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837B1 -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 Google Patents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837B1
KR101351837B1 KR1020120059524A KR20120059524A KR101351837B1 KR 101351837 B1 KR101351837 B1 KR 101351837B1 KR 1020120059524 A KR1020120059524 A KR 1020120059524A KR 20120059524 A KR20120059524 A KR 20120059524A KR 101351837 B1 KR101351837 B1 KR 10135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underpass
entrance
cylin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6025A (en
Inventor
남기화
Original Assignee
남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화 filed Critical 남기화
Priority to KR102012005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837B1/en
Publication of KR2013013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하도 출입구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방수 처리된 상태로 상단이 출입구와 수평이 되도록 지면에 매립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판; 및 상기 하우징 저면과 상기 발판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locking the underpass of the underpass,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device for blocking the underpass of the underpass for preventing the flooding of the underpass, the housing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the top is horizontal to the entrance in a waterproof state; A plurality of scaffold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using; And a cylinder for elevating the scaffold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scaffold.

Description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본 발명은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도 출입구가 우천 등의 원인으로 침수될 경우 물의 높이 따라 물막이 높이를 조절하며 보행자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locking the underpass entr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of the underpas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and to allow pedestrians to freely enter when the underpass is flooded due to rain or the lik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지하도 출입구는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 보행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면과의 높이 차가 거의 없게 설계되어 있다.In general, the entrance of the underpass serves as a passage that connects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and is designed so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ground in order to facilitate access of pedestrians.

그러나 이러한 지하도 출입구는 우천 등에 의한 침수에 매우 취약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출입구를 막는 물막이 장치들이 다수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물막이 장치들로는 공개특허 제10-2005-114289호와 공개특허 10-2004-7422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However, since the entrance to the underpass is very vulnerable to flooding due to rain or the like, a number of water blocking devices for blocking the entrance have been developed as a means to compensate for this, and such water blocking device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s. 10-2005-114289 and 10-2004-. 74229 and the like are disclosed.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대부분 지하도 출입구를 수직으로 직접 막는 방식이어서 물막이 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출입구를 통해 보행자의 출입이 완전히 차단되어 보행에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walk because the entry and exit of the pedestrian through the doorway is completely blocked when the water barrier device is operated because it is a method of directly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underground roa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하도 출입구가 우천 등의 원인으로 침수될 경우 물의 높이 따라 물막이 높이를 조절하며 보행자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nderpass entrance is flooded due to rain or the like, the underpass entran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barri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and to allow pedestrians to freely enter It is to provide a water blocking device of.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지하도 출입구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방수 처리된 상태로 상단이 출입구와 수평이 되도록 지면에 매립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판; 및 상기 하우징 저면과 상기 발판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laims [1] A device for blocking an underpass in order to prevent inundation of an underpa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aid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an upper end thereof is horizontal with the inlet in a waterproof state; A plurality of scaffold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using; And a cylinder for elevating the scaffold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scaffold.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발판은 각각의 수직 길이가 상기 출입구로부터 "∧" 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And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is formed so that each vertical length has a "∧" shape from the doorway.

또한 상기 다수개의 발판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발판은 상기 출입구의 벽면과 밀착되는 측면 발판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ootrest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footrest is provided with a side footrest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doorway.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발판은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개별 동작하며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is preferably moved up and down individually by a cylinder that is individually installed in each.

또한 상기 다수개의 발판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밀착패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tact pad for preventing leakage.

그리고 상기 발판은 하나의 실린더 동작에 의해 서로 연계 구동되며, 상기 각각의 발판에는 상호 연계 구동을 위한 걸림돌기와 절개공이 형성된다.And the scaffold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y a single cylinder operation, each of the scaffold is formed with a projection and cut holes for the mutual linkage drive.

본 발명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가 우천 등의 원인으로 침수될 경우 물의 높이 따라 물막이 높이를 조절하며 보행자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nderpass entrance is flooded due to rain or the like, there is an effect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ter barri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and allowing pedestrians to freely enter and ex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에 구비되는 밀착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water blocking device of the underground passage entr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blocking device of the underground entrance and exit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dhesion pad provided on the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water blocking device of the underground entrance and exi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caffold shown in FIG.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도 출입구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방수 처리된 상태로 상단이 출입구와 수평이 되도록 지면에 매립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판; 및 상기 하우징 저면과 상기 발판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blocking the underpass of the underpass for preventing the flooding of the underpass, the housing is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the top is horizontal to the entrance in a waterproof state; A plurality of scaffold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using; And a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footrest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footrest.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발판은 각각의 수직 길이가 상기 출입구로부터 "∧" 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And the plurality of scaffold is formed so that each vertical length has a "∧" shape from the doorway.

또한 상기 다수개의 발판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발판은 상기 출입구의 벽면과 밀착되는 측면 발판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ootrest located on the top of the plurality of footrest is provided with a side footrest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doorway.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발판은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개별 동작하며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caffolds ar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dividually by cylinders that are individually installed in each.

또한 상기 다수개의 발판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밀착패드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ad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caffold to prevent leakage.

그리고 상기 발판은 하나의 실린더 동작에 의해 서로 연계 구동되며, 상기 각각의 발판에는 상호 연계 구동을 위한 걸림돌기와 절개공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caffolding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y one cylinder operation, and each of the scaffolds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an incision hole for mutual linkage driving.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원발명에 따라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물막이 장치(100)는 일정한 공간을 갖고 지면(G)에 매립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판(120)과, 상기 발판(120)과 하우징(110) 사이에서 상호 지지되며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실린더(130)와, 상기 실린더(130)를 상기 발판(12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ter blocking apparatu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predetermined space and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housing 110 embedded in the ground G and in the housing 110. A plurality of scaffold 120, a plurality of cylinders 130 to be mutually supported between the scaffold 120 and the housing 110 to lift the scaffold, and to fix the cylinder 130 to the scaffold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cket 140.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박스 형태로 상단이 지면(G)과 수평 상태가 되게 매립되며 지면(G)으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방수 처리된 소재를 이용한다.The housing 110 is buri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top surface so that the top is flush with the ground G, and uses a material whose surface is waterproof to prevent water from invading from the ground G. .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실린더(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펌프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 라인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지하도 내의 통제실(본 발명에서는 지하철 역사를 운영하는 시설로 설명함)과 연결되어 통제실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housing 110, a hydraulic pump line for operating the cylinder 130 is forme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ump line is provided, the controller is a control room in the underpass (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that operates the subway history) to form a line that can be controlled from the control room.

상기 발판(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E) 측에 가까운 제3발판(123), 상기 제3발판(123)과 밀착되며 상기 제3발판(123) 보다 수직 길이다 긴 제2발판(122) 및 상기 제2발판(122)과 밀착되며 상기 제2발판(122) 보다 수직 길이가 긴 제1발판(121)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판(121)을 기준으로 출입구의 외측은 제2발판과 제3발판이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다.The scaffold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scaffold 123 and the third scaffold 123 close to the entrance (E) side as shown, and the second scaffold having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third scaffold 123 ( 122) and a first scaffold 12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caffold 122 and has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scaffold 122, and the outer side of the entrance is based on the first scaffold 121. The second footrest and the third footrest are provided correspondingly.

즉, 상기 발판이 모두 상승할 경우 "∧" 형태를 형성하고, 반대로 발판이 모두 하강한 상태에서는 윗면이 평평한 "▽"자 형태로 형성되어 보행자가 계단식 입구 또는 수평식 입구를 상황에 따라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In other words, when all of the scaffolds are raised, a "∧" shape is formed. On the contrary, when the scaffolds are all lowere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flat "▽" shape so that a pedestrian can pass a stepped entrance or a horizontal entra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a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또한 상기 제1발판(121) 양단에는 상기 제2발판, 제3발판을 감싸며 상기 출입구(E) 측으로 연장된 보조발판(121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scaffold 121, the auxiliary scaffold 121a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scaffold, the third scaffold and extend toward the doorway (E).

상기 실린더(130)는 상기 제1발판(121)을 브라켓(140)을 이용해 고정지지하는 제1실린더(131), 상기 제2발판(122)을 고정지지는 제2실린더(132) 및 상기 제3발판(123)을 지지하는 제3실린더(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실린더들은 모두 개별 동작하며 상기 발판을 승강시킨다.The cylinder 130 has a first cylinder 131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irst scaffold 121 using the bracket 140, a second cylinder 132 for fixing the second scaffold 122 and the first cylinder. It consists of a third cylinder 133 for supporting the three scaffold 123, the respective cylinders are all operated individually and lift the scaffold.

또한 상기 보조발판(12a)에는 균형 있는 지지력을 위한 보조실린더(13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caffold 12a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ylinder 134 for a balanced support force.

여기서 상기 발판과 실린더들이 각각 3개가 구성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출입구의 구조와 조건에 따라 발판과 실린더의 갯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설치하는 것은 주지사실이다.Here, the three scaffolds and the cylinders are described, but it is the governor's office to install the number of scaffolds and cylinders to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conditions of the entrance.

그리고 상기 발판(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패드(150)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패드(150)는 발판의 승강시 마찰력은 최소화라면서 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한다.And the footrest 120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pad 150 as shown in FIG. The close contact pad 15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prevent leakage due to water while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caffol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 등으로 인해 지면이 물에 잠기면 우선 통제실에서 제1실린더(131)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시켜 제1실린더(131)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제1실린더(131)의 상승에 따라 제1발판(121)이 상승하며 출입구(E)의 벽면(W)과 밀착된 보조발판(121a)과 상승하며 출입구(E)를 차폐시킨다.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when the ground is submerged due to rain or the like, the first cylinder is generated by first genera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first cylinder 131 in the control room. Raise 131. At this time, as the first cylinder 131 rises, the first scaffold 121 rises, ascends with the auxiliary scaffold 121a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of the entrance E, and shields the entrance E.

이 상태에서 침수된 물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 이 상태를 유지하나 침수되는 물의 량이 증가할 경우 제1실린더(131)를 동작시켜 제1발판을 더 높게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2실린더(132)를 동작시켜 제2발판(122)을 상승시킨다.In this state, if the submerged water does not increase any more, this state is maintained, but when the amount of the submerged water increases, the first cylinder 131 is operated to raise the first scaffold high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ylinder 132 is moved. By operating, the second scaffold 122 is raised.

상승한 제1발판(121)과 제2발판(122)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계단이 형성되게 때문에 보행자가 제1발판과 제2발판을 이용해 출입구 이용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tairs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are formed by the raised first scaffold 121 and the second scaffold 122, the pedestrian can easily use the doorway using the first scaffold and the second scaffold.

계속해서 물의 량이 증가면 앞선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제1발판, 제2발판 및 제3발판을 모두 상승시켜 높은 물막이 벽을 형성시켜 지하도 출입구로의 물 유입을 방지하면서 보행자의 통행은 수월하게 한다.If the amount of water continues to increase, the first scaffold, the second scaffold, and the third scaffold are rai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method to form a high wall of water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entrance of the underpass,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pedestrians to pass.

이때 상기 제1발판 내지 제3발판 표면은 승강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며, 보행자의 이동시 발구름 충격에도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소재를 이용한다.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scaffold uses a material that can minimize the friction when lifting, and uses a material that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impact of the foot cloud when the pedestrian move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의 물막이 장치(200)로서 이를 보면, 일정한 공간을 갖고 지면(G)에 매립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에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판(220)과, 상기 발판(220)과 하우징(210) 사이에서 상호 지지되며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실린더(230)와, 상기 실린더(230)와 상기 발판(220)을 브라켓을 이용해 고정시키는 구성하고 있다.5 and 6 show the water bl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1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buried in the ground (G),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housing 210. A plurality of scaffolds 220 disposed in a closed state, a plurality of cylinders 230 which are mutually supported between the scaffolds 220 and the housing 210, and lift the scaffolds, and the cylinders 230 and the scaffolds ( 220 is fixed using a bracket.

상기 하우징(210)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박스 형태로 상단이 지면(G)과 수평 상태가 되게 매립되며 지면(G)으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방수 처리된 소재를 이용한다.The housing 210 is buri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upper surface open so that the top thereof is horizontal to the ground G, and uses a material whose surface is waterproof to prevent water from invading from the ground G. .

또한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실린더(2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펌프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 라인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지하도 내의 통제실(본 발명에서는 지하철 역사를 운영하는 시설로 설명함)과 연결되어 통제실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housing 210, a hydraulic pump line for operating the cylinder 230 is forme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ump line is provided, the controller is a control room in the underpass (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that operates the subway history) to form a line that can be controlled from the control room.

상기 발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E) 측에 가까운 제3발판(223), 상기 제3발판(223)과 밀착되며 상기 제3발판(223) 보다 수직 길이다 긴 제2발판(222) 및 상기 제2발판(222)과 밀착되며 상기 제2발판(222) 보다 수직 길이가 긴 제1발판(221)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판(221)을 기준으로 출입구의 외측은 제2발판과 제3발판이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다.The scaffold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scaffold 223 and the third scaffold 223 close to the entrance (E) side as shown, and the second scaffold longer than the third scaffold 223 (which is vertical in length). 222 and the first scaffold 22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caffold 222 and has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scaffold 222, and the outside of the doorway is based on the first scaffold 221. The second footrest and the third footrest are provided correspondingly.

즉, 상기 발판이 모두 상승할 경우 "∧" 형태를 형성하고, 반대로 발판이 모두 하강한 상태에서는 윗면이 평평한 "▽"자 형태로 형성되어 보행자가 계단식 입구 또는 수평식 입구를 상황에 따라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In other words, when all of the scaffolds are raised, a "∧" shape is formed. On the contrary, when the scaffolds are all lowere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flat "▽" shape so that a pedestrian can pass a stepped entrance or a horizontal entra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a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또한 상기 제1발판(221) 양단에는 도면상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2발판, 제3발판을 감싸며 상기 출입구 측으로 연장된 보조발판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both sides of the first scaffold 221 are formed with auxiliary scaffolds extending to the entrance and surrounding the second scaffold and the third scaffold.

또한 상기 보조발판에는 균형 있는 지지력을 위한 보조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caffold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ylinder (not shown) for a balanced support force.

여기서 상기 발판이 각각 3개가 구성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출입구의 구조와 조건에 따라 발판의 갯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설치하는 것은 주지사실이다.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three scaffolds are each configured, but it is the governor's office to install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scaffold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condition of the entrance.

또한 상기 제1발판(221) 양측의 수직면 각각에 돌출된 걸림돌기(221b)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2발판(222)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21b)가 안내되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222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22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221b protruding from each of the vertica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first scaffold 221 is form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1b is guid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caffold 222 so as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incision hole (222a) cut by the formed is forme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222b).

마찬가지로 상기 제3발판(223)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22b)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222a)이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one side of the third scaffold 223 is formed with a cutting hole 222a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22b is inserted and slidably moved.

그리고 상기 발판(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패드(150)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패드(150)는 발판의 승강시 마찰력은 최소화라면서 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한다.And the footrest 120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pad 150 as shown in FIG. The close contact pad 15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prevent leakage due to water while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caffold.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2발판 및 제3발판의 승강시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실린더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판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stopper for increasing the supporting force during the lifting of the second and third scaffold and to prevent the scaffold from falling due to malfunction of the cylinder.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우천 등에 의해 지하도 출입구가 침수될 상황이되면 통제실에서 실린더(23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인가하여 실린더(230)를 상승시킨다. 상승하는 실린더(230)는 연결된 제1발판(221)을 상승시켜 보조발판과 같이 출입구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로 출입구를 차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nderpass entrance is flooded due to rain or the like, a signal for operating the cylinder 230 is applied in the control room to raise the cylinder 230. The rising cylinder 230 raises the connected first scaffold 221 to block the entranc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entrance, such as an auxiliary scaffold.

계속해서 물의 침수 수위가 상승하면 실린더(230)를 더 높게 상승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발판(221)의 걸림돌기(221b)가 제1발판과 밀착되게 위치된 제2발판(222)의 절개공(222a)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하며 제2발판(222)의 상단면과 밀착하게 되어 제1발판의 상승과 함께 제2발판(222)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발판(222)의 상단과 제1발판의 상단은 걸림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1발판의 수직면 상의 걸림돌기 위치를 보행자의 보폭 등을 고려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when the water submersion level rises, the cylinder 230 is raised higher, and at the same time, the cutting of the second scaffold 222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21b of the first scaffold 2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caffold is performed. Sliding ascending along the ball (2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scaffold 222, the second scaffold 222 is raised with the rise of the first scaffold.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ootrest 222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foothold are determined by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irst foothold in consideration of the pedestrian's stride and the like.

1차적으로 상승한 제1발판에 의해 침수를 막지 못할 경우 제2발판이 상승할 수 있게 제1발판을 상승시키고, 이보다 더 물의 침수가 높아지면 계속 제1발판을 상승시키도록 실린더(230)를 동작하면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제2발판과 걸림돌기에 의해 연결된 제3발판이 상승하여 출입구의 침수를 방지하면서 제1발판 내지 제3발판의 높이 차를 이용해 계단을 형성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출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If the first scaffold cannot be prevented by the first scaffold, the first scaffold can be raised to allow the second scaffold to rise, and if the water is further flooded, the cylinder 230 is operated to continuously raise the first scaffold. As shown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third scaffold connected by the second scaffold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raised to prevent the flooding of the doorway, thereby making the stairs easy to access the pedestrians by forming the stairs us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caffold and the third scaffold. Will be.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1발판에 형성된 보조발판(221c)과 벽면이 밀착된 상태에서의 상승시 상호 마찰력은 최소화하면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측면발판과 벽면의 연결을 L/M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auxiliary scaffold (221c) formed on the first scaffold and the wal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minimize the mutual frictional force and to prevent leaka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de scaffold and the wall surface L / M, etc. Can also be us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as well as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It is hard to say that I am within.

100, 200 : 물막이 장치 110, 210 : 하우징
120, 220 : 발판 130, 230 : 실린더
140 : 브라켓 150 : 밀착패드
100, 200: water blocking device 110, 210: housing
120, 220: Scaffold 130, 230: Cylinder
140: bracket 150: contact pad

Claims (7)

지하도 출입구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방수 처리된 상태로 상단이 출입구와 수평이 되도록 지면에 매립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판; 및
상기 하우징 저면과 상기 발판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발판은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개별 동작하며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In the water blocking device of the underpass entrance to prevent the inundation of the underpass entrance,
A housing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the top thereof is horizontal to the doorway while being waterproof;
A plurality of scaffold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using; And
And a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caffold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scaffold.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is a water barrier device of the underp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and moving individually by a cylinder that is installed in each individu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발판은 각각의 수직 길이가 상기 출입구로부터 "∧" 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is a water barrier device of the underpass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vertical length is formed to have a "∧" shape from the entr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발판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발판은 상기 출입구의 벽면과 밀착되는 측면 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caffold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caffold is a water barrier device of the underp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caffol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entra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발판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밀착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logging device of the underpass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ad for preventing leakage between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는
다수개의 발판 중 중앙 부분에 위치되는 발판을 지지하는 하나의 실린더 동작에 의해 이웃한 발판들이 서로 연계 구동되도록 각각의 발판 일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고, 절개공이 형성된 타측면에는 이웃한 절개공을 따라 안내되며 발판을 들어올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The water blocking device of the underpass entranc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One side of each of the scaffold is formed by the incision hol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each side of the scaffold so that the adjacent scaffold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one cylinder supporting the scaffold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The water barrier device of the underp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way is guided along the incision hole to form a block for lifting the scaffold.
삭제delete
KR1020120059524A 2012-06-04 2012-06-04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KR1013518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524A KR101351837B1 (en) 2012-06-04 2012-06-04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524A KR101351837B1 (en) 2012-06-04 2012-06-04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25A KR20130136025A (en) 2013-12-12
KR101351837B1 true KR101351837B1 (en) 2014-01-15

Family

ID=4998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524A KR101351837B1 (en) 2012-06-04 2012-06-04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8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3501A (en) * 2019-03-06 2020-09-10 株式会社ジェイ・クリエイト Water cut-off structure for passage, and water cut-off method using the same
KR102066528B1 (en) * 2019-07-12 2020-01-15 (주)하온아텍 multi-function lift
CN117403938A (en) * 2023-11-27 2024-01-16 江苏润尔达建设工程有限公司 Municipal waterlogging preven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475A (en) * 2003-02-06 2004-08-12 금호이엔씨 주식회사 Stopping apparatus water flowed into an entrance of an underground
JP2005351057A (en) * 2004-06-08 2005-12-22 Fukui Tekko Kk Prevention system of urban underground facilities or subways from flood water inflow or submer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475A (en) * 2003-02-06 2004-08-12 금호이엔씨 주식회사 Stopping apparatus water flowed into an entrance of an underground
JP2005351057A (en) * 2004-06-08 2005-12-22 Fukui Tekko Kk Prevention system of urban underground facilities or subways from flood water inflow or subm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25A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842B1 (en) Lifting type flooding protection wall
KR101351837B1 (en)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KR101268509B1 (en) The underpass entrance cofferdam device
KR101132131B1 (en) A shield apparatus of rain inflow for basement space of building
KR100910180B1 (en) Unmanned vehicle control system
JP5875471B2 (en) Man conveyor
KR102239526B1 (en) Flooding cut-off system
KR101222205B1 (en) Device for guiding blow out preventer
JP4655710B2 (en) Stair equipment
KR100516832B1 (en) Stopping apparatus water flowed into an entrance of an underground
KR101014377B1 (en) Bridge elevator support pit structure
KR100990698B1 (en) A submerging type dam
JP5641579B2 (en) Stair structure
KR101188656B1 (en) Lift equipment to the house
JP2018538467A (en) Self-actuated flood control equipment
KR102379884B1 (en) Elevator anti-floo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0457171Y1 (en) The elevator for the level-upped riverside
JP2004360430A (en) Water-pouring port for flood-control plate by buoyancy
KR101635360B1 (en) Apparatus of protection for inflow rain
KR102640244B1 (en) Apparatus for flood protection in parking lot
NL1041323B1 (en) Submersible bridge and water way provided with a submersible bridge.
KR101530912B1 (en) device for air cleaning having function shielding plate
KR101369730B1 (en) Water blocking device for parking place
JP6347403B2 (en) Horizontal slit water stop device and vertical slit water stop device
KR200313296Y1 (en) Stopping apparatus water flowed into an entrance of an under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