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772B1 -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772B1
KR101355772B1 KR1020130119977A KR20130119977A KR101355772B1 KR 101355772 B1 KR101355772 B1 KR 101355772B1 KR 1020130119977 A KR1020130119977 A KR 1020130119977A KR 20130119977 A KR20130119977 A KR 20130119977A KR 101355772 B1 KR101355772 B1 KR 10135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electronic device
plate
portable electronic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성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김상민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102013011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7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has a supporting function in the case.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uppor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which has open top and is being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upporting plate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 body is support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by rotating the supporting plate.

Description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케이스 자체에 거치기능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on the case itself.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을 비롯한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들은 휴대 전자기기 외에 관련 액세서리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중에서도 고가의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스크래치 생기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케이스는 필수품목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취향에 따라 범퍼케이스나 플립형 케이스 등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been widely used. In addition, user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showing considerable interest in related accessories in addition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hich forms a trend. Among these accessories, a protective case that protects expensive electronic devices from external shocks and prevents scratches or damage is used as an essential item, and consumers select and use bumper cases or flip-type cases according to taste.

아울러,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하지 않고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며,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도 상당히 다양한 종류가 시판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a desk or table without carrying it, a separate holder is required, and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is marketed in various kinds.

그런데, 가정이나 사무실 등 항시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는 곳은 문제가 없지만, 그 외의 장소에는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항상 거치대를 들고다녀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 휴대 전자기기의 케이스에는 별도의 거치기능이 없기 때문이다.By the way, there is no problem in the place where the cradle is always provided, such as home or offic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should always carry the cradle because the cradle is not provided in other places. This is because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es not have a separate mou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기능과 거치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apable of implementing both a protective function and a mounting fun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ody is formed in an open top and includes a body to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tted and coupled, and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 body by rotating the mounting plat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외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회동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the body has a guide groove tha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the mounting plate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body It has a shaft portion that is detachab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mounting plate in the state that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은 원호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is made of an arc-shaped groov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내측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바디의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the inner end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is formed with a projection protrusion, the inner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body may be engaged.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body has a sliding groove which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but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the mounting plate has a slid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to slide Can b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슬라이딩 홈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양단과 상기 제2걸림돌기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2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바디의 제2걸림돌기를 넘어서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a pair of second catches between both ends and the second catching projections are formed by projecting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both en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A groove is formed, and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mounting plate may be lock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of the body.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외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body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the SIM chip on the outer surfac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내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mounting plate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the SIM chip on the inner surfac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일측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body may form an open form one en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방 개방부를 덮도록 하방 외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ody having a form that is open and up and down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body having a plate attach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to cover the lower opening of the frame, It can also be achieved by providing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the mounting plate is rotated so that the body is supported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외면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상기 안착부에 인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홈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홈을 갖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홈 및 제2홈이 원호형상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되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회동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the frame of the body has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plate is seated and the first longitudinally formed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on one side end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It has a groove, the plate has a second groove formed in one longitudinal end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arcuate in the state that the plat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frame A guide groove is formed, and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to protru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n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is detachable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It has a shaft portion that is fitted and coupled,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plate values.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홈 또는 상기 바디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홈의 내측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걸림돌기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ed in the frame of the body or the second groove formed in the plate of the body Engag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locking groov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frame or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plate may be engaged.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프레임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frame of the body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has a sliding groove formed in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the mount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frame of the body is sliding It may have a sliding protrusion.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슬라이딩 홈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양단과 상기 제2걸림돌기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2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제2걸림돌기를 넘어서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a pair of second catches between both ends and the second catching projections by forming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both en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of the frame. A groove is formed, and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mounting plate may be lock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of the fram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플레이트는 일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plate of the body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SIM chip on one surfac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내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mounting plate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the SIM chip on the inner surfac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프레임은 일측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frame of the body may form a form that one side is open.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내측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서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body further comprises an inner frame that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pen form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upl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the inner frame, Is coupled to wrap around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frame may be coupled to wrap around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외면과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mounting plate may be formed to be curve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이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플레이트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body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by rotating the mounting plat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late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lat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플레이트는 타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타면과 대향하는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회동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body plate has a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ther surface, the mounting plate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It has a shaft portion detachab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mounting plate in the state that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은 원호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is made of an arc-shaped groov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의 내측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protruding protrusions formed,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On both inner ends,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body plate may be engag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에 의해 케이스 자체에 거치기능이 구비됨으로써, 보호기능과 거치기능이 모두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function is provided on the case itself by a mounting plate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both the protection function and the mount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바디에 원호형상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거치플레이트에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의 샤프트부를 형성함으로써, 거치플레이트를 바디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arc-shaped guide groove in the body and a columnar shaft portio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in the mounting plate, the mounting plate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body.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바디와 거치플레이트에 각각 수납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 등을 수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and the mounting plate, respectively, to accommodate a card, a business card, a battery or a SIM chi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거치플레이트가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된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 등을 쉽게 꺼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plate is slidable in the state coupled to the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take out the stored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SIM chip.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거치플레이트를 보인 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거치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보인 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1는 도 20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2은 도 20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거치플레이트를 보인 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바디의 평면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plate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5 to 7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plate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7.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0; FIG.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0;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plate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FIG. 25 is a plan view of a body of th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3; FIG.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3;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 전자기기의 예시로 핸드폰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태블릿피씨, MP3, PMP 등 모든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종 전자기기가 포함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For reference, in relation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is applied as an exampl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te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included.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를 포함하며, 바디(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200)를 회동시켜 바디(100)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7,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nd the mounting plate 200, and rotates the mounting plate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0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100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여기에서, 바디(100)는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바디(100)에 휴대 전자기기(1)가 끼워져 결합되며, 바디(100)는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과 측면 테두리를 감싸면서 보호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디(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바디(100)는 일측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에 기존의 플립형 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바디를 끼워서 거치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body 100 forms an open top.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ody 100, and the body 100 surrounds and protects the back and side edg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lthough not shown, a co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As another example, the body 100 may have an open side, and in this case, the body 100 may have a mounting function by inserting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flip cover is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바디(100)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10)을 갖는다. 여기에서, 바디(100)의 외면은 휴대 전자기기(1)가 끼워지는 내측의 반대쪽 면을 의미한다. 이 경우,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외면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가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디(100)의 외면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바디(100)의 외면 양측에 가이드홈(110)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body 100 has a guide groove 1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mean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nner side to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fitted.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ure 2, although not shown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have. Hereinafter, the guide grooves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또한,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은 원호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홈(110)의 입구는 가이드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made of an arc-shaped groove, in this case, the inlet of the guide groove 110 may be narrowly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110. .

한편, 바디(100)는 외면에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130)를 가질 수 있는데, 바디(100)의 수납홈부(130)에는 카드(10)나 명함이 수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나 유심칩의 수납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100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130 formed in the outer surface, the accommodating groove 130 of the body 100 may be stored in the card 10 or business card, in some cases, the battery You can also store SIM chips.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10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100)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샤프트부(210)를 가지며, 샤프트부(210)는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는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하다.Mounting plate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for this purpose, the mounting plate 200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210) Has a shaft portion 210 is fitted detachab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ccordingly,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대응되도록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 양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디(100)의 외면 일측에만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 일측에만 샤프트부(21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 타측이 바디(100)의 외면 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예컨대 바디(100)의 외면 타측 또는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 타측에 점착수단을 부착하는 방식이나, 또는 바디(100)의 타측과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 타측에 서로 요철결합되는 돌기 및 홈을 형성하는 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0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ure 2, or one side It may also be formed only. Although not shown, when the guide groove 110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shaft portion 210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0,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Remov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for example, the method of attaching the adhesive means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or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200, or the other side and the mounting plate of the body 100 Various methods are applicable, including a method of forming protrusions and grooves that are unevenly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200.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평상시에는 거치플레이트(200)가 바디(100)의 외면과 결합되어 평행을 이루는 밀착상태가 된다.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formed in an arc shape. Therefor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nd usually the mounting plate 20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form a parallel It is in close contact.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양측 샤프트부(210)는 각각 바디(100)의 양측 가이드홈(110)으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기 때문에, 거치플레이트(200)의 양측 샤프트부(210) 중 어느 한쪽의 샤프트부를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서 분리하면 거치플레이트(200)가 다른 한쪽의 샤프트부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입구는 가이드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좁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결합된 후에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외력을 가하여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를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both shaft portions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separated from both guide grooves 110 of the body 100, either one of both shaft portions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Removing the shaft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rotated to the shaft portion of the other shaft. As described above, the inlet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narrowly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110, which is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This is to prevent the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Therefor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거치플레이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230)를 가질 수 있는데, 수납홈부(230)에는 카드(10)나 명함 또는 배터리나 유심칩 등이 수납될 수 있다.The mounting plate 200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230 formed in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 3,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230 may store a card 10, a business card, a battery, a SIM chip, or the like. have.

한편,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가이드홈(110) 내부에서 가이드홈(1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를 바디(100)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바디(100)의 외면 일부가 노출되고 이와 더불어 바디(100)에 수납된 카드(10)나 명함 등이 노출되므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를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서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바디(100)에 수납된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110 in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from the body 100 to one side,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is exposed, and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body 100 is exposed, and thus the mounting plate 200 is exposed. Even i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200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body 100 may be withdrawn.

또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내측 양단에 걸림돌기(120)가 형성되고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내측 양단에 걸림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20)가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22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200)의 임의의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고, 거치플레이트(200)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20)가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22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200)의 임의의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를 슬라이딩 시킨 다음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할 때 거치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in this case to the inner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 locking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and locking grooves 220 may be formed at both inner ends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engaging protrusion 120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By engaging the engaging groove 220 formed at one end, any sliding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prevente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to one side. The engaging projection 120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2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engaged by the sliding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prevented. Therefore, when the sliding plate 200 is slid, the flow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prevented when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is withdrawn.

거치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다른 예로,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은 양단이 막히지 않고 관통된 형태로 형성하며, 바디(100)의 외면에 가이드홈(110)과 평행한 슬라이딩 홈(160)을 형성하고,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에 슬라이딩 홈(16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2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은 가이드홈(11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가이드홈(11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가이드홈(1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는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지만, 슬라이딩 돌기(260)가 바디의 슬라이딩 홈(160)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된다.As another example for limiting the sliding degree of the mounting plate 200, as shown in Figures 23 to 26, the length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long, the guide of the body 100 The groove 110 is formed in a penetrating form without being blocked at both ends, and forms a sliding groove 160 parallel to the guide groove 11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slid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0 The sliding protrusion 260 inserted into the 160 may be slid. In this case,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110 and adjacent to the guide groove 110, in particular formed of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110. Accordingly,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sli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sliding the shaft portion 210 in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but the sliding protrusion 260 is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Since it can be moved, its sliding distance is limited.

이 경우,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162)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 양단과 제2걸림돌기(162)의 사이에는 한 쌍의 제2걸림홈(164)이 형성된다.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돌기는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다가 제2걸림돌기(162)에 접촉하게 되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외력이 더 가해지면 슬라이딩 돌기(260)가 제2걸림돌기(162)를 넘어서 제2걸림홈(164)에 걸림고정된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를 슬라이딩시킨 다음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하고자 할 때 거치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162 spaced apart from both en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and thus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160 are formed. A pair of second catching grooves 164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catching protrusion 162. In this case,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inside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62,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further applied in the sliding direction, the sliding protrusion ( 260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64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162. Therefore, when the sliding plate 200 is slid and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is to be withdrawn, the flow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prevented.

한편, 바디(1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PC)를 비롯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거나, 고무(Rubber)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거치플레이트(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100 may be injection 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polycarbonate (PC) or injection molded with a rubber (Rubber) material, and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injection 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는 별도로 성형되며, 바디(100)의 외면에 거치플레이트(200)를 끼워서 결합하면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조립이 완료된다.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에는 각각 카드(10),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 등을 수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드(10) 등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플레이트(200)를 바디(100)에서 슬라이딩 시키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플레이트(200)를 회동시킨 다음 카드(10) 등을 꺼내면 된다. 또한, 바디(100)에 휴대 전자기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경사지게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플레이트(200)를 바디(100)에서 회동시킨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시키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200)에 의해 케이스 자체에 거치기능이 구비되며, 또한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거치플레이트(200)를 결합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assembly method and the use state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2, the body 100 and the mounting plate 200 are separately formed, and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assembly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mpleted. The body 100 and the mounting plate 200 may each store a card 10, a business card, a battery, or a SIM chip, and when the card 10 is to be withdrawn, the holder is mounted as shown in FIG. 5. The plate 200 may be slid from the body 100 or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rotated as shown in FIG. 6, and then the card 10 may be removed.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nclinedly mounted whi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rotated in the body 100 and then mounted as shown in FIG. 7. . As such,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function on the case itself by a mounting plate 200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0, and also the body 100 and the mounting plate. Since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200 is easy, the user can easily combine and detach the mounting plate 200.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를 포함하며, 바디(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200)를 회동시켜 바디(100)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8 to 10,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nd the mounting plate 200, and rotates the mounting plate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0 The body 100 is to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여기에서, 바디(1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바디(100)가 하나의 성형물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프레임(100a)과 플레이트(1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0a)은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데, 프레임(100a)에 휴대 전자기기(1)가 끼워져 결합되며, 프레임(100a)은 휴대 전자기기(1)의 측면 테두리를 감싸면서 보호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디(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00b)는 바디(100)의 하방 개방부를 덮도록 하방 외면에 부착된다. 즉, 바디(100)는 프레임(100a) 및 플레이트(100b)를 별도로 성형한 후 부착시키는 형태가 되며, 이를 위해 프레임(100a)은 플레이트(100b)가 안착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내측으로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140a)를 가지며, 프레임(100a)의 안착부(140a)에 플레이트(100b)가 안착되어 부착된다. 이 경우, 프레임(100a)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플레이트(100b)도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Here, the body 100 includes a frame 100a and a plate 100b, unlike the body 100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of one molding. The frame 100a has an upper and lower shape that is open,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fitted into the frame 100a to be coupled and the frame 100a surrounds and protects the side edg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Done. Although not shown, a co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The plate 100b is attach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to cover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100. That is, the body 100 is formed by attaching the frame 100a and the plate 100b separately and attaching them to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frame 100a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plate 100b can be seated. It has a seating portion 140a protruding, and the plate 100b is seated and attached to the seating portion 140a of the frame 100a. In this case, the frame 100a may be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and the plate 100b may also be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바디(100)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10)을 갖는데, 가이드홈(110)의 형성을 위해 프레임(100a) 및 플레이트(100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홈(110a) 및 제2홈(110b)을 갖는다. 즉, 바디(100)의 프레임(100a)은 외면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홈(110a)을 가지며, 제1홈(110a)은 안착부(140a)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또한, 플레이트(100b)는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홈(110b)을 갖는다. 이 경우, 플레이트(100b)가 바디(100)의 안착부(140a)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디(100)의 제1홈(110a)과 플레이트(100b)의 제2홈(110b)은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을 이루는 가이드홈(110)을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입구는 가이드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Body 100 has a guide groove 1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he frame 100a and the plate 100b for forming the guide groove 1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10a and the second groove 110b. That is, the frame 100a of the body 100 has a first groove 110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or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groove 110a is formed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140a. In addition, the plate (100b) has a second groove (110b)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r both ends. In this case, in the state where the plate 100b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40a of the body 100, the first groove 110a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groove 110b of the plate 100b generally have an arc shape. It is to form a guide groove 110 forming a. For reference, an inlet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narrowly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110.

한편, 바디(100)의 플레이트(100b)는 외면에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130b)를 가질 수 있는데, 플레이트(100b)의 수납홈부(130b)에는 카드(10),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 등이 수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100b of the body 100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130b formed in the outer surface. The accommodating groove 130b of the plate 100b includes a card 10, a business card, a battery, or a SIM chip. This can be stored.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10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100)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샤프트부(210)를 가지며, 샤프트부(210)는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는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하다.Mounting plate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for this purpose, the mounting plate 200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210) Has a shaft portion 210 is fitted detachab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ccordingly,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대응되도록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 양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0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ure 2, or one side It may also be formed only.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평상시에는 거치플레이트(200)가 바디(100)의 외면과 결합되어 평행을 이루는 밀착상태가 된다.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formed in an arc shape. Therefor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nd usually the mounting plate 20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form a parallel It is in close contact.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양측 샤프트부(210)는 각각 바디(100)의 양측 가이드홈(110)으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기 때문에, 거치플레이트(200)의 양측 샤프트부(210) 중 어느 한쪽의 샤프트부를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서 분리하면 거치플레이트(200)가 다른 한쪽의 샤프트부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입구는 가이드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좁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결합된 후에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외력을 가하여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를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both shaft portions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separated from both guide grooves 110 of the body 100, either one of both shaft portions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Removing the shaft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rotated to the shaft portion of the other shaft. As described above, the inlet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narrowly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110, which is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This is to prevent the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Therefor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거치플레이트(200)는 카드(10),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부(230)를 가질 수 있다.The mounting plate 200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230 for accommodating a card 10, a business card, a battery, or a SIM chip.

한편,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디(100)의 가이드홈(110) 내부에서 가이드홈(1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를 바디(100)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바디(100)의 외면 일부가 노출되고 이와 더불어 바디(100)에 수납된 카드(10)나 명함 등이 노출되므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를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서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바디(100)에 수납된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110 inside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from the body 100 to one side,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is exposed, and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etc. stored in the body 100 are exposed. Even i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200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body 100 may be withdrawn.

또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내측 양단에 걸림돌기(120a)가 형성되고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내측 양단에 걸림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20a)는 프레임(100a)의 제1홈(110a)의 내측 양단 또는 플레이트(100b)의 제2홈(110b)의 내측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20a)가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22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200)의 임의의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고, 거치플레이트(200)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20a)가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22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200)의 임의의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를 슬라이딩 시킨 다음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할 때 거치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in this case to the inner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A locking protrusion 120a may be formed, and locking grooves 220 may be formed at both inner ends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The locking protrusion 120a may be formed at both inner ends of the first groove 110a of the frame 100a or at both inner ends of the second groove 110b of the plate 100b.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locking protrusion 120a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By engaging the engaging groove 220 formed at one end, any sliding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prevente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to one side. The engaging projection 120a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2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engaged by any sliding of the mounting plate 200. Therefore, when the sliding plate 200 is slid, the flow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prevented when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is withdraw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대동소이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ate of use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를 포함하며, 바디(100)는 프레임(100a)과 플레이트(100b)를 포함한다.11 and 12,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nd a mounting plate 200, the body 100 includes a frame 100a and a plate 100b.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의 프레임(100a)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프레임(100a)에 따른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echnical features and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ame 100a of the body 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onl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rame 100a will be described here and the rest 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바디(100)의 프레임(100a)은 일측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이는 휴대 전자기기에 기존의 플립형 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의 플립형 커버(2)가 결합된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이 바디(100)의 프레임(100a)에 끼워 결합한 경우, 바디(100)의 프레임(100a)의 일측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립형 커버의 회동이 가능해진다.The frame 100a of the body 100 forms a form in which one end is opened. This is intended to be used even in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flip cover is coupl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to which the conventional flip cover 2 is coupled is fitted to the frame 100a of the body 100, one side end of the frame 100a of the body 100 is opened. As a result, the flip cover can be rotated.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와 거치플레이트(200)를 포함하며, 바디(100)는 프레임(100a), 플레이트(100b) 및 내측프레임(100c)를 포함한다.13 to 16,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nd a mounting plate 200, the body 100 is a frame 100a, a plate 100b and an inner frame (100c).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기술적 특징이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technical features a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body 100. Since it is so, only the differences are explained here and the rest of the description is omitted.

바디(100)의 프레임(100a)과 내측프레임(100c)은 각각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휴대 전자기기(1)는 바디(100)의 프레임(100a)에 바로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내측프레임(100c)에 먼저 끼워져 결합되며, 휴대 전자기기(1)가 결합된 내측프레임(100c)이 프레임(100a)에 끼워져 결합된다.The frame 100a and the inner frame 100c of the body 100 form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not directly fitted to the frame 100a of the body 100, bu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inner frame 100c first, and the inner frame 100c to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coupled is a frame ( Fitted into 100a).

내측프레임(100c)은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감싸도록 결합되며 휴대 전자기기(1)의 측면 테두리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00a)은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에서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측 프레임(100a)의 측면 테두리를 감싸게 된다.The inner frame 100c is coupled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urrounds the sid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The frame 100a is coupled to sur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nd surrounds the side edge of the inner frame 100a.

이 경우, 내측프레임(100c)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고무 재질인 경우에는 직접 접촉되는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스크래치 방지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프레임(100a)도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성형될 수 있는데, 케이스의 외관 형태 유지 및 플레이트(100b)와의 부착성 등을 위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ner frame 100c may be molded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 the case of rubber material, the efficiency of shock absorption and scratch prevention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rectly contacted may be maximized. The frame 100a may also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100a is made of synthetic resin in order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case and adhere to the plate 100b.

이처럼, 바디(100)가 프레임(100a)과 내측프레임(100c)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해 휴대 전자기기의 결합이나 분리가 더욱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body 1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into the frame 100a and the inner frame 100c,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upling or sepa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easier than the structure consisting of one frame. .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플레이트(200)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과 바디(100)의 외면 사이에 공간부(250)가 형성되며, 공간부(250)에는 이어폰 등의 일정 부피를 차지하는 것들이 수납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6,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formed to be curved. Accordingly, the space 25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unit 250 may accommodate things that occupy a certain volume, such as earphones.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플레이트(100d)와 거치플레이트(200)를 포함하며, 바디플레이트(100d)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200)를 회동시켜 바디플레이트(100d)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19.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late (100d) and the mounting plate 200, the mounting plate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late (100d) Rotating so that the body plate 100d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여기에서, 바디플레이트(100d)는 휴대 전자기기(1)의 측면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가 아니라, 일면이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이 바디플레이트(100d)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고, 이와 달리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이 바디플레이트(100d)의 일면에 부착된 점착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바디플레이트(100d)는 통상의 휴대 전자기기의 배터리 커버일 수도 있다. 바디플레이트(100d)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ody plate (100d) is not a form surrounding the sid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one side is a form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fitted into and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late 100d. It may b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attached by an adhesive means (not shown)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late (100d). In addition, the body plate 100d may be a battery cover of a gener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body plate 100d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바디플레이트(100d)는 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10)을 갖는다. 이 경우, 가이드홈(110)은 원호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홈(110)의 입구는 가이드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플레이트(100d)는 타면에 카드(10),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부(130)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plate 100d has a guide groove 1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urface.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 110 may be formed as an arc-shaped groove, the inlet of the guide groove 110 may be narrowly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110). On the other hand, the body plate 100d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130 for accommodating a card 10, a business card, a battery, or a SIM chip on the other surface.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타면과 대향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샤프트부(210)를 가지며, 샤프트부(210)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는 샤프트부(210)가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하다.The mounting plate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100d. For this purpose, the mounting plate 200 has a shaft por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late 100d opposit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100d. 210, the shaft portion 210 is detachably fitted and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Accordingly,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평상시에는 거치플레이트(200)가 바디플레이트(100d)의 타면과 결합되어 평행을 이룬 상태로 밀착된다.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having an arc shape. Therefore,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and the mounting plate 200 is usual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100d in parallel. Close contact with the state achieved.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양측 샤프트부(210)는 각각 바디플레이트(100d)의 양측 가이드홈(110)으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기 때문에, 거치플레이트(200)의 양측 샤프트부(210) 중 어느 한쪽의 샤프트부를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에서 분리하면 거치플레이트(200)가 다른 한쪽의 샤프트부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both shaft portions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separated from both guide grooves 110 of the body plate 100d, any one of both shaft portions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separated. When the one shaf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pivoted on the other shaft portion.

거치플레이트(200)는 카드(10)나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면에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230)를 가질 수 있다.The mounting plate 200 may have an accommodating groove 230 formed in the inner surface to accommodate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한편,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 내부에서 가이드홈(1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를 바디플레이트(100d)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바디플레이트(100d)의 타면 일부가 노출되고 이와 더불어 바디플레이트(100d)에 수납된 카드(10)나 명함 등이 노출되므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를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에서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바디플레이트(100d)에 수납된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110 in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from the body plate 100d to one side, a part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100d is exposed, and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body plate 100d is exposed. Even i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body plate 100d may be withdrawn.

또한,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가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의 내측 양단에 걸림돌기(120)가 형성되고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내측 양단에 걸림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가 바디플레이트(100d)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20)가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22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200)의 임의의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고, 거치플레이트(200)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바디플레이트(100d)의 가이드홈(11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20)가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22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200)의 임의의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를 슬라이딩시킨 다음 카드(10)나 명함 등을 인출할 때 거치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in this case the inner side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The locking protrusions 1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locking grooves 220 may be formed at both inner ends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ody plate 100d, the engaging protrusion 120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is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By engaging the engaging groove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can be prevented any sliding of the mounting plate 200,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plate 100d when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to one side By engaging the engaging projection 1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groove 2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any sliding of the mounting plate 200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sliding plate 200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when the card 10 or the business card is withdrawn after sliding.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플레이트(100d), 거치플레이트(200) 및 커버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20 to 22,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late 100d, a mounting plate 200 and a cover plate 300.

여기에서, 바디플레이트(100d) 및 거치플레이트(2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바디플레이트(100d) 및 거치플레이트(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커버플레이트(300)는 바디플레이트(100d)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휴대 전자기기(1)의 전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Here, the body plate 100d and the mounting plate 2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dy plate 100d and the mounting plate 200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ver plate 30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late 100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플립형 케이스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며, 기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lip type case, and other technical features may be appli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Bars will not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바디(100) 및 거치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23 to 26,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nd a mounting plate 200.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거치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조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기술적 특징이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에 관하여서만 설명하기로 한다.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for limiting the sliding degree of the mounting plate 200 Since the case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similar, only the differences in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here.

우선, 바디(100)는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60)을 갖는다. 그리고 거치플레이트(200)는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갖는다. 이 경우,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162)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양단과 제2걸림돌기(162)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2걸림홈(16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거치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돌기(260)는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제2걸림돌기(162)를 넘어서 제2걸림홈(164)에 걸림고정된다.First, the body 100 has a sliding groove 16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 but shorter than the guide groove (). And the mounting plate 200 has a sliding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to slide. In this case, a pair of second locking protrusions 16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so that both ends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162 are formed. A pair of second locking grooves 164 are formed in the groove. Accordingly, the sliding protrusion 26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64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162 while sliding in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거치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샤프트부(210)의 길이를 짧게 하고 바디(100)의 가이드홈()에 걸림돌기()를,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에 걸림홈()을 형성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달리, 거치플레이트(200)의 샤프트부(21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은 양단이 막히지 않고 관통된 형태로 형성하며, 바디(100)의 외면에 가이드홈(110)과 평행한 슬라이딩 홈(160)을 형성하고, 거치플레이트(200)의 내면에 슬라이딩 홈(16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260)를 형성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length of the shaft portion 210 and restricts the sliding degree of the mounting plate 200 to the guide groove () of the body 100.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 is formed in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the length of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lengthened.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is formed in a form through which both ends are not blocked, and forms a sliding groove 160 parallel to the guide groove 11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sliding protrusion 26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6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200 to slide.

이 경우,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은 가이드홈(11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가이드홈(11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가이드홈(1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는 샤프트부(210)가 바디(100)의 가이드홈(110)에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지만, 슬라이딩 돌기(260)가 바디의 슬라이딩 홈(160)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된다.In this case,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110 and adjacent to the guide groove 110, in particular formed of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110. Accordingly,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sli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sliding the shaft portion 210 in the guide groove 110 of the body 100, but the sliding protrusion 260 is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Since it can be moved, its sliding distance is limited.

아울러,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162)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 양단과 제2걸림돌기(162)의 사이에는 한 쌍의 제2걸림홈(164)이 형성된다. 이 경우, 거치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돌기는 바디(100)의 슬라이딩 홈(16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다가 제2걸림돌기(162)에 접촉하게 되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외력이 더 가해지면 슬라이딩 돌기(260)가 제2걸림돌기(162)를 넘어서 제2걸림홈(164)에 걸림고정된다. 따라서 거치플레이트(200)를 슬라이딩시킨 다음 카드나 명함 등을 인출하고자 할 때 거치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16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thereby forming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160. A pair of second locking grooves 164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162. In this case,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slid inside the sliding groove 160 of the body 10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62,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further applied in the sliding direction, the sliding protrusion ( 260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64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162. Therefore, when the sliding plate 200 is slid and the card or business card is to be withdrawn, the flow of the mounting plate 200 may be prevented.

참고로, 미설명된 부호 190은 바디(100)의 내면에 부착되는 천 또는 가죽 재질의 내피를 가리키는 것이다.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190 that is not described refers to the inner skin of the cloth or leather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바디 100a : 프레임
100b : 플레이트 100c : 내측프레임
100d : 바디플레이트 110 : 가이드홈
110a : 제1홈 110b : 제2홈
120, 120a : 걸림돌기 130, 130b : 수납홈부
140a : 안착부 160 : 슬라이딩 홈
162 : 제2걸림돌기 164 : 제2걸림홈
200 : 거치플레이트 210 : 샤프트부
220 : 걸림홈 230 : 수납홈부
250 : 공간부 260 : 슬라이딩 돌기
300 : 커버플레이트
100: body 100a: frame
100b: plate 100c: inner frame
100d: body plate 110: guide groove
110a: first groove 110b: second groove
120, 120a: locking projection 130, 130b: receiving groove
140a: seating portion 160: sliding groove
162: second locking projection 164: second locking groove
200: mounting plate 210: shaft portion
220: locking groove 230: storage groove
250: space 260: sliding projection
300: cover plate

Claims (29)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는 외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upper body forms an open form, the body is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 includes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by rotating the mounting plate to support the body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body has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the mounting plate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is removable in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And a shaft portion coupled to each other,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wherein the mounting plate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은 원호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is made of an arc-shaped groov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내측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바디의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and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rotruding engaging projections, and both ends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body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to be coupl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has a sliding groove which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but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and the mounting plate has a sliding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and has a sliding protrusion that slides. Hav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슬라이딩 홈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양단과 상기 제2걸림돌기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2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바디의 제2걸림돌기를 넘어서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6,
A pair of second catch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respectively, so that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between the both ends and the second catching protrusions, respectively.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of the body.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는 외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upper body forms an open form, the body is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 includes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by rotating the mounting plate to support the body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body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SIM chip on the outer surface.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내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upper body forms an open form, the body is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 includes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by rotating the mounting plate to support the body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mounting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eiving groove that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SIM chip on the inner surface.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는 일측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upper body forms an open form, the body is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 includes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by rotating the mounting plate to support the body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body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formed in an open form.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방 개방부를 덮도록 하방 외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 body having an upper and a lower open shape and a frame to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tted and coupled, and a plate attached to a lower outer surface to cover the lower opening of the frame;
And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mounting plate is pivoted so that th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외면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상기 안착부에 인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홈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홈을 갖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홈 및 제2홈이 원호형상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되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frame of the body has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plate is seated and a first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at one side end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The plate has a second groove formed in one longitudinal end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forms an arc-shaped guide groove in the state that the plat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frame The mounting plate has a shaft which protru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n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llar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is detachab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And a rotation of the mounting plate whil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Cell electromagnetic case appointed with the mounting feature, characterized in that a.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2,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홈 또는 상기 바디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홈의 내측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걸림돌기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both inner ends of the first groove formed in the frame of the body or the second groove formed in the plate of the body and And a locking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frame o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plate may be engage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프레임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frame of the body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has a sliding groove formed in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the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frame of the body sli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슬라이딩 홈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양단과 상기 제2걸림돌기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2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제2걸림돌기를 넘어서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6. The method of claim 15,
A pair of second catch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of the frame, respectively, so that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between the both ends and the second catching protrusions, respectively.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of the fram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플레이트는 일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ate of the body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a card, a business card, a battery or a SIM chip on one surf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내면에 카드, 명함, 배터리 또는 유심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수납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unting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eiving groove that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card, business card, battery or SIM chip on the inner surf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프레임은 일측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frame of the body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formed in an open form.
청구항 1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내측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서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8,
The body further comprises an inner frame that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pen form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upl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the inner frame is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pled to wrap in the cas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wrap around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면과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9,
The mounting plat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일면이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바디플레이트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 body plate having one surface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d a moun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wherein the mounting plate is pivoted so that the body plate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a cover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late, the cover plate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22 또는 23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는 타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타면과 대향하는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2 or 23,
The body plate has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ther surface, the mounting plate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late,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And a shaft portion detachab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guide plate of the body plate, wherein the mounting plate is rotatable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은 원호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7. The method of claim 24,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is made of an arc-shaped groove,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의 내측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샤프트부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is made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and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late protruding projections, and the inner side of the shaft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of the body plat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can be engaged.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body plate has a sliding groove which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groove, and the mounting plate has a sliding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plate and slides inside the sliding groov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슬라이딩 홈의 내부 양단에는 각각 양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양단과 상기 제2걸림돌기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2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제2걸림돌기를 넘어서 상기 제2걸림홈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9. The method of claim 28,
A pair of second catch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plate, respectively, so that a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between both ends and the second catching protrusions. The sliding protrusion of the mount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beyo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of the body plate,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KR1020130119977A 2013-10-08 2013-10-08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KR101355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977A KR101355772B1 (en) 2013-10-08 2013-10-08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977A KR101355772B1 (en) 2013-10-08 2013-10-08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772B1 true KR101355772B1 (en) 2014-02-03

Family

ID=5026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977A KR101355772B1 (en) 2013-10-08 2013-10-08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772B1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17B1 (en) * 2014-04-10 2014-09-18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equipped with card pocket
KR200475833Y1 (en) 2014-06-30 2015-01-07 서진원 a mobilephone case of card receiving space
KR101519978B1 (en)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101530212B1 (en) * 2014-04-15 2015-06-22 고재송 Mobilephone protective case
KR101568165B1 (en) *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83943B1 (en) * 2014-06-18 2016-01-12 김재성 Case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KR20160007004A (en) * 2014-07-10 2016-01-20 김진우 Smartphone case
KR101588222B1 (en) * 2015-02-02 2016-01-25 주식회사아리움 Mobile Phone Case
KR20160068678A (en)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60094067A (en) *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al device having two-pieces detachable batterry cover structure
KR200482934Y1 (en) * 2015-10-06 2017-03-17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Cellular phone sliding case
KR101734375B1 (en) * 2016-11-03 2017-05-11 차지호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02310U (en)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Smartphone case for card storage
KR20180049770A (en) * 2017-02-06 2018-05-11 차지호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001459U (en) * 2016-11-08 2018-05-16 허홍만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KR200486580Y1 (en) * 2016-06-23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스픽 This mobile phone card storage available semi-automatic slide case
US11262810B2 (en) 2020-03-27 2022-03-0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ior panel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36Y1 (en) * 2012-07-11 2012-11-15 이홍관 A protection case of cellular phone
KR20120134364A (en)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하이맥 Protector for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364A (en)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하이맥 Protector for portable device
KR200463636Y1 (en) * 2012-07-11 2012-11-15 이홍관 A protection case of cellular phone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17B1 (en) * 2014-04-10 2014-09-18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equipped with card pocket
KR101530212B1 (en) * 2014-04-15 2015-06-22 고재송 Mobilephone protective case
KR101568165B1 (en) *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83943B1 (en) * 2014-06-18 2016-01-12 김재성 Case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KR200475833Y1 (en) 2014-06-30 2015-01-07 서진원 a mobilephone case of card receiving space
KR101671836B1 (en) * 2014-07-10 2016-11-03 김진우 Smartphone case
KR20160007004A (en) * 2014-07-10 2016-01-20 김진우 Smartphone case
KR101519978B1 (en)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101863659B1 (en) * 2014-12-05 2018-06-0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863633B1 (en) * 2014-12-05 2018-06-0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60068678A (en)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60068679A (en)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60094067A (en) *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al device having two-pieces detachable batterry cover structure
KR102340218B1 (en) * 2015-01-30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ical device having two-pieces detachable batterry cover structure
KR101588222B1 (en) * 2015-02-02 2016-01-25 주식회사아리움 Mobile Phone Case
KR200482934Y1 (en) * 2015-10-06 2017-03-17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Cellular phone sliding case
KR20170002310U (en)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Smartphone case for card storage
KR200486580Y1 (en) * 2016-06-23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스픽 This mobile phone card storage available semi-automatic slide case
KR101734375B1 (en) * 2016-11-03 2017-05-11 차지호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001459U (en) * 2016-11-08 2018-05-16 허홍만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KR20180049770A (en) * 2017-02-06 2018-05-11 차지호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78912B1 (en) * 2017-02-06 2018-07-16 차지호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262810B2 (en) 2020-03-27 2022-03-0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ior panel thereof
TWI775359B (en) * 2020-03-27 2022-08-21 日商索尼互動娛樂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ior panel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72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KR101568165B1 (en)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US9031623B2 (en) Cellular phone case
US1017780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20140097102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versible retaining clip
EP2887179B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40077245A (en) Card Receiving For Handphone Case
KR101348712B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101464254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US9128667B2 (en) Protective cover for slot and screen of mobile terminal
KR101464707B1 (en) Cell Phone case including function to protect front
KR200479106Y1 (en) Multi-purpose pouch for a cellular phone
KR200481246Y1 (en) Sliding type phone case
KR101946952B1 (en) Mobile phone case
KR101480872B1 (en) Mobile Phone Case With Folding Type Cover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KR200487743Y1 (en) Versatile storage case
KR200474127Y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40346B1 (en) Mobile phone case for receiving a traffic card
KR200483415Y1 (en) Case for mobile phone
KR101303345B1 (en)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KR20130005319U (en) Flip type mobile case
KR20150001869U (en) Portable terminal case with storage room and mirror
KR102064509B1 (en) A portable terminal case equipped with anti-lock pads for stable posiotioning of porable terminals
KR200478580Y1 (en) Portable terminal case for taking out card easi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