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04B1 -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04B1
KR101352004B1 KR1020110096965A KR20110096965A KR101352004B1 KR 101352004 B1 KR101352004 B1 KR 101352004B1 KR 1020110096965 A KR1020110096965 A KR 1020110096965A KR 20110096965 A KR20110096965 A KR 20110096965A KR 101352004 B1 KR101352004 B1 KR 10135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arch
search term
term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099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1009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Abstract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는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확장 검색어 판단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를 추출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상품 검색어 추출부, 그리고 추출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인정하는 입력 검색어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REMINING PRODUCT KEYWORD}
본 발명은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portal site)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포털 사이트를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은 검색어와 관련된 뉴스, 블로그, 카페, 관련 사이트, 동영상, 사진 등을 통합 검색하여 컬렉션별 분류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검색 시스템은 통합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경우,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적합한 순서대로 컬렉션 순서를 배치한다.
이때 사용자가 고빈도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검색 시스템은 고빈도 검색어의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의 속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검색 시스템은 특정 검색어에 대해서 상품 정보의 클릭 여부를 통계적으로 추출하여, 특정 검색어를 상품에 관계된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품에 관계된 고빈도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시스템은 포털 사이트에 상품 정보나 쇼핑에 관계된 컬렉션을 우선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그러나, 검색 빈도가 낮은 검색어의 경우는 통계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검색 시스템은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9-0056273호(2009.06.03 공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9-0061436호(2009.06.16 공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906810호(2009.07.0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품 검색어를 확장한 확장 검색어들의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 검색어별로 상품 관련도를 관리하고,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기초로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로서,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상기 상품 검색어별로 저장하는 확장 검색어 판단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를 추출 상품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상품 검색어 추출부, 그리고 상기 확장 검색어 판단부에서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이 있는 검색어로 판단하는 입력 검색어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추가된 형태의 검색어이다.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에 저장된 제1 상품 검색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를 상기 제1 상품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을 찾는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의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판단부는 검색한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이고,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대한 상기 입력 검색어의 길이 비율이 일정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임의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상기 임의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검색 횟수가 일정값 이상인 고빈도 검색어 중에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상기 고빈도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해당 고빈도 검색어를 상품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는 해당 확장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상품 관련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로서,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 임의 상품 검색어를 확장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를 확장해도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인지 판단하여,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를 확장 가능 검색어로 결정하여 저장하는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검색어에서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기초로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입력 검색어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추가된 형태의 검색어이다.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에 상기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에 저장된 확장 가능 검색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의 길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이고,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대한 상기 입력 검색어의 길이 비율이 일정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는 해당 확장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한 총 검색 횟수와 총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가 확장 가능 검색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임의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상기 임의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검색 횟수가 일정값 이상인 고빈도 검색어 중에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상기 고빈도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해당 고빈도 검색어를 상품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으로서,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단계,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상기 상품 검색어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를 추출 상품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추가된 형태의 검색어이다.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대한 상기 입력 검색어의 길이 비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단계는 임의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상기 임의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상기 상품 검색어별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해도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는 상품 관련도를 통해 검색 빈도에 관계없이 입력 검색어가 상품에 관계된 검색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성을 파악하여 쇼핑 및 상품 관련 컬렉션의 순서와 배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부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 검색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 30, 40)의 검색 이력에 따라, 입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인지 판단한다.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 상품 검색어 추출부(150), 그리고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40)은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나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를 구비한 포털(portal) 시스템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등 다양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 30, 40)로부터 전달받은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품 검색어는 상품 관련도가 있는 검색어를 의미하며, 상품 관련도는 속성이 쇼핑, 판매 및 구매 등에 관계되어 있는지를 의미한다. 검색 통계 정보는 검색어에 관련된 각종 통계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는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수집하여 상품 검색어 판단에 이용한다. 여기서 검색 횟수는 사용자가 특정 검색어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특정 검색어를 입력한 횟수이다.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중에서,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이다.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는 검색어(A)의 검색 횟수, 예를 들어 1000회와 검색어(A)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 예를 들어 400회의 비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어(A)를 상품 검색어로 판단한다. 이때,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는 검색 횟수가 일정값 이상인 고빈도 검색어 중에서 상품 검색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는 확장 검색어의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고, 상품 검색어별로 저장할 수 있다.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 및 부가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어로서, 검색어(A)는 복수 개의 확장 검색어(A+b, A+c, A+d)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검색어(A)가 '클리니크'이고, 확장 검색어(A+b, A+c, A+d)는 '두피클리니크', '클리니크안티블레미시' 및 '클리니크모이스처써지'일 수 있다. 여기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는 특정 상품 검색어의 확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속성이 존재하는지를 보여주는 정보로서, 상품 검색어가 확장되는 경우에도 상품 관련도가 유지하는지를 보여준다.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는 상품 검색어 별로 계산된다.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는 각 확장 검색어의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하여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한다.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는 해당 확장 검색어에 대한 총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총 클릭 횟수를 수집하여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는 확장 검색어(A+b)의 검색 횟수(예를 들면, 120회)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예를 들면, 40회), 확장 검색어(A+c)의 검색 횟수(예를 들면, 20회)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예를 들면, 7회), 그리고 확장 검색어(A+d)의 검색 횟수(예를 들면, 10회)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예를 들면, 3회)를 통합하여 총 검색 횟수(130회)와 총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50회)를 계산한다. 그리고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는 총 검색 횟수(150회)에 대한 총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50회)의 비율, 즉 33%를 상품 검색어(A)와 관련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로 저장한다.
상품 검색어 추출부(150)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의 수집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이하 추출 검색어라고 한다)를 추출한다. 즉 입력 검색어는 추출 검색어와 부가 검색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 검색어에 상품 관련도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먼저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입력 검색어가 상품 검색어와 동일한 경우, 즉, 입력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 검색어를 상품 검색어로 바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입력 검색어에서 상품 검색어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낮게 판단한다.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입력 검색어가 상품 검색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즉 입력 검색어가 추출 검색어와 부가 검색어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추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관련도를 기초로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판단한다. 즉,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추출 검색어와 동일한 상품 검색어에 대해서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에 저장된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입력 검색어에 상품 관련도가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입력 검색어가 '클리니크페이스솝'인 경우, 추출 검색어는 '클리니크'이며, 부가 검색어는 '페이스솝'이다.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클리니크'에 대해서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33%로 저장하고 기준이 30%라면, 입력 검색어인 '클리니크페이스솝'도 상품 검색어인 '클리니크'와 마찬가지로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한다.
이때,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부가 검색어의 길이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만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부가 검색어의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에는 상품 관련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검색어가 '클리니크페이스솝'인 경우,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부가 검색어인 '페이스솝'의 길이가 일정한 기준 이하라고 판단하여 입력 검색어인 '클리니크페이스솝'을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한다.
또는 입력 검색어 판단부(170)는 추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관련도와 검색어의 길이 비율 각각에 일정 가중치를 적용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입력 검색어에 상품 관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되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 통합 검색 결과를 제공할 때, 입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이나 쇼핑 정보를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는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 검색어와 상품 검색어에 대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미리 저장한 뒤,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일정 길이의 검색어가 입력되면, 입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검색어가 검색어만으로 상품 관련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저빈도 검색어인 경우에도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200)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210),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 확장 가능 검색어 추출부(250), 그리고 입력 검색어 판단부(270)를 포함한다.
상품 검색어 수집부(210)는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며, 상품 검색어 수집부(110)와 같다.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는 상품 검색어를 확장한 확장 검색어의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확장 가능 검색어를 결정한다. 여기서,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 및 부가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어이고, 확장 가능 검색어는 확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속성을 유지하는 상품 검색어로서, 상품 검색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상품 검색어 중에서 결정된다.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는 상품 검색어의 확장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수집하여 판단한다. 이때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는 확장 검색어 판단부(130)에서 계산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는 확장 검색어 각각의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한 총 검색 횟수와 총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로서, 상품 검색어별로 계산된다. 즉,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는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기준값보다 높은 상품 검색어를 확장 가능 검색어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는 상품 검색어(A, B, C) 중에서 확장해도 상품 관련도가 있는 상품 검색어(A)를 확장 가능 검색어로 결정한다.
확장 가능 검색어 추출부(25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 검색어를 수신하면,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230)를 참조하여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확장 가능 검색어(이하 추출 검색어라고 한다)를 추출한다. 즉 입력 검색어는 추출 검색어와 부가 검색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검색어 판단부(270)는 입력 검색어가 확장 가능 검색어와 동일한 경우, 즉, 입력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 검색어를 상품 검색어로 바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검색어 판단부(270)는 입력 검색어에서 확장 가능 검색어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낮다고 판단한다.
입력 검색어 판단부(270)는 확장 가능 검색어 추출부(250)에서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확장 가능 검색어가 추출되면,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한다. 이때, 입력 검색어 판단부(270)는 부가 검색어의 길이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만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부가 검색어의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에는 상품 관련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 30, 40)로부터 전달받은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한다(S310). 검색 통계 정보는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포함한다.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상품 검색어를 확장한 확장 검색어 각각의 검색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S320).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확장 검색어 각각의 검색 횟수와, 확장 검색어 각각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수집한다.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확장 검색어 각각의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 검색어와 관련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한다(S330).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각 확장 검색어의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하여 상품 검색어별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한다.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해당 확장 검색어에 대한 총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총 클릭 횟수를 수집하여 상품 관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 검색어를 수신한다(S340).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입력 검색어가 상품 검색어의 확장 검색어인지 판단한다(S350).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입력 검색어에 상품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수집한 상품 검색어를 참조하여,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를 추출한다. 상품 검색어가 추출되는 경우, 입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추출 검색어와 부가 검색어로 이루어진다.
입력 검색어가 상품 검색어의 확장 검색어가 아닌 경우,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입력 검색어에 대한 상품 검색어 판단을 종료한다(S360). 즉,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입력 검색어에서 상품 검색어를 추출하지 못하면, 더 이상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입력 검색어가 상품 검색어의 확장 검색어인 경우,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해당 상품 검색어와 관련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기초로 입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인지 판단한다(S370).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확장해도 상품 관련성이 있는 상품 검색어가 입력 검색어에 포함되어 있으면,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한다. 이때,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입력 검색어에서 추출한 상품 검색어, 즉 추출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상품 검색어 중에서 확장 가능 검색어를 미리 판단해 놓은 뒤, 입력 검색어에서 확장 가능 검색어가 추출되는 경우,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된 검색어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입력 검색어가 상품 검색어에 비해 적정 기준의 길이인지 판단하여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는 특정 상품 검색어의 확장 검색어가 상품에 관련된 속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를 보여주는 정보로서, 상품 검색어별로 계산된다.
이와 같이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는 확장해도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품 검색어를 통해 검색 빈도에 관계없이 검색어가 상품에 관계된 검색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100, 200)를 구비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입력 검색어가 고빈도의 상품 검색어와 같지 않더라도,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성을 파악하여 쇼핑 및 상품 관련 컬렉션의 노출 순서 등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검색 의도에 부합하는 검색 결과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3)

  1.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상기 상품 검색어별로 저장하는 확장 검색어 판단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를 추출 상품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상품 검색어 추출부, 그리고
    상기 확장 검색어 판단부에서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이 있는 검색어로 판단하고, 검색한 상품 관련도가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를 상품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하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품과 관련이 있는 검색어인지에 따라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결과 제공 시 상품 관련 컬렉션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는 입력 검색어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추가된 형태의 검색어이며,
    상기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는 상품 검색어가 확장되는 경우 상품에 관련된 속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에 저장된 제1 상품 검색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를 상기 제1 상품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을 찾는 검색어로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의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판단부는
    검색한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이고,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대한 상기 입력 검색어의 길이 비율이 일정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임의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상기 임의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검색 횟수가 일정값 이상인 고빈도 검색어 중에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상기 고빈도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해당 고빈도 검색어를 상품 검색어로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확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는 해당 확장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확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0.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수집부,
    임의 상품 검색어를 확장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를 확장해도 상품에 관련된 검색어인지 판단하여,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를 확장 가능 검색어로 결정하여 저장하는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검색어에서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기초로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품과 관련이 있는 검색어인지에 따라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결과 제공 시 상품 관련 컬렉션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는 입력 검색어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추가된 형태의 검색어이고,
    상기 상품 관련도는 상품 검색어가 확장되는 경우 상품에 관련된 속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에 상기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에 저장된 확장 가능 검색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지 않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입력 검색어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의 길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입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이고,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대한 상기 입력 검색어의 길이 비율이 일정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확장 가능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5. 제10항에서,
    상기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는 해당 확장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인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확장 가능 검색어 판단부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한 총 검색 횟수와 총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가 확장 가능 검색어인지를 결정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7. 제10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임의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상기 임의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검색 횟수가 일정값 이상인 고빈도 검색어 중에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 수집부는
    상기 고빈도 검색어에 대한 검색 횟수와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의 비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해당 고빈도 검색어를 상품 검색어로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20.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판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으로서,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관련된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단계,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의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상기 상품 검색어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입력 검색어에 포함된 상품 검색어를 추출 상품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가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품과 관련이 있는 검색어인지에 따라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결과 제공 시 상품 관련 컬렉션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는 상품 검색어에 부가 검색어가 추가된 형태의 검색어이고,
    상기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는 상품 검색어가 확장되는 경우 상품에 관련된 속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대한 상기 입력 검색어의 길이 비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입력 검색어가 상기 추출 상품 검색어에 관련된 상품과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
  22. 제20항에서,
    상기 상품 검색어를 수집하는 단계는
    임의 검색어의 검색 횟수와 상기 임의 검색어에 따른 상품 관련 정보의 클릭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
  23. 제20항에서,
    상기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여 상기 상품 검색어별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확장 검색어 각각의 상기 제2 검색 통계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확장 검색어의 상품 관련도를 계산하는 상품 검색어 판단 방법.
KR1020110096965A 2011-09-26 2011-09-26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35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965A KR101352004B1 (ko) 2011-09-26 2011-09-26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965A KR101352004B1 (ko) 2011-09-26 2011-09-26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099A KR20130033099A (ko) 2013-04-03
KR101352004B1 true KR101352004B1 (ko) 2014-02-07

Family

ID=4843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965A KR101352004B1 (ko) 2011-09-26 2011-09-26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29B1 (ko) * 2016-11-10 2018-07-19 주식회사 자이냅스 클릭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 사용자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400A (ko) * 2006-01-05 2007-07-10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고객 구매행동 분석에 기반한 지능화된 상품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4782A (ko) * 2006-04-24 2007-10-29 (주)첫눈 문서와 관련된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400A (ko) * 2006-01-05 2007-07-10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고객 구매행동 분석에 기반한 지능화된 상품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4782A (ko) * 2006-04-24 2007-10-29 (주)첫눈 문서와 관련된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099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648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nterest tag recommendation
JP6247292B2 (ja) クエリ拡張
CN103279513B (zh) 产生内容标签的方法、提供多媒体内容信息的方法及装置
US9448999B2 (en) Method and device to detect similar documents
CN102693271B (zh) 一种网络信息推荐方法及系统
TWI524193B (zh) 用於搜尋結果之語義目錄的電腦可讀取媒體及電腦實現方法
JP5449628B2 (ja) マルチステージを使用したカテゴリ情報の決定
JP2018503158A (ja) ソーシャルプラットフォームに基づくデータマイニング方法及び装置
US91650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personalized content based on user's comment
CN109508391B (zh) 基于知识图谱的输入预测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5302807B (zh) 一种获取信息类别的方法和装置
JP6185379B2 (ja) レコメンド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方法
CN104899306A (zh) 信息处理方法、信息显示方法及装置
JP5952711B2 (ja) 予測対象コンテンツにおける将来的なコメント数を予測する予測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08241692B (zh) 数据的查询方法及装置
KR101638535B1 (ko) 사용자 검색어 연관 이슈패턴 검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이슈패턴 검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10674345A (zh) 一种视频搜索方法、装置及服务器
CN103853771B (zh) 一种搜索结果的推送方法及系统
WO2014198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media message
KR101352004B1 (ko) 상품 검색어 판단 장치 및 방법
WO2013157603A1 (ja) 検索クエリ分析装置、検索クエリ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321258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CN106919649B (zh) 一种词条权重计算的方法及装置
KR101404644B1 (ko) 지식 베이스 확장 장치 및 방법
CN104050174B (zh) 一种个性化页面生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