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151B1 -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151B1
KR101352151B1 KR1020110135159A KR20110135159A KR101352151B1 KR 101352151 B1 KR101352151 B1 KR 101352151B1 KR 1020110135159 A KR1020110135159 A KR 1020110135159A KR 20110135159 A KR20110135159 A KR 20110135159A KR 101352151 B1 KR101352151 B1 KR 10135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as
combustion air
supplied
klaus
mola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030A (ko
Inventor
정종태
임경인
이선근
정원석
김성욱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1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7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othe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민 공정(Amine Process, ARU)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our Water Stripping Process, SWS)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와 연소공기를 반응시켜 황을 회수하는 클라우스 반응단계를 포함하는 황회수 공정에서, 클라우스 반응단계 후 미반응 가스 내에 포함된 H2S/SO2의 몰비에 따라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한 연소공기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한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Combustion air controlling method according to acid gas source in sulfur recovery process}
본 발명은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유공정에서 생성되는 산성 가스는 아민 공정(Amine Process)과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our Wate Stripping Process)를 통해 황회수를 위한 클라우스 공정(Claus Process)으로 유입되어, 역시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반응한다.
클라우스 공정은 산성 가스 내의 H2S를 공기와 반응시켜 황을 회수하는 공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적 단계와 촉매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의 공정이다.
열적 단계에서는 공급되는 산성 가스 내의 H2S가 공기와의 연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산화되어 SO2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를 형성하며, 열적 단계의 화학 반응은 반응식 (I)로 나타내어진다.
2H2S + 3O2 → 2SO2 + 2H2O (I)
이때, 반응하지 않은 황화수소와 연소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황은 클라우스 반응을 할 수 있고, 이로써 촉매 단계의 화학 반응을 나타내는 반응식 (II)에 따라 황 원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2H2S + SO2 ↔ 3S + 2H2O (II)
클라우스 공정에서, 연소 가스 중 반응하지 않은 황화수소 및 이산화황은 클라우스 반응 온도를 낮추는 클라우스 촉매 위로 연소 가스를 전달함으로써 반응식 (II) 에 따라 촉매적으로 반응된다.
이와 같은 황회수 공정(Sulfur Recovery Unit, SRU)에서 산성 가스와 공기를 반응시키는데 있어서, 최적의 유황 생산을 위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 클라우스 공정의 연소공기 공급 제어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클라우스 공정으로 유입되는 산성 가스의 조성 및 유량에 따라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연소공기 주요제어밸브(Main Control Valve)(201)와 산성 가스 조성 및 유량의 변화에 따른 연소공기의 양 미세 조정을 위한 연소공기 보조제어밸브(Trim Control Valve)(20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클라우스 공정의 연소공기 제어방법은 클라우스 공정으로 유입되는 산성가스의 조성 및 유량에 따라 클라우스 반응단계에서 유출되는 미반응 가스 내의 H2S 와 SO2의 몰비가 2:1을 유지하도록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 클라우스 공정의 연소공기 제어 방법은 산성 가스의 공급원에 상관없이, 즉, 아민 공정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가스인지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 가스인지 상관없이 클라우스 공정으로 유입되는 전체 산성가스의 조성 및 유량에 따른 연소공기의 양을 주요 밸브를 통해 제어하고, 산성 가스의 조성 및 유량의 변화를 클라우스 반응단계에서 유출되는 미반응 가스 내의 H2S와 SO2의 몰비에 따라 보조밸브를 통해 미세제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제어순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클라우스 공정의 연소공기 제어 방법은 상대적으로 산성 가스의 양이 적은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의 조업 중단(Shut Down)이나 정상 운전이 불가할 경우 아민 공정의 정상 조업 여부와 관계없이 황회수 공정 역시 조업을 중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스 공정으로 유입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공정 운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아민 공정(Amine Process, ARU)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our Water Stripping Process, SWS)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와 연소공기를 반응시켜 황을 회수하는 클라우스 공정 제어방법에서, 상기 클라우스 공정 후의 미반응 가스(Tail Gas) 내에 포함된 황화 수소(H2S) 및 이산화황(SO2)의 몰비(H2S/SO2)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몰비가 설정값 이하이거나 또는 이상일 경우, 상기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몰비를 설정값으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H2S/SO2의 몰비 설정값은, 1.8~2.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H2S/SO2의 측정된 몰비가 1.8 미만이면 상기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밸브 개도량을 조절하여, 설정된 유량의 -10% ~ -0.0001%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H2S/SO2의 측정된 몰비가 2.2 초과이면 상기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밸브 개도량을 조절하여, 설정된 유량의 +0.0001% ~ +10%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민 공정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 가스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 가스를 포함하는 황회수 공정에 유입되는 산성 가스의 유입원에 따라 산성 가스와 반응하는 연소공기 양을 각각 제어할 수 있어, 초기운전 또는 공정정비 후 재운전시 운전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클라우스 반응 후 미반응 가스 내의 H2S:SO2 몰비를 감지하여 직접적으로 연소공기 양을 제어하므로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클라우스 공정의 연소공기 제어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클라우스 공정의 연소공기 제어방법에서 제어밸브 미세제어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서 연소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서 제어밸브 미세제어의 순서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아민 공정(Amine Process, ARU)
20: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our Water Stripping Process, SWS)
30: 연소공기(Combustion Air)
40: 클라우스 공정(Claus Reaction Section)
50: 미반응가스 처리 구간(Tail Gas Treating Unit, TGTU Section)
60: 소각로 구간(Incineration Section)
70: 미반응가스 온라인 분석기
101, 102, 103 : 유량 측정기
201: 연소공기 주요 제어밸브
202: 연소공기 미세 제어밸브
203: 아민공정으로부터 오는 산성가스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제어밸브
204: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오는 산성가스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제어밸브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민 공정(Amine Process, ARU)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our Water Stripping Process, SWS)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와 연소공기를 반응시켜 황을 회수하는 클라우스 공정 제어방법에서, 상기 클라우스 공정 후의 미반응 가스(Tail Gas) 내에 포함된 H2S와 SO2의 몰비(H2S/SO2)에 따라,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산성 가스의 주요 공급원은 아민 공정과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이다.
아민 공정은 황(S)의 함량이 많은 산성가스를 처리하여 천연가스(Natural Gas)나 정유 연료가스(Fuel Gas)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생산물의 환경적인 규제를 맞추기 위해 꼭 필요한 공정이다. 그 원리는 산성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 수소(H2S), 이산화 탄소(CO2), 카르보닐 설파이드(COS), 머캡탄(RSH) 등의 물질들이 아민으로 흡수가 되는데 산성가스의 황화 수소, 이산화 탄소와 같은 산성 물질들의 부분압력(Partial Pressure)과 아민에 녹아 있는 약간의 산성 물질들에 의한 부분압력 간의 차이가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추진력(Driving Force)이 된다. 즉, 높은 부분 압력을 가지고 있는 산성가스내의 황화 수소, 이산화 탄소가 낮은 부분압력을 가지고 있는 아민 속으로 흡수가 되는 것이다. 아민에 녹아든 산성 물질들은 재생탑에서 대부분 아민과 분리가 되어 고순도의 산성가스가 SRU로 유입이 된다. 이때, SRU로 유입되는 산성가스는 대부분 황화 수소와 이산화 탄소로 이루어져 있고 약간의 탄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다. SRU로 유입되는 산성가스 내의 이산화 탄소와 탄화수소의 함량에 따라 황화 수소의 함량은 보통 10 mol%(몰농도)부터 95 mol%이상까지 다양하게 분포할 수 있다.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은 정유 공정에서 생성되는 산성 물(Sour Water)에 녹아있는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그리고 다른 불순물들 중에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뽑아내는 스트리핑 (Stripping) 공정이다. 그 원리는 산성물을 스트리핑 타워 상단에 유입을 하고 타워 하단에는 증기(Steam)를 유입하여 산성물에 녹아있는 가스(Dissolved Gas) 의 부분압력을 낮추는데, 그 결과 산성물 속의 휘발성이 높은 물질인 황화수소와 암모니아가 가스형상(Gas Phase)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타워 상단에서 나오는 산성 가스는 대부분 황화수소, 암모니아 그리고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고 성분이 각각 30mol%, 30mol%, 40mol% 정도이다. 이 산성 가스는 SRU로 유입된다.
이때, 아민 공정에서 유입되는 산성 가스의 양이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에서 유입되는 산성 가스의 양보다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에서 연소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미세제어의 순서도이다.
황화 수소(H2S)를 포함하는 산성 가스가 아민 공정(10)과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20)을 거쳐 클라우스 공정(40)으로 유입되고, 또한, 황을 회수할 수 있도록 산성 가스에 포함된 황화 수소(H2S)와 반응하는 연소공기(30)가 외부로부터 클라우스 공정(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클라우스 공정(40)에서 반응 후 황은 회수되고, 미반응 가스(이하, 클라우스 미반응 가스라 함.)가 유출되는데, 이때, 미반응 가스 온라인 분석기(70)를 이용하여 클라우스 미반응 가스 내의 H2S/SO2 몰비를 분석하여 측정할 수 있다.
H2S/SO2 몰비는 1.8~2.2가 적절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일 수 있다. 여기서 H2S/SO2 몰비가 1.8 미만이면 산소가 필요한 양보다 과량 유입이 되었기 때문에 1/3몰 이상의 H2S가 연소가 되어 과량의 이산화 황(SO2)이 생성이 되고 이산화 황과 반응할 최적의 상태인 2몰의 황화 수소보다 적은 양의 황화 수소가 남아있게 되어 클라우스 반응에 의한 황의 생성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황 회수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한편, H2S/SO2 몰비가 2.2 초과이면 산소가 필요한 양보다 소량 유입되었기 때문에 1/3몰 이하의 황화 수소가 연소가 되어 소량의 이산화 황이 생성되고 이 또한 이산화 황과 반응할 최적의 상태인 2몰의 황화 수소보다 많은 양의 황화 수소가 남아있게 되어 클라우스 반응에 의한 황의 생성이 감소하고 황 회수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연소 반응기내에서 충분한 온도를 만들지 못하고 산소가 부족해 산성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암모니아, 탄화수소)등이 전량 연소되지 않아서 후단에 있는 장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미반응 가스 온라인 분석기(70)를 이용하여 클라우스 미반응 가스 내의 H2S/SO2 몰비 설정값은 1.8~2.2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미반응 가스 온라인 분석기(70)에 의해 측정된 H2S/SO2의 몰비에 의해 클라우스 공정(40)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H2S/SO2의 몰비가 1.8 미만으로 측정되면 클라우스 공정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 즉,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과, 샤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밸브들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유량보다 적은 유량의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때 기 설정된 유량보다 적은 유량은 -10% ~ -0.0001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H2S/SO2의 몰비가 2.2 초과로 측정되면 클라우스 공정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 즉,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과, 샤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밸브들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유량보다 많은 유량의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때 기 설정된 유량보다 많은 유량은 +0.0001% ~ +10%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미반응가스 온라인 분석기(70)에 의해 분석된 H2S/SO2의 몰비가 1.8미만이면 공기가 필요한 양보다 과량 유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아민 공정(ARU)으로부터 오는 산성가스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제어밸브(203)와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WS)으로부터 오는 산성가스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제어밸브(204)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유입 유량의 -10% ~ -0.0001% 범위에서 연소공기를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조절된 공기의 유량에 의해 H2S/SO2 몰비의 값을 다시 1.8~2.2로 맞추도록 한다.
또한, 미반응가스 온라인 분석기(70)에 의해 분석된 H2S/SO2 몰비가 2.2 초과이면 공기가 필요한 양보다 소량 유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아민 공정(ARU)으로부터 오는 산성가스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제어밸브(203)와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WS)으로부터 오는 산성가스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제어밸브(204)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유입 유량의 +0.0001% ~ +10% 의 범위에서 연소공기를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조절된 공기의 유량에 의해 H2S/SO2 몰비의 값을 다시 1.8~2.2로 맞추도록 한다.
이와 같이, 클라우스 미반응 가스 내의 H2S/SO2의 몰비를 미반응가스 온라인 분석기(70)를 통해 측정한 다음, 이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샤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되,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산소 가스의 공급원에 대해 개별적으로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공정 운영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아민 공정(Amine Process, ARU) 및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Sour Water Stripping Process, SWS)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와 연소공기를 반응시켜 황을 회수하는 클라우스 공정 제어방법에서,
    상기 클라우스 공정 후의 미반응 가스(Tail Gas) 내에 포함된 황화 수소(H2S) 및 이산화황(SO2)의 몰비(H2S/SO2)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몰비가 설정값 이하이거나 또는 이상일 경우, 상기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몰비를 설정값으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2S/SO2의 몰비 설정값은, 1.8~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2S/SO2의 측정된 몰비가 1.8 미만이면 상기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밸브 개도량을 조절하여, 설정된 유량의 -10% ~ -0.0001%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H2S/SO2의 측정된 몰비가 2.2 초과이면 상기 아민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사워 워터 스트리핑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성 가스에 대응하여 클라우스 공정으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밸브 개도량을 조절하여, 설정된 유량의 +0.0001% ~ +10%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KR1020110135159A 2011-12-15 2011-12-15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KR10135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59A KR101352151B1 (ko) 2011-12-15 2011-12-15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59A KR101352151B1 (ko) 2011-12-15 2011-12-15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030A KR20130068030A (ko) 2013-06-25
KR101352151B1 true KR101352151B1 (ko) 2014-01-15

Family

ID=4886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159A KR101352151B1 (ko) 2011-12-15 2011-12-15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12B1 (ko) 2000-09-07 2007-12-17 더 비오씨 그룹 피엘씨 황화수소 함유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방법
KR20080097986A (ko) * 2006-10-31 2008-11-06 황금호 기류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3968A (ko) * 2007-06-21 2010-03-04 플루오르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황 회수 유닛용 공기 수요량 피드백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12B1 (ko) 2000-09-07 2007-12-17 더 비오씨 그룹 피엘씨 황화수소 함유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방법
KR20080097986A (ko) * 2006-10-31 2008-11-06 황금호 기류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3968A (ko) * 2007-06-21 2010-03-04 플루오르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황 회수 유닛용 공기 수요량 피드백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030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9462T3 (es) Procedimientos y sistemas de control con realimentación de demanda de aire para unidades de recuperación de azufre
DK2753416T3 (en) Method of combustion of NH3 and NH3 incinerators
US3985861A (en) Process for removing sulfur compounds from claus off-gases
CA2368705C (en) Treatment of combustible gas streams containing hydrogen sulphide
CA3059554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removing hydrogen sulfide from gas streams
CA2569539C (en) Process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rocess gas stream
EP3237096B1 (en) Removal of hydrogen sulfide and sulfur recovery from a gas stream by catalytic direct oxidation and claus reaction
KR101352151B1 (ko) 황회수 공정의 산성가스 공급원에 따른 연소공기 제어방법
US10195565B2 (en) Removal of hydrogen sulfide and sulfur recovery from a gas stream by catalytic direct oxidation and claus reaction
US82362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lfur recovery
CA2568303C (en) A method for recovering sulphur from gas streams
US10508034B2 (en) Extended thermal stage sulfur recovery process
KR20100114835A (ko) 온라인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기체상 유출물의 탈황 방법
US20230009711A1 (en) Continuous process to treat a hydrogen sulphide comprising gas
CA2736115A1 (en) Adaptive control system for a sulfur recovery process
CN212467684U (zh) 一种尾气回收装置
Monnery Economic H2S Treating and Sulphur Recovery
MXPA99011904A (es) Metodo para desulfurar gases de descarga
MXPA01010057A (en) Treatment of combustible gas streams containing hydrogen sulph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