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243B1 - Contact - Google Patents
Conta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3243B1 KR101353243B1 KR1020130046989A KR20130046989A KR101353243B1 KR 101353243 B1 KR101353243 B1 KR 101353243B1 KR 1020130046989 A KR1020130046989 A KR 1020130046989A KR 20130046989 A KR20130046989 A KR 20130046989A KR 101353243 B1 KR101353243 B1 KR 101353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tact portion
- movable
- elastic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전자, IT 분야에서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택트의 소형화에 대비하여 가동높이를 크게 늘릴 수 있는 구조의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acts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in the fields of electricity, electronics, and I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act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operation height in preparation for miniaturization of contacts.
일반적으로 컨택트는 둘 이상의 전기, 전자, IT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거나 신호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신기기의 안테나 연결단자,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단자, 오디오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접점단자 등에 주로 사용된다. In general, a contact is used to electrically contact two or more electrical, electronic and IT components or to transmit a signal. The contact connects an antenna connector of a communication device, a charging terminal of a battery charger, and a deck and a speaker of an audio device. Mainly used for contact terminals.
최근에는 전기, 전자, IT 부품들간의 접촉안정성과 신호전달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컨택트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특히 전기, 전자, IT 기기의 소형화, 슬림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에 사용되는 컨택트의 소형화 및 슬림화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contacts is increasing to improve contact stability and signal transmission performance between electrical, electronic and IT components, and in particular, as competition for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electrical, electronic and IT devices is intensifying,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is also increasing.
컨택트의 종류는 대략 핀 타입(일명 '포고 핀')과,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판스프링 타입으로 분류되며, 본 발명은 이중에서 판스프링 타입의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The types of contacts are roughly classified into pin types (also known as pogo pins) and leaf spring type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f spring type contact.
도 1은 한국등록특허 제1001673호에 개시된 판스프링 타입의 컨택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판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10), 고정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동부(18), 고정부(10)의 단부와 가동부(18)의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부(13), 외부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가동부(18)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접촉부(16)를 포함한다. 1 illustrates a leaf spring type contact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1673, which includes a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고정부(10)의 바닥에 일정 높이의 스토퍼(11)를 형성하고, 스토퍼(11)가 접촉부(16)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과도한 외력에 의해 접촉부(16)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In the registered patent, a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컨택트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has some problems as follows.
첫째,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11)에 의해 접촉부(16)의 가동높이가 제한되므로 컨택트의 소형화, 슬림화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movable height of the
둘째, 접촉부(16)에 가해지는 외력은 스토퍼(11)에 의해 지지되지만, 탄성부(13)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 중에 탄성부(13)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변형을 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Seco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셋째, 다수의 컨택트를 함께 도금 공정할 때 서로 간에 엉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고정부(10)와 가동부(18) 사이의 공간으로 인접 컨택트가 끼어들어 서로 엉키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단 엉키면 쉽게 풀리지 않아서 도금 불량 및 형상변형이 자주 발생하고 이들을 수작업으로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entanglement occurs when plating a plurality of contacts together. In other words, adjacent contacts are often entangl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넷째, 접촉부(16)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9)는 에지(edge) 부분이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이 지지부(19)의 에지(edge)부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이로 인해 탄성부(13)의 변형이 초래되어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Fourth,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택트의 소형화 추세에 대비하여 접촉부의 가동높이를 최대로 늘릴 수 있고,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ntact capable of increasing the operating height of the contact portion to the maximum in preparation for the miniaturization trend of the contact and ensuring sufficient support for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컨택트를 도금하거나 취급할 때 서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작업 중의 간섭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tangling with each other when plating or handling a plurality of contacts, and prevent deformation due to interference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컨택트에 있어서, 관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 후단이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가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접촉부의 하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ac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rts, the fixing portion having a through; An elastic part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fixing part; A rear end having a flat part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at an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and a movable part having a contact part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flat part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flat part; A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to the contact,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throug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에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는 적어도 후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부를 가리는 위치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 방향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평판부보다 높거나 같고, 상기 접촉부가 최대로 하강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부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a pair of vertical first supporting portions having a length from at least the rear end to a position covering the elastic portion,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s the flat plate It may be higher than or equal to a portion, and may be higher than or equal to an upp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on the basis of when the contact portion descends to the maximu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에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는 적어도 선단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방향의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1지지부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a pair of vertical second support having a length from at least the front end to the tip of the contact por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is It may be characterized by the same as the one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에서, 상기 평판부의 선단에는 선단쪽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경사부의 선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way from the fixed portion toward the tip end of the flat plate portion is formed, the contact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tip of the inclin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에서,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후단 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상기 접촉부가 최대 하강하였을 때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에 접촉하여 지지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is bent toward the rear end,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is lowered to contact the substrate located below the fixing portion It can be characterized by exhibiting a bearing force.
본 발명에 따르면, 컨택트의 가동부가 하강할 때 접촉부의 하단이 고정부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컨택트의 가동높이를 크게 늘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able part of the contact is lowered,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art passes through the through par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movable height of the contact can be greatly increased.
또한 작업 또는 사용 중에 가동부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부 양측의 지지부가 외력을 분산시켜주므로 탄성부 및 접촉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의 에지(edge)가 내측으로 절곡되므로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이 걸려서 제품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movable part during operation or use, the support parts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distribute the external forc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and the contact par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of the contact portion is bent inward, a phenomenon in which the product is deformed due to a worker's glove or a tool is caught.
도 1은 종래의 컨택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의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의 접촉부가 최대로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가 휴대폰단자와 접촉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tac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illustrate an operation of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descends to the maxim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act contact with a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100)의 사시도, 저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컨택트(100)의 도면상 좌측 단부를 선단이라 하고 우측 단부를 후단이라 하기로 한다.2,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10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등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0), 고정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단자와의 접점역할을 하는 접촉부(123)를 구비하는 가동부(120), 고정부(110)의 후단과 가동부(120)의 후단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가동부(120) 전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고정부(110), 가동부(120) 및 탄성부(130)는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150)도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고정부(110)는 소정 위치 즉, 접촉부(123)의 하단이 하강하는 위치에 관통부(112)를 구비하는 평판 형상이며, 땜납 등으로 기판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적어도 저면은 평탄해야 한다.The
고정부(110)에 형성된 관통부(112)는 가동부(120)의 가동높이를 늘리기 위해 형성된 것이며, 가동부(120)가 하강하였을 때 가동부(120)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123)의 하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through
특히, 최근 들어 1mm 미만의 높이를 갖는 컨택트(100)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컨택트(100)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재질 두께가 0.1mm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고정부(110)에 형성된 관통부(112)를 가동공간으로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가동높이를 최소 1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a
탄성부(130)는 고정부(110)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둥글게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그 상단에 가동부(120)의 후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탄성부(130)는 가동부(120)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자체 탄성력을 발휘하여 접촉부(123)를 항상 초기위치로 복원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The
가동부(120)는 후단이 탄성부(130)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121), 평판부(121)의 선단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부(127), 경사부(127)의 선단에 연결되고 상부를 향하는 대략 반원 형상의 접촉부(123)를 포함한다.
평판부(121)는 고정부(110)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며, SMD 공정시에 픽업노즐에 의해 흡착되는 부분이다. The
경사부(127)는 선단으로 갈수록 고정부(110)와 멀어지는 경사각을 가지며, 접촉부(123)의 가동높이를 늘리는 역할을 한다. 경사부(127)의 경사각은 접촉부(123)가 최대 하강하였을 때 고정부(110)와 접촉위치를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The
특히 제품의 소형화 요구에 대응하면서 가동높이를 유지하거나 늘리기 위해서는 접촉부(123)를 더욱 높게 형성해야 하지만, 이 경우 작업자의 장갑이나 작업 공구 또는 인접 컨택트에 의한 간섭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접촉부(123)의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가동높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경사부(12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maintain or increase the operation height while responding to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the
접촉부(123)는 외부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상단에 접촉한 외부단자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탄성부(130)의 상단을 축으로 하강하고,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한다. 접촉부(123)의 상면에는 접촉성을 높여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전류 공급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하여, 엠보싱(125)을 구현 하였다.The
한편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 접촉부(123)의 선단에지(edge)가 바깥쪽으로 노출되면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와 간섭이 일어나 제품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123)의 선단을 후단 쪽으로 절곡시켜서 단부(123a)가 컨택트(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ip edge of the
이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된 접촉부의 단부(123a)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하였을 때 고정부(110)에 형성된 관통부(112)를 지나 기판(2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접촉부(123)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B,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접촉부(123)의 폭이 상단에서 단부(123a)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하였다. 이렇게 접촉부(123)의 선단 부근에 폭 방향 기준으로 테이퍼(taper)를 형성하면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과의 간섭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ure 5, the width of th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부(123)의 저면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물은 접촉부(123)의 가동높이를 근본적으로 제한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접촉부(123)의 저면을 하부에서 직접 지지하는 구조를 채택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ucture direct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대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110)의 양측에 수직방향의 지지부(140, 150)를 형성하여 탄성부(130) 및 접촉부(123)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였다.Instea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부(110)의 후단 부근에는 양측이 한 쌍을 이루는 제1지지부(140)를 형성하고, 선단 부근에는 양측이 한 쌍을 이루는 제2지지부(150)를 형성한다.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는 각각 고정부(110)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향 절곡된 것이다. 따라서 가동부(120)는 고정부(110) 양측의 제1 및 제2지지부(140,15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접촉을 한다.In detail, the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의 높이는 가동부(120)의 평판부(121)보다 높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의 높이는 가동부(120)가 최대 하강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접촉부(123)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작업 또는 사용중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가 이 힘을 지지하여 접촉부(123) 및 탄성부(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110)의 양측에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를 분리하여 형성하였으나, 이는 SMD 공정에 필요한 구조를 확보하면서 재료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formed by separating the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분리하여 형성할 경우, 제1지지부(140)는 적어도 탄성부(130)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10)의 중간, 즉, 가동부(120)의 평판부(121) 선단 부근에서 탄성부(130)의 후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외력에 의한 탄성부(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separated and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제2지지부(150)는 적어도 고정부(110)의 선단에서 접촉부(123) 하단의 단부(123a)의 위치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단부(123a)가 작업공구, 작업장갑 등의 작업요소와 간섭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부(110)와 접촉부(123) 사이의 공간으로 인접 컨택트가 끼어들어 서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123)의 상단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촉부(12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10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기판(200)에 장착된 컨택트(100)에 외부단자의 접촉이 없으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20)의 평판부(121)는 고정부(110)와 대략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탄성부(130)와 평판부(121)는 고정부(1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140)에 의해 가려지고, 접촉부(123)는 제1 및 제2지지부(140,15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If the
이어서 외부단자가 접촉부(123)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접촉부(123)에 하방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20)가 탄성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촉부(123)가 하강한다.Subsequently, when the external terminal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이때 접촉부(123)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단부(123a)가 고정부(110)에 형성된 관통부(112)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어서 접촉부(123)의 가동높이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접촉부(123)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단부(123a)는 기판(2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접촉부(123)에 가해지는 하중을 일정 부분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부(140,150)의 높이를 접촉부(123)가 최대 하강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접촉부(123)의 상단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하면 접촉부(123)가 최대 하강한 이후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1 및 제2지지부(140,15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접촉부(123)의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단자와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if the heights of the first and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지지부(140,150)의 높이를 탄성부(130)의 상단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하면 외력이 제1 및 제2지지부(140,150)에 의해 분산되므로 이로 인한 탄성부(130)의 변형이 방지된다.Similarly, when the heights of the first and
이 상태에서 외부단자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접촉부(123)는 탄성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도 6a와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In this state, when the contact state with the external terminal is released,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100)가 휴대폰의 안테나단자(300)에 대한 접속장치로 사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컨택트(100)는 고정부(110)를 휴대폰의 기판(200)에 땜납 함으로써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테나를 인출하면, 안테나단자(300)가 컨택트(100)의 접촉부(123)를 누르면서 기판(200)과 안테나단자(3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이때 접촉부(123)는 탄성부(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테나단자(300) 쪽으로 계속 힘을 가하게 되므로 접촉부(123)와 안테나단자(300)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만일 휴대폰의 슬림화로 인해 안테나단자(300)가 접촉부(123)를 과도하게 누르는 경우에는 고정부(110) 양측의 지지부(140,150)가 이 힘을 지지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접촉부(123) 및 탄성부(13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If the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100)가 휴대폰에 사용되어 안테나단자(300)와 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100)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종류의 전기, 전자, IT 기기에서도 전기접속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수정 또는 치환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 수정 또는 치환된 실시 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게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modified, or substituted in various forms, and thus the modified, modified, or substitut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atents. If it includ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claims, of course,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컨택트 110: 고정부
112: 관통부 120: 가동부
121: 평판부 123: 접촉부
125: 엠보싱 127: 경사부
130: 탄성부 140: 제1지지부
150: 제2지지부 200: 기판
300; 안테나단자100: contact 110:
112: through part 120: movable part
121: flat plate portion 123: contact portion
125: embossed 127: inclined portion
130: elastic portion 140: first support portion
150: second support portion 200: substrate
300; Antenna terminal
Claims (5)
관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
후단이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가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접촉부의 하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는 적어도 후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부를 가리는 위치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 방향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평판부보다 높거나 같고, 상기 접촉부가 최대로 하강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부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In a contac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parts,
A fixed part having a through part;
An elastic part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fixing part;
A movable part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at an upper part of the fixed part, and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lat part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flat part;
Including;
When the contact portion descends to the maximum,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is formed a pair of vertical first supporting parts having a length from at least a rear end to a position covering the elastic part,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flat plate portion, the contact, characterized in that higher than or equal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on the basis of when the contact portion is lowered to the maximum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는 적어도 선단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방향의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1지지부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vertical second supporting portions having a length from at least one end to the tip of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상기 평판부의 선단에는 선단쪽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경사부의 선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The method of claim 1,
An inclined portion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way from the fixed portion toward the tip end of the flat plate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후단 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상기 접촉부가 최대 하강하였을 때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에 접촉하여 지지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The method of claim 1,
An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is bent toward a rear end,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descends and contacts the substrate positioned below the fixed portion to exert a bearing for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989A KR101353243B1 (en) | 2013-04-26 | 2013-04-26 | Contact |
JP2013213675A JP5695157B2 (en) | 2013-04-26 | 2013-10-11 | conta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989A KR101353243B1 (en) | 2013-04-26 | 2013-04-26 | Contac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3243B1 true KR101353243B1 (en) | 2014-01-17 |
Family
ID=5014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6989A KR101353243B1 (en) | 2013-04-26 | 2013-04-26 | Contac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695157B2 (en) |
KR (1) | KR1013532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78867A (en) * | 2016-03-14 | 2018-11-09 |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 Electronic control un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171A (en) * | 1998-06-05 | 1999-12-24 | Nec Shizuoka Ltd | Antenna terminal structure for phs(r) |
JP2008500682A (en) | 2004-04-20 | 2008-01-10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Memory card connector |
JP2009211874A (en) | 2008-03-03 | 2009-09-1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Terminal fitting |
KR20120012457A (en) * | 2010-01-04 | 2012-02-10 |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2758A (en) * | 1997-09-26 | 1999-04-13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Connector |
JP4492996B2 (en) * | 2003-01-22 | 2010-06-30 | 株式会社ヨコオ | contact |
JP4170278B2 (en) * | 2004-03-19 | 2008-10-2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ors |
JP5228232B2 (en) * | 2009-01-09 | 2013-07-03 | 北川工業株式会社 | contact |
CN201639002U (en) * | 2009-12-23 | 2010-11-17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s thereof |
JP3161365U (en) * | 2010-05-17 | 2010-07-29 | 正▲うえ▼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 Connector terminal |
-
2013
- 2013-04-26 KR KR1020130046989A patent/KR10135324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10-11 JP JP2013213675A patent/JP569515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171A (en) * | 1998-06-05 | 1999-12-24 | Nec Shizuoka Ltd | Antenna terminal structure for phs(r) |
JP2008500682A (en) | 2004-04-20 | 2008-01-10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Memory card connector |
JP2009211874A (en) | 2008-03-03 | 2009-09-1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Terminal fitting |
KR20120012457A (en) * | 2010-01-04 | 2012-02-10 |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 Connec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78867A (en) * | 2016-03-14 | 2018-11-09 |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 Electronic control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695157B2 (en) | 2015-04-01 |
JP2014216312A (en) | 2014-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88525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arm contact | |
KR101165558B1 (en) | Contactor | |
CN101494805B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a slotted 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ion to a flexible wire, and an assembly of the same | |
US803387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terminal with cutout receiving deprressed contact arm | |
US7252563B2 (en) | Electricity connector | |
KR101309404B1 (en) | A connecting apparatus for a terminal | |
US7611391B2 (en) | Battery connector | |
KR20150056032A (en) | Surface-Mount Typed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 |
US8366452B2 (en) | Low profile socket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 |
US7625221B1 (en) | Elastic contact | |
US761138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board lock devices | |
JP2017224638A (en) | Pressure contact connector | |
KR101353243B1 (en) | Contact | |
US9887480B2 (en) | Contact including deformation preventer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connector support | |
US80704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assageway with hard stop preventing over-compression during downward operation | |
CN204857982U (en) | Cell -phone shell fragment | |
KR101190016B1 (en) | Elastic conductive contact terminal | |
US20130090013A1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low profile application | |
CN107453080B (en) | Pre-pressing high-elasticity spring piece connector | |
KR101926759B1 (en) | Connection Terminals for Electronic Equipment | |
JP2020004639A (en) | connector | |
CN210723468U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453678B1 (en) | Contact | |
KR101499187B1 (en) |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 |
KR101370175B1 (en) | Conta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