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261B1 -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261B1
KR101356261B1 KR1020070003252A KR20070003252A KR101356261B1 KR 101356261 B1 KR101356261 B1 KR 101356261B1 KR 1020070003252 A KR1020070003252 A KR 1020070003252A KR 20070003252 A KR20070003252 A KR 20070003252A KR 101356261 B1 KR101356261 B1 KR 10135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de
operation command
user operation
priority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6154A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261B1/en
Publication of KR2008006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2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사용 빈도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key frequency of us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방법은, 최초 사용자의 키 동작을 감지하고 정확하지 않은 동작이 입력되면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에 의한 키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에 의해 최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키 감도를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key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key operation of the first user is detected and an incorrect operation is input, the key operation method checks the key operation by the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and performs the final operation by the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key sensitivity.

키 감도, 키 제어 Key sensitivity, key contro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모드별 키 우선순위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key priority table for each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확하지 않은 키 입력 발생시 동작모드별 키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최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final operation by applying key priority for each operation mode when an incorrect key input occu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휴대 단말기              102...키 입력부 100 ... Portable terminal 102 ... Key input

104...저장부                   106...표시부 104 Storage unit ... 106 Display unit

108...수신부                   110...A/D 컨버터 108 ... Receiver 110 ... A / D converter

112...오디오 처리부            114...제어부 112 Audio processing unit 114 Control uni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 사용 빈도를 이용하여 키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to adjust a key sensitivity using a frequency of key use by a user.

요즈음 MP3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는 음악 및 동영상 재생, 라디오 청취 등 여러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hese day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P3 are designed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usic and video playback and radio listening.

그에 따라 많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방향 키, 선택 키, 모드(mode) 전환 키,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한 많은 키들이 구비되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perform many functions, many keys are provided including direction keys, selection keys, mode switching keys, volume control keys, and the like.

근래의 휴대 단말기에는 여러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그 다이얼(Jog Dial)을 구비한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a number of terminals equipped with a jog dial have been released in the portable terminals so that various operations can be easily performed.

조그 다이얼은 상,하,좌,우의 방향 입력이 가능하고 위에서 조그 키를 누르게 되면 선택 명령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드에 따른 명령 수행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The jog dial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put the direction of up, down, left, right and can easily operate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mode because the selection command can be executed by pressing the jog key from above.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조작 키의 크기도 작아지기 때문에, 두 개의 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decreases as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decreases, two buttons are pressed simultaneously.

특히, 조그 다이얼의 경우 대각선으로 조작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In particular, jog dials often operate diagonally.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정확하지 않은 동작 명령 수행이 입력되면 최종 명령 수행을 어떤 명령에 대한 키 조작으로 인정하여 동작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쉽지 않다. Therefore, when an incorrect operation command execution is input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ich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by acknowledging the final command execution as a key operation for the command.

때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도 발생문제가 발생한 다. Sometimes, a problem occurs when a user inputs an unintended command.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키 동작 중 정확하지 않은 동작 수행 명령 입력시에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대로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in a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according to a command intended by the user when an incorrect opera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during a key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 모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키를 저장하여 실제 동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in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store a key frequently used by a user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pply the same to an actual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입력 키에 대한 빈도수를 연산하여 우선 순위 테이블을 생성하여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은 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that calculates a frequency for an input key frequently used by a user to generate a priority table and apply the same to a key that is not input correctly. .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는, 사용자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키 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의거 입력되는 동작명령 빈도수에 의거 설정되는 우선순위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키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 동작에 따른 우선순위 테이블을 설정 및 그에 의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ey control devi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operation comm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iority table set based on an operation command frequency input based on the key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the key operation to set a priority tabl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d control the operation based thereon.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명령은 동작 모드 변경 및 방향 이동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eration command is an operation mode change and direction movement command.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에 따른 우선 순위 테이블은 키 동작에 따른 빈도 수 데이터를 생성 및 연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iority t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is generated by generating and calculating frequency data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정확하지 않은 키 조작 입력시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에 적용하여 최종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perform a final operation by applying to the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when an incorrect key operation input.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최초 사용자의 키 조작 데이터를 저장하여 해당 모드에서 사용하는 키의 빈도수를 연산하여 우선순위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stores key operation data of the first user and controls to generate a priority table by calculating a frequency of a key used in a corresponding mode.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방법은 키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정확하지 않은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정확하지 않은 동작이 입력되면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에 의한 키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에 의해 최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ey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a key operation; Determining whether an incorrect operation is input; Checking a key operation based on a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if an incorrect operation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performing a final operation by the mode-specific priority table.

바람직하게, 상기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은, 키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키 동작에 의한 키의 방향 및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빈도를 연산하는 단계; 사용빈도가 높은 키에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 키 우선순위를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generating the mode-specific priority table comprises: detecting a key operation; Identifying a current operating mode; Calculating a frequency of use for a direction and an operation mode of a key by the key operation; Assigning a high priority to a key with high usage rate; Generating a table of key prioriti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ke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변경 및 기능 동작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102)와 다수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이 기록 저장되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4)와 상기 동작 명령 수행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06)와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108)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10)와 상기 입력된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12)와 상기 키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 조작 빈도를 저장하여 모드에 따른 사용자의 키 사용 우선선위 테이블을 구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records and stores a key input unit 102 and a plurality of multimedia files for receiving a mode change and function operation command by a user, and stores a data table for a user's key operation. A storage unit 104, a display unit 106 for displaying a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execution, a receiver 108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receiver into a digital signal ( 110 and the user according to the mode by storing the frequency of the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unit 112 and the key input unit 102 for outputting the input broadcast signal or the audio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4 It comprises a control unit 102 for controlling to configure and store the key use priority table of the.

상기 키 입력부(102)는 방향 키, 선택 키, 모드 선택 키, 볼륨 조절 키, 조그 다이얼 중 하나를 포함한다. The key input unit 102 includes one of a direction key, a selection key, a mode selection key, a volume control key, and a jog dial.

상기 저장부(104)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시 선택되는 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14)가 해당 데이터를 참조하여 키 사용 빈도 수를 연산하여 키 우선순위 테이블이 생성되면 해당 테이블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04 is a memory of a mobile terminal, and stores data on a key selected when a user inputs a key, and the control unit 114 calculates the frequency of key use by referring to the data, thereby providing a key priority table. Once created, the table is sav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키 입력부(102)는 상, 하,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는 방향키와 작은 기둥형식 막대로 형성되어 방향 및 선택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조그 다이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key input unit 102 includes a direction key for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jog dial for performing direction and selection commands.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방향키인 경우에는 동시에 두 대 이상의 버튼이 눌려 지는 경우 정확한 명령 수행이 발생하기 힘들다. In the case of a direction key composed of a button type, when two or more button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execute an accurate command.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이동 동작 명령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방향 키가 대각선으로 움직여지는 경우 정확히 어떤 방향으로의 선택인지 가름하기가 쉽지 않다. When the movement command is executed using the jog dial, it is not easy to determine exactly which direction to select when the direction key is moved diagonally.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모드별 키 우선순위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key priority table for each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최초 키 동작 명령을 수행이 입력되면 키 동작을 감지한다(S300).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performs an initial key operation command, a key operation is detected (S300).

상기 키 동작이 감지되면 현재 어느 모드에서 동작중인지 확인한다(S302). When the key operation is detected, it is checked in which mode (S302).

상기 키가 동작하고 있는 키의 방향 및 동작모드 데이터를 생성한다(S304). The direction and operation mode data of the key in which the key is operated are generated (S304).

일정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키 동작 데이터가 생성되면 키 방향과 동작모드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키 사용 빈도를 연산한다(S306). When the user's key operation data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key direction and operation mode are stored and the user's key use frequency is calculated (S306).

연산이 완료되면 동작모드에 따라서 사용빈도가 높은 키에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한다(S308).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a high priority is assigned to a key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308).

이에 따라서 동작 모드에 따라서 키 우선 순위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S310). Accordingly, the key priority data tabl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310).

상기의 우선 순위 테이블의 구성을 표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priority t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동작모드Operation mode 음악재생모드Music play mode 2020 33 6060 3030 라디오모드Radio mode 55 1515 1One 4040 동영상재생모드Video play mode 5050 22 3030 1010

표1에 나타난 수치들은 최초 사용자가 키를 동작하기 시작하면서 해당 모드에 따라 방향 키를 사용한 빈도 수를 확인하여 수치화한 것이다.The numerical values shown in Table 1 were digitized by checking the frequency of using the direction keys according to the mode when the user first started to operate the keys.

사용자의 키 입력 빈도 수가 상기의 표와 같이 구성되었을 때,When the frequency of key input by the user is configured as shown in the table above,

음악 재생 모드에서 위쪽 방향 키와 오른쪽 방향 키가 동시에 눌러지게 되면 위쪽 방향 키의 빈도 수는 20이고 오른쪽 방향 키의 빈도 수는 60이므로 입력되는 키의 최종 동작은 오른쪽 방향 키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If the up and right arrow keys are pressed simultaneously in the music playback mode, the frequency of the up arrow key is 20 and the frequency of the right arrow key is 60, so the final action of the input key assumes that the right arrow key is selected. Perform the ac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확하지 않은 키 입력 발생시 동작모드별 키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최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final operation by applying key priority for each operation mode when an incorrect key input occu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최초 사용자의 키 동작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키 동작을 감지한다(S400). Referring to FIG. 4, when a key operation execution command of an initial user is input, a key operation is detected (S400).

상기 키 동작중 정확하지 않은 동작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402).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ncorrect operation input occurs during the key operation (S402).

즉, 조그 다이얼에 의한 대각선 이동이나, 방향 키 여러 개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agonal movement by the jog dial or when several direction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상기 정확하지 않은 동작이 입력되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모드를 판단하고 해당 모드에서 기 설정된 우선순위 테이블의 키 설정과 비교한다(S404). When the incorrect operation is input, the current mode is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e key setting of the priority table preset in the mode (S404).

상기 비교된 동작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에 따라 정확하지 않은 동작 입력시 최종 동작을 결정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406) When the incorrect operation is input according to the compared priority table for each operation mode, the final operation may be determined and performed (S406).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 will b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하지 않은 키 동작이 입력되면 사용자에 사용 빈도 수를 연산하여 결정된 우선순위 테이블과 비교하여 최종 동작 명령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키 조작에 대한 예방 및 사용자의 습관에 맞는 키 반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incorrect key operation is input, the user can perform a final operation command by comparing the priority tabl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and thus preventing the unintentional key operation and a key suitable for the user's habit. There is an effect to implement the rea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모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키에 대한 우선 순위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각 동작 모드에 따라서 의도하는 키 동작이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iority table for keys frequently used by a user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 intended key operation can be smooth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Claims (7)

복수의 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opera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keys;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의 빈도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을 설정한 후,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또 다른 사용자 동작 명령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현재 실행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 중에서 상기 판단된 현재 실행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 테이블에 따라, 상기 정확하지 않은 사용자 동작 명령으로부터 최종 사용자 동작 명령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최송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After setting a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of the plurality of key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user oper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if another user oper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is not correct, present execution Determine a mode, determine an end user operation command from the inaccurate user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priority tab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execution mode among the mode-specific priority tables,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aximum user operation comm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perform an operation; And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of the plurality of key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키 입력부는 방향 키, 선택 키, 볼륨 조절 키, 조그 다이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And the key input un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direction key, a selection key, a volume control key, and a jog di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또 다른 사용자 동작 명령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는, 둘 이상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조그 다이얼이 대각선으로 조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In case that another user operation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is not correct, i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when the jog dial is operated diagonally when two or more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Key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은, 음악 재생 모드에서의 우선순위 테이블, 라디오 모드에서의 우선순위 테이블, 동영상 재생 모드에서의 우선순위 테이블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The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of the plurality of key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iority table in a music play mode, a priority table in a radio mode, and a priority table in a video play mode. Key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드별 우선순위 테이블은, 각 모드별로,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선택된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키 각각의 순위가 설정되는 우선순위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장치. The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of the plurality of keys is a priority table for setting the prior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command for each mode. Key control device. 복수의 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user opera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keys; 상기 입력된 사용자 동작 명령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현재 실행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 current execution mode when the input user operation command is not correct;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현재 실행 모드에 따른 우선 순위 테이블에 따라, 상기 정확하지 않은 사용자 동작 명령으로부터 최종 사용자 동작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n end user operation command from the incorrect user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a priority tabl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execution mode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And 상기 결정된 최종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방법.And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nd user operation comman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Bef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 operation command,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또 다른 사용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nother user opera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keys; 상기 복수의 키 각각의 또 다른 사용자 동작 명령의 빈도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Calculating a frequency of another user action comma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And 상기 복수의 키 사이에, 상기 빈도수가 많은 순으로 순위를 할당하여, 모드별 우선 순위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Generating a priority table for each mode by allocating a rank among the plurality of keys in order of increasing frequency; 상기 현재 실행 모드에 따른 우선 순위 테이블은, 상기 모드별 우선 순위 테이블 중에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현재 실행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키 제어 방법.And a priority table according to the current execu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execution mode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step among the priority tables for each mode.
KR1020070003252A 2007-01-11 2007-01-11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KR101356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52A KR101356261B1 (en) 2007-01-11 2007-01-11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52A KR101356261B1 (en) 2007-01-11 2007-01-11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154A KR20080066154A (en) 2008-07-16
KR101356261B1 true KR101356261B1 (en) 2014-01-29

Family

ID=3982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252A KR101356261B1 (en) 2007-01-11 2007-01-11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2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570A (en) 2005-02-17 2006-08-31 Canon Inc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570A (en) 2005-02-17 2006-08-31 Canon Inc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154A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0475B2 (en) Slide bar display control device and slide bar display control method
JP4626453B2 (en) Parameter setting method
US755860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 through pattern recognition
CN101826352A (en) Music playback and the method that is used for the music selection and resets
WO2015117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ouch screen device
CN106714038B (en)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sound intensity
JP2019022148A (en) Sound processor and parameter assignment method
EP2071443A2 (en) Method for controlling value of parameter
JP2012209766A (en) Controller
KR10135626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key control in portable device
JP6103487B2 (en) Parameter set setting method and setting device
US20160094301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US20210065710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4012842A (en) Parameterization system
CN104168498B (en) Method for positioning startup channel of television and television
KR10093622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78001B1 (en) method for reproducing multimedia file, and apparatus thereof
JP5233886B2 (en) Digital mixer
US12001665B2 (en) Slide bar display control device and slide bar display control method
US20230091280A1 (en) Audio device, program, and playback control method
JP7070189B2 (en) Electronics and programs
US11720323B2 (en) Audio device, program, and playback control method
KR100424470B1 (en)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having specific function key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of
JP4775586B2 (en) Information sel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selection program
JP2007074624A (en) Digital mixer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