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413B1 -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413B1
KR101357413B1 KR1020120108121A KR20120108121A KR101357413B1 KR 101357413 B1 KR101357413 B1 KR 101357413B1 KR 1020120108121 A KR1020120108121 A KR 1020120108121A KR 20120108121 A KR20120108121 A KR 20120108121A KR 101357413 B1 KR101357413 B1 KR 10135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nection
command
voice signal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재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0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은,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각각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통합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통신 방식은 그 나름의 특징과 장점이 있고,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만이 절대적으로 효과적이라 볼 수 없으므로 최근에는 다양한 통신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 특히 그 중에서도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각 통신 방식별 메뉴를 조작해야 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조작 방식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특정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조작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설정 또는 이용을 위해서는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고, 또한 각 무선 통신 방식의 설정 또는 이용을 위한 메뉴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각각의 메뉴를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확인하고 특정 통신 연결 장치로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명령 판단부와; 상기 명령 판단부에서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를 검색하는 장치 검색부와; 상기 장치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이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은,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각각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통합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에 대한 목록과 특정 통신 연결 장치로의 통신 연결을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대신하여 사용자의 음성으로 조종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들을 사용자의 한 번의 명령만으로 통합적으로 검색 및 표시함으로써 통신 연결 장치 확인을 위한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대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통신 장치에 통신 연결 장치의 목록이 통합적으로 표시되는 화면과 종래의 화면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 연결 장치(200)는 통신 장치(10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 등을 모두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다른 통신 장치(100)가 반드시 무선 통신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통신 연결 장치(200)는 통신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통신 연결 장치(2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각각의 통신 연결 장치(200)는 서로 구별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통신 연결 장치(201)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일종의 무선랜에 해당하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통신 연결 장치(202)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3 통신 연결 장치(203)는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 무선 통신 방식의 규격 또는 통신 프로토콜은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장치(100)는 상술한 통신 연결 장치(200) 각각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기능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0)는 음성 수신부(110), 명령 판단부(101), 장치 검색부(102), 표시 제어부(103), 디스플레이부(104), 명령 등록부(105), 통신 연결 제어부(106), 통신 기능 활성화부(107), 상태 판단부(108), 저장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음성 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음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명령 판단부(101)는 음성 수신부(110)에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명령 판단부(101)가 음성 수신부(110)에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한 후 사용자 명령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저장부(109)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09)에 특정 명령에 대한 음성 신호 파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명령 판단부(101)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파형과 저장부(109)에 저장된 파형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09)에 특정 명령에 대한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명령 판단부(101)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그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와 저장부(109)에 저장된 텍스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할 수도 있다.
명령 판단부(101)가 판단하는 명령에는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 특정 통신 연결 장치(200)로 연결하도록 하는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명령 판단부(101)는 통신 기능 활성화 후 또는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이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된 이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기 등록된 선택 명령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치 검색부(102)는 명령 판단부(101)에서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200)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장치 검색부(102)에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 처리에 관한 각각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장치 검색부(102)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연결 장치(201)를 검색하고,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연결 장치(202)를 검색하며, 또한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연결 장치(203)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200)라는 것은 반드시 사용자가 접속할 권한이 있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존재 자체의 검색을 위한 통신이 가능한 정도의 장치에 해당하면 된다.
표시 제어부(103)는 장치 검색부(102)에 의해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이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4)는 표시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 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03)는 장치 검색부(102)에서 검색된 각각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통합적으로 표시한다는 의미는 메뉴의 항목을 구별하여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 없도록 각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모두 보여준다는 것을 의미한다(도 5(b) 참조).
명령 등록부(105)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장치(200)에 대한 선택 명령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명령 등록부(105)는 사용자의 등록 명령이 있은 후에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파형 특성 또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추출한 텍스트를 저장부(109)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명령 판단부(101)가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하기 위해 비교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명령 등록부(105)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를 확인한 후, 그 저장된 음성 신호를 확인된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장치(100)에 매칭시켜 선택 명령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특정 액세스 포인터(일 예로 U+zone)라고 가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일 예로 '와이파이 연결'이라는 음성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한다면, 명령 등록부(105)는 '와이파이 연결'이라는 음성 신호를 U+zone에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터와 매칭시켜 등록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라는 것은 현재 연결된 것은 물론이고 현재 연결된 것이 아무 것도 없다면 마지막으로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200)에 해당할 수 있다.
통신 기능 활성화부(107)는 명령 판단부(101)에서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능은 대기 전력 소모가 많은 편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그 기능을 정지시키고,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따라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태 판단부(108)는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초기 접속과 재접속 중 어떤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108)는 통신 장치(100) 부팅 후 최초로 통신 연결 장치(200)와 접속하고자 하는 상태인지 또는 이전에 통신 연결 장치(200)와 접속하였다가 해제한 후 다시 접속하고자 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통신 연결 제어부(106)는 명령 판단부(101)에 의한 비교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200)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 연결 제어부(106)는 통신 기능 활성화 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에서 텍스트를 추출한 후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200)와 통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각 통신사마다 로그인을 요구할 수도 있는데, 통신 연결 제어부(106)는 이러한 로그인 과정을 음성으로 가능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써, 통신 연결 제어부(106)는 상태 판단부(108)의 판단결과 초기 접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장치 검색부(102)와 표시 제어부(103)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태 판단부(108)의 판단결과 재접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바로 이전에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200)로 자동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신호 및 제어 흐름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특정 통신 연결 장치(200)에 대한 음성으로 이루어진 선택 명령이 등록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우선,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 명령 등록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단계 S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키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조작 또는 음성으로 선택 명령 등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선택 명령 등록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저장한다(단계 S3). 여기서 음성 신호를 저장한다는 것은 음성 신호를 그대로 녹음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지만,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을 거친 후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저장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의 분석을 통해 대응되는 텍스트 데이터로 저장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통신 장치(100)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를 확인하는데(단계 S5),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현재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 또는 현재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가 없다면 마지막으로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200)를 확인하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 장치(100)는 과거에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200)에 대한 기록을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이어서 통신 장치(100)는 확인된 통신 연결 장치(200)에 앞서 저장된 음성 신호를 매칭시켜 선택 명령으로써 등록한다(단계 S7).
예를 들어 현재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액세스 포인터이고, 수신된 음성 신호가 "와이파이 연결"이라고 한다면, 통신 장치(100)는 해당 특정 액세스 포인터에 대한 정보와 "와이파이 연결"이라는 음성 신호를 서로 매칭시켜 등록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00)가 자동으로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200)를 확인한 후 음성 신호와 매칭시켜 등록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음성 신호에 매칭되는 통신 연결 장치(200)는 사용자의 수동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선택 명령이 등록된 이후에 사용자가 "와이파이 연결"이라는 선택 명령을 내리는 경우 통신 장치(100)는 그 매칭된 특정 액세스 포인터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특정 통신 연결 장치(200)에 연결 또는 접속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와이파이 연결"이라는 음성 신호와 특정 액세스 포인터가 미리 매칭되어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11).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무선 통신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데(단계 S13), 여기서 무선 통신 활성화 명령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예를 들어 "무선 통신 활성화"라는 음성 신호) 또는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키 버튼 조작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무선 통신 활성화"라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처럼 "무선 통신 활성화"라는 음성 신호를 감지한 통신 장치(1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단계 S15).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고 통신 준비를 수행한다.
이후, 통신 장치(100)는 초기 접속을 위한 상태인지 또는 재접속을 위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7).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 부팅(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 후 처음으로 무선 통신(특히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라면 초기 접속 상태라 판단하고, 그 이전에 무선 통신(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였고 해당 통신 연결 장치(200) 기록을 저장한 상태에서 무선 통신을 일시 종료한 상태라면 재접속을 위한 상태라 판단한다.
물론 통신 장치(100)는 이러한 초기 접속 상태인지 재접속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생략되고, 항상 초기 접속 상태라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초기 접속 상태인 경우 통신 장치(100)는 통신 연결 장치(200)를 검색하는데(단계 S19),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이 복수 개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통신 연결 장치(200)는 각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이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200)들을 모두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장치(100)는 검색된 각각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통합적으로 표시한다(단계 S21).
예를 들어 도 5(b)에는 사용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200)들의 목록이 통합적으로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이는 도 5(a)에 도시된 종래의 각각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 이후에야 그 선택된 통신 방식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200)들이 표시되는 것과 비교하면 그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연결 장치(200)들이 통합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음성이 "와이파이 연결"인 경우(단계 S23) 통신 장치(100)는 그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특정 액세스 포인터에 접속한다(단계 S25).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해당 액세스 포인터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용 로그인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고,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해당 통신 연결 장치와 통신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장치(100)는 재접속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17) 재접속 상태에 매칭되어 있는 특정 통신 연결 장치(200)로 접속한다(단계 S27). 이처럼 재접속 상태인 경우에는 재접속 상태에 매칭되어 미리 등록된 특정 통신 연결 장치(200)로 접속할 수도 있지만, 통신 장치(100)는 재접속 상태인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으로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2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 과정은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작성될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통신 장치 200 : 통신 연결 장치
101 : 명령 판단부 102 : 장치 검색부
103 : 표시 제어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5 : 명령 등록부 106 : 통신 연결 제어부
107 : 통신 기능 활성화부 108 : 상태 판단부
109 : 저장부 110 : 음성 수신부

Claims (13)

  1. (a)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c) 각각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을 통합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장치에 대한 선택 명령을 등록하는 단계와;
    (e) 상기 (c) 단계 이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기 등록된 선택 명령과 비교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비교 결과 대응되는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초기 접속과 재접속 중 어떤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단결과 초기 접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를 수행하고, 판단결과 재접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바로 이전에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4. (a)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장치에 대한 선택 명령을 등록하는 단계와;
    (b) 통신 기능 활성화 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기 등록된 선택 명령과 비교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 대응되는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a2)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a3) 상기 (a1) 단계에서 저장된 음성 신호를 상기 (a2) 단계에서 확인된 통신 연결 장치에 매칭시켜 선택 명령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서 텍스트를 추출한 후 상기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와 통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명령 판단부와;
    상기 명령 판단부에서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통신 연결 장치를 검색하는 장치 검색부와;
    상기 장치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이 통합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장치에 대한 선택 명령을 등록하는 명령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 판단부는 통신 연결 장치 목록이 통합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기 등록된 선택 명령과 비교하며,
    상기 명령 판단부의 비교 결과 대응되는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판단부에서 판단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통신 기능 활성화부와;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초기 접속과 재접속 중 어떤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와;
    상기 상태 판단부의 판단결과 초기 접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 검색부와 상기 표시 제어부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의 판단결과 재접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바로 이전에 연결되었던 통신 연결 장치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11.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장치에 대한 선택 명령을 등록하는 명령 등록부와;
    통신 기능 활성화 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기 등록된 선택 명령과 비교하는 명령 판단부와;
    상기 명령 판단부의 비교 결과 대응되는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등록부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연결 장치를 확인하며,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를 상기 확인된 가장 최근에 연결된 통신 장치에 매칭시켜 선택 명령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제어부는 통신 기능 활성화 후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서 텍스트를 추출한 후 상기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 장치와 통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KR1020120108121A 2012-09-27 2012-09-27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21A KR101357413B1 (ko) 2012-09-27 2012-09-27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21A KR101357413B1 (ko) 2012-09-27 2012-09-27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413B1 true KR101357413B1 (ko) 2014-02-04

Family

ID=5026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121A KR101357413B1 (ko) 2012-09-27 2012-09-27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953A (ko) * 2015-04-17 2016-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34A (ko)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음성처리 시스템
JP2011010231A (ja) 2009-06-29 2011-01-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カラープロファイルを用いた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による色調整結果の確認方法
KR101031290B1 (ko) 2010-09-02 2011-04-29 (주)옵센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전자 앨범 장치
KR20120045628A (ko) * 2010-10-29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34A (ko)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음성처리 시스템
JP2011010231A (ja) 2009-06-29 2011-01-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カラープロファイルを用いた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による色調整結果の確認方法
KR101031290B1 (ko) 2010-09-02 2011-04-29 (주)옵센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전자 앨범 장치
KR20120045628A (ko) * 2010-10-29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953A (ko) * 2015-04-17 2016-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KR102382733B1 (ko) * 2015-04-17 2022-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97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with voice input
CN107277754B (zh) 一种蓝牙连接的方法及蓝牙外围设备
KR102261552B1 (ko) 음성 명령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7969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JP201807436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54898B2 (en) Portable device, smart wat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4067525B (zh) 在移动终端中在各阶段解锁的方法及其移动终端
EP28303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hereof
US11184754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EP3144786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cessing fingerprint input information
CN104008635A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WO2015180103A1 (zh) 一种选择终端模式的方法和装置
KR20150050732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20120093597A (ko) 음성 인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장치 및 방법
US20160057564A1 (en) Bluetooth pairing method using a wired connection
JP2019504566A (ja) 情報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CN105091236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空调器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KR101480594B1 (ko) 시선기반 착신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WO2016145938A1 (zh) 应用切换的方法及装置
KR201900369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5933742A (zh) 一种遥控终端及其与主设备配对的方法
EP3229130A1 (en) Smart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smart terminal
CN111065086A (zh) Sim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8934886B2 (en)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voice communication
KR101357413B1 (ko)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