스터를 위한 수평 편파를 할당할 수 있다.
수직 편파부(450)는 각 클러스터를 위한 수직 편파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섹터 내에서 클러스터 별로 직교의 코드워드(orthogonal codeword)가 충분히 할당이 되면, 수평 편파 혹은 수직 편파 없이 코드워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수평 편파부(430) 및 수직 편파부(450)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반면에, 넓은 섹터에서 많은 클러스터들을 수용하게 되어 코드워드가 부족하게 되면, 수평 편파부(430) 및/또는 수직 편파부(450)를 온(ON)시켜 편파(polarization)도 함께 사용하여 많은 클러스터를 구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2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더 및 고정 노드가 협력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클러스터 및 고정 노드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간 통신을 위해 클러스터 헤더와 고정 중계 노드들이 협력하는 경우의 송신 안테나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 헤더와 k 개의 고정 중계 노드(들)은 제1 클러스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로부터 제1 클러스터를 위한 수평 편파(Horizontal Polarization) 및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 받았다고 하자.
클러스터 헤더와 고정 중계 노드(들)은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편파와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받아 협력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협력 노드들, 즉 클러스터 헤더와 고정 중계 노드(들)은 전송해야 될 스트림(들)을 k+1 개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k+1 개로 나누어진 스트림(들)은 클러스터 헤더와 고정 중계 노드(들) 각각을 위한 클러스터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더 및 고정 노드가 협력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클러스터 및 고정 노드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간 통신을 위해 클러스터 헤더와 고정 중계 노드들이 협력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안테나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 헤더와 k 개의 고정 중계 노드(들)은 제1 클러스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로부터 제1 클러스터를 위한 수평 편파(Horizontal Polarization) 및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 받았다고 하자.
클러스터 헤더와 고정 중계 노드(들)은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편파와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받아 협력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헤더는 전송해야 될 스트림(들)을 k개로 나누어 k개의 협력 노드들, 즉 k 개의 고정 중계 노드(들)에게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k 개로 나누어진 스트림(들)은 고정 중계 노드(들) 각각을 위한 클러스터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2계층 협력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더 및 고정 노드가 독립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헤더만이 클러스터 간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송신 안테나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이 경우, 전송해야 될 스트림은 도 5와 같이 나누어 지지 않고, 클러스터 헤더에 의해 전부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에서 클러스터 별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단위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는 클러스터 별 트래픽을 그 (트래픽) 특성에 따라 분류한 후, 클러스터 단위로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즉 벌크(bulk)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는 트래픽 특성 별로 서로 다른 임계치를 설정하고, 클러스터의 그룹별로 해당 임계치에 도달 시에 해당 클러스터의 패킷을 일괄로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1 섹터 및 제3 섹터에 포함된 클러스터들의 그룹이 실시간 처리 및 비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는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클러스터들의 그룹과 비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클러스터의 그룹 별 트래픽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내(Intra cluster) 통신 및 클러스터 간(Inter cluster) 통신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클러스터 내 통신(Intra cluster communication)과 클러스터 간 통신(Inter cluster communication)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내 통신과 클러스터 간 통신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가 사용되어 상호 간의 간섭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효율성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즉, 클러스터 간 통신을 수행하는 인접한 두 클러스터들은 서로 상이한 코드워드 및 서로 상이한 편파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다.
클러스터 간 통신에는 클러스터 내의 고정 노드, 예를 들어, 고정 중계 노드들만이 참여하게 되고, 클러스터 내의 클러스터 멤버들은 최소의 기능만을 가지고 클러스터 헤더를 통해 클러스터 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헤더는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제2 계층
230: 제1 계층

Claims (15)

  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을 관리하는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를 기반으로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계층;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fixed node) 및 게이트웨이(gateway)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클러스터와 구별되는 제2 클러스터와 상기 제1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계층
    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의 트래픽을 집적(aggregation)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또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독립적으로 상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상기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가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상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상기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클러스터를 위한 스트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의 개수 +1 개로 분리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정해진 빔 패턴, 편파 및 코드워드를 할당받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스터 및 상기 제2 클러스터는
    동일한 섹터(sector) 내에 포함되거나 서로 다른 섹터에 각각 포함되고,
    상기 제1 클러스터 및 상기 제2 클러스터가 상기 동일한 섹터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클러스터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에 대해 서로 다른 편파(polarization) 및 서로 다른 코드워드를 할당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각 클러스터마다 전송되는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단위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한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
  9. 복수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섹터들 각각을 위한 패킷을 송,수신 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에 할당된 편파 및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와 패킷의 수신을 위한 빔을 형성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러스터들에서 전송된 패킷의 목적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을 분류하는 주소 기반 경로 처리부;
    상기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각 클러스터마다의 패킷을 처리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송신 안테나에 할당된 편파 및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드와 상기 패킷의 송신을 위한 빔을 형성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패킷의 트래픽 특성을 기초로,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위한 제1 임계치 및 비-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위한 제2 임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클러스터마다 각 임계치에 도달한 패킷들을 일괄 처리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동일 섹터 내에 포함된 복수의 클러스터들 중 서로 인접한 클러스터들에게는 서로 다른 편파 및 서로 다른 직교의 코드워드를 할당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마다에 할당되는 직교의 코드워드(orthogonal codeword)들이 부족한 경우, 서로 다른 편파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을 구별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13.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 간의 클러스터 내(intra-cluster) 통신에 의해 수신한 상기 멤버들의 트래픽을 집적(aggregation)하여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미리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 간의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고정 노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노드는
    상기 제1 클러스터 내의 멤버들을 관리하는 클러스터 헤더와 협력하여 또는 상기 클러스터 헤더와 독립적으로 상기 클러스터 간(inter-cluster) 통신 및 상기 외부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고정 노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할당된 자원은
    미리 정해진 빔 패턴, 미리 정해진 수직 편파, 미리 정해진 수평 편파 및 미리 정해진 직교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버레이(overlay)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를 위한 고정 노드.
KR1020120115286A 2012-10-17 2012-10-17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KR10135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86A KR101357907B1 (ko) 2012-10-17 2012-10-17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86A KR101357907B1 (ko) 2012-10-17 2012-10-17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907B1 true KR101357907B1 (ko) 2014-02-04

Family

ID=5026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286A KR101357907B1 (ko) 2012-10-17 2012-10-17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706A (ko) * 2017-03-22 2018-10-02 정기웅 계층적 네트워크에서 다중코어를 이용한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476A (ja) 2005-08-26 2007-03-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通信装置および通信経路構築方法
KR100861879B1 (ko) 2004-03-26 2008-10-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통신의 라우팅
KR20100075286A (ko) * 2008-12-24 2010-07-02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노드 주소 구조와 라우팅 정보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 센서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방법
KR20120015479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붕괴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879B1 (ko) 2004-03-26 2008-10-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통신의 라우팅
JP2007060476A (ja) 2005-08-26 2007-03-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通信装置および通信経路構築方法
KR20100075286A (ko) * 2008-12-24 2010-07-02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노드 주소 구조와 라우팅 정보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 센서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방법
KR20120015479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붕괴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706A (ko) * 2017-03-22 2018-10-02 정기웅 계층적 네트워크에서 다중코어를 이용한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91152B1 (ko) * 2017-03-22 2020-03-19 정기웅 계층적 네트워크에서 다중코어를 이용한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3625B (zh) 用于基于回程状况协调上行链路传输的系统和方法
KR102478233B1 (ko) 멀티코어 기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icconetti et al. Bandwidth balancing in multi-channel IEEE 802.16 wireless mesh networks
JP6038348B2 (ja) デバイス間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割当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WO2012074062A1 (ja) 通信端末、チャネル選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06128B1 (ko)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Monteiro et al. Paving the way toward mobile IAB: problems, solutions and challenges
Al-Dulaimi et al. Energy efficiency using cloud management of LTE networks employing fronthaul and virtualized baseband processing pool
Wang et al. Partially overlapped channels-and flow-based end-to-end channel assignment for multi-radio multi-channel wireless mesh networks
Rathi et al. Game theoretic and non-game theoretic resource allocation approaches for D2D communication
KR20170001662A (ko) 기지국 장치,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처리 시스템
EP3097736B1 (en) Template frame based mac operation
CN104754589B (zh) 基于流量感知的动态组网方法
KR101393224B1 (ko)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TW202145725A (zh) 用於減輕現用的頻譜內之干擾的系統及方法
Shi et al. An intra-cell peer to peer protocol in IEEE 802.22 networks
KR101357907B1 (ko)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식
Athota et al. A topology preserving cluster‐based channel assignment for wireless mesh networks
KR101509337B1 (ko) 계층적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409399A (zh) 跨接入点的卸载控制
US20170250736A1 (en) Distributed radio base station
Kapse et al. Interference-aware channel assignment for maximizing throughput in WMN
US10187123B2 (en) Distributed radio base station
EP261574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first network node, and second network node thereof
KR101340827B1 (ko) 잡음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한 향상된 계층적 협력 통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