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26B1 -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26B1
KR101357226B1 KR1020120036329A KR20120036329A KR101357226B1 KR 101357226 B1 KR101357226 B1 KR 101357226B1 KR 1020120036329 A KR1020120036329 A KR 1020120036329A KR 20120036329 A KR20120036329 A KR 20120036329A KR 101357226 B1 KR101357226 B1 KR 10135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ies
information
point
contro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819A (ko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05Programme-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 tool control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 설비운영 관리자에게 상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연동되며,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정보를 수집하는 각 군별 관제점과 연결되어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상기 설비의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장치 내의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인접한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각각 유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와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 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상기 설비의 변경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Centralized Building Automation Using Control Unit Point-to-Point Connected to another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빌딩자동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디디씨(DDC: Direct Digital Controller) 장치 간의 분산 처리에 의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있는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 현장제어장치 간의 호환성 부재 해결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서버에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가상적으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의 최신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onology) 기술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장치 내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대형 빌딩에는 공조, 냉난방(HVAC: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조명 전력 등의 분야에 다양한 빌딩자동화 설비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빌딩자동화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을 구축하여 빌딩 내 다양한 설비를 운용 및 관리하고 있다. 최근 빌딩자동화 시스템은 정보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그 중 건물 내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빌딩에너지 관리(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기술 개념이 도입되어 각각의 빌딩자동화 설비를 제어하여 건물 내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를 수행하여 왔다.
ICT 분야에서는 기술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중앙집중형의 메인컴퓨터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분산처리 컴퓨팅 모델 등 여러가지 구조가 등장하였으며 최근에는 중앙 집중화 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주요 모델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빌딩자동화시스템은 1980년대에 클라이언트/서버 구조가 정립된 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구조면에서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 ICT 분야의 기술 발전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편, 빌딩자동화시스템의 비 개방적인 환경 등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자유로운 운용 환경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빌딩 에너지 설비들은 다양한 벤더의 이기종 빌딩자동화시스템 설비 및 제어 시스템을 독자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에너지 설비들 간의 호환성 부재로 통합제어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동일 벤더의 설비가 구축된 빌딩들에서는 유지관리 차원에서 개별 설비별 에너지 원격관리가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다수의 이기종 에너지 설비들이 존재하는 빌딩 및 설비들의 통합적 원격 에너지 관리는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장치 내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제어장치 간의 호환성 부재 해결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서버에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가상적으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의 최신 ICT 기술을 적용,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제어 상태를 신속하게 결정하여 기존의 빌딩자동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디디씨 장치 간의 분산 처리에 의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 설비운영 관리자에게 상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연동되며,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정보를 수집하는 각 군별 관제점과 연결되어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상기 설비의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장치 내의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인접한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각각 유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와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 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상기 설비의 변경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빌딩의 자동화 시스템의 관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기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관제점에 수집된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 기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 및 상기 서버 기기와 연동되며, 타 현장제어장치와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기기는, 상기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수집한 상기 건물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가상화 프록시 과정을 통해, 가상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관제점 정보 선택부; 및 상기 관제점 정보 선택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기 저장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자동적으로 수행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현장제어장치 간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연결된 관제점으로부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현장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타 현장제어장치와 상기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과정;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수집된 상기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 상기 서버로 전달된 상기 상태정보를 가상화 프록시에 의해 가상화하여, 상기 서버에 가상으로 관리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설비에 관한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결정된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 내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제어장치 간의 호환성 부재 해결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서버에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가상적으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의 최신 ICT 기술을 적용,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제어 상태를 신속하게 결정하여 기존의 빌딩자동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디디씨 장치 간의 분산 처리에 의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내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Point-to-Point)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각각의 정보를 공유하는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통해 수집한 설비의 정보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비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제어장치 간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장치 내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Point-to-Point)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은 서버(100), 클라이언트(110), 스위칭 허브(120), 제1 현장제어장치(130)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40)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빌딩자동화 시스템은 설비 운영 관리자에게 감시 및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데이터를 집중 관리하는 서버, 센서나 설비와 연결되는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DDC와 서버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 구성되며, 게이트웨이와 DDC 간은 시리얼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시리얼통신 방식은 BUS 형태의 멀티드랍(Multidrop) 형태의 결선을 바탕으로 하며, 각 단말장치까지 1개의 케이블만 연결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멀티드랍 형태의 결선 방식은 케이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최대 속도가 100 kbps에 불과하여, 10 Mbps/100 Mbps/1 Gbps의 속도를 가지는 Ethernet에 비하여 100 내지 10,000배의 속도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TCP/IP와 같은 범용 전송 프로토콜을 탑재하기에는 속도가 너무 늦어서 Modbus 등의 Serial 프로토콜을 활용하여야 하므로, 시스템 간의 연계를 위한 호환성의 수준이 낮다.
또한, 빌딩 에너지 설비들은 다양한 벤더(Vendor)의 이기종 빌딩자동화 시스템을 독자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동일 벤더의 설비가 구축된 빌딩의 경우, 유지관리 차원에서 개별 설비별 에너지 원격관리가 일부 시행되고 있는 반면 다수의 이기종 에너지 설비들이 존재하는 빌딩의 경우는 빌딩 내 다양한 설비들의 통합적 원격 에너지 관리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편, DDC는 각각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관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DDC 간 관제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통신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케이블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정된 통신 대역폭으로 인해 대규모의 빌딩자동화 시스템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데에 장애가 되어 왔다. 즉 하나의 DDC에서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른 DDC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제점에 의해 수집된 특정 설비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 한정된 통신 대역폭 상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 이동이 요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원격지에서 빌딩의 자동화시스템의 관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110)와 스위칭 허브(120)를 통해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스위칭 허브(120)를 통해 연결된 제1 현장제어장치(130) 내지 제1 현장제어장치(130) 내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N 현장제어장치(140)의 관제점으로부터 수집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기반으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공한다.
서버(100)는 다수의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로부터 수집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가상화 프록시에 의해 가상화 하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서버(100)에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다수의 빌딩 자동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에 연결된 다수의 설비의 관제점을 그룹화하여 그룹간의 정보를 연동 및 관리하기 위한 관제 로직, 빌딩을 관리하기 위한 빌딩 자동제어로직, 에너지 절감 알고리즘의 구현 및 실행, 시스템 관리 및 업그레이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여 다수의 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이때, 각 알고리즘은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서버(100)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치되고 관리자가 설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 서버(100)에 가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관제점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 및 수행되어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를 제어한다.
클라이언트(110)는 서버(100)와 연결되어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정보를 교환하며 설비 운영 관리자가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 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관리자는 클라이언트(110)에 표시되는 관리자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고 싶은 설비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이를 서버(100)로 전달하여 수동으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스위칭 허브(120)는 서버(100), 클라이언트(100) 및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에게 고속의 이더넷(Etherne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써,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로부터 수집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여 서버(100)에 전달한다.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는 기존의 빌딩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어 왔던 BUS 기반의 결선 방식이 아닌, 장치 내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다른 현장제어장치 및 스위칭 허브(120)에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현장제어장치(130, 140) 간의 호환성 부재 해결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다수의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각종 센서와 제어정보를 실행하는 구동기 및 이를 확인하기 위한 관제점을 포함한다. 즉,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정보를 확인 및 수신하는 관제점과 연결되어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 이를 서버(100)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설비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행한다.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는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장치 간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현장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주변에 인접한 새로운 현장제어장치를 통해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 이로인해,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장치의 이상 유무와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다수의 연결포트(131)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각각의 정보를 공유하는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결포트(131)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각각의 정보를 공유하는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는 인터넷 연결포트(131), 아날로그 입력신호 처리기(132), 디지털 입력신호 처리기(133), 아날로그 출력신호 처리기(134), 디지털 출력신호 처리기(135), 네트워크 신호 처리기(136), 제어프로세서(13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는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131)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다수의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각종 센서와 제어정보를 실행하는 구동기 및 이를 확인하기 위한 관제점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입력신호 처리기(132, 133)를 통해 다수의 설비에 정보에 관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한편, 구동기로부터 아날로그 및 디지털 출력신호 처리기(134, 135)를 통해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관제점의 상태 신호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랜카드가 포함된 네트워크 신호처리기(136)를 통해 서버(100)와 통신 되고, 제어프로세서(137)는 서버(100) 및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 간의 정보 교환을 관리하는 한편, 센서의 상태를 감시 및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프로세서(137)는 실시간 OS(Operating System)가 탑재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시간 OS가 탑재되어 인터넷 연결 신호의 실시간 처리,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 감시 및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는 이기종간의 프로토콜 호환을 위하여, 개방형 프로토콜인 EIB, MODBUS, BACnet, Lonworks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를 통해 수집한 설비의 정보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서버(100)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비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를 통해 수집한 설비의 정보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서버(100)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비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은 저장부(102), 관제점 정보 선택부(104), 실행부(106)를 포함하는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110), 스위칭 허브(120), 제1 현장제어장치(130)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장치 내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131)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로부터 스위칭 허브(12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하여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정보는 가상화 프록시 과정을 걸쳐, 서버(100) 내 저장부(102)에 가상화 되어 저장되며, 관제점 정보 선택부(104)를 통해 서버(100)에 저장된 설비의 상태정보 중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 및 추출한다. 실행부(106)는 관제점 정보 선택부(104)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실행 가능한 다수의 알고리즘 중 특정 알고리즘을 선택 및 실행하여,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에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관제점 정보 선택부(104)는 저장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각 관제점의 정보중, 실행부(106)에서 실행되는 특정한 실행 알고리즘에 필요한 관제점 정보를 선택하여 추출한다.
실행부(106)는 관리자에 의해 서버(100)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치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130, 140)와 연결된 관제점으로부터 수집된 상기 다수의 설비의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를 제어하며, 가상 관제점을 사용하여 스위칭허브(12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방식으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에게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현장제어장치(130, 140) 간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현장제어장치(130, 140) 간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으로서, 먼저 현장제어장치(130, 140)는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및 이를 관리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입력신호 처리기(132, 133)를 통해 다수의 설비에 상태정보에 관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다(S400).
현장제어장치(130, 140) 내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타 현장제어장치와 고속의 유선 인터넷 통신 방식으로 각 현장제어장치(130, 140)가 관리하고 있는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공유한다(S410).
현장제어장치(130, 140)에 수집된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스위칭 허브(12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방법을 이용하여 서버(100)로 전달한다(S420).
서버(100)에 전달된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가상화 프록시에 의해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서버(100)의 저장부(102)에 저장한다(S430).
관제점 정보 선택부(104)를 통해 서버(100)에 저장된 설비의 상태정보 중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관리자에 의해 서버(100) 내 실행부(106)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치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확인 및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제어가 필요한 설비의 제어상태를 결정한다(S440).
실행부(106)의 가상 관제점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방법으로, 알고리즘 수행부(104)에 의해 결정된 제어가 필요한 설비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현장제어장치(130, 140)에 전달한다(S450).
도 4에서는 단계 S400 내지 단계 S4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00 내지 단계 S45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서버(100)에 포함된, 가상화 되어 저장되어 있는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추출 및 제어하기 위한 관제점 정보 선택부(104) 및 실행부(106)를 하나의 장치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 102: 저장부
104: 관제점 정보 선택부 106: 실행부
110: 클라이언트 120: 스위칭 허브
130: 제1 현장제어장치 131: 인터넷 연결포트
132: 아날로그 입력신호 처리기 133: 디지털 입력신호 처리기
134: 아날로그 출력신호 처리기 135: 디지털 출력신호 처리기
136: 네트워크 신호처리기 137: 제어프로세서
140: 제N 현장제어장치

Claims (19)

  1.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
    설비운영 관리자에게 상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연동되며,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정보를 수집하는 각 군별 관제점과 연결되어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상기 설비의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장치 내의 다수의 연결포트를 통해 인접한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각각 유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와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 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상기 설비의 변경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상기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 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여 상기 설비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스위칭 허브를 통해 고속의 이더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다수의 설비의 상기 관제점을 그룹화하여 그룹간의 정보를 연동 및 관리하기 위한 관제 로직, 상기 빌딩을 관리하기 위한 빌딩 자동제어 로직, 에너지 절감 알고리즘의 구현 및 실행, 시스템 관리 및 업그레이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알고리즘은 사전에 상기 관리자에 의해 상기 서버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치되고 상기 관리자가 설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 상기 서버에 관리되고 있는, 상기 관제점에 의해 수집된 상기 다수의 설비의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에 의해 수집된 상기 다수의 설비의 정보는 가상화 프록시에 의해 가상화되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상기 서버에 가상으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와 구동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설비의 정보에 관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입출력신호 처리기, 인터넷 연결을 위한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 상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입출력신호 처리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동작하는 제어프로세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랜카드가 포함된 네트워크 신호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실시간 OS(Operating System)가 탑재되어 인터넷 연결 신호의 실시간 처리,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 감시 및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이기종간의 프로토콜 호환을 위하여, 개방형 프로토콜인 EIB, MODBUS, BACnet, Lonworks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기존의 빌딩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어 왔던 BUS 기반의 결선 방식이 아닌, 상기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상기 다른 현장제어장치 및 서버 연결 장치에 점대점(Point to Point)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현장제어장치 간의 호환성 부재 해결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를 통합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는 상기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다른 현장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주변에 인접한 새로운 현장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11. 삭제
  12. 원격지에서 빌딩의 자동화 시스템의 관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기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관제점에 수집된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 기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 및 상기 서버 기기와 연동되며, 타 현장제어장치와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기기는,
    상기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수집한 상기 건물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가상화 프록시 과정을 통해, 가상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관제점 정보 선택부; 및
    상기 관제점 정보 선택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기 저장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자동적으로 수행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서버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치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상기 관제점 정보 선택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어가 필요한 설비의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가상 관제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현장제어장치에게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15. 현장제어장치 간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연결된 관제점으로부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현장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타 현장제어장치와 상기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과정;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수집된 상기 다수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
    상기 서버로 전달된 상기 상태정보를 가상화 프록시에 의해 가상화하여, 상기 서버에 가상으로 관리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설비에 관한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결정된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장제어장치를 다수의 인터넷 연결포트를 통해 상기 타 현장제어장치 및 서버 연결 장치에 점대점(Point-to-Point) 유선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현장제어장치 간의 호환성 부재 해결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를 통합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장제어장치와 상기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타 현장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주변에 인접한 새로운 현장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설비의 상기 관제점을 그룹화하여 그룹간의 정보를 연동 및 관리하기 위한 관제 로직, 상기 빌딩을 관리하기 위한 빌딩 자동제어 로직, 에너지 절감 알고리즘의 구현 및 실행, 시스템 관리 및 업그레이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여 상기 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알고리즘의 구현 및 실행은,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관제점에 의해 수집된 상기 다수의 설비의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에 기 저장된 상기 알고리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빌딩 내 다수의 설비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0120036329A 2012-04-06 2012-04-06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29A KR101357226B1 (ko) 2012-04-06 2012-04-06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29A KR101357226B1 (ko) 2012-04-06 2012-04-06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819A KR20130113819A (ko) 2013-10-16
KR101357226B1 true KR101357226B1 (ko) 2014-02-03

Family

ID=4963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329A KR101357226B1 (ko) 2012-04-06 2012-04-06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67A (ko) 2019-01-22 2020-07-30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68B1 (ko) * 2013-12-27 2016-02-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내 장비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9790B1 (ko) * 2022-11-14 2023-03-14 (주)파노텍 가상 멀티캐스트 기반 멀티태스킹 제어가 가능한 ddc를 이용한 빌딩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610B2 (ja) * 1996-08-27 2001-02-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ビル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610B2 (ja) * 1996-08-27 2001-02-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ビル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67A (ko) 2019-01-22 2020-07-30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KR102261417B1 (ko) * 2019-01-22 2021-06-04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819A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186B1 (ko) 가상화 시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US20230113527A1 (en) Centralized virtualization management node in process control systems
JP2021057033A (ja) 産業制御システムハイパーコンバージドアーキテクチャ
EP3919991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EP2942680B1 (en) Process control system and process control method
EP39199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rtual controller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782410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ontrol logic distributed between a virtual controller and a smart edge controller
US20210382474A1 (en) Virtual control system with failsafe mode
CN105681086B (zh) 通讯管理机及可编程逻辑控制设备的数据采集方法
JP2015138525A (ja) 仮想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KR101357226B1 (ko)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47798B2 (en) Virtualized real-time I/O in process control systems
US8458388B2 (en)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rogrammable controller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interface driver program and interface hereto
US10809688B2 (en) Control architecture includ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a cloud computing system
CN110300055B (zh) 异构现场总线用网关系统
CN103109269A (zh) 低或中压配电网络
EP3334097A1 (en) Method, communication web ser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bacnet devices
US11175640B2 (en) Control subsystem having an integration framework
KR102261417B1 (ko)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EP1966660A1 (en) Processing unit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networked automation system
EP3439254B1 (en) A multiport device
US10333837B2 (en) Virtual network switch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74339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an automation control module
CN110505251A (zh) 一种上位机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