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652B1 - Washing apparatus of grain - Google Patents

Washing apparatus of g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652B1
KR101353652B1 KR1020130111523A KR20130111523A KR101353652B1 KR 101353652 B1 KR101353652 B1 KR 101353652B1 KR 1020130111523 A KR1020130111523 A KR 1020130111523A KR 20130111523 A KR20130111523 A KR 20130111523A KR 101353652 B1 KR101353652 B1 KR 10135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grain
grains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경
Original Assignee
새싹종합식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싹종합식품(주) filed Critical 새싹종합식품(주)
Priority to KR102013011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6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6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08B3/1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us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washing device, more specifically a grain washing device for cleanly washing grains including sesame seeds before extracting oil, an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stones from the grains. The grain washing device comprises the following: an assorting unit which receives the grains from the outside, and assort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rains; a first washing unit which firstly washes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assorting unit; and a second washing unit which secondly washes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first washing unit.

Description

곡물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OF GRAIN}Grain Washing Equipment {WASHING APPARATUS OF GRAIN}

본 발명은 곡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기름을 추출하기 전에 물로 깨끗히 세척하는 한편, 그 곡물에 포함되는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곡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wa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grain washing apparatus for washing cleanly with water before extracting oil using grains including sesame seeds and the like,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s included in the grain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에는 수확되는 과정에서 돌, 흙, 모래 등의 이물질이 섞인다.Generally, grains including sesame seeds ar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s, soil, and sand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그러나, 종래에는 곡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이물질의 제거 및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grain is made by manual ope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val and cleaning of the foreign matter are not performed smoothly.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7136호에는 곡물세척 및 이물질 분리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0-7136 discloses a grain washing and foreign matter separator.

그러나, 이와 같은 곡물 세척 및 이물질 분리기는 무동력의 작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수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세척된 물이 재사용됨이 없이 버려지면서 물의 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grain washing and foreign matter separators induce a non-powered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manual work,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s a lot of water while the washed water is discarded without reus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7136호(2000. 04. 25.)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0-7136 (April 25, 200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기름을 추출하기 전에 물로 깨끗히 세척하는 한편, 그 곡물에 포함되는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곡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ean the water before extracting oil using grains including sesame, etc.,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s contained in the grains. To provide a grain washing apparatus for.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곡물이 공급되며, 그 곡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1차 세척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제1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2차 세척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apparatus for washing grain, the grain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sorting unit for selec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grain; A first washing unit in which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sorting unit are first washed; And a second washing unit in which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first washing unit are washed secondaril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별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곡물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선별되는 선별체; 상기 선별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 및 상기 선별체를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rting body having both ends, extending in both end directions, and sort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grain; A vibration generator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sorting body;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orting body inclined upward in one dir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별체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곡물배출구와,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메쉬;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쉬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제1메쉬를 포함하되, 상기 제2메쉬는, 상기 곡물보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고 상기 이물질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메쉬는, 상기 제2메쉬를 통과하는 상기 곡물이 통과되지 못하고 상기 곡물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곡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통과하여 상기 이물질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r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he casing is formed with a grain outlet for discharging the grain,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A second mesh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a first mesh positioned inside the casing and positioned below the second mesh, wherein the second mesh is discharged to the foreign substance outlet without passing foreign substances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grains. The first mesh may allow the gra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mesh to be discharged to the grain outlet without passing, and to allow the foreign mat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grain to pass through and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outlet. do.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별체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선별체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2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체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선별체의 후단부를 전단부보다 높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rst support frame which is located under the front end of the sorting body; A second support frame positioned below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to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wherein the second support frame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support fram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high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선별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제1세척수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곡물을 상기 제2세척부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세척수공급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2세척부 사이에 위치되며, 그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곡물이 함께 유입되는 상기 제1세척수와 교반되면서 1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accommodates the grain supplied from the sorting unit; A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first wash water to the accommodation unit and to transfer the grains toward the second wash unit; And a stirr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washing part, the first washing being performed while stirring the first washing wate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grains flowing from the receiv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세척수공급부는, 상기 제1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일단부는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1세척수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제1,2교반관; 상기 제1,2교반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의 교반돌기를 포함하는 1,2교반체; 및 상기 제1,2교반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in which the first wash water is stor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he other end includes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e stirring portion, The first washing water in which the first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grain sequentially from the receiving portion, 2 stirring tube; A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tirring protrusions; And a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또한, 상기 제1,2세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제2교반관이 연결되는 제1유입공과 외부로부터 제2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이 연결되는 제2유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2세척부와 연결되어 유입된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챔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이 개구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세척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망체;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과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곡물이 상기 제2세척부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유입공과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 챔버의 내측으로 상기 제1세척수 및 상기 곡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ash parts, wherein the connection part has a space part formed therein and supplies a first inlet hole to which the second stirrer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second wash water from the outside. A second inlet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for receiving,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is discharged to the grain is discharged with the second washing water introduc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portion, the first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 chamber to which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A rotating body rotat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chamber, the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whose outer side is opened about a central portion of the chamber in a radial shape; A mesh body positioned outside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a driving moto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body, where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flow hole and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grains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unit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or the first washing water and the grains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flow hol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과 상기 제2세척수가 수용되고, 그 곡물이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교반되면서 2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재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교반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2세척수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제3,4교반관; 및 상기 제3,4교반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4교반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4교반체는, 상기 제1,2교반체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stirring unit for receiving the grain and the second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the grains are stirred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 water, and the second washing is performed. Stirring unit, the third, fourth stirring tube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grain sequential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ie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tubes,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ies ar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또한, 상기 재교반부를 통과하는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2세척수로부터 상기 곡물과 상기 2차세척수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를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재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순환부는,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가 유입되는 회수탱크; 상기 회수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회수관; 및 상기 회수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grain and the secondary washing water from the second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grain passing through the re-stirring unit; And a recirculation unit for recovering the second wash water from the separation unit and supplying the second washing water to the storage tank, wherein the recirculation unit includes: a recovery tank into which the second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separation unit; A recovery pipe connecting the recovery tank and the storage tank; And a pump connected to the recovery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기름을 추출하기 전에 그 곡물에 포함되는 돌 등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extracting oil using grains including sesame seeds and the like, there is an effect of automatical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s contained in the grains.

또한, 곡물의 세척이 2차에 걸쳐 이루어짐으로써 그 곡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1차 세척시에 사용된 물이 재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세척에 필요한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of the grain is carried out in two steps, the grain can be washed cleanly, and the water used in the first washing can be reused, thereb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water required for wash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에서 선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에서 선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에서 제1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에서 제2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rting body in the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edge portion in the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washing unit in the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in the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washing unit in the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1)는 외부로부터 곡물이 공급되며 그 곡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10), 상기 선별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1차 세척되는 제1세척부(20) 및 상기 제1세척부(2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2차 세척되는 제2세척부(30)를 포함한다.1 to 7, the grain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from the sorting unit 10, the sorting unit 10 for sor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grain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grain The first washing unit 20 is the first washing the grain is washed and the second washing unit 30 is second washing the grain supplied from the first washing unit 20.

상기 곡물 세척장치(1)는 상기 선별부(10), 상기 제1,2세척부(20,30) 등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0)는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에 안착되어 상기 선별부(10), 상기 제1,2세척부(20,30) 등을 받쳐준다. The grain wash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frame part 100 to which the sorting part 10,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parts 20 and 30 are fixed, and the frame part 100. Is mounted on the outdoor ground, indoor floor or the like to support the sorting unit 10,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units (20, 30) and the like.

상기 선별부(1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그 선별부(1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세척부(20) 및 상기 제2세척부(30)가 위치된다.The sorting unit 10 is positioned above the frame unit 100, and the first washing unit 20 and the second washing unit 30 are positioned below the sorting unit 10.

상기 프레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rame par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known forms as shown in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곡물은 압착에 의해 기름을 추출할 수 있는 깨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곡물은 작은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곡물은 다수의 알갱이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ains may be understood as sesame seeds that can extract the oil by pressing, the grains are made in the form of small grains, the grain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plurality of grains.

상기 곡물에는 수확되는 과정에서 돌, 흙, 모래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선별부(10)는 상기 곡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선별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곡물은 상기 제1세척부(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 grains may include foreign matters such as stones, soil, sand, etc.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and the sorting unit 10 sorts the foreign matters included in the grains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while the grains are washed first. To be supplied to the unit 20.

이를 위해, 상기 선별부(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안착되며, 그 곡물에 포함되는 상기 이물질이 선별되는 한편, 상기 이물질이 선별된 상기 곡물이 상기 제1세척부(20)로 전달되도록 하는 선별체(11), 상기 선별체(11)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16) 및 상기 선별체(11)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부(17)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orting unit 10 is the grain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eate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grain is sorted, the grain selected by the foreign matter is delivered to the first washing unit 20 It includes a sorting body 11, a vibration generator 16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sorting body 11 and a support 17 for supporting the sorting body 11 inclined.

상기 선별체(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곡물배출구(12a)와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구(12b)가 형성되는 케이싱(12), 상기 케이싱(12)의 내측에 위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1배출공(13a)이 형성되는 제1메쉬(13), 상기 제1메쉬(13)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2배출공(14a)이 형성되는 제2메쉬(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메쉬(13)는 상기 케이싱(12)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sorting body 11 has an upper opening, a casing 12 having a grain discharge port 12a through which the grains are discharged, and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 12b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and the casing ( 1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mesh 13 having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13a) formed on the surface, the upper side than the first mesh 13 and a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14a) on the surface ) Is formed a second mesh 14. Here, the first mesh 1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12.

상기 선별체(11)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갖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후단부 상측에는 상기 곡물을 공급하는 외부의 다른 별개의 곡물 공급장치(200)가 위치되고, 전단부 하측에는 상기 제1세척부(20)가 위치된다.When the sorting body 11 is viewed from the top, it forms a square shape having a front end, a rear end and both side ends, and another separate grain supply device 200 for supplying the grains is located above the rear end. The first washing part 20 is positioned below the front end part.

상기 곡물배출구(12a) 및 상기 이물질배출구(12b)는 상기 케이싱(12)의 전단부 바닥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ain outlet 12a and the foreign substance outlet 12b are preferably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casing 12.

상기 제1,2메쉬(13,14)는 상기 다수의 배출공(13a,14a)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망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meshes 13 and 14 may be understood as general meshes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a and 14a are form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2메쉬(13,14)는 각각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갖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그 제1,2메쉬(13,14)를 지지하기 위한 제1,2프레임(13b,14b)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eshes 13 and 14 form a square shape having front and rear ends and both side ends, respectively, and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meshes 13 and 14 along a circumference as shown in FIG. 3. First and second frames 13b and 14b may be provided.

이로 인해, 상기 제1,2메쉬(13,1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싱(12)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Thus, the first and second meshes 13 and 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stably positioned in the casing 12.

상기 제2메쉬(14)는 상기 곡물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곡물이 통과되어 상기 제1메쉬(13)로 낙하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수의 제1배출공(13a)은 각각 상기 제2배출공(14a)보다 둘레를 이루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esh 14 allows the foreign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grain not to pass through and to be filt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grain passes through and falls to the first mesh 13. To this end,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13a)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forming a circumference than the second discharge hole (14a), respectively.

상기 제1메쉬(13)는 상기 곡물이 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곡물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물질은 통과시킨다.The first mesh 13 allows the grain not to pass through and is filt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grain passes.

상기 케이싱(12)은 상기 제2메쉬(14)의 전방에 그 케이싱(12)의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배출구(12b)와 연통되는 구멍(15a)이 형성되는 보조판(15)이 마련될 수 있다.The casing 12 extends in both directions of the casing 12 in front of the second mesh 14, and the auxiliary plate 15 having a hole 15a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 12b is formed. Can be prepared.

상기 보조판(15)으로는 상기 제2메쉬(14)를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기 큰 이물질이 포집되어 상기 구멍(15a)을 통해 상기 이물질배출구(12b)로 배출된다. 상기 제1메쉬(13)를 통과하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 또한 상기 이물질배출구(12b)로 배출된다.Larger foreign mat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mesh 14 is collected into the auxiliary plate 15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15a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2b. Small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mesh 13 is also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2b).

상기 이물질배출구(12b)에는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별도의 다른 포집관(40)이 연결될 수 있다.Another foreign matter collecting pipe 40 for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o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 12b may be connected.

상기 제1메쉬(13)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는 상기 곡물은 상기 곡물배출구(12a)로 유도되어 상기 제2세척부(20)로 공급된다.The grains which are not filtered through the first mesh 13 are guided to the grain outlet 12a and are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unit 20.

상기 진동발생기(16)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체(11)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on generator 16 is made of a general form of generating vibra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rting body (11).

상기 진동발생기(16)는 상기 선별체(11)에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곡물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곡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vibration generator 16 transmits vibration to the sorting body 11 so that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grains may fall off, and the foreign matters included in the grains may be smoothly sorted.

상기 지지부(17)는 상기 선별체(11)가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진동발생기(16)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선별체(10)가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17 allows the sorting body 11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while the sorting body 10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16. Allow it to flow freely after, left and right.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체(11)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7a), 상기 선별체(11)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7b) 및 상기 제1,2지지프레임(17a,17b)과 상기 선별체(1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17c)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upport 17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7a, which is locat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sorting body 11,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11, as shown in FIG. And a second support frame 17b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7c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7a and 17b to the rear ends of the sorting body 11.

상기 제1,2지지프레임(17a,17b)은 각각 하부가 상기 프레임부(100)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지지프레임(17b)은 상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7a)보다 상대적으로 상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선별체(11)의 후단부를 전단부보다 높게 지지한다.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7a and 17b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rame portion 100 and upper portions thereof extend upward. The second support frames 17b hav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frames 17b and 17b, respectively. It extends relatively longer in the upward direction than the frame 17a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11 higher than the front end.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17c)는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17c)는 각각 상단부가 상기 선별체(11)에 직접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7a)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17b)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7c is preferably made of a coil spring of a general form.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7c may have an upper end directly connected to the selector 11, and a lower end thereof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7a or the second support frame 17b. It is not.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7)는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19)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캡(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캡(18)은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되, 일단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재(17c)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끼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선별체(11), 상기 제1,2지지프레임(17a,17b)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된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7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caps 18 provid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9,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aps 18 has both ends and form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both end direction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opened to fit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7c inwardly,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cap 18. The selector 11 is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7a and 17b.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17c)는 상기 진동발생기(16)의 구동에 의해 파손됨이 없이 수축, 이완되면서 상기 선별체(11)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7c may contract and relax without being damaged by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16 so that the sorting member 11 may flow freely.

상기 제1세척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1), 상기 수용부(21)로 제1세척수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곡물을 상기 제2세척부(30)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세척수공급부(22), 상기 수용부(21)와 상기 제2세척부(3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용부(2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곡물과 상기 제1세척수가 수용되고, 그 곡물이 상기 제1세척수와 함께 교반되면서 제1세척이 이루어지는 교반부(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washing unit 20 supplies a first washing water to the accommodation unit 21 in which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sorting unit 10 are accommodated, and the accommodation unit 21. And a first wash water supply part 22 for transferring the grai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washing part 30, between the receiving part 21 and the second washing part 30, from the receiving part 21. Including the incoming grain and the first wash water, and the grain is stirred with the first wash water and includes a stirring unit 23 for the first wash.

상기 수용부(21)는 상기 선별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수용되는 호퍼(21a) 및 일단부는 상기 호퍼(21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관(21b)을 포함한다.The accommodating part 21 is a hopper 21a in which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sorting part 10 are accommodated, and an accommodating tube 21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pper 21a and the other end extending downward. It includes.

상기 제1세척수공급부(22)는 상기 제1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4), 일단부는 상기 저장탱크(2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관(21b)에 연결되는 연결관(25)을 포함한다.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22 is a storage tank 24 in which the first wash water is stor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24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ipe 21b. It includes.

상기 저장탱크(24)에 저장되는 상기 제1세척수는 상기 연결관(25)을 통해 상기 수용부(21)로 유입된다. 상기 호퍼(21a)를 통해 상기 수용관(21b)으로 유입되는 상기 곡물은 그 수용관(21b)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세척수에 실려 상기 교반부(23)로 유입된다.The first wash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24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 through the connecting pipe 25. The grains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pipe 21b through the hopper 21a are loaded into the stirring unit 23 by the first wash wate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pipe 21b.

상기 교반부(23)는 상기 수용부(21)로부터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1세척수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제1,2교반관(26a,26b), 상기 제1,2교반관(26a,26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1,2교반체(27a,27b) 및 상기 제1,2교반체(27a,27b)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8)를 포함한다.The stirring unit 23 is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26b),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26a) into which the first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grain is sequentially introduc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26b and a driving unit 28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상기 제1,2교반관(26a,26b)은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반적인 관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2교반관(26a,26b)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교반관(26a)의 일단부에는 상기 수용관(21b)에 연결되고, 상기 제2교반관(26b)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세척부(30)가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have both ends and form a general tube shape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are disposed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tube 21b at one end of the first stirring tube 26a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stirring tube 26b. The second washing unit 30 is connected to the unit.

상기 제1,2교반관(26a,26b)의 타단부는 제1연결관(29a)에 의해 상호 연통되며, 상기 제2교반관(26b)의 일단부는 제2연결관(29b)에 의해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교반관(26a,26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상기 곡물과 상기 제1세척수는 상기 제2연결관(29b)으로 유입된다.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connecting tube 29a,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rring tube 26b is mutually connected by the second connecting tube 29b. Communicating. In addition, the grain and the first wash wa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ar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tube 29b.

상기 제1,2교반체(27a,27b)는 각각 양단부가 상기 제1,2교반관(26a,26b) 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27-1) 및 상기 회전축(27-1)에 구비되는 다수의 교반돌기(27-2)를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has a rotating shaft 27-1 and a rotating shaft 27-1 having both ends rotatably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respectively.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irring projections (27-2) provided in.

상기 구동부(28)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교반체(27a,27b)는 각각 상기 회전축(27-1)이 상호 기어결합되며, 그 두 개의 상기 회전축(27-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28)에 연결된다.Preferably, the driving unit 28 is formed of a driving motor, and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are gear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shafts 27-1, respectively, and the two rotation shafts 27-1. Rotation axis of any one of the)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28).

상기 구동부(28)와 상기 회전축(27-1)의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nection of the driving unit 28 and the rotary shaft 27-1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용부(21)에서 유입되는 상기 곡물은 상기 제1세척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1,2교반관(26a,26b)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는 한편, 상기 구동부(28)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2교반체(27a,27b)에 의해 교반되면서 1차 세척이 이루어진다.The grains flow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21 are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by the flow of the first washing water, and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8. Primary washing is performed while stirring by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한편, 상기 곡물 세척장치(1)는 상기 제1,2세척부(20,30)를 연결하는 연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ain wash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5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units 20 and 30.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제1세척부(2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 및 상기 제1세척수가 수용되어 그 제1세척수만이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제2세척수를 공급받아 그 제2세척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곡물이 상기 제2세척부(30)로 유입되도록 한다.The connection part 50 receives the grain and the first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sh unit 20, and only the first 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new second wash water is supplied to flow the second wash water. By the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second washing unit 30.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공간부(52)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세척부(20)로부터 상기 곡물 및 상기 제1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53)과, 외부로부터 제2세척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54)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유입된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공(55)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56)이 연결되는 챔버(51), 상기 챔버(51)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외측이 개구되는 복수의 수용공간(57a)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57), 상기 회전체(57)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세척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58a)이 형성되는 망체(58) 및 상기 회전체(57)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9)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necting portion 50 has a space 52 is formed inward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grain and the first wash water flows from the first washing portion 20 on one side. The first inlet hole 53 to be formed, and the second inlet hole 54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the discharge hole 55 is discharged to the grain with the second wash water introduced to the other side Is formed, the lower chamber 5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56 for discharging the first washing water,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57a) rotat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chamber 51 and the outside is opened Rotating body 57 formed radially around the central portion, the mesh body 58 and the rotating body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ody 57 and a plurality of holes (58a) for the first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a drive motor 59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57.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57a)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은 상기 회전체(5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유입공(53)과 상기 배출공(55) 또는 상기 제2유입공(54)과 상호 연통된다.Any one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57a may include the first inflow hole 53 and the discharge hole 55 or the second inflow hole 54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5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제1유입공(53)으로는 상기 제2교반관(26b)이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공(54)으로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다른 공급관(110)이 연결된다. The second inlet hole 26b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hole 53, and another second supply pipe 110 for receiving the second wash water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to the second inlet hole 54. Connected.

상기 배출공(55)으로는 상기 제2세척부(30)가 연결되어 그 배출공(55)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과 상기 제2세척수를 공급받는다.The second washing unit 3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55 to receive the grain and the second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55.

상기 제2유입공(54)과 상기 배출공(55)은 상기 챔버(51)의 상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공(53)은 상기 제2유입공(54)보다 하측에 형성된다.The second inlet 54 and the outlet 55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51, the first inlet 53 is lower than the second inlet 54 Is formed.

상기 망체(58)는 양측부가 개구되는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구멍(58a)은 상기 곡물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net body 58 has a ring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opened, and the plurality of holes 58a are formed smaller than the grains so that the grains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회전체(57)는 상기 구동모터(5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57a)에 수용되는 상기 제1세척수를 낙하시켜 상기 망체(5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rotating body 57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59 to drop the first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57a)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body (58).

또한, 상기 회전체(57)는 회전에 따라 외주면이 상기 망체(58)에 위치되는 상기 곡물을 긁어 올려 상기 수용공간(57a)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수용공간(57a)과 상기 제2유입공(54)이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ry body 57, whi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scraped up by the grain located in the mesh body 58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57a), while the receiving space (57a) and the first The two inlet holes 54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망체(58)를 통과하는 상기 제1세척수는 상기 배출관(5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상기 곡물은 상기 회전체(5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유입공(54)과 연통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그 제2유입공(54)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배출공(55)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공(55)으로 배출되는 상기 곡물은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제2세척부(20)로 유입되어 2차 세척이 이루어진다.The first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net body 5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6, while the grai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let hole 5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57). It is moved to a position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55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hole (54). The grai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55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washing unit 20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ing water to perform the second washing.

한편, 상기 제2세척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50)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과 상기 제2세척수가 수용되고, 그 곡물이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교반되면서 2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재교반부(31) 및 상기 연결부(50)와 상기 재교반부(31)를 연결하는 체결관(3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washing unit 30 receives the grains and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50, and the grains are stirred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ing water. It may include a re-stirring portion 31, and a fastening tube 32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50 and the re-stirring portion 31 to be washed.

상기 재교반부(31)는 상기 연결부(50)로부터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2세척수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제3,4교반관(33,34), 상기 제3,4교반관(33,34)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4교반체(35,36)를 포함하며, 상기 제3,4교반체(35,36)는 상기 제1,2교반체(27a,27b)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28)에 연결된다.The re-stirring portion 31 is the third, fourth stirring pipes (33, 34), the third, fourth stirring pipes (33, 34) into which the second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grain is sequentially introduc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50)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ies (35, 36)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ies (35, 36) and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27b)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28 so as to interlock and rotate.

상기 제3,4교반체(35,36) 및 상기 제1,2교반체(27a,27b)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28)에 연결되는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ies 35 and 36 and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8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and 27b rot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Of course, it can be made in the form.

상기 제3,4교반관(33,34) 및 상기 제3,4교반체(36,37)는 전술한 상기 제1,2교반관(26a,26b) 및 상기 제1,2교반체(27a,27b)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tubes 33 and 34 and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ies 36 and 37 are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26a and 26b and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27a described above. , 27b),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곡물 세척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교반부(31)를 통과하는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2세척수로부터 상기 곡물과 상기 제2세척수를 분리하는 분리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rain washing apparatus 1 is a separation unit 60 for separating the grain and the second wash water from the second wash water containing the grains passing through the re-stirring portion 31 as shown in FIG. )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분리부(60)는 상기 곡물을 선별하는 한편, 상기 제2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separation unit 60 sorts the grains and allows the second wash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곡물 세척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6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2세척수를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24)로 공급하기 위한 재순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ain washing apparatus 1 further recovers the second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eparator 60 as shown in FIG. 1 and further includes a recirculation unit 70 for supplying the storage tank 24 to the storage tank 24. It may include.

상기 재순환부(70)는 상기 분리부(60)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가 유입되는 회수탱크(71), 상기 회수탱크(71)와 상기 저장탱크(24)를 연결하는 회수관(72) 및 상기 회수관(72)에 연결되는 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irculation unit 70 is a recovery tank 71 through which the second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separation unit 60, a recovery tube 72 connecting the recovery tank 71 and the storage tank 24, and the It may include a pump 73 connected to the recovery pipe (72).

상기 펌프(73)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그 구동에 따라 상기 회수탱크(71)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를 상기 저장탱크(24)로 공급한다.The pump 73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second wash water to the storage tank 24 from the recovery tank 71 according to the driving thereof.

상기 저장탱크(24)로 공급되는 상기 제2세척수는 상기 제1세척수와 함께 상기 곡물을 1차 세척한 뒤, 상기 배출관(5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24 is first washed with the first washing water together with the first washing wat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6.

이로 인해, 상기 곡물 세척장치(1)는 1차 사용된 상기 제2세척수를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곡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grain washing apparatus 1 can save the washing water required for washing the grain by reusing the second washing water used firs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세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grain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곡물 세척장치 10 : 선별부
11 : 선별체 12 : 케이싱
12a : 곡물배출구 12b : 이물질배출구
13 : 제1메쉬 14 : 제2메쉬
16 : 진동발생기 17 : 지지부
20 : 제1세척부 21 : 수용부
22 : 제1세척수공급부 23 : 교반부
24 : 저장탱크 25 : 연결관
26a : 제1교반관 26b : 제2교반관
27a : 제1교반체 27b : 제2교반체
27-1 : 회전축 27-2 : 교반돌기
28 : 구동부 30 : 제2세척부
31 : 재교반부 33 : 제3교반관
34 : 제4교반관 35 : 제3교반체
36 : 제3교반체 37 : 제4교반체
50 : 연결부 51 : 챔버
53 : 제1유입공 54 : 제2유입공
55 : 배출공 56 : 배출관
57 : 회전체 58 : 망체
59 : 구동모터 60 : 분리부
70 : 재순환부 71 : 회수탱크
72 : 회수관 73 : 펌프
100 : 프레임부 110 : 공급관
200 : 곡물 공급장치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grain washing device 10: sorting unit
11: Selector 12: Casing
12a: grain outlet 12b: foreign substance outlet
13: first mesh 14: second mesh
16: vibration generator 17: support
20: first washing unit 21: receiving unit
22: first washing water supply unit 23: agitator
24: storage tank 25: connector
26a: the first stirring tube 26b: the second stirring tube
27a: First stirring body 27b: Second stirring body
27-1: rotating shaft 27-2: stirring projection
28: drive unit 30: second washing unit
31: re-stirring department 33: the third stirring tube
34: fourth stirring tube 35: third stirring body
36: third stirring body 37: fourth stirring body
50: connection part 51: chamber
53: first inflow hole 54: second inflow hole
55: discharge hole 56: discharge pipe
57: rotating body 58: mesh
59: drive motor 60: separation part
70: recirculation unit 71: recovery tank
72: recovery pipe 73: pump
100: frame portion 110: supply pipe
200: grain feeder

Claims (9)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곡물이 공급되며, 그 곡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1차 세척되는 제1세척부;
상기 제1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2차 세척되는 제2세척부; 및
상기 제1,2세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선별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제1세척수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곡물을 상기 제2세척부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세척수공급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2세척부 사이에 위치되며, 그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곡물이 함께 유입되는 상기 제1세척수와 교반되면서 1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수공급부는,
상기 제1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일단부는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1세척수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제1,2교반관;
상기 제1,2교반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의 교반돌기를 포함하는 1,2교반체; 및
상기 제1,2교반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제2교반관이 연결되는 제1유입공과 외부로부터 제2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이 연결되는 제2유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2세척부와 연결되어 유입된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챔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이 개구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세척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망체;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과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상기 곡물이 상기 제2세척부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유입공과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 챔버의 내측으로 상기 제1세척수 및 상기 곡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
As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grain,
A sorting unit for supplying the grains from the outside and sorting foreign matters included in the grains;
A first washing unit in which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sorting unit are first washed;
A second washing unit in which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first washing unit are second washed;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he first washing uni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grain supplied from the sorting unit;
A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first wash water to the accommodation unit and to transfer the grains toward the second wash unit; And
Locat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washing portion, and includes a stirring portion to perform the first washing while stirring with the first washing water introduced with the grain flow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A storage tank in which the first wash water is stor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he other end includes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e stirring part
First and second stir pipes to which the first wash water including the grains sequentially enters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A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tube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tirring protrusions; And
It includes a drive uni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y,
The connecting portion
A space portion is formed inward, and a first inflow ho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tirring pipe and a second inflow hole is connected to a supply pipe for receiving a second wash water from the outside. A chamber having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grain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ing water introduced and connected, and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first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 rotating body rotat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chamber, the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whose outer side is opened about a central portion of the chamber in a radial shape;
A mesh body positioned outside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It includes a drive moto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bod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The grains are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ing wat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flow hole and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first washing water and the grains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flow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곡물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선별되는 선별체;
상기 선별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 및
상기 선별체를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orting unit,
A selection body having both ends and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foreign matter is selected from the grains;
A vibration generator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sorting body; An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orting body inclined upward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곡물배출구와,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메쉬;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쉬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제1메쉬를 포함하되,
상기 제2메쉬는,
상기 곡물보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고 상기 이물질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메쉬는,
상기 제2메쉬를 통과하는 상기 곡물이 통과되지 못하고 상기 곡물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곡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통과하여 상기 이물질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lector is,
A casing having an upper opening, a grain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grains are discharged, and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A second mesh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casing, including a first mesh located below the second mesh,
The second mesh is,
The foreign matter that is relatively larger in size than the grain does not pass through and is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The first mesh is,
The grains passing through the second mesh does not pass through the grain discharge port, while the foreign mat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grain is passed through the grain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별체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선별체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2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체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선별체의 후단부를 전단부보다 높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portion
A first support frame position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sorting body;
A second support frame positioned below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and the rear end of the sorting body,
The second support frame,
The grain washing apparatus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orting body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곡물과 상기 제2세척수가 수용되고, 그 곡물이 상기 제2세척수와 함께 교반되면서 2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재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교반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2세척수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제3,4교반관; 및
상기 제3,4교반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4교반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4교반체는,
상기 제1,2교반체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washing unit,
It includes the re-stirring unit is accommodated in the grain and the second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the grain is agitated with the second wash water, the secondary washing is performed,
The re-stirring unit,
Third and fourth stirring tubes sequentially flowing from the connection part to the second wash water including the grains; And
It includes a third, fourth stirring body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fourth stirring tube,
The third and fourth stirring body,
Grai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rive unit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재교반부를 통과하는 상기 곡물이 포함된 상기 제2세척수로부터 상기 곡물과 상기 제2세척수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를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재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순환부는,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제2세척수가 유입되는 회수탱크;
상기 회수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회수관; 및
상기 회수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separation unit separating the grains from the second wash water from the second wash water including the grains passing through the restirr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recirculation unit for recovering the second washing water from the separation unit to supply to the storage tank,
The recirculation unit,
A recovery tank into which the second wash water flows from the separation unit;
A recovery pipe connecting the recovery tank and the storage tank; And
Grain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ump connected to the recovery pipe.


KR1020130111523A 2013-09-17 2013-09-17 Washing apparatus of grain KR101353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523A KR101353652B1 (en) 2013-09-17 2013-09-17 Washing apparatus of g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523A KR101353652B1 (en) 2013-09-17 2013-09-17 Washing apparatus of gr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652B1 true KR101353652B1 (en) 2014-01-23

Family

ID=5014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523A KR101353652B1 (en) 2013-09-17 2013-09-17 Washing apparatus of g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65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6130A (en) * 2018-04-20 2018-09-14 凤冈县万福食品有限责任公司 Rice cleaning equipment
KR20180128769A (en) * 2017-05-24 2018-12-04 이청기 Method for manufacturing roast grain
CN109211379A (en) * 2018-11-23 2019-01-15 菏泽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山东省鲁南药物研究院) A kind of material automatic gauge for wine brewing and mixed organization and method
CN112495748A (en) * 2020-11-26 2021-03-16 朱琳娜 Screening device for processing grain seeds based on integration of multiple processes
KR102431375B1 (en) 2022-03-16 2022-08-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성방앗간 Grain wash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955A (en) * 1996-05-31 1997-12-09 Satake Eng Co Ltd Milling pretreatment method
KR100302140B1 (en) 1999-04-29 2001-09-13 나준순 Rice-cleaning method using ionized water.
JP2002292294A (en) 2001-03-30 2002-10-08 Iseki & Co Ltd Apparatus for treating foreign matter in rice milling plant
KR100461459B1 (en) * 2002-09-25 2004-12-14 점 도 최 rough stuff selec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955A (en) * 1996-05-31 1997-12-09 Satake Eng Co Ltd Milling pretreatment method
KR100302140B1 (en) 1999-04-29 2001-09-13 나준순 Rice-cleaning method using ionized water.
JP2002292294A (en) 2001-03-30 2002-10-08 Iseki & Co Ltd Apparatus for treating foreign matter in rice milling plant
KR100461459B1 (en) * 2002-09-25 2004-12-14 점 도 최 rough stuff selecting machin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69A (en) * 2017-05-24 2018-12-04 이청기 Method for manufacturing roast grain
KR101951103B1 (en) * 2017-05-24 2019-04-29 이청기 Method for manufacturing roast grain
CN108526130A (en) * 2018-04-20 2018-09-14 凤冈县万福食品有限责任公司 Rice cleaning equipment
CN108526130B (en) * 2018-04-20 2020-09-18 凤冈县万福食品有限责任公司 Rice cleaning equipment
CN109211379A (en) * 2018-11-23 2019-01-15 菏泽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山东省鲁南药物研究院) A kind of material automatic gauge for wine brewing and mixed organization and method
CN112495748A (en) * 2020-11-26 2021-03-16 朱琳娜 Screening device for processing grain seeds based on integration of multiple processes
KR102431375B1 (en) 2022-03-16 2022-08-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성방앗간 Grain washer
KR102474535B1 (en) 2022-03-16 2022-12-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성방앗간 Grain 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652B1 (en) Washing apparatus of grain
CN108208871A (en) It is a kind of can sewage disposal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device
CN206643072U (en) Fine sand classification and sorting cleaning machine
CN205887142U (en) Separator for sand and stone in concrete
CN209500873U (en) A kind of herbal extraction equipment with filtering function
CN210287451U (en) Recovery system of copper and nickel in electroplating sludge
CN205550806U (en) Spiral material separation device
JP2012106158A (en) Contaminated soil washing tank
CN210816131U (en) Take waste water treatment's gravel and sand separator
CN210497153U (en) Sand and stone separator
CN201871339U (en) Stirring filter special for coal water slurry boiler
CN109052684B (en) Solid waste crushing device and domestic sewage treatment equipment thereof
CN215142015U (en) Filtering and vibrating device for concrete bin
CN107520040A (en) A kind of sorting unit suitable for leguminous seeds wet concentration
CN211448576U (en) Drilling mud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KR101286605B1 (en) separating sand for system
CN211482872U (en) Potato belt cleaning device for food processing
CN104889145B (en) Waste lead storage battery reprocesses production line
CN114029159A (en) Waste building silt washing processing system
CN103008223A (en) Rotary powder sieve
CN112408640A (en) Concrete waste water grout recovery system
Okoronkwo et al. The adaptation of clay-bath and hydro-cyclones in palm nut cracked-mixture separation to small–scale oil palm processing industry
CN207913962U (en) A kind of vertical centrifugal slurry separator
CN108395036B (e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self-cleaning
CN207735124U (en) A kind of gold efficient fine prepar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