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846B1 -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 Google Patents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846B1
KR101355846B1 KR1020130040009A KR20130040009A KR101355846B1 KR 101355846 B1 KR101355846 B1 KR 101355846B1 KR 1020130040009 A KR1020130040009 A KR 1020130040009A KR 20130040009 A KR20130040009 A KR 20130040009A KR 101355846 B1 KR101355846 B1 KR 10135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user
book
area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복
허국현
Original Assignee
허국현
이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국현, 이경복 filed Critical 허국현
Priority to KR102013004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8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846B1/en
Priority to PCT/KR2014/002954 priority patent/WO201416838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e-book data processing device given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which detects a long touch input from a user; a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which, if a long touch from a user is input at one point on an e-book, designates and stores the point as a start point; an end point designation unit which, if the touch input is moved to another point by a drag, designates the moved point as an end point; a selection area marking unit which designates and highlights the area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s a selection area;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selection area.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e-book data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processing selection, storage, or deletion of the area selected by a user in a simple and intuitive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asy and convenient use of an e-book or application to meet the escalated needs of users following the wide use of the e-book and an e-book application.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 Detect a touch input from a user; (S20) Is it a long touch?; (S30) Is the touch input moved to another position by a drag action?; (S40) Designate the area of the drag action as selected; (S50) Highlight and store the selected area

Description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Data processing method of e-book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본 발명은 전자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boo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n e-book.

전자책(e-book, electronic book)은 디지털화된 책을 컴퓨터의 모니터나 전용단말기 또는 PDA와 같은 매체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동과 휴대가 간편해 수십권 분량의 책을 한꺼번에 저장해 보고 듣고 느끼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입체적 의미의 책을 말한다.Electronic books (e-books, electronic books) are digital books that can be viewed on media such as computer monitors, dedicated terminals or PDAs. They are easy to move and carry, allowing users to store, view, hear and feel dozens of books at once. We say book of three-dimensional meaning that we utilized.

가독성과 휴대성, 편의성 및 저장용량 등이 전자책 구현의 핵심적 요소가 되는데, 광의의 개념은 모든 전자적인 매체로서 오프라인형태의 CD롬이나 온라인형태의 인터넷과 PC(Personal Computer)통신을 비롯한 출판을 포괄하며, 협의의 개념은 기존의 종이책 대신 인터넷의 표준 언어인 HTM과 XML등을 응용하여 만든 디지털화된 책을 자신의 PC나 전용뷰어에서 읽는 것으로 정보통신 기술이 낳은 디지털 출판의 형태를 말한다.Readability, portability, convenience, and storage capacity are key elements in the implementation of e-books. The broad concept is all electronic media, including offline CD-ROM, online Internet, and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Comprehensive, the concept of consultation refers to the form of digital publishing produc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y reading digitized books made by applying HTM and XML, the standard languages of the Internet, on their PCs or dedicated viewers, instead of conventional paper books.

전자책은 종이책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온라인 구매를 통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만 별도로 구입할 수도 있다. 최근 이러한 전자책은 다양한 분야의 컨텐츠 형태(예; 소설, 잡지 등)로 제공되고 있고, 전자책 단말기에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열람할 수 있다.E-books are cheaper than paper books, you can save time through online purchases, or you can buy only what you need. Recently, such e-books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of content (eg, novels, magazines, etc.), and can be easily viewed anytime and anywhere by storing them in the e-book terminal.

전자책의 보급과 함께 전자책 단말기와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이하, '앱(App)'이라 한다)들이 개발되고 있고, 높은 해상도, 다양한 편집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책 앱(App)의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한 부분들이 발견되고 있다. With the spread of e-books, various e-book applic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s') that are run on e-book terminals and smartphones are being developed, and provide high resolution and various editing functions. However, in the case of the e-book app (App), it is found that somewhat insufficient to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예: 일정 영역의 선택 및 복사, 저장, 저장내용 삭제 등)에 있어서, 종래의 앱(App)이나 전자책 단말기는 드래그(drag)를 통해 사용자가 일단 특정 지점을 롱터치(예: 1초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입력)하는 과정, 롱터치 입력에 따른 선택 표시자를 화면에 나타내는 과정, 사용자가 다시 상기 선택 표시자를 움직여 원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영역을 하일라이트 처리하는 과정, 하일라이트된 영역의 처리(예: 복사, 저장 등)를 선택하는 과정 등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절차들은 사용이 익숙치 않은 개발 초창기에 대개의 경우 그렇듯, 다소 번거롭고 복잡하더라도 한 동안 별 문제 삼지 않는 경향이 지속되나, 전자책 앱(App)의 이용이 활성화되고 익숙해진 지금은 기존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이 다소 번거롭다는 지적이 늘고 있으며, 보다 간소화된 조작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data processing method (e.g., selecting and copying a certain area, storing, deleting stored contents, etc.) of an e-book, a conventional app or an e-book device can be dragged by a user through a drag. A process of touching (for example, an input that maintains a touch for more than 1 second), displaying a selection indicator according to a long touch input on the screen, a user moving the selection indicator again to select a desired region, and highlighting the selected region The process involves selecting the processing of the highlighted areas (e.g. copying, saving, etc.), which can be cumbersome and complex for a while, as is usually the case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when it is unfamiliar to use. While the trend continues, the use of e-book apps has become active and familiar, and how data processing in existing e-books is a bit cumbersome. The growing number and a situation that is required is a more streamlined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의 선택, 저장, 삭제 등의 처리를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처리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book data processing apparatus which more simply and intuitively handles selection, storage, and deletion of a region desired by a user.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의 선택, 저장, 삭제 등의 처리를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처리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n e-book that processes the selection, storage, and deletion of a region desired by a user more simply and intuitively.

본 발명은, 전자책이 보다 활성화되고 전자책 앱(App)이 널리 배포되면서 점점 높아진 사용자들의 니즈(needs)에 맞도록, 전자책이나 앱(App)을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made it easier and easier to use e-books or apps to meet the increasing needs of users as e-books become more active and e-book apps are widely distribut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을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도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을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일라이트 해제와 삭제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4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일라이트 해제와 삭제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의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일라이트 해제와 삭제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processing device of an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ighlight cancellation and dele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highlight cancellation and dele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6 is a flowchart of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n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light cancellation and deletion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ta processing device of the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롱터치 입력여부를 감지하는 제어부와, 전자책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면, 해당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시작점 지정부와, 상기 터치입력이 드래그(drag)에 의해 타 지점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끝점 지정부와, 상기 시작점과 끝점간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고 하일라이트 처리하는 선택영역 표시부와, 상기 선택영역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has a long touch input, a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nd storing the point as a starting point when the user's long touch is input to a point of the e-book, and the touch input is dragged. An end point designation unit which designates and stores the moved point as an end point when moved to another point, a selection area display unit which designates and highlights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s a selection area,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selection area. It is configured b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책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면, 해당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이 드래그(drag)에 의해 타 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시작점과 타지점 사이의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영역을 하일라이트 처리하고 별도의 부가절차없이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When the user's long touch is input to one point of the e-book, a process of designating the corresponding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when the touch input is moved to another point by dragging, selects an area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point. And a process of designating the region and highlighting the selected region and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

바람직하게,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은 일측에, 하일라이트 처리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ighlight processed area is provided with a directional display unit indicating a direction of the highlight process on one side.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상기 방향성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면, 사용자가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책의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저장부의 저장공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on a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directional display unit, the user may check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e-book stored in the storage unit. .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상기 저장부의 저장공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파일을 선택(클릭 or 터치)하면 컨텐츠의 파일명 일측에 선택된 순번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하는 과정과, 파일병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입된 순번에 따라 해당 파일들의 컨텐츠를 병합하여 새로운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when the user selects (click or touch) the content file and write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quence number on one side of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When the file merge command is inpu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erging the contents of the files according to the written order and storing the contents as a new content file in the storage unit.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하일라이트 영역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면, 해당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이 드래그(drag)에 의해 타 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드래그가 이루어진 시작점과 타 지점 사이를 선택영역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상기 하일라이트의 방향성과 반대인 경우, 상기 선택영역의 하일라이트 처리를 제거하고 별도의 부가절차없이 저장부에서 상기 선택영역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ong touch of a user is input to a point of the highlight area, a process of designating the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the touch input by dragging When moving to another point, the process of designating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point where the drag is made as the selection area, and if the direction of the drag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highlight, removes the highlighting process of the selection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leting contents of the selected area from the storage without additional procedures.

본 발명은, 컨텐츠의 선택, 저장, 삭제하는 등의 데이터 처리가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착안점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implementing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n e-book that makes data processing such as selection, storage, and deletion of contents easier and more intuiti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100)는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에 실장되는 기능적 수단으로서, 전자책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선택, 저장, 삭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of an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means mounted in an e-book application, and allows a user to select, store and delete the contents of the e-book more simply and intuitively.

전자책 단말기나 스마트폰 사용자는 전자책 앱(app)을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해당 단말(예: 전자책 단말기 or 스마트폰)에 인스톨(install)한다. 사용자는 상기 전자책 앱(app)을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전자책을 열람할 수 있다. An e-book device or a smart phone user downloads an e-book app (app) through an application purchaser such as an Android market or an app store, and installs the e-book device (eg, an e-book device or a smartphone). A user can view various e-books by executing the e-book app.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n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100)는 시작점 지정부(110), 끝점 지정부(120), 선택영역 표시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포함"의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추가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는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As shown in FIG. 1,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110, an end point designation unit 120, a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d a storage unit. And 150.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is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add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is applies equ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eve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상기 제어부(140)는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예: 롱터치 입력 등) 여부를 감지한다. 전자책 앱(app)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전자책 열람을 시작하면, 제어부(140)는 단말기 사용자의 롱터치 입력여부를 감지한다.The controller 140 detects whether a user's touch input (for example, a long touch input) for selecting a word or a sentence. When the e-book app is executed and the user starts reading the e-book, the controller 140 detects whether the terminal user has a long touch input.

상기 시작점 지정부(110)는 상기 롱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 전자책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고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면, 시작점 지정부(110)는 해당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 상기 롱터치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예: 1초, 1.5초 등) 이상 터치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The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110 designates and stores the point where the long touch is input as a start point. When the user's long touch is input to one point of the e-book and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is, the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110 designates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point as the start point. The long touch means an input for which the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1.5 seconds, or the like).

상기 끝점 지정부(120)는 사용자의 드래그(drag)에 따라 상기 시작점의 터치가 타 지점으로 이동하였을 때 그 이동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 끝점 지정부(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터치입력(롱터치)을 드래그(drag)하여 타 지점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된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롱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도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The end point designation unit 120 designates and stores the moving point as an end point when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moves to another point according to a user's drag. 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drags the touch input (long touch) to move to another point, the endpoint designation unit 120 designates the moved point as an end point and stores the moved point.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procedure of selecting and storing a specific region through long touch and draggin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FIG. 2.

상기 선택영역 표시부(130)는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영역을 하일라이트 처리한다.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designates an area up to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s a selection area. The selected area is then highlighted.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는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 부분으로부터 쉽게 구분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을 갖도록 표시된다. 또한, 하일라이트 처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밑줄처리, 반전처리, 깜박임 처리, 큰글씨 확대처리, 이탤릭 글씨처리, 볼드체 처리 등과 대체될 수 있다. The highlight process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distinguish and recognize other content parts, and is displayed to have directionality as shown in FIGS. 2 to 3. In addition, the highlight processing may be replaced with underline processing, inversion processing, blink processing, large font enlargement processing, italic text processing, bold text processing, or the lik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하일라이트 처리된 선택영역은 방향성 표시부를 갖는다. 사용자가 상기 방향성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면, 제어부(140)는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공간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해당 전자책의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highlighted region has a directional display.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directional display unit,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e-book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do.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컨텐츠들은 각각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들은 사용자의 선택(클릭 or 터치)에 따라 병합되며, 사용자가 선택(클릭 or 터치)하는 순서대로 병합이 이루어진다.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re each stored in one file format. The content fi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re mer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lick or touch), and merged in the order of the user's selection (click or touch).

사용자가 컨텐츠 파일을 선택(클릭 or 터치)할 때 컨텐츠의 파일명 일측에는 선택된 순서에 해당하는 숫자가 기입된다. 보통, 탐색기와 같은 파일 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파일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파일객체를 반전시킴으로써,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반전시키는 대신 해당 객체에 숫자(선택된 순번)를 기입함으로써 파일 병합시 사용자가 파일의 순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단, 선택된 파일을 다시 선택(클릭 or 터치)하는 경우, 해당 객체에 기입된 숫자(선택된 순번)는 사라지고, 해당 객체의 선택은 해제된다. When a user selects (clicks or touches) a content file,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rder is written on one side of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Normally, in the case of a file management program such as an explorer, when a file object is selected, the file object is invert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le is selec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inverting, the file is written by writing a number (selected sequence number) to the object. When merging, us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order of files. Once the selected file is again selected (clicked or touched), the number written in the object (selected sequence number) disappears and the object is deselect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병합을 원하는 컨텐츠 파일들을 선택(클릭 or 터치)하고 파일병합을 지시하면(예: '병합(merge)'버튼 입력(터치)), 파일을 선택한 순서에 따라 해당 파일들의 컨텐츠를 병합하여 새로운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clicks or touches) content files to be merged and instructs file merge (for example, inputting a 'merge' button (touch)), the contents of the fil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selecting the files. Merg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s a new content file.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선택영역을 저장할 수 있는 가상의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선택영역 표시부(130)가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면, 상기 선택영역은 하일라이트 처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50 provides a virtual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election area. When 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designates an area up to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s the selection area, the selection area is highlighted and simultane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본 발명은 상기 저장부(150)이 특정 웹(예: 클라우드 서비스, 카페, 블로그 등)이나 특정 앱(예: 메모장, 다이어리 등) 또는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예: 트위터, 페이스북 등)와 연동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웹이나 앱 또는 SNS로 공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50 is connected to a specific web (eg, cloud service, cafe, blog, etc.) or a specific app (eg, notepad, diary, etc.) or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eg, Twitter, Facebook, etc.). By designing to be interlocked, the content fi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may be shared to a specific web or app or S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일라이트 해제와 삭제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는 도4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일라이트 해제와 삭제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ighlight cancellation and dele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ighlight cancellation and deletion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일라이트 처리된 선택영역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고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면, 상기 시작점 지정부(110)는 상기 롱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As shown in FIGS. 4 to 5, when the user's long touch is input to one point of the highlighted selection area and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is, the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110 inputs the long touch. The designated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save it.

이후, 사용자의 드래그(drag)에 따라 상기 시작점의 터치가 타 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끝점 지정부(120)는 그 이동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Thereafter, when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moves to another point according to the user's drag, the end point designation unit 120 designates the moving point as the end point and stores it.

그리고, 상기 선택영역 표시부(130)는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영역을 선택영역(SA)으로 지정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선택영역의 방향성(예: 방향성 표시부)과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비교하고, 두 비교 대상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 상기 선택영역 표시부(130)에 지시하여, 도4 내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영역(SA)의 하일라이트를 제거한다. In addition, 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designates an area up to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s the selection area S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compares the direction of the drag (eg, the directional display unit) of the highlighted area with the drag direction, and when the directions of the two comparison targets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4 to 5, the highlight of the selection area SA is removed.

상기 제어부(140)는 또한, 상기 선택영역(SA)의 하일라이트를 제거한 후, 저장부(150)에서 상기 선택영역(SA)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삭제한다.The controller 140 also removes the highlight of the selection area SA, and then delet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area SA from the storage unit 150.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롱터치 입력을, 특정 버튼(or 소프트웨어 키 or 아이콘)을 입력(터치)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책 앱(app)화면의 일측에 특정 버튼(or 소프트웨어 키 or 아이콘)을 두어,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터치)과 함께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검출되면,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저장하는 본 발명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user's long touch input by inputting (touching) a specific button (or software key or icon). In this case, a specific button (or software key or icon) is placed on one side of an e-book app screen, and when a user's touch input is detected together with the input (touch) of the specific butto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and stored.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n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책 앱(app)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전자책 열람을 시작하면, 단말기 사용자의 롱터치 입력여부를 감지한다. (S10~S20)As shown in FIG. 6, when the e-book app is executed and the user starts reading the e-book,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the terminal user has a long touch input. (S10-S20)

그리고, 전자책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고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면, 상기 롱터치 입력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시작점 지정부(110)에 저장한다. When the user's long touch is input to one point of the e-book and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is, the long touch input point is designated as a start point and stored in the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110.

이후,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터치입력(롱터치)을 드래그(drag)하여 타 지점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된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끝점 지정부(120)에 저장한다. (S30)2 and 3, when the user drags the touch input (long touch) and moves to another point, the user designates the moved point as an end point to the end point designation unit 120. Save it. (S30)

상기 드래그 영역 즉,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영역은 선택영역으로 지정되며, 그 선택영역을 하일라이트 처리한다. (S40 ~ S50) 본 발명은 이때, 상기 하일라이트 영역에 방향성 표시부가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하일라이트 영역의 시작점과 끝점을 알 수 있도록 한다.The drag area, that is, the area up to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is designated as a selection area, and the selection area is highlighted.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rectional display to appear in the highlight area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highlight area.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영역이 하일라이트 처리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선택영역의 컨텐츠를 별도의 부가적 절차없이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S50)When the selection area is highlight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140 stores the contents of the selection area in the storage unit 15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 (S50)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부분을 해제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예: SA)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하일라이트 처리된 부분의 지우고자 하는 지점을 소정 시간 이상 터치(롱터치)하고 드래그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하일라이트의 방향성과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해야 한다.When releasing the highlighted portion or deleting specific content (eg, S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he user touches a point to delete the highlighted portion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ouch) and drag. At this time, the user should drag inpu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highlight.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일라이트 해제와 삭제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light cancellation and deletion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일라이트 처리된 부분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롱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이를 감지하고 시작점 지정부(110)는 상기 롱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한다. (S110 ~ S120)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s long touch is input to one point of the highlight portion,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is and the start point designator 110 designates the point where the long touch is input as the start point. Save it. (S110 to S120)

이후, 사용자의 드래그(drag)에 따라 상기 시작점의 터치가 타 지점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상기 끝점 지정부(1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영역을 선택영역(SA)으로 지정한다.(S130 ~ S140) 이때, 제어부(140)는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선택영역의 방향성(예: 방향성 표시부)과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비교한다. (S150) 그리고, 두 비교 대상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 도4 내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영역(SA)의 하일라이트를 제거한다. (S160)Subsequently, when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moves to another point according to the user's drag, the moving point is designated as an end point and stored in the end point designa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area from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is designated as the selection area SA (S130 to S14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irectionality (eg, the directional display unit) and the drag of the highlighted area. Compare directions. If the directions of the two comparison targets are opposite to each other (S150), the highlight of the selection area SA is removed as shown in b) of FIGS. 4 to 5. (S160)

또한, 상기 선택영역(SA)의 하일라이트를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저장부(150)에서 상기 선택영역(SA)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삭제한다. (S170) 사용자는 전자책의 컨텐츠를 드래그 하는 것만으로 저장부(150)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간단하게(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ghlight of the selection area SA is removed, an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area SA is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150. In operation S170, the user may simply store (or automatically) delete the desired content in the storage unit 150 by simply dragging the content of the e-book.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100)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the computer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device 100 of an e-book.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의 선택, 저장, 삭제 등의 처리를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처리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구현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e-book which processes the selection, storage, deletion, etc. of the area desired by the user more simply and intuitively.

본 발명은, 전자책이 보다 활성화되고 전자책 앱(App)이 널리 배포되면서 점점 높아진 사용자들의 니즈(needs)에 맞도록, 전자책이나 앱(App)을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made it easier and easier to use e-books or apps to meet the increasing needs of users as e-books become more active and e-book apps are widely distributed.

100 :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 110 : 시작점 지정부
120 : 끝점 지정부 130 : 선택영역 표시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00: data processing device of the e-book 110: starting point designation unit
120: end point designation unit 130: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40: control unit 150:

Claims (14)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터치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시작점 지정부(110)와;
상기 터치입력이 사용자의 드래그(drag)에 의해 타 지점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지점을 끝점으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끝점 지정부(120)와;
상기 시작점과 끝점간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고 하일라이트 처리하는 선택영역 표시부(130)와;
상기 선택영역을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택영역 표시부(130)는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이 사용자가 드래그한 방향성을 갖도록 표시하고,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은 일측에,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영역 표시부(130)는 상기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추가 드래그가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에서 발생하고 상기 추가 드래그의 방향이 상기 하일라이트의 방향성과 반대인 경우, 상기 선택영역의 하일라이트 처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
A controller 140 for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for selecting a word or sentence;
A start point designation unit 110 for designating and storing a corresponding touch point as a start point when a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An end point designator 120 for designating and storing the moved point as an end point when the touch input is moved to another point by a user drag;
A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for designating a highlight area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nd highlighting the selected are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the selection area,
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highlighted area to have a directional dragged by the user, and the highlighted area includes a directional display unit indicating a direction of the highlighted area on one side.
The selection area display unit 130 may highlight the selection area when an additional drag of the user for selecting the word or sentence occurs in the highlighted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additional drag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highlight.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an e-book, wherein the write processing is remov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방향성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면,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공간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해당 전자책의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140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directional display unit,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5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e-book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Data processing device of e-boo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에서 발생하고 상기 추가 드래그의 방향이 상기 하일라이트의 방향성과 반대인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서 상기 선택영역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140
When the user's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word or sentence occurs in the highlighted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additional drag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highlight, the storage unit 150 selects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area.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for an e-b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50)는,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인터넷 카페 또는 인터넷 블로그와 같은 특정 웹이나, 메모장 또는 다이어리와 같은 특정 앱(app)이나, 트위터 또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킹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unit 150,
Data of an e-book, which is linked to at least one of a specific web such as a cloud service or an internet cafe or an internet blog, a specific app such as a notepad or a diary, or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uch as Twitter or Facebook.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롱터치 입력이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 버튼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s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word or sentence is
E-book data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touch input or separate software button input.
(a)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b) 상기 터치입력이 드래그(drag)에 의해 타 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드래그가 이루어진 시작점과 타지점 사이의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c) 상기 선택영역을 하일라이트 처리하고 별도의 부가절차없이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과정과;
(d)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의 일 지점에,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면, 해당 지점을 시작점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e) 상기 (d) 과정에서의 터치입력이 추가 드래그(drag)에 의해 타 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추가 드래그가 이루어진 시작점과 타 지점 사이를 선택영역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f) 상기 추가 드래그의 방향이 상기 하일라이트의 방향성과 반대인 경우, 상기 (c) 과정에서의 선택영역의 하일라이트 처리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일라이트 처리된 영역이 사용자가 드래그한 방향성을 갖도록 표시하고, 일측에 하일라이트 처리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
(a) if a user's touch input for selecting a word or sentence is detected, designating a corresponding point as a starting point;
(b) if the touch input is moved to another point by dragging, designating an area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point where the drag is made as a selection area;
(c) highlighting the selection area and storing the selected area in the storage unit 15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
(d) if a user's touch for selecting a word or sentence is input to a point of the highlighted area, designating the point as a starting point;
(e) if the touch input in step (d) is moved to another point by an additional drag, designating a selection area between a start point where the additional drag is made and another point;
(f) if the direction of the additional drag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highlight, including the step of removing the highlight process of the selected area in step (c),
And displaying a direction of the highlighted area so as to have a direction dragged by the user, and having a directional display unit at one side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highlight proc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방향성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면, 사용자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해당 전자책의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공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directional display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e-book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e-book,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공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파일을 선택(클릭 또는 터치)하면 컨텐츠의 파일명 일측에 선택된 순번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하는 과정과;
파일병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입된 선택된 순번에 따라 해당 파일들의 컨텐츠를 병합하여 새로운 컨텐츠 파일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a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50, when a user selects (clicks or touches) a content file, wri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quence number on one side of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And a file merging command, merging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files according to the selected sequence number and storing the merged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as a new content fi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에서의 선택영역의 하일라이트 처리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f) 과정에서의 선택영역의 하일라이트가 제거되면, 별도의 부가절차없이 저장부(150)에서 상기 선택영역의 컨텐츠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removing the highlight processing of the selected region in the step (f)
If the highlight of the selection area in step (f) is removed,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e-book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the contents of the selection area in the storage unit 15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
KR1020130040009A 2013-04-11 2013-04-11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KR101355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09A KR101355846B1 (en) 2013-04-11 2013-04-11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PCT/KR2014/002954 WO2014168385A1 (en) 2013-04-11 2014-04-07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09A KR101355846B1 (en) 2013-04-11 2013-04-11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846B1 true KR101355846B1 (en) 2014-01-28

Family

ID=5014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009A KR101355846B1 (en) 2013-04-11 2013-04-11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5846B1 (en)
WO (1) WO201416838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42A (en) 2015-02-09 2016-08-18 손영국 Execution method of app book device and app book device
CN111078077A (en) * 2018-10-02 2020-04-28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text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3169A (en) * 2022-05-20 2022-09-09 长沙朗源电子科技有限公司 Writing and erasing method and device for touch screen of electronic whiteboard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1551B2 (en) * 2000-11-10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handles in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KR20100037945A (en)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input device of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32866A (en) * 2009-06-10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92056A1 (en) * 2011-01-24 2012-07-26 Migos Charles J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5151A1 (en) * 2004-07-02 2006-01-05 Adobe Systems Graphical interface for adjustment of text selections
US9069416B2 (en) * 2010-03-25 2015-06-30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content using a touchscre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1551B2 (en) * 2000-11-10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handles in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KR20100037945A (en)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input device of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32866A (en) * 2009-06-10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92056A1 (en) * 2011-01-24 2012-07-26 Migos Charles J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42A (en) 2015-02-09 2016-08-18 손영국 Execution method of app book device and app book device
CN111078077A (en) * 2018-10-02 2020-04-28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text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CN111078077B (en) * 2018-10-02 2024-02-02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text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8385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927B2 (en) Establishing content navigation direction based on directional user gestures
US9098942B2 (en) Legend indicator for selecting an active graph series
US90134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handwritten document creation method
US10871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US10019153B2 (en) Scrapbooking digital content in computing devices using a swiping gesture
US202202147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ouchscreen user interface for a collaborative editing tool
US201403254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130111380A1 (en) Digital whiteboard implementation
US11029826B2 (en) Digital flash cards including links to digital content
KR102009054B1 (en) Formula entry for limited display devices
US10282219B2 (en) Consolidated orthogonal guide creation
KR201001306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ed area in touch interface
JP59076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10138316A1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writing text and function of clipping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N104205033A (en) Method of controlling touch-based input
US201903246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Utilizing Multi-Finger Touch Capability to Efficiently Perform Content Editing on a Computing Device
CN105426049B (en) A kind of delet method and terminal
US201403802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based text styling
KR101355846B1 (en) Method for editting contents on e-book
US11914857B1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ointing and editing on computing devices with touch-sensitive displays
KR20100041150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multitouch
KR102551568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8438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control program
KR201400675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ultiple obj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KR102499899B1 (en) Operation method of devices for e-book reader, application and devices for e-book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