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82B1 -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 Google Patents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82B1
KR101352082B1 KR1020120053510A KR20120053510A KR101352082B1 KR 101352082 B1 KR101352082 B1 KR 101352082B1 KR 1020120053510 A KR1020120053510 A KR 1020120053510A KR 20120053510 A KR20120053510 A KR 20120053510A KR 101352082 B1 KR101352082 B1 KR 10135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dimensional
coordinate
dimension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9547A (en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82B1/en
Publication of KR201301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의 특정 지점 간 치수 정보를 2차원 형식으로 출력해서 설계자가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수치적 구조 관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계장치가 출력하는 3차원 구조물 이미지 내에 선택된 제1지점과 제2지점의 3차원 좌표값을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확인하는 지점 선택단계; 모드설정모듈이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출력 모습을 확인하고, 2차원 이미지 뷰 모드인 z 좌표축을 소거한 평면 모드(Plan View Mode), x 좌표축을 소거한 단면 모드(Section View Mode) 또는 y 좌표축을 소거한 입면 모드(Elevation View Mode) 중 상기 출력 모습과 상대적으로 근접한 모드를 결정하는 View Mode 선택단계; 및 상기 모드설정모듈이 결정한 모드에 따라 상기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각각의 3차원 좌표값에서 해당하는 좌표값을 소거해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 이미지에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 치수를 표시하는 2차원 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dimensional display metho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output environment to output the dimen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oints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three dimensions in a two-dimensional format so that the designer can easily grasp the numeric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image The point selection step of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to check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selected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output by the design device; The mode setting module checks the output state of the structure image and deletes the plan view mode in which the z coordinate axis, which is the two-dimensional image view mode, and the section view mode in which the x coordinate axis is cleared, or the y coordinate axis. A View Mode selection step of determining a mode relatively close to the output state in an elevation view mode; And chang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to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by deleting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from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b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setting module. And displaying a dimens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structure imag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Description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본 발명은 3차원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의 특정 지점 간 치수 정보를 2차원 형식으로 출력해서 설계자가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수치적 구조 관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dimensional display metho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output environment to output the dimen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oints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three dimensions in a two-dimensional format so that the designer can easily grasp the numeric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image It is about.

자동차, 건축구조물 또는 선박구조물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내외 구조를 갖는 구조물은 제작을 위해 각 부분에 대한 설계가 선행되어야 하고, 상기 설계는 시뮬레이션 등이 가능한 3차원 CAD 프로그램과 같은 고기능의 설계장치로 진행된다.Structures with relatively complex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such as automobiles, architectural structures, or ship structures, must be preceded by the design of each part for manufacturing, and the design proceeds to a high-performance design device such as a 3D CAD program that can be simulated. do.

상기 설계장치는 설계 대상 구조물을 3차원의 구조물 이미지로 출력하면서, 설계자가 상기 구조물 이미지 내 한 곳 이상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출력시킴은 물론 상기 특정 지점 간의 거리를 출력시켜서, 설계자가 상기 특정 지점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sign apparatus outputs a design target structure 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and when a designer selects one or more specific points in the structure image, the design device not only output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specific point but also outputs a distance between the specific points. This allows the designer to identify specif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point.

도 1(3차원 설계장치로 설계된 구조물의 출력모습을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계장치는 설계된 구조물을 설계자가 볼 수 있도록 3차원의 구조물 이미지로 출력한다. 설계자는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제1지점(A) 또는 제2지점(B)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설계장치는 이에 대응해서 제1,2지점(A, B)의 3차원 좌표값인 A(x, y, z) 값과 B(x', y', z') 값을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diagram showing an output view of a structure designed as a three-dimensional design device), the design device outputs the designed structure 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for the designer to see. The designer may select the first point A or the second point B in the output image of the structure, and the design apparatus correspondingly corresponds to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 (1)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A and B. x, y, z) and B (x ', y', z ') values can be output.

그런데 설계자는 상기 구조물의 세밀한 제작 등을 이유로 3차원에서의 제1지점(A)과 제2지점(B) 간의 직선거리(d1)는 물론 2차원에서의 제1,2지점(A, B) 간 직선거리(d11, d12, d13; 도 2 참조) 또는 축간거리(d2, d3, d4) 등과 같은 치수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However, the designer has a straight lin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point A and the second point B in three dimensions,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points A and B in two dimensions, for the detailed fabrication of the structure. It may be necessary to check the dimensions such as the linear distances d11, d12 and d13 (see FIG. 2) or the interaxial distances d2, d3 and d4.

종래에는 설계자가 직선거리(d11, d12, d13) 또는 축간거리(d2, d3, d4) 등의 치수 확인을 위해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계장치를 조작해 인위적으로 상기 구조물 이미지를 2차원의 평면 모습(Plan View Mode)으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3차원의 구성 축 중 z 좌표축이 소거되도록 해서, 해당 직선거리(d11)와 축간거리(d2, d3) 등의 치수가 출력되도록 했다. 여기서, 2차원의 평면 모습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의 해당 제1,2지점(A1, B1)은 z 좌표값이 제외될 수 있었다.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check the dimensions of the linear distances d11, d12, d13, or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d2, d3, d4, etc., the structure is artificially operated by operating the design apparatus as shown in FIG. The image is converted into a two-dimensional plan view mode, and the z coordinate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component axes is erased so that the dimensions such as the corresponding linear distance (d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d2, d3) are output. I made it possible. Here, z coordinate values may be excluded from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points A1 and B1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a two-dimensional plan view.

계속해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계장치를 조작해 인위적으로 상기 구조물 이미지를 2차원의 단면 모습(Section View Mode)으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3차원의 구성 축 중 x 좌표축이 소거되도록 해서, 해당 직선거리(d12)와 축간거리(d2, d4) 등의 치수가 출력되도록 했다. 여기서, 2차원의 단면 모습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의 해당 제1,2지점(A2, B2)은 x 좌표값이 제외될 수 있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 (b), the design apparatus is manipulated to artificially convert the structure image into a two-dimensional section view mode, whereby the x coordinate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xes is It was made to erase so that dimensions, such as the said linear distance d12 and the interaxial distance d2 and d4, were output. Here, x coordinate values may be excluded from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points A2 and B2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a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view.

계속해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계장치를 조작해 인위적으로 상기 구조물 이미지를 2차원의 입면 모습(Elevation View Mode)으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3차원의 구성 축 중 y 좌표축이 소거되도록 해서, 해당 직선거리(d13)와 축간거리(d3, d4) 등의 치수를 확인했다. 여기서, 2차원의 입면 모습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의 해당 제1,2지점(A3, B3)은 y 좌표값이 제외될 수 있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 (c), the design apparatus is manipulated to artificially convert the structure image into a two-dimensional elevation view mode, whereby the y coordinate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xis is In order to make it erase, dimensions, such as the said linear distance d13 and the interaxial distance d3, d4, were confirmed. Here, the y coordinate values may be exclu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oints A3 and B3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the two-dimensional elevation imag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설계자가 선택한 제1,2지점의 정보(좌표값, 직선거리, 축간거리 등)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3차원으로 표현된 해당 구조물 이미지를 상기 설계장치의 조작을 통해 2차원 이미지로 일일이 변환해 확인하거나, 3차원 구조물 이미지 상태에서 특정 지점에 대한 치수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엔 2차원 이미지로의 변환 과정 없이 3차원 상태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의 복잡한 3차원 환경의 정보들로부터 원하는 정보만을 추출해 별도로 연산해야 하는 곤란함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heck the information (coordinate value, linear distance, inter-axis distance, etc.)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selected by the designer, the corresponding structure image represented in three dimensions is two-dimensional through manipulation of the design apparatus. If you need to convert the image to an image one by one, or check the dimensions of a specific point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state, the information of the complex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the three-dimensional state without converting to the two-dimensional image There was a difficulty in extracting only desired information and calculating separate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3차원 형상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 내 특정 지점 간의 치수를 2차원 형상으로 표시해서 설계자가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수치적 구조 관계를 손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isplaying the dimension between a specific point in the structure image output in a three-dimensional shape in a two-dimensional shape, the designer can easily grasp and understand the numeric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im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dimensional display method based on a three-dimensional image output environmen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계장치가 출력하는 3차원 구조물 이미지 내에 선택된 제1지점과 제2지점의 3차원 좌표값을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확인하는 지점 선택단계;A point selection step of confirming, b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selected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output by the design apparatus;

모드설정모듈이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출력 모습을 확인하고, 2차원 이미지 뷰 모드인 z 좌표축을 소거한 평면 모드(Plan View Mode), x 좌표축을 소거한 단면 모드(Section View Mode) 또는 y 좌표축을 소거한 입면 모드(Elevation View Mode) 중 상기 출력 모습과 상대적으로 근접한 모드를 결정하는 View Mode 선택단계; 및The mode setting module checks the output state of the structure image and deletes the plan view mode in which the z coordinate axis, which is the two-dimensional image view mode, and the section view mode in which the x coordinate axis is cleared, or the y coordinate axis. A View Mode selection step of determining a mode relatively close to the output state in an elevation view mode; And

상기 모드설정모듈이 결정한 모드에 따라 상기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각각의 3차원 좌표값에서 해당하는 좌표값을 소거해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 이미지에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 치수를 표시하는 2차원 정보 생성단계;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setting module,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deletes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from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each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change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to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 two-dimensiona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displaying a dimens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structure imag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이다.3D image output environment-based 2D dimens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상기의 본 발명은, 3차원 구조물 이미지에서 2차원 치수를 자유롭게 표시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설계자는 특정 지점에 대한 치수 정보를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해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구조물에 대한 설계 및 편집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wo-dimensional dimensions can be freely displayed and confirmed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a designer can easily and accurately grasp and recognize the dimens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oint, thereby improving design and editing work efficiency for the corresponding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o be improved.

도 1은 3차원 설계장치로 설계된 구조물의 출력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3차원 설계장치를 이용해 구조물의 특정 지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이 설계장치와 연동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이 좌표계를 합성해 출력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이 배관 및/또는 플랜지의 지름 치수를 표시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structure designed by the three-dimensional design devic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confirm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point of a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design devic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image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esign devic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nthesizes the coordinate system and outputs it;
10 is an image showing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pipe and / or flange.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10)은 설계장치(P)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서, 설계자가 설계장치(P)를 조작하는 도중에 특정 지점들 간의 치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선택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the design apparatus P, so that the designer can selectively execute the design apparatus P when the designer wants to check the dimensions between specific points.

설계장치(P)는 설계정보DB(21)와 연동하면서 설계정보DB(21)에 저장된 각종 구조물 정보를 기초로 구조물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한다(도 5 참조). 여기서 구조물 정보는 해당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물(부품)의 크기, 위치, 다른 구성물과의 연결구조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필요한 경우 해당 구성물을 이루는 재질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설계장치(P)는 설계정보DB(21)로부터 상기 정보를 검색해 연산 처리해서 구성물로 조합하고, 이렇게 조합된 구조물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설계자는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설계장치(P)를 조작해 수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구조물에 대한 설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설계정보DB(21)를 검색해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편집하는 설계장치(P)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design device P generates and outputs a structure image based on various stru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while interworking with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see FIG. 5). Here, the structur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ze, location, connection structure with other components, etc. of the components (parts)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structure, and if necessary, a material form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added. The design device P retrieves the above information from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calculates and combines the information into a structure, and outputs an image of the combined structure. The designer may modify the design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by manipulating the design device P while checking the output structure image. Since the design device P for searching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to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and edi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is a publicly known or public technology,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표시시스템(10)은 설계장치(P)와 연동하면서 설계자의 제어에 따라 설계장치(P)가 출력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의 특정 지점 간 거리에 대한 치수를 확인 및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시스템(10)은 설계자가 구조물 이미지 내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발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해서 해당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선택지점 처리모듈(11)과, 현재 출력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의 뷰 모드(View Mode)를 확인해서 해당 좌표축을 편집하는 모드설정모듈(12)과, 설계자가 표시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메뉴모듈(13)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임의의 좌표기준을 따르는 좌표계를 상기 구조물 이미지에 합성 출력시켜서 설계자가 상기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설계 제도 등에,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10)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system 10 checks and outputs a dimension of a distance between specific points of the structure image output by the design apparatus P under the control of the designer while interworking with the design apparatus P. The display system 10 performing such a function includes a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which receives a selection signal generated when a designer selects a specific point in the structure image and check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oi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e mode setting module 12 which checks the view mode of the currently displayed structure image and edits the coordinate axes, and a menu module which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design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system 10. The structure may include (13), and in addition, a coordinate system conforming to an arbitrary coordinate standard is output to the displa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design draft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by a designer by synthesizing and outputting a coordinate system based on the coordinate image. Make sure you can take full advantage of your images.

한편, 구조물 이미지를 구성하는 구성물에 대한 치수정보를 저장하는 구성물 치수 DB(22)를 더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10)은 구성물 치수 DB(22)와 통신하면서 해당하는 치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계자는 설계장치(P)가 출력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는데,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선택된 지점의 구성물을 확인하고, 상기 구성물 간의 치수정보를 구성물 치수 DB(22)에서 검색해 출력한다. 구성물 치수 DB(22)의 치수정보가 설계정보DB(21)에 포함되면서 구성물 치수 DB(22)와 설계정보DB(21)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검색 속도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성물 치수 DB(22)와 설계정보DB(21)가 분리해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dimension DB (22) for storing the dimension information for th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structure image, the displa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figuration dimension DB (22) corresponding dimens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s mentioned above, the designer can select a specific point in the structure image output from the design device (P),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checks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ed point, and configures the dimensional information between the components It is retrieved from the dimension DB 22 and output. While the dimension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dimension DB 22 is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the component dimension DB 22 and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search speed and efficiency,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dimensions DB 22 and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이 설계장치와 연동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image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design apparatus. Explain.

이상 설명한 표시시스템(10)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을 실시 예로 제시한 이미지를 참조해 설명한다.Based on the display system 10 described above,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image provided as an example.

S10; 실행단계S10; Execution Step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설계장치(P)는 구조물 이미지(100)를 설계자가 볼 수 있도록 창 형태로 출력한다. 상기 창은 구조물 이미지(100)의 검색 및 제어 등을 위한 탐색부(좌측부)와, 설계장치(P)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메뉴부(상부)와, 구조물 이미지(100)와 같이 설계 대상이 출력되는 출력부(우측부)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design device (P) outputs the structure image 100 in the form of a window for the designer to see. The window may include a search unit (left side) for searching and controlling the structure image 100, a menu unit (upper portion)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sign apparatus P, and a structure image 100. It may be configured as an output unit (right side) to which the design target is output.

상기 창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100)는 설계자가 설계장치(P)의 고유한 기능을 이용해 수정 및 편집할 수 있고, 3차원 형상으로 출력되므로 설계자는 다양한 시각에서 구조물을 보듯이 구조물 이미지(100)가 출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The structure image 100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of the window can be modified and edited by the designer using a unique function of the design device P, and is output in a three-dimensional shape, so that the designer views the structure as shown in various views. 100 can be adjusted to be output.

이러한 환경하에서 설계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10) 실행을 위한 시작메뉴(M)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시작메뉴(M)가 상기 창의 메뉴부에 구성된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설계자가 시작메뉴(M)에 마우스 오버할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d model dimmension"이라고 기재된 보조창이 출력되도록 했다.Under such circumstances, the designer can select the start menu M for executing the displa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menu M is configured in the menu portion of the wind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signer mouses over the start menu (M), as shown in FIG. 5 (a), the auxiliary window described as “2d model dimmension” is output.

설계자의 시작메뉴(M) 선택을 인지한 메뉴모듈(13)은 설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메뉴부(20)를 상기 창에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메뉴부(20)를 상기 창의 좌측 하단에 배치시켜서 상기 출력부가 축소되지 않도록 했다.The menu module 13, which recognizes the designer's selection of the start menu M, outputs the menu unit 20 that the designer can operate in the window.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unit 20 is disposed at the lower left of the window so that the output unit is not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메뉴부(20)에는 표기메뉴(21), 좌표메뉴(22), 표시변경메뉴(23) 및 버튼(24)이 표현될 수 있다.In the menu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tation menu 21, a coordinate menu 22, a display change menu 23, and a button 24 may be represented.

표기메뉴(21)는 설계자가 선택한 지점 간의 거리 치수 중 수평 거리에 대한 치수와 수직 거리에 대한 치수를 선택하는 메뉴와, 상기 치수의 표시를 좌측에 표시할지 우측에 표시할지를 선택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설계자의 상기 메뉴 선택 시 해당 메뉴값을 생성한 메뉴모듈(13)은 상기 메뉴값을 선택지점 처리모듈(11) 또는 모드설정모듈(12)로 전송해서, 설계자가 의도한 형태의 치수 표시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표기메뉴(21)에는 상기 지점과 치수 표시가 출력되는 위치 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란이 형성될 수 있다. 설계자는 상기 입력란에 상기 간격에 해당하는 수치값을 입력해서 상기 치수 표시가 쉽게 식별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notation menu 21 includes a menu for selecting a dimension for the horizontal distance and a vertical distance among the distance dimensions between the points selected by the designer, and a menu for selecting whether to display the dimension on the left or the right. . When the designer selects the menu, the menu module 13 which generates the menu value transmits the menu value to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or the mode setting module 12, and the dimension display in the form intended by the designer is output. To be possible. On the other hand, in the notation menu 21 may be formed an input field for set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oint and the position where the dimension display is output. The designer may enter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in the text box to determine a location where the dimension indica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좌표메뉴(22)는 설계자가 선택한 지점의 범위 내에 좌표계가 합성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한다.The coordinate menu 22 allows the coordinate system to be synthesized and output within the range of the point selected by the designer,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표시변경메뉴(23)는 설계자가 선택한 지점의 대상물이 파이프일 경우, 파이프의 지름 또는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의 지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 역시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한다.The display change menu 23 outputs specific information on the diameter of the pipe or the diameter of the flange for fixing the pipe when the object at the point selected by the designer is a pip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do.

버튼(24)은 표기메뉴(21), 좌표메뉴(22) 및/또는 표시변경메뉴(23)에서 생성한 메뉴값 또는 수치값이 설계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지점 처리모듈(11) 또는 모드설정모듈(12)로 전달되도록 메뉴모듈(13)이 동작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치수 표기' 버튼, '치수 제거' 버튼, '종료' 버튼의 버튼(24)을 제안한다. 상기 '치수 표기' 버튼은 표기메뉴(21)에서 설정한 메뉴값 및 수치값에 따라 해당 치수 표시가 출력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치수 제거' 버튼은 출력부에 출력된 치수 표시가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며, '종료' 버튼은 실행 중인 표시시스템이 종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료' 버튼 클릭시 표시시스템이 종료되면서 출력된 메뉴부(20)가 닫히고, 상기 창은 종래 설계장치(P)의 실행 모습을 복귀한다.
The button 24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or the mode setting module according to the designer's manipulation of the menu value or the numerical value generated in the display menu 21, the coordinate menu 22 and / or the display change menu 23. The menu module 13 is operated to be transmitted to the 12.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utton 24 of a 'dimension notation' button, a 'dimension removal' button, and an 'end' button. The 'dimension notation' button is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dimension in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menu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set in the notation menu 21, and the 'dimension removal' button is to delete the dimension indicator output in the output unit. The 'Shut Down' button causes the running display system to shut down. When the 'end' button is clicked, the display system is terminated and the output menu unit 20 is closed, and the window returns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design device P.

S20; 옵션 선택단계S20; Option selection step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설계자는 메뉴부(20)에 출력된 표기메뉴(21) 중 '수평' 또는 '수직'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설계자의 표기메뉴(21) 선택에 따라 하위 선택메뉴인 수치값 입력란과, 치수 표기의 위치 선택란 출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설계자가 '수평'만을 선택하면 '수평'의 하위 선택메뉴인 수치값 입력란과 위치 선택란(수평 방향)만이 출력되고, '수직'만을 선택하면 '수직'의 하위 선택메뉴인 수치값 입력란과 위치 선택란(수직 방향)만이 출력되는 것이다. 하지만, '수평', '수직'의 선택 여부에 상관없이 하위 선택메뉴가 항상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can be seen in FIG. 6, the designer may select one or more of 'horizontal' or 'vertical' of the notation menu 21 output to the menu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umerical value input field, which is a sub-selection menu, and a position selection column output of a dimension may be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notation menu 21 of the designer. That is, if the designer selects only 'horizontal', only the numeric value input field and the position selection box (horizontal direction) are displayed, and if 'vertical' only is selected, Only the position selection box (vertical direction) is output. However, of course, the sub-selection menu may be always displayed regardless of whether the horizontal or vertical selection is made.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도 6(a)에서는 '수평', '수직'을 모두 선택했고, 수치값 입력란에는 '수평'과 '수직'에 각각 "300"을 입력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위치 선택란에서 '수평'은 "위", '수직'은 "좌"를 선택했다. 이러한 메뉴값 및 수치값에 따라 출력된 치수 표시는 설계자가 선택한 제1지점(110)의 제1대상물과 제2지점(120)의 제2대상물 간의 수평거리인 제1치수표시(131)와,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 간의 수직거리인 제2치수표시(132)로 표현된다. 여기서, 제1치수표시(131)는 위에 표시되고, 제2치수표시(132)는 제1,2지점(110, 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표시된다.In Figure 6 (a)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were selected, and '300' was input in 'horizontal' and 'vertical' respectively in the numerical value input field. Also, in the location check box, 'horizontal' is selected 'up' and 'vertical' is selected 'left'. The dimension display output according to the menu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includes a first dimension display 131 which is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of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object of the second point 120 selected by the designer; The second dimension display 132, which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is represented. Here, the first dimension display 131 is displayed above, and the second dimension display 132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도 6(b)에서는 '수평', '수직'을 모두 선택했고, 수치값 입력란에는 '수평'과 '수직'에 각각 "300"과 "200"을 입력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위치 선택란에서 '수평'은 "위", '수직'은 "우"를 선택했다. 이러한 메뉴값 및 수치값에 따라 출력된 치수 표시는 설계자가 선택한 첫 번째 지점의 제1지점(110)과 두 번째 지점의 제2지점(120) 간의 수평거리인 제1치수표시(131)와,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 간의 수직거리인 제3치수표시(133)로 표현된다. 여기서, 제1치수표시(131)는 위에 표시되고, 제3치수표시(133)는 제1,2지점(110, 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in Figure 6 (b)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nd enter the values '300' and '20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spectively in the numerical value input field. Showed one appearance. In the location check box, 'horizontal' is selected as 'up' and 'vertical' is selected as 'right'. The dimension display output according to the menu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includes a first dimension display 131 which is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110 of the first point selected by the designer and the second point 120 of the second point, and The third dimension display 133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Here, the first dimension display 131 is displayed above, and the third dimension display 133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참고로, 메뉴모듈(13)을 이용한 메뉴값 및 수치값 설정은 지점 선택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나, 지점을 우선 선택한 후 출력된 치수 표시 상태를 보고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a)는 제2치수표시(132)가 좌측에 위치하면서 구조물 이미지에 가려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설계자는 제2치수표시(132)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 표시 위치를 우측으로 사후 변경할 수 있다. 도 6(b)는 설계자의 상기 사후 변경을 통해 제2치수표시(132)에 대응하는 제3치수표시(133)가 우측에 출력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For reference, the menu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setting using the menu module 13 may be made before the point selection, but the point may be selected first, and then the output dimension display state may be changed. FIG. 6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imension display 132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is covered by the structure image, and the designer may later change the display position to the right in order to accurately check the second dimension display 132. . FIG. 6 (b) shows the third dimension display 13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mension display 132 on the right through the post change of the designer.

S30; 지점 선택단계S30; Branch selection step

표시시스템(10)의 실행 후, 설계자는 상기 메뉴값 및 수치값을 설정하고 출력부에 출력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치수의 대상 지점을 선택한다. 상기 지점은 설계자가 지목한 일지점 단위로 선택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구성물 단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설계자가 구조물 이미지(100) 중 일지점을 선택하면, 선택한 지점을 영역권으로 하는 해당 구성물이 대상물로 선택되면서 강조되는 것이다.After the execution of the display system 10, the designer sets the menu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and selects a target point of the dimension to be checked in the structure image 100 output to the output unit. The point may be selected in units of points designated by the designer, but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may be selected in units of components. That is, when the designer selects one point of the structure image 100,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ving the selected point as the region right is highlighted as the object.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설계자는 구조물 이미지(100) 중 제1지점(110)의 제1대상물로 '연결관'을 선택했고, 제2지점(120)의 제2대상물로 '플랜지'를 선택했다.As shown in FIG. 6, the designer selected 'connector' as the first object of the first point 110 of the structure image 100, and selected the 'flange' as the second object of the second point 120. selected.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계자는 출력부에 출력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 중 일지점을 선택하면,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설계자가 선택한 상기 일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지점에 출력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의 구성물을 확인한다. 구조물 이미지(100)는 설계장치(P)가 설계정보DB(21)에서 검색한 다수의 구성물(대상물)을 조합해 출력하는 것이므로, 설계장치(P)와 연동하는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설계자가 선택한 상기 일지점에 출력되는 구성물(대상물)을 추적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상기 구성물을 설계자가 지목한 최종 대상물로 강조해 출력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designer selects a point from the structure image 100 that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checks the position of the point selected by the designer,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structure image 100 is being output. Since the structure image 100 output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objects) retrieved from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by the design apparatus P,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interoperating with the design apparatus P is The component (object) output to the point selected by the designer can be tracked, and finally, the component can be output as the final object indicated by the designer.

한편, 구성물 단위로 지점이 선택될 경우 구성물 간의 치수의 기준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선택된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치수의 시작 기준점을 설정해서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이 상기 기준점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치수를 확인해 해당 치수 표시를 이루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oint is selected in units of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dimensions of the component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point of the dimension is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lected object so that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checks the dimension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to achieve the corresponding dimension display.

일 예를 들어 대상물이 배관의 구성물인 경우 치수의 기준점은, 파이프의 끝단, 변곡점, 밸브 끝단, Fitting의 원좌표 등이다. 또한, 대상물이 철의장인 경우 치수의 기준점은, Profile의 NA(Neutral Axis)라인, 패널의 Edge 등이다. 또한, 대상물이 일반 장비인 경우 치수의 기준점은, 해당 장비의 원좌표 등이다. 또한, 대상물이 선각인 경우 치수의 기준점은, 패널의 Edge, 부재의 플랜지 뒷면 좌표 등이다.For example, when the object is a constituent of a pipe, the reference point of the dimension is a pipe end, an inflection point, a valve end, a circular coordinate of a fitting,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an iron field, the reference point of the dimension is the NA (Neutral Axis) line of the profile, the edge of the panel,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a general equipment, the reference point of the dimension is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n addition, when an object is a hump, the reference point of a dimension is an edge of a panel, the back coordinate of a flange of a member, etc.

계속해서,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확인된 상기 기준점에 대한 3차원 좌표값을 검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구성물 치수 DB(22)에서 상기 기준점별 3차원 좌표값을 검색하고, 상기 좌표값을 기초로 구성물(대상물) 간의 치수를 확인한다. 그러나,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의 상기 좌표값 검색은 설계정보DB(21)에서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ubsequentl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retrieve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for the identified reference point.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for each reference point is retrieved from the component dimension DB 22, and the dimensions between the components (objects) are checked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However, the coordinate value retrieval of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may of course proceed from the design information DB 21.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의 선택 단위가 구성물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치수 표시를 위한 기준점 설정을 필수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가 선택하는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의 선택 단위가 좌표점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해서 치수 표시를 위한 기준점 설정을 배제할 수도 있도록 했다. 결국, 선택 단위가 좌표점 단위로 이루어질 경우 설계자가 제1지점과 제2지점을 구조물 이미지(100) 내에서 선택하면, 설계자가 지목한 상기 제1,2지점의 해당 좌표값이 곧 치수의 기준점이 되므로, 해당 기준점의 별도 확인 없이도 상기 제1,2지점 간의 치수 확인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unit of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is made of a component unit, but it is necessary to set a reference point for dimension displ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lection unit of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is made of coordinate points so that the reference point for dimension display can be excluded. After all, when the selection unit is made of coordinate points, when the designer selects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structure image 100,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that the designer points out are the reference points of the dimens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ceed to check the dimens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without separate confi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표시시스템(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설계자의 제1,2지점(110, 120) 선택을 인지한다. 일반적으로, 설계장치(P)를 조작하는 설계자는 화면에 출력되는 구조물 이미지를 마우스를 이용해 편집하는데, 특정 지점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설계장치(P)를 운용하는 하드웨어 및 OS 등이 구동하면서 공지,공용의 선택신호를 설계장치(P)로 전송하고, 설계장치(P)는 상기 선택신호를 처리해서 해당 지점에 위치한 구성물을 확인한다. 설계장치(P)에 연동하는 표시시스템(10)은 설계장치(P)가 확인한 구성물을 인지하고,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이 전술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display system 10 recognizes the designer's sel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by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In general, a designer operating a design device P edits an image of a structure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a mouse. When a user clicks on a specific point with a mouse, hardware and OS operating the design device P are driven and known. The common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sign apparatus P, and the design apparatus P processes the selection signal to identify the component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The display system 10 interworking with the design apparatus P recognizes the component identified by the design apparatus P, and causes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to proceed with the above-described process.

S40; View Mode 선택단계S40; View Mode Selection Steps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이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을 확정하고, 제1,2지점(110, 120)의 치수 표시를 위한 기준점 및 좌표값을 확인하면, 모드설정모듈(12)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에 해당하는 2차원 뷰 모드를 결정한다.When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confirms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and checks the reference point and coordinate values for displaying the dim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the mode is set. The module 12 determines a 2D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image 100 output to the output unit.

설계자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10)을 실행시켜서 특정 지점에 대한 2차원 좌표값을 확인하고자 하는 이유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의 3차원 형태에서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의 치수를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표시시스템(10)은 현재 설계장치(P)가 출력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의 출력 모습을 확인하고, 평면 모드(Plan View Mode), 단면 모드(Section View Mode) 또는 입면 모드(Elevation View Mode) 중 하나의 2차원 이미지 뷰 모드(View Mode)를 선택한다. 즉, 모드설정모듈(12)은 설계장치(P)가 출력하고 있는 3차원 형태의 구조물 이미지(100)가 어느 모드의 2차원 형태 이미지에 근접한지를 판단하고, 좌표값 처리 방식을 해당 2차원 처리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designer wants to check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for a specific point by executing the displa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point 110 and the third point in the three-dimensional form of the structure image 100 currently being output. This is to check the size of the second point (120). Therefore, the display system 10 checks the output state of the structure image 100 currently being output by the design device P, and is in plan view mode, section view mode, or elevation mode. Select one of the two-dimensional image view modes. That is, the mode setting module 12 determines which mode the two-dimensional structure image 100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output from the design apparatus P is close to, and processes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processing. To change the way.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설계장치(P)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구조물 이미지(100)의 3차원 좌표값 체계를 확인해서 x 좌표값, y 좌표값 또는 z 좌표값 중 좌표 눈금이 상대적으로 가장 좁은 좌표값을 소거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좌표 눈금 간격이 좁다는 것은 해당 좌표값에 해당하는 좌표축이 설계자의 시점을 향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설계장치(P)가 출력하는 구조물 이미지(100)는 해당 좌표값이 소거된 남은 좌표값만으로 이루어진 2차원 이미지에 근접할 것이다.For example, by check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system of the structure image 100 that the design device P is currently outputting, the coordinate scale of the x coordinate value, y coordinate value, or z coordinate value is relatively narrowest. The coordinate value may be determined as an erase target. For reference, the narrow coordinate grid interval means that the coordinate axi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is toward the designer's viewpoint, so that the structure image 100 output from the design device P has the remaining coordinates from which the coordinate value is erased. It will be close to a two-dimensional image of values only.

결국, 모드설정모듈(12)은 구조물 이미지(100)의 출력 모습을 확인해서, 상기 출력 모습과 유사한 2차원 이미지 뷰 모드인 z 좌표축을 소거한 평면 모드(Plan View Mode), x 좌표축을 소거한 단면 모드(Section View Mode) 또는 y 좌표축을 소거한 입면 모드(Elevation View Mode) 중 하나를 결정한다.
As a result, the mode setting module 12 checks the output state of the structure image 100, and removes the z coordinate axis, which is a two-dimensional image view mode similar to the output state, and cancels the x coordinate axis. Determine either the section view mode or the elevation view mode in which the y coordinate axis is erased.

S50; 2차원 정보 생성단계S50; 2D information generation stage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모드설정모듈(12)이 결정한 뷰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의 3차원 좌표값 중 소거된 좌표축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소거해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변경한다. 또한,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변경된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 치수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 이미지(100)에 출력한다.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checks the view mode determined by the mode setting module 12, and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deleted coordinate axes amo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Is erased to chang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to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In addition,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outputs the dimens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o the structure image 100 based on the changed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s shown in FIG. 6.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지점(110)의 제1대상물과 제2지점(120)의 제2대상물이 구성물 단위로 선택되고, 설정된 기준점에 의해 좌표값이 결정되었는데, 제1대상물은 "연결관"의 중심이 기준점으로 결정되었고, 제2대상물은 "플랜지"의 중심이 기준점으로 결정되었다.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제1대상물의 상기 기준점에 대한 2차원 좌표값과 제2대상물의 상기 기준점에 대한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수평 길이와 수직 길이의 치수인 '65', '240'을 각각 확인하고, 이를 표시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bject of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object of the second point 120 are selected as the constituent units, and the coordinate value is determined by the set reference poin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tube "wa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point, and the center of the" flange "wa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point for the second object.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measures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65' and '240 based o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object and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object. ', Respectively, and marked them.

한편,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메뉴모듈(13)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뉴값 또는 수치값에 따라 상기 치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may display the dimen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nu value or the numerical value transmitted from the menu module 13.

참고로,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3차원 좌표값이 2차원 좌표값으로 변경되면서 중복되는 2차원 좌표값이 다수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모드설정모듈(12)이 구조물 이미지(100)를 z 좌표축을 소거한 평면 모드(Plan View Mode)로 결정한 경우, 설계자가 선택한 제1,2지점(110, 120)의 3차원 좌표값에서 z 좌표값은 소거된다. 그런데, 구조물 이미지(100)에 포함된 실제 좌표값에서 z 좌표값만 다르고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동일한 2차원 좌표값은 무수히 많다. 따라서, 설계자가 지목한 제1,2지점(110, 120)의 좌표값이 2차원 좌표값으로 정확히 인지되도록 중복된 다른 2차원 좌표값은 소거한다.For reference,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may generate a plurality of overlapping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a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is changed to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For example, when the mode setting module 12 determines the structure image 100 as the plan view mode in which the z coordinate axis is erased, the designer selects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The z coordinate value is erased from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However, in the actual coordinate value included in the structure image 100, only two z coordinate values are different, and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having the same x coordinate value and y coordinate value are numerous. Therefore, the duplicated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are erased so that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indicated by the designer are correctly recognized as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이상의 과정을 통해 출력된 치수는 구조물 이미지(100)가 3차원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한 치수이며,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조물 이미지(100)의 출력 모습에 변형을 가하더라도 상기 치수 표시를 유지하므로, 설계자는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the dimension output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a dimension based on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even though the structure image 100 is a three-dimensional image, as shown in FIG. 7, even if the deformation of the output image of the structure image 100 is applied. By keeping the dimensional indication, the designer can perform the work effectively.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이 좌표계를 합성해 출력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이 배관 및/또는 플랜지의 지름 치수를 표시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nthesizes and outputs a coordinate system. FIG. 10 is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image showing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pipe and / or flang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S60,70; 좌표계 합성단계S60,70; Coordinate System Synthesis Step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은 제1지점(110)과 제2지점(120)에 대해 표시시스템(100)이 출력하는 치수가 임의의 좌표계와 연계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s output by the display system 100 for the first point 110 and the second point 120 may be output in association with an arbitrary coordinate system.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시스템(100)은 좌표계 설정모듈(14)을 더 포함한다. 설계장치(P)는 구조물 이미지(100)를 일정한 구역으로 분리한 공간에 출력시킴으로써 설계자가 구조물 이미지(100)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물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역은 좌표계를 적용해서 위치가 식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특정 구성물의 위치는 해당 좌표계를 추적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14. The design device P outputs the structure image 100 to a space separated into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a designer can easily search for a specific component constituting the structure image 100. Here, the zone is applied to the coordinate system so that the position is identified, and thus the position of a specific component can be found by tracking the coordinate system.

좌표계 설정모듈(14)은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이 출력부에 출력하는 치수 정보와 연계하는 좌표계를 출력시켜서 설계자가 상기 좌표계를 기준으로 자신이 선택한 제1,2지점(110, 120)에 해당하는 제1,2대상물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14 outputs a coordinate system associated with the dimens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to the output unit, so that the designer can selec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selected by the designer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The lo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bjects to be easily identified.

이를 위해 메뉴모듈(13)은 좌표메뉴(22)를 메뉴부(20)에 출력한다.To this end, the menu module 13 outputs the coordinate menu 22 to the menu unit 20.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좌표메뉴(22)는 Frame(가로)/Longitudinal(세로)로 표시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menu 22 is represented by Frame / Longitudinal.

설계자는 좌표메뉴(22)를 선택하면, 메뉴모듈(13)은 해당 메뉴값을 좌표계 설정모듈(14)로 전송한다. 상기 메뉴값을 수신한 좌표계 설정모듈(14)은 해당 구조물 이미지(100)의 좌표계 정보를 저장하는 좌표계DB(23)를 검색해서 제1,2지점(110, 120)의 좌표값을 범위 내로 갖는 좌표계의 좌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좌표값과 상기 좌표계의 경계까지 수평 거리 및/또는 수직 거리 또한 확인한다.When the designer selects the coordinate menu 22, the menu module 13 transmits the menu value to th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14. Th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14 having received the menu value searches for the coordinate system DB 23 storing the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image 100 and ha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within the range.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ordinate system is checked, and a horizontal distance and / or a vertical distance to the boundary of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coordinate system are also check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좌표계 설정모듈(14)이 제1,2지점(110, 120)을 범위 내로 갖는 좌표계의 좌표정보로 Frame은 50 ~ 51(FR50, FR51), Longitudinal은 17 ~ 18(LP17, LP18)을 확인했고, 이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했다. 더불어 좌표계 설정모듈(14)은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이 표시한 치수 정보와 연계해서, 상기 좌표정보에 포함된 수평축과 상기 제1,2지점 간의 수직 거리 또는 상기 좌표정보에 포함된 수직축과 상기 제1,2지점 간의 수평 거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FR50(수직축)과 제1지점(110)의 수평 거리는 '538', 제1,2지점(110, 120)의 수평 거리는 '65', 제2지점(120)과 FR51(수직축)의 수평 거리는 '118'임을 표시하고, LP17(수평축)과 제2지점(120)의 수직 거리는 '150', 제1,2지점(110, 120)의 수직 거리는 '240', 제1지점(110)과 LP18(수평축)의 수직 거리는 '450'임을 표시하였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14 i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ordinate system having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in a range, and the frame is 50 to 51 (FR50, FR51), and the longitudinal is 17 to 18 ( LP17, LP18) were identified and displayed on the output. In addition, th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14 is connected to the dimens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and include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ax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r the vertical ax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ne or more dimensions selected from the horizontal distan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may be display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50 (vertical axis) and the first point 110 is '538',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is '65', the second point 120 and the FR51. (Horizontal axis) indicates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is '118',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P17 (horizontal axis) and the second point 120 is '150', the vertical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110, 120 is '240', the firs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point 110 and LP18 (horizontal axis) is indicated as '450'.

S80,90; 표시 변경단계S80,90; Change display stage

설계자가 선택한 지점의 구성물 중 치수의 시작 기준점이 다수인 경우 설계자는 기준점을 선택해서 최종 표시되는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설계자가 선택한 지점의 구성물 중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제2지점)가 포함될 경우,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이 플랜지 중심의 2차원 좌표값을 확인해 치수를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도 10(a)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플랜지와 연결된 파이프의 지름만을 확인해 치수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0(b)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플랜지와 연결된 파이프 및 플랜지의 폭을 각각 확인해 해당 치수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10(c)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플랜지의 지름만을 확인해 치수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0(a)와 같은 처리를 위해서는 상기 연결된 파이프의 끝단 가장자리(기준점) 좌표값(2차원)을 확인해야 하고, 도 10(b)와 같은 처리를 위해서는 상기 연결된 파이프의 끝단 가장자리(기준점) 좌표값과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기준점) 좌표값을 확인해야 하며, 도 10(c)와 같은 처리를 위해서는 플랜지의 가장자리(기준점) 좌표값을 확인해야 한다. 즉, 도 10과 같이 하나의 선택 지점에서 다양한 치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택 지점의 구성물이 다수의 기준점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If there are multiple starting reference points for the dimension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designer's chosen point, the designer can select the reference point to adjust the final displayed dimension. As an example, when the flanged pipe (second point) is included as shown in FIG. 10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oint selected by the designer, as shown in FIG. 6,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lange.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may be checked to process the dimension, but as shown in FIG. 10 (a), only the diameter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flange may be checked to display the dimension, as shown in FIG. 10 (b). The width of the pipe and the flang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checked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dimension, and as shown in FIG. 10 (c), only the diameter of the flange may be displayed to display the dimension. Here, the end edge (reference point) coordinate value (two-dimensional) of the connected pipe must be confirmed for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0 (a), and the end edge (reference point) of the connected pipe for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0 (b). )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edge (reference point) coordinate value of the flange should be checked, and the edge (reference point) coordinate value of the flange should be checked for the processing as shown in FIG. That is, in order to output various dimensions at one selection point as shown in FIG. 10, the components of the selection point should have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참고로, 해당 기준점의 좌표값은 2차원 정보 생성단계(S50)에서 이미 결정된 뷰 모드에 따라 2차원 좌표값으로 변경된 상태이므로,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해당 좌표값을 통해 치수 표시가 가능하다.For reference, sinc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is changed to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view mode already determined in the two-dimensiona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does not go through a separate processing process and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You can display the dimensions by their values.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다수의 기준점을 갖는 구성물이 선택될 경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치수 출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고, 이를 위해 메뉴모듈(13)은 표시변경메뉴(23)를 출력한다.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may output various dimensions according to the designer's selection when a component having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s selected. For this, the menu module 13 outputs the display change menu 23. .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변경메뉴(23)가 구성물의 지름을 선택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고, 이를 위해 OD(Out Diameter) 선택란과 FD(Frange out Diameter) 선택란으로 구성된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hange menu 23 selects and checks the diameter of the composition. For this, the display change menu 23 includes an OD (Out Diameter) check box and a FD (Frange out Diameter) check box.

도 10(a)는 OD 선택란만을 선택한 경우 출력부에 출력된 치수 정보를 보인 것으로서, 해당 선택에 대한 메뉴값을 메뉴모듈(13)이 선택지점 처리모듈(11)로 전달하면,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플랜지를 제외한 파이프의 지름 치수만을 확인해서 표시한다.10 (a) shows the dimension information outputted to the output unit when only the OD check box is selected, and when the menu module 13 transmits the menu value for the selection to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identifies and displays only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pipe excluding the flange.

도 10(b)는 OD 및 FD 선택란 모두를 선택한 경우 출력부에 출력된 치수 정보를 보인 것으로서, 해당 선택에 대한 메뉴값을 메뉴모듈(13)이 선택지점 처리모듈(11)로 전달하면,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플랜지의 폭과 파이프의 지름 치수를 확인해서 표시한다.10 (b) shows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utput to the output unit when both the OD and FD check boxes are selected. When the menu module 13 transmits the menu value for the selection to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the selection is performed. The point processing module 11 checks and displays the width of the flange and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pipe.

도 10(c)는 FD 선택란만을 선택한 경우 출력부에 출력된 치수 정보를 보인 것으로서, 해당 선택에 대한 메뉴값을 메뉴모듈(13)이 선택지점 처리모듈(11)로 전달하면, 선택지점 처리모듈(11)은 플랜지의 폭의 지름 치수를 확인해서 표시한다.FIG. 10 (c) shows the dimension information outputted to the output unit when only the FD check box is selected. When the menu module 13 transmits the menu value for the selection to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11) confirms and displays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width of a flange.

결국, 설계자는 이러한 다양한 선택을 통해 선택한 제1,2지점(110, 120)의 치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계 작업에 대한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designer can accurately check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first and second points 110 and 120 through these various selections, thereby minimizing the error rate for the design work.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표시시스템 11; 선택지점 처리모듈 12; 모드설정모듈
13; 메뉴모듈 14; 좌표계 설정모듈 21; 설계정보DB
22; 구성물 치수 DB 23; 좌표계DB P; 설계장치
100; 구조물 이미지 110; 제1지점 120; 제2지점
10; Display system 11; Optional point processing module 12; Mode setting module
13; Menu module 14;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21; Design Information DB
22; Component dimensions DB 23; Coordinate system DB P; Design device
100; Structure image 110; First point 120; 2nd branch

Claims (6)

설계장치가 출력하는 3차원 구조물 이미지 내에 선택된 제1지점과 제2지점의 3차원 좌표값을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확인하는 지점 선택단계;
모드설정모듈이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출력 모습을 확인하고, 2차원 이미지 뷰 모드인 z 좌표축을 소거한 평면 모드(Plan View Mode), x 좌표축을 소거한 단면 모드(Section View Mode) 또는 y 좌표축을 소거한 입면 모드(Elevation View Mode) 중 상기 출력 모습과 상대적으로 근접한 모드를 결정하는 View Mode 선택단계; 및
상기 모드설정모듈이 결정한 모드에 따라 상기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각각의 3차원 좌표값에서 해당하는 좌표값을 소거해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 이미지에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 치수를 표시하는 2차원 정보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
A point selection step of confirming, b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selected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output by the design apparatus;
The mode setting module checks the output state of the structure image and deletes the plan view mode in which the z coordinate axis, which is the two-dimensional image view mode, and the section view mode in which the x coordinate axis is cleared, or the y coordinate axis. A View Mode selection step of determining a mode relatively close to the output state in an elevation view mode; And
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setting module,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deletes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from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each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change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to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 two-dimensiona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displaying a dimens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structure imag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3D image output environment-based two-dimensional dimens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선택단계에서, 상기 선택지점 처리모듈은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구성물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구조물 이미지에서 상기 구성물 단위로 확인하고, 상기 구성물별로 설정된 치수 시작 기준점의 3차원 좌표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oint selection step,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checks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structure imag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lements in the unit of structure, and set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the dimension starting reference point set for each of the elements. 2D display metho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output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firm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으로 확인된 구성물은 다수의 치수 시작 기준점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메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치수 시작 기준점의 2차원 좌표값을 기준으로 해당 치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변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figuration identified as the first or second point comprises a plurality of dimension start reference points;
And a display change step of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to selectively display corresponding dimensions based on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dimension start reference point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menu module. Environment-based two-dimensional display of dimens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정보 생성단계에서, 상기 선택지점 처리모듈이 표시하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의 치수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의 수평 거리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간의 수직 거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wo-dimensional information generating step, the dimens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displayed by the selection point processing module is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r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3D image output environment-based two-dimensional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정보 생성단계 이후, 메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표계 설정모듈이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각각의 2차원 좌표값이 표시된 수직축 및 수평축으로 이루어진 좌표계의 좌표정보를 표시하는 좌표계 합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two-dimensional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menu modul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for display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ordinate system consisting of a vertical axis and a horizontal axis in which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each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 image output environment-based two-dimensional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계 설정모듈은 상기 좌표정보에 포함된 수평축과 상기 제1,2지점 간의 수직 거리 또는 상기 좌표정보에 포함된 수직축과 상기 제1,2지점 간의 수평 거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출력 환경 기반 2차원 치수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ordinate system setting module displays one or more dimensions selected from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ax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r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ax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oints. 2D dimension display method based on a 3D image output environment.
KR1020120053510A 2012-05-21 2012-05-21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KR101352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10A KR101352082B1 (en) 2012-05-21 2012-05-21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10A KR101352082B1 (en) 2012-05-21 2012-05-21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47A KR20130129547A (en) 2013-11-29
KR101352082B1 true KR101352082B1 (en) 2014-01-15

Family

ID=4985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10A KR101352082B1 (en) 2012-05-21 2012-05-21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2638A (en) 2023-02-27 2024-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ield installation drawing based on 3D design mod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65B1 (en) * 2018-07-26 2019-01-24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Modificating image process system composing synthesis for missing images
KR101941654B1 (en) * 2018-09-28 2019-01-24 (주)신한항업 Image editing system for gps coordinate on digital map searching position and link information
CN109829785B (en) * 2019-01-21 2021-07-09 深圳市云之梦科技有限公司 Virtual fit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48B1 (en) 2008-11-25 2009-05-25 삼아항업(주) System for three dimentional transforming of digital map ver 1.0 using digital mapping data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48B1 (en) 2008-11-25 2009-05-25 삼아항업(주) System for three dimentional transforming of digital map ver 1.0 using digital mapping data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2638A (en) 2023-02-27 2024-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ield installation drawing based on 3D design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47A (en)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82B1 (en) 2D size display method based on the output environment for the 3D image
CN106202831A (en) A kind of pipeline layout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BIM
JP5431140B2 (en) Map building apparatus and map building method
JP7388837B2 (en) Design of 3D modeled objects representing mechanical structures
CN112598786A (en) Parameterized wall cutting method and device
WO2013118179A1 (en) Tool-path displaying method and tool-path displaying apparatus
KR1013913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3d image
JP4966898B2 (en)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neutral plane mesh data
JP5178624B2 (en) Analysis model generator
KR101530895B1 (en) Methods for extracting object data for 2d cad from 3d cad and vice versa
US20030038797A1 (en) Navigational compass for drawing programs
KR20070049774A (en) Method for drawing 2-dimensional representations from multi-dimensional model
KR102433396B1 (en) Method for modeling 3d im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8052336A (en) Analytic model creation system
WO2011018960A1 (en) Sheet-metal-processing model generating device and sheet-metal-processing model generating method
CN104680589B (en) A kind of the dynamic cutt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of three-dimensional project scenarios
JP740327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161110B2 (en) Aircraft status display system, aircraft status display method, and aircraft status display program
JP2010165381A (en) Design drawing prepar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storing medium
JP5247398B2 (en) Display adjustment device, display adjust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264208B2 (en) Display program,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4606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3d drawing
JP709847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75701B2 (en) Automatic piping draw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01894016A (en) Dynamic aligning and displaying method of multi-characteristic points of construc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