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492B1 -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492B1
KR101355492B1 KR1020130139870A KR20130139870A KR101355492B1 KR 101355492 B1 KR101355492 B1 KR 101355492B1 KR 1020130139870 A KR1020130139870 A KR 1020130139870A KR 20130139870 A KR20130139870 A KR 20130139870A KR 101355492 B1 KR101355492 B1 KR 10135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humidifier
front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준식
Original Assignee
임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식 filed Critical 임준식
Priority to KR102013013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4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humidifier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capable of: changing the dry indoor environment into a pleasant environment by supplying water and air cleaned using charcoal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ving an anti-bacterial effect and an air cleaning effect in addition to a humidification effect; and adjusting the humidity at low costs by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not needing electricity.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includes: a main body which includes a handle in the upper part and a water tank in the lower part; a pair of humidification units which are mounted onto the main body closely to each other and include a pair of accommodation spaces separate from each other where air can be circulated; a plurality of heat reserving panels each of which is accommodated in each accommodation space of the humidification space and is able to absorb water by being elastic and made of porous material; and charcoal which is accommodated in each accommodation space of the humidification unit and is in contact with the heat reserving panels. Each heat reserving panel has less number of foams, smaller size of foams, or wider intervals among foams as getting closer from the handle to the water tank.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Humidifi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으로 정화된 물과 공기를 주위에 공급함으로써 가습 작용 외에 항균 및 공기 정화 작용을 하여 건조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쉽고 저렴하게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supplying water and air purified with charcoal to the surroundings, in addition to the humidifying action, to act as an antibacterial and air purifying function to comfort the dry indoor environment as well as to provide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that can easily and inexpensively control humidit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not used.

비가 오지 않는 가을이나 겨울철, 특히 난방을 하는 건물의 실내는 매우 건조한데, 이렇게 건조한 환경은 인체의 피부에 아토피, 피부노화 등과 같은 트러블을 일으키고 감기, 비염 등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 쉽다.In autumn or winter, especially when the building is not heated, especially in a heated build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very dry. This arid environment can cause problems such as atopy and skin aging, and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old and rhinitis.

건조하거나 습한 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 사용되는 가습기의 종류로는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안개를 발생시켜 분무시키는 초음파 가습기가 있다. In order to improve a dry or humid indoor environment, it is common to use a humidifier that artificially generates and sprays moisture. Types of humidifiers that are commonly used include ultrasonic humidifiers that generate mist by spraying using a humidifier and ultrasonic waves.

그런데,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에는 물을 끓여 분무하여 초음파식 가습기에 비해서는 비교적 위생적인 편이지만, 화상의 위험성이 있으며, 전력 소비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음파 방식에 비해 분무량이 적어 가습 효과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a heated humidifier is relatively hygienic compared to the ultrasonic humidifier by boiling and spraying water, there is a risk of burns,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s larg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ray amount is low compared to the ultrasonic method, the humidification effect is slow.

또한,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물을 밀폐형 저수조에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저수조 내부는 각종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되어 많은 유해 미생물이 공기 중에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소비자는 물 공급시 세균억제용 약품 등을 투여하거나 가습기를 자주 세척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ultrasonic humidifier, it is common to store water in an airtight reservoir, and such a reservoir has a problem in which various harmful microorganisms are discharged into the air because it becomes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bacteria are easily breeding. Because of this, the consumer has to inconvenience the administration of water or bacteria for bacteria control or frequent humidifiers.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참숯 가습장치 및 참숯 가습장치가 설치된 분경장치"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숯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분경" 등에서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Thus, for example, "the charcoal humidifier and the charcoal humidifier is installe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air purifier using charcoa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nd the like to solve the problem.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 및 유지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uch as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are high by supplying and using power.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07989호(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807989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47200호
(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4720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숯으로 정화된 물과 공기를 주위에 공급함으로써 가습 작용 외에 항균 및 공기 정화 작용을 하여 건조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to comfort the dry indoor environment by providing antibacterial and air purification in addition to the humidification action by supplying the water and air purified with charcoal arou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쉽고 저렴하게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that can easily and inexpensively control humidit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at does not use electricity.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측에 수조가 형성되는 본체와; 한 쌍이 상하측으로 나뉘어 서로 이웃하도록 본체에 장착되고, 각각 공기가 유통 가능한 한 쌍의 수납공간이 서로 떨어져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가습수단과; 가습수단의 수납공간에 각각 수납되고, 탄성을 갖고 다공질로 이루어져 물의 흡수가 가능한 발포체가 다수 부착되는 보온패널; 및 가습수단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보온패널과 접하게 되는 숯; 을 포함하되, 보온패널은, 손잡이로부터 수조 방향으로 갈수록 발포체의 개수가 점차 줄어들거나, 발포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발포체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부착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the hand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body is formed with a water tank on the lower side; A humidifying means mounted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pair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ides and neighboring each other, and a pair of storage spaces through which air can flow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ulated panel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umidification means, the insulation panel is made of a porous and a plurality of foams that can absorb water; Charcoal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umidifying means and in contact with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Including, but the insulating panel is formed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foam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handle toward the water tank direction, the size of the foam is gradually reduced, or the space between the foam is widened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is provided.

가습수단은, 제1 전면판재와, 제1 전면판재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후면판재와, 제1 전면판재와 제1 후면판재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측면판재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전면판재와, 제2 전면판재와 같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후면판재와, 제2 전면판재와 제2 후면판재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측면판재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제2 케이스와; 한쪽은 제1 후면판재에 접하고, 다른 쪽은 제2 전면판재에 접하여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체; 및 제1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제1 연통공과, 제2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제2 연통공 및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제3 연통공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케이스의 상측과 하측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제1 및 제2 전면판재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에는,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공기공; 및 제1 공기공을 이루는 장공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을 갖는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공기공; 이 형성되되, 제1 공기공과 제2 공기공은 서로 이웃하여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umidifying means includes a first front plate, a first back plat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front plate, and a pair of first side plates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first back plate. A first case having a storage space provided therein; A second front plate member, a second back plate member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front plate member, and a pair of second side plate members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fron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back plate member to be housed inside A second case having a space; A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by contacting the first back plate and the other and contacting the second front plate;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cas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of the second case,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nd a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ase.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 including, but the first air ball made of a plurality of long holes so that air flows through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And a second air hole comprising a plurality of long holes havi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constituting the first air hole. Is formed, but the first air ball and the second air ball may be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staggered adjacent to each other.

제1 공기공의 둘레를 이루는 면에는 물저장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rface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ir hole may be configured to form a water storage groove.

수조에는, 본체가 놓여진 바닥측의 공기가 가습수단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공기유통부가 형성되고, 공기유통부의 말단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air flow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air on the bottom side on which the main body is placed is movable toward the humidifying means side, and the end of the air flow portion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의하면, 숯으로 정화된 물과 공기를 주위에 공급함으로써 가습 작용 외에 항균 및 공기 정화 작용을 하여 건조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water and air purified by charcoal to the surroundings, in addition to the humidification actio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the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e by antibacterial and air pur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쉽고 저렴하게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and inexpensive to control the humidity in a simple configuration that does not use electr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구성하는 본체와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와 가습수단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습수단 중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습수단 중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구성하는 본체와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main body and a humidifying means constituting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humidification means shown in FIG.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humidifying mean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umidifying mea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humidifying mean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umidifying mea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and a humidifying means constituting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구성하는 본체와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와 가습수단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습수단 중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습수단 중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main body and a humidifying means constituting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humidifying means shown in FIG. . And,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humidifying mean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umidifying mea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o decompose the humidifying mean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umidifying mea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크게 본체(100)와 가습수단(200), 보온패널(300) 및 숯(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100, a humidifying means 200, a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charcoal 400 do.

본체(100)는 상측에 손잡이(110)가 형성되고, 하측에 수조(120)가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며, 하기에 서술하는 가습수단(200) 내의 공간, 즉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102, 104)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통공(104)은 하기에 서술하는 덮개(240)의 제3 연통공(246)을 통해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다. 수조(120)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바닥에 지지된다. 본체(100)는 양측벽이 수조(120)의 한쪽말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일정 높이에서 하나로 합쳐져 손잡이(110)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가 수조(120)의 한쪽말단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므로,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수조(120)측에서 손잡이(110)측으로 갈수록 수조(120)의 다른쪽 말단측을 향해 일정 각도를 갖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main body 100 is a component in which a handle 110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water tank 120 is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a space in the humidification means 200 described below, that is,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02 and 104 communicate with the space between the cases 220 are formed.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10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46 of the cover 240 described below.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tank 1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contain water a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both side walls extend upward from one end of the water tank 120 and merge into one at an upper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the handle 110. Thus, sinc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be biased to one end side of the water tank 120, the angle toward the other end side of the water tank 120 toward the handle 110 side from the water tank 120 side so as not to fall easily. It is good to be formed to be inclined.

가습수단(200)은 한 쌍이 상하측으로 나뉘어 서로 이웃하도록 본체(10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가습수단(200) 각각은 공기가 유통 가능한 한 쌍의 수납공간(202)이 서로 떨어져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Humidification means 200 is a component tha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pair is divided up and down and neighboring each other. Each of the humidifying means 200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storage spaces 202 through which air can flow i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가습수단(200)은 크게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연결체(230) 및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humidifying means 200 includes a first case 210, a second case 220, a connector 230, and a cover 240.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 전면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후면측에 배치되고 제1 전면판재(212)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 그리고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측면판재(216, 226)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납공간(202)이 마련된다. 전면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보다 큰 폭을 갖게 형성되는 것은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의 양측말단이, 본체(100)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하여 본체(10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에는, 제1 및 제2 케이스(210, 220)의 수납공간(202)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즉,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공기공(204)과, 제1 공기공(204)을 이루는 장공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을 갖는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공기공(206)이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 공기공(204)과 제2 공기공(206)이 서로 이웃하여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가 특정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제1 공기공(204)만 있거나, 제2 공기공(206)만 있을 경우 이를 이루는 복수의 장공 형상에 따라 손쉽게 특정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는 제1, 제2 전면판재(212, 222)나 제1, 제2 후면판재(214, 224)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공기공(204)과 제2 공기공(206)이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202)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구성요소들이 파손될 우려를 낮추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공기공(204)과 제2 공기공(206)이 서로 엇갈려 이웃하게 되므로 마치 모자이크와 같은 형상을 이루어 디자인적인 부분에서도 심미감을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have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first front plate member disposed on the rear side,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backplates 214 and 224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212, and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plates 212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plates 214 and 224.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 members 216 and 226 which connect the two sides ar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202.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disposed on the front side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The both ends of the, to be caught in the locking step formed along the main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Here,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0 and 220 i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plate members 214 and 224. A hol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That is, the first air hole 204 made of a plurality of long holes and the second air hole 206 made of a plurality of long holes havi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s constituting the first air hole 204 are formed. will b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holes 204 and the second air holes 206 are alternately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 214 and 224 are prevented from bend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That is, when there is only the first air hole 204 or only the second air hole 206, it can be easily bent in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ong holes to form it, which is the first, second front plate 212,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may be easily damaged. Therefore, the first air hole 204 and the second air hole 206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configured to be alternately form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component breakage while allowing air to flow into the storage space 202.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ir hole 204 and the second air hole 206 are alternately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enhancing the aesthetics in a design part by forming a mosaic-like shape.

연결체(230)는 한쪽이 제1 후면판재(214)에 접하고, 다른 쪽이 제2 전면판재(222)에 접하여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를 연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체(230)는 가습수단(200)을 본체(100)에 고정결합시키는 역할 또한 하게 된다. 즉, 본체(100)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M)가 연결체(23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연결체(230)는 본체(100)에 형성된 통공(102)을 통해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 크기로 형성된다.The connector 2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by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back plate 214 and the oth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front plate 222. The sieve 230 also serves to fix the humidifying means 200 to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fixing screw M install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3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230 is formed in a position and size that does not prevent air from being distribu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through the through hole 102 formed in the main body 100. do.

덮개(240)는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그리고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 공간의 상측과 하측을 덮는 구성요소이다. 덮개(240)에는 제1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02)에 연통되는 제1 연통공(242)과, 제2 케이스(220)의 수납공간(202)에 연통되는 제2 연통공(244) 및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제3 연통공(246)이 형성되어 외측의 공기가 제1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02)과 제2 케이스(220)의 수납공간(202) 및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의 공간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240 is a component that cover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and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The cover 240 has a first communication hole 242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first case 2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second case 220. )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24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so that the outside air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02 and the second air of the first case 210.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case 220 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to be distributed.

보온패널(300)은 가습수단(200)의 수납공간(202)에 각각 수납되고, 탄성을 갖고 다공질로 이루어져 물의 흡수가 가능한 발포체(310)가 다수 부착되는 구성요소이다. 보온패널(300)은 통상 "스티로폼"이라고 불리우는 발포 스타이렌 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가습량을 높이는데 일조하게 된다. 즉, 보온패널(300)을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차가운 성질을 갖게 되지만,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보온패널(30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에 비해 따듯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물의 증발이 쉬운 것이다. 이러한 보온패널(300)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축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발포체(310)는 보온패널(300)의 양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하거나, 보온패널(300)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구멍에 발포체(310)를 끼워넣어 보온패널(3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발포체(310)는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은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펀지보다는 초극세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이고 항균력이 있으며, 물 흡수력이 훨씬 뛰어나 가습력이 좋은 매직블럭이나 매직폼으로 불리는 스펀지 형상의 물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온패널(300)은, 발포체(310)가 손잡이(110)로부터 수조(120) 방향으로 갈수록 개수가 점차 줄어들거나,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개수와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개수가 점차 줄어들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거나, 크기가 점차 작아지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거나, 개수와 크기가 점차 작아지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발포체(310)와 발포체(310) 사이에는 제1 공기공(204)이나 제1 공기공(204)과 같은 구멍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is a component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humidifying means 200, respectively, and has a plurality of foams 310 that are elastic and porous to absorb water.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is made of a foamed styrene resin material commonly referred to as "styrofoam" to help increase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That is, whe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is made of plastic or metal material, it has a cold property, but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made of styrofoam has a warmer property than plastic or metal material, and thus water is easily evaporated. The insulation panel 3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mpressed styrofoam so as not to be easily broken. Foam 310 may b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or to form a plurality of holes i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to insert the foam 310 in these holes so as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It can also be configured. Foam 310 refers to, for example, such as a spong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icrofiber rather than a conventionally used sponge is more hygienic and antimicrobial, water absorption is much superior to the magic block or magic foam with good humid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ponge-shaped object called. At this time,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310 is attached to the handle 110 from the handle 110 toward the water tank 120, the number gradually decreases, the size gradually decreases, or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widened.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number and size becomes smaller, or the number decreases gradually to increase the space between each other, or as the size decreases to gradually increase the space between each other, or the number and size gradually decreases the space between each other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o widen. Meanwhile, a hole such as the first air hole 204 or the first air hole 204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oam 310 and the foam 310.

한편, 보온패널(300)에는 발포체(310)와 발포체(310) 사이의 공간에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케이스(210, 220)의 수납공간(202)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공기구멍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에 형성된 제1 공기공(204)과 제2 공기공(206)과 동일한 공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온패널(300)에 형성되는 공기구멍은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의 제1 공기공(204)과 제2 공기공(206)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insulating panel 300,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ar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oam 310 and the foam 31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hole is formed so that air can be distributed to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second case (210, 220). The air hole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the first air holes 204 and the second air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The same air hole as the ball 206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air holes formed i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may include the first air holes 204 and the second air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It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all 206.

숯(400)은 가습수단(200)의 수납공간(202)에 수납되어 보온패널(300)과 접하게 되는 구성요소이며, 가습 및 제습 기능과 함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숯(400)은 주변의 수분을 빨아들였다가 주변 습도가 낮아지면 배출하여 자연적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물을 뿌려줌으로써 자연 가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숯(400)은 야자껍질로 만든 야자활성탄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야자활성탄은 일반 숯보다 강력한 흡착력을 갖고 있으므로 이에 악취와 같은 냄새 등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므로 공기정화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숯(400)에는 음이온 발산 및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전자파가 많은 곳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Charcoal 400 is a component that is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202 of the humidifying means 200 is in contact with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urifying the air together with the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Charcoal 400 has a function to control the humidity naturally by sucking the surrounding moisture and discharged when the ambient humidity is low, it can double the natural humidification effect by spraying water. Here, the charcoal 4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s palm activated carbon made of palm shell. Palm activated carbon has a stronger adsorption power than ordinary charcoal, so it is effective in removing odors such as odors, thereby improving air purification. In addition, the charcoal 400 is known to have negative ion emission and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effect, it can be used to place a lot of electromagnetic wave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구성하는 본체와 가습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의 바닥측을 나타낸 도이다.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main body and a humidifying means constituting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side of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shown in FIG. 5. It is also.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공기공(204) 주변의 형상과 수조(120)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 and 6,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first air ball 204 ) Is different in that the shape of the surroundings and the shape of the tank 120 is different.

우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와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에 형성되는 제1 공기공(204)의 둘레를 이루는 면에 물저장홈(204a)이 형성된다. 이러한 물저장홈(204a)은 제1 및 제2 전면판재(212, 222)측이나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측에 샤워기(도 6의 S) 등을 통해 물을 뿌려줄 때 물저장홈(204a)에 물이 저장됨으로써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가 보유하는 물의 총량을 높여 좀 더 높은 가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게 된다.Fir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nd the first air hole 204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ater storage groove 204a is formed. The water storage groove 204a can spray water through the shower (S in FIG. 6) 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or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embers 214 and 224. When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groove 204a, the total amount of water held by the humidifier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increased, so that a higher humidification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도 5에서 본체(100), 즉 수조(120)의 바닥측을 나타낸 도면과 같이 바닥의 중앙측이 비어있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렇게 비어있는 공간에 연결되어 본체(100)가 놓여진 바닥측의 공기가 가습수단(200)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통부(1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온돌 등과 같이 따뜻한 바닥측의 공기를 가습수단(200)측에 공급하여 좀 더 가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닥측의 공기가 원활하게 가습수단(200)측에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유통부(122)의 말단은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bottom side of the water tank 120 in Figure 5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has an empty space, the bottom connected to the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placed Air flow portion 122 is formed so that the air of the side can move to the humidifying means 200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umidification effect by supplying warm floor air such as ondol to the humidifying means 200 side. At this time, the end of the air flow portion 122 is protruded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20 so that the air on the bottom side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humidifying means 200 side. It is preferable.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이용하여 가습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보온패널(300) 및 숯(400)에 물을 뿌려주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가습기를 욕실 등에 두고 샤워기(S)를 통해 가습수단(200) 내에 수납되어 있는 보온패널(300) 및 숯(400)에 물을 뿌려주는 것이다.First, in Figure 6 to achieve a humidification effect using a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spraying water o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charcoal 400 is shown. . That is, the humidifier is placed in a bathroom or the like, and water is sprayed o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the charcoal 400 stored in the humidification means 200 through the shower S.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케이스(210, 220)의 제1, 제2 전면판재(212, 222)에 물을 뿌려줌으로써, 제1, 제2 전면판재(212, 2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공기공(204, 206)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보온패널(300)의 발포체(310) 및 숯(400)이 젖게 된다.In other words, by spraying water 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0 and 220,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embers 212 and 222 are formed.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holes 204 and 206 to wet the foam 310 and the charcoal 400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이처럼 제1, 제2 전면판재(212, 222)에 물을 뿌려도 되지만, 제1 및 제2 후면판재(214, 224)에 물을 뿌릴 수도 있고, 덮개(240)를 연 후 주전자(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물을 뿌려줄 수도 있다.As such, although water may be sprayed 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s 212 and 222,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214 and 224 may be sprayed with water, and the kettle 240 may be opened after the cover 240 is opened. You can also spray water through the water.

이와 같이 보온패널(300) 및 숯(400)에 물이 뿌려지면 도 7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물이 점차 흘러내리면서 본체(100) 하측의 결합되어 있는 가습수단(200)의 덮개(240)의 제1 내지 제3 연통공(242, 244, 246) 등을 통해 수조(120)로 떨어지게 되므로 수조(120)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외측의 공기가 제1 공기공(204)과 제2 공기공(206), 덮개(240)를 통해 수납공간 내로 유입되어 보온패널(300) 및 숯(400)에 묻어있는 물이 증발되고, 또한 수조(120) 내의 물이 증발되면서 자연적으로 가습 및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water is sprayed o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the charcoal 400 in this way, as the water gradually flows down as shown in FIG. Since the water is dropped into the water tank 120 through the first through third communication holes 242, 244, and 246,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120.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first air hole 204, the second air hole 206, and the cover 240, and the water buried i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and the charcoal 400 is evaporated. In addition, a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is evaporated,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are naturally performed.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수납공간(202)에 위치하는 보온패널(300) 및 숯(400)에 물이 적셔져 가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물은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게 되므로 수납공간(202)을 숯으로만 채웠을 경우 본체(100) 상측의 가습수단(200)이 하측의 가습수단(200)에 비해 가습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moistened by the heat-insulating panel 300 and the charcoal 400 positioned in the storage space 202, and the water is flowed down by gravity, so the storage space 202 is only charcoal. When filled, the humidifying means 200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has a lower humidifying effect than the humidifying means 200 on the lower sid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포체(310)가 손잡이(110)로부터 수조(120) 방향으로 갈수록 개수가 점차 줄어들거나,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측의 가습수단(200)에 배치되는 보온패널(300)의 발포체(310)가 하측의 가습수단(200)에 배치되는 보온패널(300)의 발포체(310)보다 물의 흡수량이 높아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foam 310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that the number gradually decreases, gradually decreases in size, or the space between the handle 110 from the handle 110 toward the water tank 120 is widened. . That is, the foam 310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disposed on the humidification means 200 on the upper side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absorption of water than the foam 310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disposed on the humidification means 200 on the lower side. will be.

즉, 본 발명에서는 보온패널(300)의 발포체를 통해 상측의 가습수단(200)이나 하측의 가습수단(200)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가습량을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umidifying means 200 or the lower humidifying means 200 through the foam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300 can exhibit a similar amount of humidification as a whol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02, 104: 통공
110: 손잡이 120: 수조
122: 공기유통부 200: 가습수단
202: 수납공간 204: 제1 공기공
204a: 물저장홈 206: 제2 공기공
210: 제1 케이스 212: 제1 전면판재
214: 제1 후면판재 216: 제1 측면판재
220: 제2 케이스 222: 제2 전면판재
224: 제2 후면판재 226: 제2 측면판재
230: 연결체 240: 덮개
242: 제1 연통공 244: 제2 연통공
246: 제3 연통공 300: 보온패널
310: 발포체 400: 숯
M: 고정나사 S: 샤워기
100: main body 102, 104: through hole
110: handle 120: water tank
122: air distribution unit 200: humidification means
202: storage space 204: first air ball
204a: water storage groove 206: second air ball
210: first case 212: first front plate material
214: first rear plate 216: first side plate
220: second case 222: second front plate
224: second back plate 226: second side plate
230: connector 240: cover
242: first communication hole 244: second communication hole
246: third communication hole 300: thermal insulation panel
310: foam 400: char
M: Set Screw S: Shower Head

Claims (4)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측에 수조가 형성되는 본체와;
한 쌍이 상하측으로 나뉘어 서로 이웃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각각 공기가 유통 가능한 한 쌍의 수납공간이 서로 떨어져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가습수단과;
상기 가습수단의 수납공간에 각각 수납되고, 탄성을 갖고 다공질로 이루어져 물의 흡수가 가능한 발포체가 다수 부착되는 보온패널; 및
상기 가습수단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보온패널과 접하게 되는 숯; 을 포함하되,
상기 보온패널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수조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발포체의 개수가 점차 줄어들거나, 상기 발포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상기 발포체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부착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In the humidifi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A handle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water tank is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 humidifying means mounted on the main body such that a pair is divided up and down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storage spaces through which air can flow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ulated panel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umidifying means, the insulating panel has a plurality of foams made of porous and capable of absorbing water; And
Charcoal is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umidifying mean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anel; ≪ / RTI >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The number of the foam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handle toward the water tank direction, the size of the foam is gradually reduced, it is formed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being attached so as to widen the space between the foams, characterized in that Humidifier with air purify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은,
제1 전면판재와, 상기 제1 전면판재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후면판재와, 상기 제1 전면판재와 상기 제1 후면판재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측면판재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전면판재와, 상기 제2 전면판재와 같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후면판재와, 상기 제2 전면판재와 상기 제2 후면판재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측면판재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제2 케이스와;
한쪽은 상기 제1 후면판재에 접하고, 다른 쪽은 상기 제2 전면판재에 접하여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체;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제1 연통공과, 상기 제2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제2 연통공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제3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상측과 하측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면판재와 상기 제1 및 제2 후면판재에는,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공기공; 및
상기 제1 공기공을 이루는 장공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을 갖는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공기공; 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공기공과 상기 제2 공기공은 서로 이웃하여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umidification means,
A first front plate, a first back plat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front plate, and a pair of first side plates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first back plate; A first cas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herein;
A second front plate member, a second back plate member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front plate member, and a pair of second side plate members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fron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back plate member A second cas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herein;
A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by contacting the first back plate and the other and contacting the second front plate;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cas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of the second case,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 cover covering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 ≪ / RTI &
I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 material so that air flows through the storage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A first air ball made of a plurality of long holes; And
A second air hole comprising a plurality of long holes havi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constituting the first air hole; Is formed,
Th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ir ball and the second air ball are formed alternately adjacent to each other sequential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공의 둘레를 이루는 면에는 물저장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3. The method of claim 2,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torag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ir hol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본체가 놓여진 바닥측의 공기가 상기 가습수단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공기유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통부의 말단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In the tank,
An air flow unit is formed so that the air at the bottom side on which the main body is placed can move to the humidifying means side,
Humid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l end of the air flow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KR1020130139870A 2013-11-18 2013-11-18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1355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70A KR101355492B1 (en) 2013-11-18 2013-11-18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70A KR101355492B1 (en) 2013-11-18 2013-11-18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492B1 true KR101355492B1 (en) 2014-02-05

Family

ID=5026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870A KR101355492B1 (en) 2013-11-18 2013-11-18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4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405U (en) * 1997-08-02 1999-03-05 노성훈 Humidifier with sterilization and water filter
KR20110045506A (en) * 2009-10-27 2011-05-04 최주녕 Humidifier device with a bamboo charcoal and water-flower pot set having the device
JP2013044518A (en) 2011-08-24 2013-03-04 Okuda Seisakusho:Kk Natural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405U (en) * 1997-08-02 1999-03-05 노성훈 Humidifier with sterilization and water filter
KR20110045506A (en) * 2009-10-27 2011-05-04 최주녕 Humidifier device with a bamboo charcoal and water-flower pot set having the device
JP2013044518A (en) 2011-08-24 2013-03-04 Okuda Seisakusho:Kk Natural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158B1 (en) Multipurpose air purifier which has humidification and sacrifice function
KR200405740Y1 (en) Assembly type loess electric heating panel
KR101355492B1 (en)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CN104121653A (en) Air suction type air purification humidifier
KR101144909B1 (en) Humidification induced equipment of humidifier
CN202040891U (en) Heating humidification purifier
KR200477015Y1 (en)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KR20180076220A (en) Insulation air-cap sheet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KR101560369B1 (en) Coldness and warmth mat
KR200466154Y1 (en) A hinoki bed
KR101258368B1 (en) Humidirier and air cleaner system of using heatpipe
KR101343142B1 (en) A Bed Having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KR20170028242A (en)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filter for use in the same
CN108131715B (en) Day and night dual-purpose solar humidifying warm bed
KR20110045506A (en) Humidifier device with a bamboo charcoal and water-flower pot set having the device
KR20110128414A (en) The pot which has a humidification function
KR101400647B1 (en) Humidifier and humidifier combined and air cleaner without water tank
CN203586460U (en) Humidification cup capable of killing mosquitoes
KR101493247B1 (en) a humidifier
KR200197780Y1 (en) Clean air supply system and it's air cleaning device in indoor
CN210078554U (en) Integrative cabin that floats of water storage
KR200481746Y1 (en) Natural humidifier
KR200415074Y1 (en) Filled Loess Panel
KR20100006302U (en) The flowerpot type humidifier
KR200457385Y1 (en) Electricity mat deodoriz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