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65B1 -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2065B1 KR101352065B1 KR1020120004789A KR20120004789A KR101352065B1 KR 101352065 B1 KR101352065 B1 KR 101352065B1 KR 1020120004789 A KR1020120004789 A KR 1020120004789A KR 20120004789 A KR20120004789 A KR 20120004789A KR 101352065 B1 KR101352065 B1 KR 101352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ember
- pronunciation
- user
- correction
- contact b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10000003254 palat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626 Mental retar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128 Phonologic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790 Speech Soun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3 arrhythm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119 arrhyth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137 articula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32 chiropracti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15 proofre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56 pulmonary alveo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30 speech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8—Apparatus for correcting stammering or stutter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음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구강 내에 인입되며, 입천장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사용자의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혀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교정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음교정기는 교정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올바른 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체험에 의한 훈련이 진행되므로 발음을 교정하는 데 있어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교정 성공률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nunciation corrector,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user's mouth, the base member form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late, and induc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of the user, the base by the coupling unit It is installed on the member, and has a correction member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The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ngue by the correction member, so that the training is carried out by experience,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and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the cor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음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음시, 구강 내에서의 올바른 위치로 혀를 유도하여 발음을 교정하는 발음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nunciation corr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nunciation corrector for correcting pronunciation by inducing the tongue to the correct position in the oral cavity during pronunciation.
일반적으로 조음장애는 혀짤배기 소리를 내고 말소리가 정확하지 않거나 이상한 소리로 대치되는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조음장애는 음소 생략, 대치, 왜곡, 첨가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Typically, articulatory disorders are caused by a lint, a loud voice, or a strange sound. Arrhythmia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phoneme skipping, substitution, distortion, and addition.
음소 생략(omission)은 음소를 빠뜨리고 발음하지 않는 것이며, 대치(substitution)는 다른 음소로 바꾸어 발음하는 오류 형태이고, 왜곡(distortion)은 음소에 소음이 첨가되거나 조음기관을 잘못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아들을 수 없는 발음을 하는 것이며, 첨가(addition)는 단어에 필요없는 음소를 첨가하는 오류 형태이다. The omission is an error type in which the phoneme is omitted and the substitution is changed to another phoneme. Distor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noise is added to the phoneme or the phoneme is misused. And the addition is an error form that adds a phoneme that is not needed in the word.
조음장애는 발음장애 또는 음운장애라고도 하고, 조음기관에 이상이 있거나 청력손실, 정신지체 또는 심리적, 정서적 원인으로 발생하나 잘못된 언어학습이나 혀, 입술운동이 예민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한다. Arthritis disorder is sometimes referred to as pronunciation disorder or phonological disorder. It may be caused by abnormalities in articulatory organs, hearing loss, mental retardation, or psychological or emotional causes, but may be caused by incorrect language learning or lack of sensitivity to tongue and lips movement.
잘못된 언어학습이나 혀, 입술운동이 예민하지 못한 경우, 언어치료를 통해 발음을 교정한다. 이때,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녹음된 정확한 발음을 듣고, 따라하는 방법, 발음이 발생되는 조음기관에 대한 교육, 각 발음에 따른 입모양의 변화를 설명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If wrong language learning or tongue or lips movement is insensitive, correct pronunciation by speech therapy. At this time, a method of listening to and following the correct pronunciation recorded in order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education of articulation organs in which the pronunciation is generated, and a method of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mouth shape according to each pronunciation are used.
그러나 상기 언급된 종래의 발음교정방법은 단순히 이론상으로만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발음을 교정하는 데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교정 성공률도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ronunciation correction method mentioned above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in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because it is simply taught in theory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rrection success rate is not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올바른 발음을 할 수 있도록 구강 내의 혀의 위치를 유도하는 교정부재가 마련된 발음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ronunciation corrector provided with a correction member for induc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the oral cavity so that correct pronunciation can be achie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음교정기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인입되며, 입천장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혀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교정부재를 구비한다. The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mouth of the user, the base member form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late, and induc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of the user, coupled It is provided on the base member by a unit, and has a correction member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하면에 각각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입천장의 치조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입천장의 경구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입천장의 연구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4삽입홈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교정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교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member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d apart posi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respectively, the coupling unit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base member, protrudes downwardly relative to the base member, the palate The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mutually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lveolar of each,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mutually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latal opening of the palate, and the study of the palate A flange member each having a fourth insertion groove formed on opposite inner surfaces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g, and each of the calibration members at both ends of the calibration member so as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insertion grooves; It is preferable to have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한다. The straightening member has a contact ba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so that the tongue can be contacted, and protrudes upwardly at both ends of the contact bar to support the contact bar spac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The end portion obtains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the coupling unit.
또한,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발음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경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member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so that the tongue can be contacted, the contact bar formed in a wave shap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paths through which air passes during the pronunciation, and; Protruding upwardly at both ends of the contact bar to support the contact bar spaced downward relative to the base member, the end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the coupling unit.
또한,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후설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연장부분과, 상기 제1연장부분의 전단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전설이 상기 후설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연장부분이 마련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rrection member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membe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he first extension formed to be convex downward to prevent the user's rear tongue protrudes upwards And a contact bar hav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formed forwardly at a front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being convex upward so that the user's legend can be positioned above the rear tongue. Protruding upwardly at both ends of the contact bar to support the base member spaced downward from the base member, the end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the coupling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음교정기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며, 단부가 상기 구강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술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자루부재와, 상기 사용자의 입술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자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술 위치를 교정하는 입술교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base member, the bag memb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so that th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and the bag member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user's lip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d with a lip correction to be installed in the correct lip position of the user.
상기 입술교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윗입술 및 아랫입술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립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립부재와 상기 자루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자루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립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The lip correction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p members contacting the upper and lower lip of the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p members and the bag member, respectively.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two lip memb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발음교정기는 교정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올바른 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체험에 의한 훈련이 진행되므로 발음을 교정하는 데 있어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교정 성공률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ngue by the correction member, so that the training is carried out by experience,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and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the cor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음교정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발음교정기의 기역(ㄱ) 발음 교정시 교정부재의 설치위치가 나타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발음교정기의 지읒(ㅈ) 발음 교정시 교정부재의 설치위치가 나타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발음교정기의 디귿(ㄷ) 발음 교정시 교정부재의 설치위치가 나타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발음교정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발음교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발음교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ure 1,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rrection member during the proofreading (a) pronunciation correction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ure 1,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rrection member when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읒) pronunciation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ure 1,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rrection member when the pronunciation pronunciation of the pronunciation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ure 1,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ure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ure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onunciation corrector of FIG. 10,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nunciation corr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음교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5, the
도면을 참조하면, 발음교정기(100)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인입되는 베이스부재(110)와, 베이스부재(11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구강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입술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자루부재(120)와, 사용자의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혀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결합유닛(130)에 의해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되며, 베이스부재(11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교정부재(1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베이스부재(110)는 사용자의 입천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110)는 입천장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재(110)는 하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제1삽입홈(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110)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제작한다.
자루부재(120)는 일단이 베이스부재(11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구강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입술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자루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가 입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자루부재(120)를 파지하여 베이스부재(110)를 구강 내로 삽입하고, 베이스부재(110)가 입천장에 밀착되도록 베이스부재(110)의 위치를 조정한다. The user grips the
결합유닛(130)은 교정부재(140)를 베이스부재(11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된 플랜지부재(131)와, 상기 교정부재(140)에 돌출형성되어 플랜지부재(131)에 결합되는 삽입돌기(132)를 구비한다.
플랜지부재(131)는 베이스부재(11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입천장의 치조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2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입천장의 경구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3삽입홈(134)이 형성되고, 상기 입천장의 연구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4삽입홈(135)이 형성된다. The
삽입돌기(132)는 후술되는 교정부재(140)의 각 지지부재(142)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재(142)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교정부재(14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삽입돌기(132)는 제1 내지 제4삽입홈(111,133,134,13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교정부재(140)를 베이스부재(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는 삽입홈에 따라 베이스부재(110)에 대한 교정부재(140)의 위치가 변경된다.
한편, 도 12에는 플랜지부재(131)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플랜지부재(131)는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상기 삽입돌기(132)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홈(231)에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도록 상기 교정부재(140)를 설치하여 슬라이딩 홈(231)을 따라 상기 교정부재(14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결합유닛(130)이 교정부재(140)를 베이스부재(110)에 대해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결합유닛(13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딩 및 인서트 몰딩을 통해 교정부재(140)를 베이스부재(1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교정부재(140)는 혀가 접촉되는 접촉바(141)와, 접촉바(141)를 베이스부재(110)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접촉바(14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재(142)를 구비한다.
접촉바(141)는 베이스부재(1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고, 하면에 평편한 판형으로 형성된다. 접촉바(141)는 베이스부재(110)에 대한 설치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베이스부재(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교정부재(140)의 접촉바(141) 하면에 혀를 접촉하여 발음시, 올바른 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지지부재(142)는 접촉바(141)의 양단부에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삽입돌기(132)가 형성되어 플랜지부재(131)에 결합된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음교정기(100)를 사용하여 발음을 교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using the
도 3에는 기역(ㄱ) 발음을 교정시, 교정부재(140)의 설치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3 sh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기역 발음시, 후설이 입천장의 연구개에 접촉되어 발음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재(131)의 제4삽입홈(135)에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도록 교정부재(140)를 설치한다. 베이스부재(110)를 구강 내로 삽입하면, 교정부재(140)는 입천장의 연구개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사용자는 후설을 접촉부재에 접촉시킨 다음, 기역 발음을 연습한다. Since the posterior tongue is pronounced by contacting the palate of the palate, the
도 4에는 지읒(ㅈ) 발음을 교정시, 교정부재(140)의 설치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4 sh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지읒 발음시, 중설이 입천장의 경구개에 접촉되어 발음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재(131)의 제3삽입홈(134)에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도록 교정부재(140)를 설치한다. 베이스부재(110)를 구강 내로 삽입하면, 교정부재(140)는 입천장의 연구개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사용자는 중설을 접촉부재에 접촉시킨 다음, 지읒 발음을 연습한다. When the chiropractic is pronounced, the midsole contacts the palate of the palate and is pronounced so that the
도 5에는 디귿(ㄷ) 발음을 교정시, 교정부재(140)의 설치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5 sh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디귿 발음시, 전설이 입천장의 치조에 접촉되어 발음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재(131)의 제2삽입홈(133)에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도록 교정부재(140)를 설치한다. 베이스부재(110)를 구강 내로 삽입하면, 교정부재(140)는 입천장의 치조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사용자는 전설을 접촉부재에 접촉시킨 다음, 디귿 발음을 연습한다. Since the legend is pronounced when the dish is pronounced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of the palate,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따른 발음교정기(100)는 교정부재(140)에 의해 사용자가 올바른 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체험에 의한 훈련이 진행되므로 발음을 교정하는 데 있어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교정 성공률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재(240)가 도시되어 있다. 6 and 7 illustrate a
도면을 참조하면, 교정부재(240)의 접촉바(241)는 발음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경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형성된 접촉바(241)는 시옷(ㅅ) 발음을 교정할 경우 사용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시옷 발음시, 전설을 치조에 인접시키고 날숨이 치조와 전설 사이를 비집고 나오면서 마찰하여 발음된다. 따라서, 플랜지부재(131)의 제2삽입홈(133)에 삽입돌기(132)가 삽입되도록 교정부재(240)를 설치한다. 베이스부재(110)를 구강 내로 삽입하면, 교정부재(240)는 입천장의 치조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사용자는 전설을 접촉부재에 접촉시킨 다음, 시옷 발음을 연습한다. 이때, 파형으로 형성된 접촉바(241)에 의해 날숨이 혀와 치조 사이를 통과하며 마찰하여 시옷이 발음된다. When pronounced with a siott, the legend is pronounced by adjoining the alveoli and exhaling as it exudes between the alveolus and the legend. Therefore, the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재(34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8 and 9 illustrate a
도면을 참조하면, 교정부재(340)의 접촉바(341)는 베이스부재(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며, 사용자의 후설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연장부분(342)과, 제1연장부분(342)의 전단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사용자의 전설이 후설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연장부분(343)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촉바(341)를 갖는 교정부재(340)는 리을(ㄹ) 발음을 교정시 사용한다. 리을 발음시, 전설이 후설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고 발음한다. 따라서, 플랜지부재(131)의 제1삽입홈(111)에 제1연장부분(342)이 제2연장부분(343)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교정부재(340)를 설치한다. 베이스부재(110)를 구강 내로 삽입하면, 교정부재(340)는 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사용자는 혀를 접촉바(341)에 접촉시킨 다음, 리을발음을 연습한다. The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음교정기(400)가 도시되어 있다. 10 and 11 illustrate a
도면을 참조하면, 발음교정기(400)는 사용자의 입술에 대향되는 위치의 자루부재(1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술 위치를 교정하는 입술교정부(41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입술교정부(410)는 사용자의 윗입술 및 아랫입술에 각각 접촉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제1 및 제2립부재(411,412)와, 제1 및 제2립부재(411,412)와 자루부재(120) 사이에 설치되어 자루부재(120)에 대해 제1 및 제2립부재(411,4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13)를 구비한다. The
제1 및 제2립부재(411,4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제1 및 제2립부재(411,412)는 양단부는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각각 상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립부재(411,412)는 입술의 움직임에 의해 용이하게 중간부분이 상호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탄성부재(413)는 제1 및 제2립부재(411,412)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자루부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결합블럭(414)과, 제1립부재(411) 및 결합블럭(414)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415)과, 제2립부재(412) 및 결합블럭(414) 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416)을 구비한다. The
결합블럭(414)은 사각의 단면을 갖고, 제1 및 제2립부재(411,412)의 중간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결합블럭(414)의 중공은 자루부재(120)가 용이하게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자루부재(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스프링(415)은 양단이 각각 결합블럭(414)의 상면 및 제1립부재(411)의 하면에 고정되며, 결합블럭(414)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제1립부재(411)를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제2스프링(416)은 양단이 각각 결합블럭(414)의 하면 및 제2립부재(412)의 상면에 고정되며, 결합블럭(414)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제2립부재(412)를 탄성바이어스시킨다. Both ends of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입술교정부(410)는 비읍(ㅂ) 발음을 교정시 사용한다. 비읍 발음시,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다물었다가 벌려 구강 내의 공기를 밖으로 터뜨리며 발음한다. 이때, 입술교정부(410)는 비읍 발음시 사용자의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상호 떨어지도록 입술 모양을 유도한다.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발음교정기
110: 베이스부재
120: 자루부재
130: 결합유닛
131: 플랜지부재
132: 삽입돌기
140: 교정부재
141: 접촉바
142: 지지부재
410: 입술교정부
411: 제1립부재
412: 제2립부재
413: 탄성부재100: Pronunciation Corrector
110: base member
120: bag member
130: coupling unit
131: flange member
132: insertion protrusion
140: calibration member
141: contact bar
142: support member
410: Lip Correction
411: first lip member
412: second lip member
413: elastic member
Claims (7)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혀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교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A base member inserted into a mouth of a user and formed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late;
Induc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order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of the user, i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a coupling unit, and a correction member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pronunciation corrector comprising a.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하면에 각각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입천장의 치조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입천장의 경구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입천장의 연구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제4삽입홈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교정부재에 돌출형성된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The method of claim 1,
First base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coupling unit
Extending along an edge of the base member, protruding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opposite inner surfaces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lveoli of the palate, respectively; Flange members each having third insertion grooves formed on mutually opposite inner surfaces of corresponding positions, and fourth insertion grooves formed on mutually opposite inner surfaces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late of the palate;
And a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rrection member so as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insertion grooves.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rrection member
A contact ba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o allow the tongue to contact the tongue;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ontact bar to support the contact bar spac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the coupling unit. Pronunciation Corrector.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발음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경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rrection member
A contact ba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so that the tongue can be contacted, and formed in a wave shap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paths through which air passes can be provided during pronunciation;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ontact bar to support the contact bar spac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the coupling unit. Pronunciation Corrector.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후설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연장부분과, 상기 제1연장부분의 전단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전설이 상기 후설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연장부분이 마련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rrection member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membe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he first extension portion formed to be convex downward to prevent the user's rear tongue protrudes upward, and the first A contact bar extending forward in front of the extension part and having a second extension part formed to be convex upward so that the user's legend may be located above the rear tongue;
A protruding upward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tact bar to support the contact bar spac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by the coupling unit; Braces.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며, 단부가 상기 구강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술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자루부재와;
상기 사용자의 입술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자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술 위치를 교정하는 입술교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The method of claim 1,
A bag member fixed to the base member and extending toward the user's lips so that an end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And a lip correction unit installed on the bag member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user's lips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user's lips.
상기 입술교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윗입술 및 아랫입술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립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립부재와 상기 자루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자루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립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ip correction
First and second lip member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lip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p members and the bag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lip members with respect to the ba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789A KR101352065B1 (en) | 2012-01-16 | 2012-01-16 |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789A KR101352065B1 (en) | 2012-01-16 | 2012-01-16 |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4073A KR20130084073A (en) | 2013-07-24 |
KR101352065B1 true KR101352065B1 (en) | 2014-01-22 |
Family
ID=4899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789A KR101352065B1 (en) | 2012-01-16 | 2012-01-16 |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065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1959B1 (en) * | 2016-10-11 | 2017-05-30 |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 Articulation organization encouraging tongue depressors for pronunciation correction |
KR101784588B1 (en) * | 2016-01-26 | 2017-10-13 | 길웅진 | Appararus for correcting pronuciation |
KR20190076293A (en) * | 2017-12-22 | 2019-07-02 |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 Luminescent Tongue Depressor |
KR102224373B1 (en) *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or preventing of snoring |
KR102224372B1 (en) *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preventing of snor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281A (en) * | 1993-08-05 | 1995-03-20 | 송미옥 | Stuttering and Vowels, Corrector |
JPH0850449A (en) * | 1994-08-06 | 1996-02-20 | Kazuhiro Nishino | Phonation correcting means |
KR200326600Y1 (en) | 2003-06-11 | 2003-09-19 | 김윤근 | Device for rectifying english pronunciation |
KR100577534B1 (en) | 2004-07-02 | 2006-05-08 | 임채주 | Correction Equipment of English Pronunciation |
-
2012
- 2012-01-16 KR KR1020120004789A patent/KR10135206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281A (en) * | 1993-08-05 | 1995-03-20 | 송미옥 | Stuttering and Vowels, Corrector |
JPH0850449A (en) * | 1994-08-06 | 1996-02-20 | Kazuhiro Nishino | Phonation correcting means |
KR200326600Y1 (en) | 2003-06-11 | 2003-09-19 | 김윤근 | Device for rectifying english pronunciation |
KR100577534B1 (en) | 2004-07-02 | 2006-05-08 | 임채주 | Correction Equipment of English Pronunciatio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588B1 (en) * | 2016-01-26 | 2017-10-13 | 길웅진 | Appararus for correcting pronuciation |
KR101741959B1 (en) * | 2016-10-11 | 2017-05-30 |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 Articulation organization encouraging tongue depressors for pronunciation correction |
WO2018070581A1 (en) * | 2016-10-11 | 2018-04-19 |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 Articulator activating tongue depressor for speech correction |
KR20190076293A (en) * | 2017-12-22 | 2019-07-02 |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 Luminescent Tongue Depressor |
KR102033835B1 (en) | 2017-12-22 | 2019-10-17 |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 Luminescent Tongue Depressor |
KR102224373B1 (en) *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or preventing of snoring |
KR102224372B1 (en) *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preventing of snoring |
WO2022071778A1 (en) * | 2020-09-29 | 2022-04-07 | 엘티프로(주) | Tongue exercise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4073A (en) | 2013-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065B1 (en) |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 |
KR102018129B1 (en) | Plate assembling device of desk and chair and desk and chair using plate assembling device | |
KR101401434B1 (en) | 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 |
JP5955689B2 (en) | Heart massage training equipment | |
KR101459267B1 (en) | A small-sized auxiliary unit | |
KR950005281A (en) | Stuttering and Vowels, Corrector | |
JP3745347B2 (en) | Pronunciation learning tool | |
KR20070068234A (en) | Danso auxiliary tool of traditional Danso | |
KR200359866Y1 (en) | A short bamboo flute | |
KR100577534B1 (en) | Correction Equipment of English Pronunciation | |
CN113035156B (en) | Playing assisting tool and air spring musical instrument | |
JP6265454B1 (en) | Pronunciation correction equipment | |
KR101692492B1 (en) | Supporting Device for Sound Generating of Danso | |
KR200447723Y1 (en) | Daegum auxiliary equipment | |
KR101191431B1 (en) | Apparatus of supporting brest for desk | |
KR101367795B1 (en) | Keyboard position controller | |
KR200483276Y1 (en) | Ambidextrous guitar | |
CN212161255U (en) | Guitar chord training ware convenient to centre gripping | |
KR20190002290U (en) | Auxiliary Device for Exercise Vibration of Saxophone | |
KR200488186Y1 (en) | Assistant Module For Playing Harmonica | |
US810410A (en) | Show-case corner. | |
KR200187852Y1 (en) | Instrument for wind training | |
KR200360551Y1 (en) | A cap for a short bamboo flute | |
KR101784588B1 (en) | Appararus for correcting pronuciation | |
JP1720231S (en) | cocoa butter me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