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75B1 -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 Google Patents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75B1
KR101352075B1 KR1020130138231A KR20130138231A KR101352075B1 KR 101352075 B1 KR101352075 B1 KR 101352075B1 KR 1020130138231 A KR1020130138231 A KR 1020130138231A KR 20130138231 A KR20130138231 A KR 20130138231A KR 101352075 B1 KR101352075 B1 KR 101352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ter
distribution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선
Original Assignee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3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배전용 보호관(600):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바(911)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2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고정부(912)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3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부(913)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설치되는 지지체(910); 일단이 상기 돌출바(911)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1)와, 회전체(921)의 타단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고정체(922)와, 상기 고정체(922)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9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923)와,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를 체결하는 체결체(924)를 갖춘 지중전선고정체(920); 상기 상부고정부(912) 또는 하부고정부(913)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체(930);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프레임(900):
전방에 구비되는 사각 패널 형상의 전방패널(111), 후방에 구비되는 사각 패널 형상의 후방패널(112),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중심부에 지중전선 인출홀(113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113b)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배전용 보호관(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13), 상하로 관통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통과홀(114a)을 구비하여,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114)을 갖춘 본체(110)와;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다수의 통기홀(121)이 구비되며, 본체(110)의 양측방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0);를 갖춘 배전함(100):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중심부에 하부패널(113)의 지중전선 인출홀(113a)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지중전선 인출홀(510)이 형성되고,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패널의 관통홀(113b)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널(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배전반(PB)이 위치하는 받침패널(500):
측방으로 관통되며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둑판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홀(211a)과, 삽입홀(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211b)를 구비하여, 받침패널(500)의 관통홀(520) 및 배전함 하부패널(113)의 관통홀(113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삽입홀(211a)이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상단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받침패널(5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212),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수분유도부(213a)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수분유도부(21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분저장부(213b)과, 수분저장부(213b)을 상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집부(213b1)와 하부에 구비되는 센서설치부(213b2)로 구획하며 상하로 관통된 통과홀(213c1)이 형성되는 구획부(213c)를 갖추고서,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용부(213)를 갖춘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 패널 형상의 하부 고정부(221a)와, 하부 고정부(211a)의 후방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b)와, 지지부(221b)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 고정부(211a)와의 사이에 삽입공간(221c)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고정부(221d)를 구비한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의 삽입공간(221c)에 삽입되는 수분 흡수 재질의 수분흡수체(222)를 구비하여,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의 삽입홀(21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수분흡수기구(220);를 갖추고서, 고정프레임(9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침투수 차단기구(200):
수분수용부(213)의 센서설치부(213b2)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700):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분감지센서(7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광등(800):
일단이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통과홀(114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밀부(311)와, 기밀부(311)의 상부에 구비되며 배전함(100)의 상부패널(1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312)와, 안착부(312)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이부(313)를 갖춘 걸이기구(310)와; 일단이 걸이기구(310)의 기밀부(3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침투수 차단기구(200)에 연결되는 와이어(320)와; 고정홀(331)을 갖추고서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는 고정기구(330);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 및,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며 와이어(320)가 경유하는 다수의 롤러(340);를 갖춘 다수의 이송기구(300):
배전반(PB)의 사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히터기구(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용 보호관에 위치하는 인입 지중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인입 지중전선, 인출 지중전선, 배전반을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며, 외부 관리자가 침투수에 따른 수분 노출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Fixing Frame Of Underground Line For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처에서 생산된 특고압 전력은 가공전선 또는 지중전선을 통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상기 가공전선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이 많이 배치된 도심지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근래에는 지중송전 및 배전용 보호관을 이용하여 전력을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한다.
즉 지중에 지중송전용 보호관을 매설하고, 지중송전용 보호관의 일정 지점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배전용 보호관이 매설되며, 지상으로 노출된 배전용 보호관의 상부에 배전반이 배치되어, 배전반을 통해 전력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이때 지중송전 및 배전용 보호관에는 전력 생산지로부터의 인입 지중전선이 배치되고, 인입 지중전선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인출 지중전선과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배전용 보호관에 배치되는 인입 지중전선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이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고정프레임, 배전용 보호관, 배전반을 수용하는 배전함이 별도로 구비되어, 고정프레임은 지중전선을 고정하는 기능 밖에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지상으로 노출된 배전용 보호관에 이슬이 맺히거나, 배전용 보호관으로 침투수가 침투하여, 인입 지중전선 또는 인출 지중전선이 수분에 노출되기 쉬웠다. 따라서 인입 지중전선 또는 인출 지중전선의 피복이 쉽게 상해 누전이 발생하기 쉬웠으며, 배전반 또한 수분에 노출되어 배전반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배전용 보호관으로 침투수가 유입된 상태를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웠다.
등록특허 10-0859863 등록특허 10-09845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용 보호관 및 배전함을 더 갖추고, 배전용 보호관에 위치하는 지중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지중전선 및 배전반을 수분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지중전선 및 배전반의 수분으로부터의 노출 위험을 즉각 확인할 수 있는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배전용 보호관(600):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바(911)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2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고정부(912)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3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부(913)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설치되는 지지체(910); 일단이 상기 돌출바(911)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1)와, 회전체(921)의 타단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고정체(922)와, 상기 고정체(922)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9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923)와,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를 체결하는 체결체(924)를 갖춘 지중전선고정체(920); 상기 상부고정부(912) 또는 하부고정부(913)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체(930);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프레임(900):
전방에 구비되는 사각 패널 형상의 전방패널(111), 후방에 구비되는 사각 패널 형상의 후방패널(112),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중심부에 지중전선 인출홀(113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113b)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배전용 보호관(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13), 상하로 관통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통과홀(114a)을 구비하여,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114)을 갖춘 본체(110)와;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다수의 통기홀(121)이 구비되며, 본체(110)의 양측방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0);를 갖춘 배전함(100):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중심부에 하부패널(113)의 지중전선 인출홀(113a)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지중전선 인출홀(510)이 형성되고,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패널의 관통홀(113b)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널(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배전반(PB)이 위치하는 받침패널(500):
측방으로 관통되며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둑판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홀(211a)과, 삽입홀(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211b)를 구비하여, 받침패널(500)의 관통홀(520) 및 배전함 하부패널(113)의 관통홀(113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삽입홀(211a)이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상단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받침패널(5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212),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수분유도부(213a)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수분유도부(21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분저장부(213b)과, 수분저장부(213b)을 상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집부(213b1)와 하부에 구비되는 센서설치부(213b2)로 구획하며 상하로 관통된 통과홀(213c1)이 형성되는 구획부(213c)를 갖추고서,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용부(213)를 갖춘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 패널 형상의 하부 고정부(221a)와, 하부 고정부(211a)의 후방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b)와, 지지부(221b)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 고정부(211a)와의 사이에 삽입공간(221c)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고정부(221d)를 구비한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의 삽입공간(221c)에 삽입되는 수분 흡수 재질의 수분흡수체(222)를 구비하여,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의 삽입홀(21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수분흡수기구(220);를 갖추고서, 고정프레임(9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침투수 차단기구(200):
수분수용부(213)의 센서설치부(213b2)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700):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분감지센서(7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광등(800):
일단이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통과홀(114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밀부(311)와, 기밀부(311)의 상부에 구비되며 배전함(100)의 상부패널(1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312)와, 안착부(312)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이부(313)를 갖춘 걸이기구(310)와; 일단이 걸이기구(310)의 기밀부(3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침투수 차단기구(200)에 연결되는 와이어(320)와; 고정홀(331)을 갖추고서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는 고정기구(330);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 및,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며 와이어(320)가 경유하는 다수의 롤러(340);를 갖춘 다수의 이송기구(300):
배전반(PB)의 사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히터기구(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용 보호관에 위치하는 인입 지중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인입 지중전선, 인출 지중전선, 배전반을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며, 외부 관리자가 침투수에 따른 수분 노출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D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 차단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흡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Z-Z선 단면에서 수분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은 배전용 보호관(600), 고정프레임(900), 배전함(100), 받침패널(500), 침투수 차단기구(200), 수분감지센서(700), 경광등(800), 이송기구(300), 히터기구(400)를 포함한다.
배전용 보호관(600)은 지중에 설치되며 지중전선이 통과하는 지중송전용 보호관과 연결된다. 이때 배전용 보호관(600)은 하부가 지중송전용 보호관과 연결되고 상부가 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전용 보호관(600)은 사각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고정프레임(900)은 지지체(910)와, 지중전선고정체(920) 및, 받침체(930)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지지체(910)는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바(911)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2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고정부(912)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3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부(913)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설치된다.
지중전선고정체(920)는 일단이 상기 돌출바(911)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1)와, 회전체(921)의 타단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고정체(922)와, 상기 고정체(922)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9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923)와,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를 체결하는 체결체(92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체(924)는 볼트,너트 체결방식을 이룬다. 이때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볼트가 삽입되며, 너트를 통해 볼트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가 체결된다.
받침대(930)는 상기 상부고정부(912) 또는 하부고정부(913)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받침대(930)는 평상시에는 상기 상부고정부(912)에 삽입되고, 상기 지중전선고정체(920)의 회전체(921)를 받칠 때에는 상기 하부고정부(913)에 삽입된다.
상기 배전함(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갖춘다.
상기 본체(110)는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 하부패널(113) 및, 상부패널(114)를 갖춘다.
상기 전방패널(111)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배전함(100)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후방패널(112)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배전함(100)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패널(113)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중심부에 지중전선 인출홀(113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113b)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각 관 형상을 갖는 배전용 보호관(6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패널(113)은 배전용 보호관(600)과 일체형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상부패널(114)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상하로 관통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통과홀(114a)을 구비하여,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2)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패널(114)은 분전선 인출홀(114b)이 구비되어 배전반(PB)으로부터 분전되어 나가는 전선이 통과한다. 이때 분전선 인출홀(114b)은 분전선이 배치된 후 충분히 기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20)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다수의 통기홀(121)이 구비되며, 배전함 본체(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120)는 양측방에 각각 구비되며, 배전함 본체(110)의 상부패널(1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패널(500)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중심부에 지중전선 인출홀(510)이 형성되고,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널(113)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중전선 인출홀(510)은 하부패널(113)의 지중전선 인출홀(113a)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520)은 하부패널(113)의 관통홀(113b)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한편 받침패널(500)의 상부에는 배전반(PB)이 위치하며, 배전반(PB)은 배전용 보호관(600)으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지중전선(L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배전반(PB)은 인출지중전선(L2)이 구비되며, 인출지중전선(L2)은 하방으로 인출되어 인입지중전선(L1)과 연결된다.
상기 침투수 차단기구(200)는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와, 수분흡수기구(220)를 갖춘다. 이때 다수의 침투수 차단기구(200)는 지상으로 노출되는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부 사면에 각각 배치되며, 고정프레임(9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서 침투수 차단기구(200)의 크기는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부 규격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는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와, 안착부(212) 및, 수분수용부(213)를 갖춘다.
상기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는 측방으로 관통되며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둑판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홀(211a)과, 각각의 삽입홀(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211b)를 구비하여, 받침패널(500)의 관통홀(520) 및 하부패널(113)의 관통홀(113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는 삽입홀(211a)이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안착부(212)는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상단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배전반 받침패널(500)의 상부에 안착된다.
수분수용부(213)는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수분유도부(213a)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수분유도부(21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분저장부(213b)과, 수분저장부(213b)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집부(213b1)와 하부에 구비되는 센서설치부(213b2)로 구획하는 구획부(213c)를 갖춘다. 이때 구획부(213c)는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통과홀(213c1)을 갖추며, 구획부(213c)의 상면은 통과홀(213c1)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흡수기구(220)는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와, 수분흡수체(222)를 갖추며, 다수 개가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의 삽입홀(21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는 패널 형상의 하부 고정부(221a)와, 하부 고정부(211a)의 후방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b)와, 지지부(221b)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 고정부(211a)와의 사이에 삽입공간(221c)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고정부(221d)를 갖춘다.
상기 수분흡수체(222)는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의 삽입공간(221c)에 삽입되며, 수분 흡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분흡수체(222)는 스펀지 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 및 상부가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의 하부 고정부(221a) 및 상부 고정부(221d)에 각각 고정된다.
수분감지센서(700)는 수분수용부(213)의 센서설치부(213b2)에 설치된다. 수분감지센서(700)는 상기 구획부(213c)의 통과홀(213c1)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분감지센서(700)는 습도를 감지하는 전기저항식 습도센서가 적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분감지센서(700)는 상기 물의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경광등(800)은 배전함(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수분감지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분감지센서(7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점등된다. 즉 경광등(800)은 수분감지센서(700)로부터 수분을 감지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되고 별도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경광등(800)은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분감지센서(700) 및 경광등(800)는 각각 송수신기를 갖춤으로써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신호 연결된다.
상기 이송기구(300)는 걸이기구(310), 와이어(320), 고정기구(330) 및, 롤러(340)를 갖춘다.
상기 걸이기구(310)는 일단이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통과홀(114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밀부(311)와, 기밀부(311)의 상부에 구비되며 배전함(100)의 상부패널(1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312)와, 안착부(312)의 상부에 구비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31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기구(310)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부패널(114)의 각각의 통과홀(114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320)는 일단이 걸이기구(310)의 기밀부(3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침투수 차단기구(2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320)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걸이기구(310) 및 차단기구(20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기구(330)는 고정홀(331)을 갖추고서 각각의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340)는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 및,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며 와이어(320)가 경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340)는 와이어(320)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기구(400)는 배전반(PB)의 사면부에 각각 구비된다. 히터기구(400)는 열 또는 열풍을 방출하는 통상의 것으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배전함(100)에 배전반(PB)이 설치된다.
이때 배전용 보호관(600)으로 인입되는 인입지중전선(L1)은 고정프레임(900)에 의해 좌우 흔들림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지중전선(L1)을 고정프레임(90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도 12와 같이 고정프레임(900)의 지지체(910)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 도 11(a)와 같이 고정프레임(900)의 지지체(910)를 편다. 이후 작업자는 도 13과 같이 고정프레임(900)의 받침체(930)를 통해 지지체(910)를 받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도 13과 같이 지중전선고정체(920)의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 사이에 인입지중전선(L1)을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를 체결체(924)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인입지중전선(L1)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전용 보호관(600)의 틈새로 침투수가 침투되면, 침투수는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과 맞닿은 수분흡수기구(220)의 수분흡수체(222)에 흡수된다.
또한 상기 배전용 보호관(600) 내부에 수분이 퍼져 있을 경우, 배전용 보호관(600) 내부에 수분은 수분흡수체(222)에 의해 흡수된다.
한편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수분흡수기구(220)의 수분흡수체(222)를 건조한다.
즉 상기 작업자는 이송기구(300)의 걸이기구(310)를 잡아당긴 후, 도 14와 같이 걸이기구(310)를 이송기구(300)의 고정기구(330)에 건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도어(120)에 설치된 입력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히터기구(400)에 작동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히터기구(400)는 도 15와 같이 열 또는 열풍을 방출하여, 수분흡수체(222)를 건조한다.
상기 건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이송기구(300)의 걸이기구(310)와 고정기구(330)의 결속을 해제하고,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원위치 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침투수 차단기구(200) 자체를 교체할 경우에는 도어(120)을 연 상태에서, 걸이기구(310)를 잡아당겨 걸이기구(310)를 도어(120)의 내면에 설치된 고정기구(미인출)에 고정한다. 그러면 침투수 차단기구(200)는 도 16과 같이 배전함(100) 내부에 위치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와이어(320)를 푼 후,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밖으로 빼내고, 새로운 침투수 차단기구(200)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침투수 차단기구(200)의 손상된 수분흡수기구(220)만 교체한 후 기존의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배전함(100)의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2)의 내측방에 위치한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배전함(100) 밖으로 빼낼 시, 전방패널(110) 및 후방패널(112)에 대응되는 걸이기구(310)를 전방패널(110) 및 후방패널(112)에 설치된 고정기구에 걸어, 도 17과 같이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위치시킨 후,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침투수 차단기구(200)를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배전반(PB)의 전선을 보수할 경우, 도 18과 같이 도어(120)를 연 후, 와이어(320)와 침투수 차단기구(200)의 연결을 해제한 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전용 보호관(600)의 틈새로 침투된 침투수가 수분흡수기구(220)의 수분흡수체(222)에 흡수될 시, 수분흡수체(222)가 흡수할 수 있는 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침투수가 흡수되면, 침투수는 수분흡수체(222)에 흡수되지 않고, 수분흡수체(222)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도 19와 같이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른다.
이때 상기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의 표면을 흐르는 침투수는 수분수용부(213)의 수분유도부(213a)를 따라 이동하여 구획부(213c)로 낙하되고, 구획부(213c)에서 모여진 침투수는 구획부(213c)의 통과홀(213c)를 통과하여 센서설치부(213b2)로 낙하한다.
그러면 수분감지센서(700)는 상기 침투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경광등(800)으로 송출하고, 경광등(800)은 이를 수신하여 도 20과 같이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경광등(800)이 점등되면, 관리자는 이를 확인한 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분흡수체(220)를 건조하거나 교체하여, 배전용 보호관(600)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용 보호관(600)으로 인입되는 인입지중전선(L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입지중전선(L1)의 고정 기능과 더불어, 인입지중전선(L1), 인출지중전선(L2) 보호 및 배전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용 보호관(600)으로 침투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용 보호관(60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인입지중전선(L1)ㆍ인출지중전선(L2)ㆍ배전반의 전자기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용 보호관(600)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어, 침투수 유입에 따른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100; 배전함 110; 본체
120; 도어 200; 침투수 차단기구
210; 수분흡수기구 설치체 220; 수분흡수기구
300; 이송기구 310; 걸이기구
320; 와이어 330; 고정기구
340; 롤러 400; 히터기구
500; 받침패널 510; 지중전선 인출홀
520; 관통홀 600; 배전용 보호관
700; 수분감지센서 800; 경광등
900; 고정프레임 910; 지지체
920; 지중전선고정체 930; 받침체

Claims (1)

  1.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배전용 보호관(600):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바(911)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2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고정부(912)와,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고정홈(913a)을 구비하여 돌출바(9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부(913)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설치되는 지지체(910); 일단이 상기 돌출바(911)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1)와, 회전체(921)의 타단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고정체(922)와, 상기 고정체(922)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9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923)와, 상기 고정체(922) 및 회동체(923)를 체결하는 체결체(924)를 갖춘 지중전선고정체(920); 상기 상부고정부(912) 또는 하부고정부(913)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체(930);를 갖추고서, 배전용 보호관(6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프레임(900):
    전방에 구비되는 사각 패널 형상의 전방패널(111), 후방에 구비되는 사각 패널 형상의 후방패널(112),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중심부에 지중전선 인출홀(113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113b)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배전용 보호관(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13), 상하로 관통되며 각각의 둘레부에 통과홀(114a)을 구비하여,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114)을 갖춘 본체(110)와;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다수의 통기홀(121)이 구비되며, 본체(110)의 양측방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0);를 갖춘 배전함(100):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중심부에 하부패널(113)의 지중전선 인출홀(113a)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지중전선 인출홀(510)이 형성되고, 각각의 둘레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패널의 관통홀(113b)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사각홀 형상의 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널(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배전반(PB)이 위치하는 받침패널(500):
    측방으로 관통되며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둑판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홀(211a)과, 삽입홀(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211b)를 구비하여, 받침패널(500)의 관통홀(520) 및 배전함 하부패널(113)의 관통홀(113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삽입홀(211a)이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전용 보호관(6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상단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받침패널(5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212),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수분유도부(213a)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수분유도부(21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분저장부(213b)과, 수분저장부(213b)을 상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집부(213b1)와 하부에 구비되는 센서설치부(213b2)로 구획하며 상하로 관통된 통과홀(213c1)이 형성되는 구획부(213c)를 갖추고서, 수분흡수기구 설치부(2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분수용부(213)를 갖춘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 패널 형상의 하부 고정부(221a)와, 하부 고정부(211a)의 후방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b)와, 지지부(221b)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 고정부(211a)와의 사이에 삽입공간(221c)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고정부(221d)를 구비한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 수분흡수체 삽입기구(221)의 삽입공간(221c)에 삽입되는 수분 흡수 재질의 수분흡수체(222)를 구비하여, 수분흡수기구 설치체(210)의 삽입홀(21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수분흡수기구(220);를 갖추고서, 고정프레임(9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침투수 차단기구(200):
    수분수용부(213)의 센서설치부(213b2)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700):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분감지센서(7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광등(800):
    일단이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통과홀(114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밀부(311)와, 기밀부(311)의 상부에 구비되며 배전함(100)의 상부패널(1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312)와, 안착부(312)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이부(313)를 갖춘 걸이기구(310)와; 일단이 걸이기구(310)의 기밀부(3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침투수 차단기구(200)에 연결되는 와이어(320)와; 고정홀(331)을 갖추고서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는 고정기구(330); 배전함 상부패널(114)의 상부 및, 도어(120), 전방패널(111), 후방패널(112)의 외측부에 구비되며 와이어(320)가 경유하는 다수의 롤러(340);를 갖춘 다수의 이송기구(300):
    배전반(PB)의 사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히터기구(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KR1020130138231A 2013-11-14 2013-11-14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KR101352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31A KR101352075B1 (ko) 2013-11-14 2013-11-14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31A KR101352075B1 (ko) 2013-11-14 2013-11-14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75B1 true KR101352075B1 (ko) 2014-02-17

Family

ID=5026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231A KR101352075B1 (ko) 2013-11-14 2013-11-14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594A (ko) * 2006-05-22 2007-11-27 합자회사 대광전기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100859863B1 (ko) 2008-04-04 2008-09-24 박순섭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20090057851A (ko) * 2007-12-03 2009-06-08 이재용 수변전기기부 침수 방지용 주름막커버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594A (ko) * 2006-05-22 2007-11-27 합자회사 대광전기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20090057851A (ko) * 2007-12-03 2009-06-08 이재용 수변전기기부 침수 방지용 주름막커버 승하강장치
KR100859863B1 (ko) 2008-04-04 2008-09-24 박순섭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73B1 (ko) 지하에 매설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관
KR102079182B1 (ko) 방수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분전함
KR101363286B1 (ko) 습기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CN207588294U (zh) 一种电力工作用电力柜
KR101352071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KR101352075B1 (ko) 특고압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프레임
CN103490318B (zh) 一种移动箱式变电站
CN104505721B (zh) 一种易清理配电箱
CN213460526U (zh) 一种防潮性能好的电力柜
KR102151053B1 (ko) 컨버터의 설치 및 유지보수 교체가 용이한 고소 조명등 시스템
CN108695730A (zh) 一种便于维修的组合式动力柜
KR101357253B1 (ko) 송변전선로의 연결용 인입커넥터
CN211530652U (zh) 一种内部设置有自动降温装置的机房
CN211046019U (zh) 一种电机控制用动力配电柜
CN208191078U (zh) 一种安防设备控制箱
CN204832290U (zh) 一种电表箱
CN114040633A (zh) 一种网络技术服务器用机柜
CN203978938U (zh) 一种能够带电维护中高压设备风扇的安装结构
CN210579393U (zh) 一种多功能智慧路灯控制箱
KR102474410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CN206378956U (zh) 火探装置设备管理系统
CN216775325U (zh) 一种路灯控制箱
CN220537247U (zh) 一种应急供电装置及其安全防护外壳
CN204304234U (zh) 一种易清理配电箱
CN205583465U (zh) 端子箱除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