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653B1 - 에어 무버 - Google Patents

에어 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653B1
KR101352653B1 KR1020130115469A KR20130115469A KR101352653B1 KR 101352653 B1 KR101352653 B1 KR 101352653B1 KR 1020130115469 A KR1020130115469 A KR 1020130115469A KR 20130115469 A KR20130115469 A KR 20130115469A KR 101352653 B1 KR101352653 B1 KR 10135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rvature
air supply
main body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이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훈 filed Critical 이광훈
Priority to KR102013011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송풍 및 확산 공급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 무버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컴프레서와 연결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몸체이되 몸체의 후방 외측면에서 내부 중공 측에 연결되는 에어공급홀이 형성되며, 몸체의 내면 후단부에 역풍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곡률부가 형성되고, 곡률부에 연이어 전방 선단부까지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확대구조를 갖는 내경확대부가 형성되는 에어공급본체; 상기 에어공급본체의 후측단에 위치하여 체결되는 것으로, 링 형태의 몸체이되 몸체의 후측부 내면에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축소구조를 갖는 외부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선단부 내면에 외부 유입공기를 에어공급본체의 곡률부로 유도하는 외부공기유도부가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부재; 상기 에어공급본체의 선단부를 삽입 끼움하여 결합하기 위한 본체결합부가 형성되며, 본체결합부의 선단에 연장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확대구조를 갖는 확산처리부가 형성되는 확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무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무버{AIR MOVER}
본 발명은 공기의 송풍 및 확산 공급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 무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풍의 발생 없이 제트기류를 형성하여 공기의 공급출력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공기 출력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에어 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무버(air mover)는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공기압축기)와의 연결을 통해 공기의 송풍을 유도하되 공기를 확산시켜 공급하기 위한 기구로서, 주로 탄광이나 공장 등지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작업의 원활함을 위해 작업자에게 바람을 공급하여주기 위한 용도는 물론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사용되고 있는 에어 무버는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공기압축기)와의 연결을 통한 압축 공기의 공급시 역풍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기의 출력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종래에 있어 공기의 송풍 및 확산 공급용 에어 무버에 관련해서는 제안된 기술을 찾기가 그다지 쉽지 않았으며,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2009-0012637호에서는 날개나 임펠러를 갖는 유형의 공기흡입 송풍식 환풍기를 제안하고 있고, 국내실용신안공고 제1993-0004190호에서는 건물의 실내 냉난방용 공기조화장치의 공기 확산기를 제안하고 있으며,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2271호에서는 냉난방 공기를 실내로 확산시키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안하고 있는 등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대부분으로 본원기술과는 기술적 차이를 갖는 것들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63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3-000419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2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풍의 발생 없이 제트기류를 형성하여 공기의 공급출력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공기 출력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에어 무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서와의 연결을 통해 공기를 송풍 및 확산 공급하되 에어컴프레서의 입력치 대비 출력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에어 무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서와 연결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를 갖되 몸체의 후방(後方) 외측면에서 내부 중공 측에 연결되는 에어공급홀이 형성되며, 몸체의 내면 후단부에 외부공기의 원활한 유입 및 흐름을 유도하여 역풍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곡률부가 형성되고, 곡률부에 연이어 전방(前方) 선단부까지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확대구조를 갖는 내경확대부가 형성되는 에어공급본체; 상기 에어공급본체의 후측단에 위치하여 체결되는 것으로서, 링 형태의 몸체를 갖되 몸체의 후측부 내면에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축소구조를 가지며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부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선단부 내면에 외부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대해 에어공급본체의 곡률부로 유도하는 외부공기유도부가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부재; 상기 에어공급본체의 선단부를 삽입 끼움하여 결합하기 위한 본체결합부가 형성되며, 본체결합부의 선단에 연장되고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확대구조를 갖는 확산처리부가 형성되어 공기를 확산 배출시키는 확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곡률부는 R8∼R12 범위로 곡률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곡률부의 후방(後方) 끝단은 원통형 몸체의 후단 수평면보다 0.3∼1.0mm 만큼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도록 낮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경확대부는 2∼5도 범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 역풍이 발생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고 제트기류의 형성을 유도하므로 그에 따른 출력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람을 일으키는 공기의 공급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출력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광이나 공장 등지에서 공기를 정화하거나 강한 바람을 일으켜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탄광 등 선풍기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 선풍기를 대체할 수 있으며, 제품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등 응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무버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무버에 있어 에어공급본체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a)는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무버에 있어 외부공기유입부재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a)는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무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공급본체(110)와 외부공기유입부재(120) 및 확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공급본체(110)는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공기압축기)와 연결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111)를 갖되 몸체의 후방(後方) 외측면에서 내부 중공 측에 연결되는 에어공급홀(112)이 형성되며, 몸체의 내면에는 후단부에 외부공기의 원활한 유입 및 흐름을 유도하여 역풍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곡률부(113)가 형성되고 이 곡률부(113)에 연이어 전방(前方) 선단부까지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되어지는 내경확대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홀(112)은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공기압축기)와 연결배관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에어컴프레서의 압축 공기를 에어공급본체(110)로 유입되게 하는 부분이다.
상기 곡률부(113)의 후방(後方) 끝단은 원통형 몸체(111)의 후단 수평면보다 0.3∼1.0mm 만큼의 높이(H) 차이가 발생하도록 낮게 형성시킴으로써 에어공급본체(110)의 후측에 외부공기유입부재(120)를 체결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공급본체(110)와 외부공기유입부재(120)와의 사이에 에어갭(G)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곡률부(113)는 R8∼R12 범위 내로 곡률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공기의 유입시 공기의 유입과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최적의 곡률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공기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역풍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트 기류의 원활한 형성을 지원하게 되며 공기의 공급출력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다.
상기 내경확대부(114)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을 점진적으로 확대시킴으로써 공기의 확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되, 경사각(T)을 2∼5도 범위의 완만한 각도로 형성시킴으로써 공기 공급출력 및 확산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공기유입부재(120)는 에어공급본체(110)의 후측단에 위치되어 체결되는 것으로서, 링 형태의 몸체(121)를 갖되 몸체의 후측부 내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에어공급본체(11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내경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킨 외부공기유입부(122)가 형성되고, 몸체의 선단부 내면에 외부공기유입부(12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대해 에어공급본체(110)의 곡률부(113)로 유도하는 외부공기유도부(1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공기유도부(123)는 곡률부(113)의 후방(後方) 끝단에 직면하여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에어공급본체(110)와 외부공기유입부재(120)와의 사이에 에어갭(G)을 형성하는 공통요소가 된다.
상기 확산부재(130)는 최종적으로 공기를 확산 공급 및 외부로 배출하여 송풍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공급본체(110)의 선단부를 삽입 끼움하여 결합하기 위한 본체결합부(131)가 형성되고, 본체결합부(131)의 선단에 연장되는 확산처리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산처리부(132)는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무버(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를 에어공급본체(110)의 에어공급홀(112) 측에 연결한 상태에 에어컴프레서(미 도시됨)를 작동시키면, 에어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가 에어공급홀(112)을 통하여 에어공급본체(110)의 내부 중공으로 공급되며, 에어컴프레서가 갖는 공압 출력에 의해 에어공급본체(110)의 내경확대부(114)를 타고 전방(前方)을 향하여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때, 에어컴프레서가 갖는 공압 출력에 의해 에어공급본체(110)의 후방(後方)에서는 흡입력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외부공기유입부재(120)의 외부공기유입부(122)를 통해 에어공급본체(110) 측으로 집중되어 유입되어지고 외부공기유도부(123)를 통해 에어공급본체(110)의 곡률부(113)를 향하도록 유도된다.
이렇듯, 에어공급본체(110)의 곡률부(113)로 유도된 외부 공기는 곡률부(113)의 곡률을 타고 에어공급본체(11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되며 외부 유입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부연하여, 에어공급본체(110)의 곡률부(113)에서는 외부공기유입부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대해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이 외부 공기를 더해주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 자연스런 외부 공기의 흐름을 전방으로 유도함으로써 역풍이 발생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됨과 더불어 제트기류를 형성시켜주므로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공급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효율을 높여주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다 에어공급본체(110)의 곡률부(113)에 의해 더해진 외부 공기는 최대 출력으로 에어공급본체(110)의 내경확대부(114)로 보내져 완만하게 확산 처리되면서 출력되며, 확산부재(130)의 본체결합부(131)를 통해 공기의 속력을 증가시키고 확산처리부(132)를 통해 최종적으로 공기를 확산시켜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에어 무버(100)를 통과하여 배출된 공기는 강한 바람으로 공중에 송풍되며, 사용되는 장소의 공기를 정화하거나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에어 무버(100)는 에어컴프레서와의 연결을 통해 공기를 송풍 및 확산 공급할 수 있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설계와 더불어 외부 공기 유입에 따라 제트기류의 형성을 유도하는 구성으로 에어컴프레서의 입력치 대비 출력치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에어 무버
110: 에어공급본체 112: 에어공급홀
113: 곡률부 114: 내경확대부
120: 외부공기유입부재 122: 외부공기유입부
123: 외부공기유도부
130: 확산부재 131: 본체결합부
132: 확산처리부

Claims (4)

  1. 에어컴프레서와 연결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를 갖되 몸체의 후방(後方) 외측면에서 내부 중공 측에 연결되는 에어공급홀이 형성되며, 몸체의 내면 후단부에 외부공기의 원활한 유입 및 흐름을 유도하여 역풍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곡률부가 형성되고, 곡률부에 연이어 전방(前方) 선단부까지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확대구조를 갖는 내경확대부가 형성되는 에어공급본체;
    상기 에어공급본체의 후측단에 위치하여 체결되는 것으로서, 링 형태의 몸체를 갖되 몸체의 후측부 내면에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축소구조를 가지며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부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선단부 내면에 외부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대해 에어공급본체의 곡률부로 유도하는 외부공기유도부가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부재;
    상기 에어공급본체의 선단부를 삽입 끼움하여 결합하기 위한 본체결합부가 형성되며, 본체결합부의 선단에 연장되고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내경 확대구조를 갖는 확산처리부가 형성되어 공기를 확산 배출시키는 확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는 R8∼R12 범위로 곡률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시 공기의 유입과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역풍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트 기류의 원활한 형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무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의 후방(後方) 끝단은 원통형 몸체의 후단 수평면보다 0.3∼1.0mm 만큼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도록 낮게 형성시킴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무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확대부는 2∼5도 범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공급출력 및 확산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무버.
KR1020130115469A 2013-09-26 2013-09-26 에어 무버 KR101352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469A KR101352653B1 (ko) 2013-09-26 2013-09-26 에어 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469A KR101352653B1 (ko) 2013-09-26 2013-09-26 에어 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653B1 true KR101352653B1 (ko) 2014-01-16

Family

ID=5014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469A KR101352653B1 (ko) 2013-09-26 2013-09-26 에어 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2450B2 (en) * 2017-07-31 2024-05-1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72B1 (ko) 2006-01-12 2007-06-14 (주)제왕터보텍 원심 터보 블로워
KR101194721B1 (ko) 2012-04-12 2012-10-2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급기디퓨저의 역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72B1 (ko) 2006-01-12 2007-06-14 (주)제왕터보텍 원심 터보 블로워
KR101194721B1 (ko) 2012-04-12 2012-10-2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급기디퓨저의 역류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2450B2 (en) * 2017-07-31 2024-05-1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629B2 (en) Fan
KR101320980B1 (ko) 송풍기
AU2009326183B2 (en) A fan
JP5659404B2 (ja) 送風機
CN211901012U (zh) 一种立体大风域生成装置及多功能风扇
CN203478543U (zh) 空调送风装置及立式空调
GB2452490A (en) Bladeless fan
JP5879502B2 (ja) 涼風機
CN107747763A (zh) 空调室内机
CN105333501A (zh) 一种空调室内机送风方法
JP5838296B2 (ja) 送風装置
CN106884815B (zh) 对射式无叶风扇
KR101352653B1 (ko) 에어 무버
CN203837154U (zh) 空调室外机及其室外机面板
CN103982954A (zh) 空调室外机及其室外机面板
WO2019085570A1 (zh) 一种风管和风机系统
JP5923686B2 (ja) 涼風機
CN203430872U (zh) 中央动力分布喷射式排气扇
CN206785759U (zh) 对射式无叶风扇
WO2017206643A1 (zh) 一种送风系统及应用其的室内机和空调
JP3237053U (ja) ホッパー型チャンバーボックス
CN104643516A (zh) 一种虹吸式吹风机壳体
CN215292959U (zh) 无叶风扇风道结构、无叶风扇以及无叶风扇灯
US20230375008A1 (en) Bladeless fan for commercial applications
CN111828351B (zh) 一种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