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48B1 -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648B1
KR101351648B1 KR1020110106927A KR20110106927A KR101351648B1 KR 101351648 B1 KR101351648 B1 KR 101351648B1 KR 1020110106927 A KR1020110106927 A KR 1020110106927A KR 20110106927 A KR20110106927 A KR 20110106927A KR 101351648 B1 KR101351648 B1 KR 10135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management unit
ram
soli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821A (ko
Inventor
강수용
김동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6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3Cach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를 사용자의 요청 및 저장 장치의 특징에 맞게 적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서버는 저장부, 제1 캐쉬부 및 제2 캐쉬부를 포함한다. 제1 캐시부 및 상기 제2 캐시부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저장부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제1 캐시부의 특성 및 제2 캐시부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1 캐시부에 적재될 컨텐츠들 및 제2 캐시부에 적재될 컨텐츠들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MULTI-MEDIA SERVER FOR MANAGING CONTENTS USING PREDICTION OF USER'S REQUEST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요청에 적합한 컨텐츠를 저장 장치의 특징에 맞게 적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들 중 특정한 컨텐츠는 타 컨텐츠에 비해 사용자에 의해 자주 요청된다. 멀티미디어 서버는 이러한 특정한 컨텐츠의 요청에 대해 빠르게 응답할 필요가 있다.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의 특정한 컨텐츠를 접근 속도가 빠른 저장 장치(storage)에 적재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을 보장해줄 수 있다. 캐싱(caching)은 상술된 것과 같은 적재 기술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고화질화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의 파일 사이즈들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높은 비용으로 인해, 빠른 접근 속도를 제공하는 저장 장치는 한정된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자주 요청되는 컨텐츠를 빠른 접근 속도를 제공하는 저장 장치 내에 효율적으로 적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2590호(공개일 2010년 8월 23일)에는 고속 저장 장치를 캐시(cache)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스토리지 시스템은 대용량의 제1 저장 장치, 고속의 제2 저장 장치 및 램(RAM)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용량의 제1 저장 장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이고, 고속의 제2 저장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DD)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의 가중치 및 랭킹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요청 패턴에 적합한 컨텐츠를 고성능의 저장 장치에 적재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에 대한 빠른 응답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 장치의 특징에 적합한 방식으로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저장 장치의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들을 캐싱하는 제1 캐시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2 컨텐츠들을 캐싱하는 제2 캐시부 및 상기 제1 컨텐츠들 및 상기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컨텐츠 적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시부 및 상기 제2 캐시부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상기 제1 캐시부의 특성 및 상기 제2 캐시부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들 및 상기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일 수 있고, 상기 제1 캐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램일 수 있고, 상기 제2 캐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제1 캐시부의 특성 및 상기 제2 캐시부의 특성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들을 상기 제1 컨텐츠들로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들을 상기 제2 컨텐츠들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컨텐츠의 제목 또는 태그가 인기가 높은 질의어에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는지 여부,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후 경과한 시간 및 상기 컨텐츠가 특정한 시각에서부터 현재까지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가중치가 높은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컨텐츠가 생성된 후 1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및 컨텐츠가 특정한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1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랭킹을 계산하는 컨텐츠 랭킹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랭킹이 높은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요청된 컨텐츠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저장부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상기 제1 컨텐츠들을 제1 캐시부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상기 제2 컨텐츠들을 제2 캐시부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시부 및 상기 제2 캐시부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상기 제1 캐시부의 특성 및 상기 제2 캐시부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들 및 상기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컨텐츠의 가중치 및 랭킹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요청 패턴에 적합한 컨텐츠를 고성능의 저장 장치에 적재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에 대한 빠른 응답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저장 장치의 특징에 적합한 방식으로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저장 장치의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1 캐시부에 적재할 제1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2 캐시부에 적재할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도이다.
서버(100)는 저장부(110), 제1 캐시부(120), 제2 캐시부(130),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 및 질의어 정보 획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파일(file)일 수 있다. 저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HDD일 수 있다.
제1 캐시부(120)는 저장부(110)가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부 컨텐츠들을 캐싱(caching)한다. 이하, 제1 캐시부(120)가 캐싱하는 일부 컨텐츠들을 제1 컨텐츠들로 칭한다. 제1 캐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램일 수 있다.
제2 캐시부(130)는 저장부(110)가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부 컨텐츠들을 캐싱(caching)한다. 이하, 제2 캐시부(130)가 캐싱하는 일부 컨텐츠들을 제2 컨텐츠들로 칭한다. 제2 캐시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SSD일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제1 컨텐츠들 및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한다. 즉,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1 캐시부(120)에 의해 캐싱될 제1 컨텐츠들 및 제2 캐시부(130)에 의해 캐싱될 제2 컨텐츠들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캐시부들(120 및 130)은 저장부(110)에 비해 더 빠른 접근 속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컨텐츠가 캐시부(120 또는 130) 내에 적재되어 제공되는 컨텐츠일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요청에 대한 빠른 응답을 보장하면서 한정된 용량을 갖는 고성능의 캐시부(120 또는 130)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캐시부(120 또는 130) 내에 적재할 컨텐츠들을 선택한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서버(100)의 저장 장치들(즉, 저장부(110), 제1 캐시부(120) 및 제2 캐시부(130))의 특성에 맞게 컨텐츠를 상기의 저장 장치들 중 하나에 적재시킨다.
제1 캐시부(120) 및 제2 캐시부(130)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제1 캐시부(120)가 적어도 하나의 램이고, 제2 캐시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SSD인 경우, 상기의 특성은 쓰기 접근(write access)에 대한 내구도일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1)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2) 제1 캐시부(120)의 특성 및 3) 제2 캐시부(130)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의 제1 컨텐츠들 및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질의어 정보 획득부(170)는 사용자들이 검색 엔진(search engine)에게 검색을 요청한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를 검색 엔진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는 후술될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 및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상기의 1)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 및 2) 컨텐츠에 대한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가중치(weight)를 계산할 수 있다.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상기의 1)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 및 2) 컨텐츠에 대한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랭킹(ranking)을 계산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계산된 컨텐츠의 가중치 및 컨텐츠의 랭킹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상기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 패턴(pattern)에 적합한 특징을 갖는 저장 장치(110, 120 및 130)에 적재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에 의해 결정된 제1 컨텐츠들은 제1 캐시부(120) 내에 적재된다. 예컨대,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컨텐츠들 중 하나로서 새롭게 선택된 경우, 상기의 특정한 컨텐츠는 저장부(110)로부터 제1 캐시부(120)로 복사(또는,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들 중 하나로서 선택되었던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컨텐츠들에서 제외된 경우, 상기의 특정한 컨텐츠는 제1 캐시부(120)에서 삭제될 수 있으며, 제1 캐시부(120)에서 저장부(110)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은 제2 컨텐츠들 및 제2 캐시부(1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제1 캐시부(120)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2 캐시부(130)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1 캐시부에 적재할 제1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중 일정한 시간 동안(예컨대, 현재부터 특정한 시각까지)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들을 제1 컨텐츠들로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후술될 가중치가 높은 컨텐츠를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로서 결정할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은 컨텐츠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방법의 일 예에다. 가중치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1081748004-pat00001
여기서, Weight content는 컨텐츠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QW content는 질의어(query) 가중치이다. 질의어 가중치는 컨텐츠 및 질의어 간의 관련성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가중치이다. 특정한 컨텐츠에 있어서, 상기의 컨텐츠의 제목 또는 태그(tag)가 검색 엔진에서 인기가 높은 질의어에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면, 상기의 컨텐츠의 질의어 가중치가 높아진다.
RW content는 최신성(recency) 가중치이다. 최신성 가중치는 컨텐츠가 생성된 시각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가중치이다. 상기의 생성된 시각은, 컨텐츠가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시각 또는 컨텐츠가 서버(100)에 등록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한 컨텐츠에 있어서, 상기의 컨텐츠의 최신성 가중치는 가중치가 산출되는 시각 및 컨텐츠가 생성된 시각 간의 차이에 기반(예컨대,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최근에 생성된 컨텐츠일수록 높은 최신성 가중치를 가질 수 있으며, 컨텐츠가 생성된 후 경과한 시간이 길수록 상기의 컨텐츠는 낮은 최신성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HW content는 히트(hit) 가중치이다. 히트 가중치는 컨텐츠가 일정한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횟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가중치이다. 여기서, 일정한 시간이란, 특정한 시각에서부터 현재(예컨대, 가중치가 계산되는 시각)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가 일정한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많이 요청될수록, 상기의 컨텐츠는 높은 히트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1081748004-pat00002
는 각각 질의어 가중치, 최신성 가중치 및 히트 가중치의 가중치를 계산함에 있어서의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81748004-pat00003
는 서버(100)에 대한 사용자들의 컨텐츠 제공 요청 패턴에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는 1) 컨텐츠의 제목 또는 태그가 인기가 높은 질의어에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는지 여부, 2)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후 경과한 시간 및 3) 상기 컨텐츠가 특정한 시각에서부터 현재까지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가중치가 높은 컨텐츠들은 향후(즉, 가중치가 계산되는 시점 이후) 일정한 시간 동안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컨텐츠들은 상대적으로 접근 속도가 느린 저장부(110) 내에만 적재되어 서비스되기 보다는, 보다 빠른 접근 속도를 갖는 저장 장치(예컨대, 제1 캐시부(120)) 내에 적재되어 서비스되는 것이 응답 시간의 측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2 캐시부에 적재할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컨텐츠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 패턴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컨텐츠들의 가중치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컨텐츠들의 가중치들이 변경되면, 기존에 제1 캐시부(120) 내에 적재된 컨텐츠들 중 가중치가 낮아진 컨텐츠들은 제1 캐시부(120)에서 제거되고, 가중치가 높아진 컨텐츠들이 새롭게 제1 캐시부(120) 내에 적재된다.
제2 캐시부(130)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가 낮은 저장 장치(예컨대, SSD)일 경우, 가중치는 제2 캐시부(130) 내에 적재될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는, 가중치와 같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값에 따라 제2 캐시부(130) 내에 적재될 컨텐츠들이 결정될 경우, 새로운 컨텐츠의 적재에 따른 잦은 쓰기가 제2 캐시부(130)의 성능 및 수명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캐시부(130)는 오랜 시간 동안 계속하여 제2 캐시부(130)로부터 제거되지 않을 컨텐츠를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가중치만으로 캐싱될 컨텐츠들이 선택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오랜 기간 동안 꾸준하게 요청되는 컨텐츠들은 캐싱되지 않은 채, 저장부(110)에만 적재되어 서비스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틀 중 사용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들을 제2 컨텐츠들로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후술될 랭킹이 높은 컨텐츠를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로서 결정할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2는 컨텐츠의 랭킹을 계산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랭킹은 수학식 2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1081748004-pat00004
여기서, Ranking content는 컨텐츠의 랭킹을 나타낸다.
M day는 랭킹이 측정되는 순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랭킹이 측정되는 날짜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R day는 컨텐츠가 생성된 순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컨텐츠가 저장부(110)에 저장된 날짜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W dayM day로부터 일정한 만큼의 이전의 순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랭킹이 측정되는 날짜로부터 1 주일 이전의 날짜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Total Hit Count는 컨텐츠가 생성된 이후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총 횟수를 나타낸다.
Last Week Hit Count는 컨텐츠가 최근 1 주일 동안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총 횟수를 나타낸다.
전술된 것과 같이,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는 1) 컨텐츠가 생성된 후 1 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및 2) 컨텐츠가 특정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예컨대, 최근 1 주일 동안)의 1 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는 컨텐츠가 생성된 이후 랭킹이 계산되는 시점까지 얼만큼 컨텐츠가 지속적으로 히트되었는가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랭킹을 산출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산출은, 일정 정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요청되다가 최근에 들어와서는 더 적게 요청되는 컨텐츠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랭킹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는 최근에 들어서 요청이 감소한 컨텐츠에 대해 적합한 랭킹을 부여하기 위해, 특정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1일 당 히트 수를 고려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산출할 수 있다.
컨텐츠의 랭킹은 짧은 기간 안에는 잘 바뀌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컨텐츠들이 제1 캐시부(120)에 적재되면, 최근 들어 급격하게 요청이 증가한 컨텐츠(즉, 높은 가중치를 갖는 컨텐츠)가 제1 캐시부(120) 내에 적재될 수 없다. 따라서, 높은 랭킹을 갖는 컨텐츠가 제1 캐시부(120)가 아닌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가 낮은 제2 캐시부(130)에 적재될 경우, 제2 캐시부(130)의 성능 및 수명에 있어서 좋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는 짧은 주기로 컨텐츠들의 가중치들을 재계산할 수 있고,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컨텐츠들의 재계산된 가중치들을 반영하여 제1 캐시부(120)에 적재될 제1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랭킹 관리부(150)는 (컨텐츠들의 가중치들이 재계산되는 주기에 비해) 더 긴 주기로 컨텐츠들의 랭킹들을 재계산할 수 있고,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컨텐츠들의 재계산된 랭킹을 반영하여 제2 캐시부(130)에 적재될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410)에서, 질의어 정보 획득부(170)는 검색 엔진으로부터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의 검색 엔진은 서버(100)에 포함된 검색 엔진 또는 외부의 검색 엔진일 수 있다.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420)에서,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1) 상기의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 및 2) 컨텐츠에 대한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150)는 1) 컨텐츠의 제목 또는 태그가 인기가 높은 질의어에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는지 여부, 2)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후 경과한 시간 및 3) 상기 컨텐츠가 특정한 시각에서부터 현재까지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는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상기의 1) 질의어들에 대한 정보 및 2) 컨텐츠에 대한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컨텐츠 랭킹 관리부(160)는 1) 컨텐츠가 생성된 후 1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및 2) 컨텐츠가 특정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예컨대, 최근 1 주일 동안)의 1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1)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2) 제1 캐시부(120)의 특성 및 3) 제2 캐시부(130)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1)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2) 제1 캐시부(120)의 특성 및 3) 제2 캐시부(130)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캐시부의 특성 및 제2 캐시부의 특성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일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들을 제1 컨텐츠들로서 결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들을 제2 컨텐츠들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가중치가 높은 컨텐츠를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로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랭킹이 높은 컨텐츠를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될 확률이 높은 컨텐츠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단계(460)에서,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제1 컨텐츠들을 제1 캐시부(120)에 적재할 수 있다.
단계(470)에서, 컨텐츠 적재 관리부(140)는 제2 컨텐츠들을 제2 캐시부(130)에 적재할 수 있다.
단계들(420, 440 및 460)은 특정한 제1 주기마다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단계들(430, 460, 480)은 특정한 제2 주기마다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제1 주기 및 제2 주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2 주기가 제1 주기보다 더 길 수 있다.
단계(480)에서, 서버(1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485)에서, 서버(100)는 요청된 컨텐츠가 제1 캐시부(120) 또는 제2 캐시부(130)에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요청된 컨텐츠가 제1 캐시부(120) 또는 제2 캐시부(130)에 적재된 경우, 단계(490)에서, 서버(100)는 제1 캐시부(120) 또는 제2 캐시부(130)로부터 컨텐츠를 읽어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요청된 컨텐츠가 제1 캐시부(120) 또는 제2 캐시부(130)에 적재되지 않은 경우, 단계(495)에서, 서버(100)는 저장부(110)로부터 컨텐츠를 읽어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서버
110: 저장부
120: 제1 캐시부
130: 제2 캐시부
140: 컨텐츠 적재 관리부
150: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
160: 컨텐츠 랭킹 관리부
170: 질의어 정보 획득부

Claims (10)

  1.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제1 컨텐츠들을 캐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제2 컨텐츠들을 캐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및
    상기 제1 컨텐츠들 및 상기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컨텐츠 적재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특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상기 제1 컨텐츠들 및 상기 제2 컨텐츠들을 서로 상이한 기준으로 각각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버의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특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특성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요청될 횟수의 기대값이 높은 순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부의 컨텐츠들을 상기 제1 컨텐츠들로서 결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사용자들의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향상시키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소정의 횟수 이상 요청될 확률이 높은 순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부의 컨텐츠들을 상기 제2 컨텐츠들로서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내에서의 컨텐츠의 교체를 감소시켜 상기 서버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특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특성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의 속도를 포함하는, 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검색 엔진으로부터 사용자들이 검색을 요청한 질의어를 수신하는 질의어 정보 획득부; 및
    컨텐츠의 제목 또는 태그가 상기 질의어에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는지 여부,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후 경과한 시간 및 상기 컨텐츠가 특정한 시각에서부터 현재까지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컨텐츠 가중치 관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가중치가 높은 순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에서 일부의 컨텐츠들을 상기 제1 컨텐츠들로서 결정하는,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각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가 생성된 후 1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및 컨텐츠가 특정한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1일 당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평균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각 컨텐츠의 랭킹을 계산하는 컨텐츠 랭킹 관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랭킹이 높은 순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에서 일부의 컨텐츠들을 상기 제2 컨텐츠들로서 결정하는, 서버
  7.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적어도 하나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제2 컨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상기 제1 컨텐츠들을 적어도 하나의 램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가 상기 제2 컨텐츠들을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에 적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청의 특성,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특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상기 제1 컨텐츠들 및 상기 제2 컨텐츠들을 각각 서로 상이한 기준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버의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특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특성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요청될 횟수의 기대값이 높은 순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부의 컨텐츠들을 상기 제1 컨텐츠들로서 결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사용자들의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향상시키고,
    상기 컨텐츠 적재 관리부는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소정의 횟수 이상 요청될 확률이 높은 순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 중 일부의 컨텐츠들을 상기 제2 컨텐츠들로서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쓰기 접근에 대한 내구도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내에서의 컨텐츠의 교체를 감소시켜 상기 서버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컨텐츠 관리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의 특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특성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의 속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10. 삭제
KR1020110106927A 2011-10-19 2011-10-19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KR10135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927A KR101351648B1 (ko) 2011-10-19 2011-10-19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927A KR101351648B1 (ko) 2011-10-19 2011-10-19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821A KR20130042821A (ko) 2013-04-29
KR101351648B1 true KR101351648B1 (ko) 2014-01-15

Family

ID=4844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927A KR101351648B1 (ko) 2011-10-19 2011-10-19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19B1 (ko) 2017-12-27 2019-10-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프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복수 계층 캐싱 방법 및 복수 계층 캐싱 시스템
KR102489071B1 (ko) * 2018-03-07 2023-01-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한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225745B1 (ko) * 2018-11-09 2021-03-10 한국과학기술원 제한된 메모리 하에 확률적 콘텐츠 저장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288A (ko) * 2006-03-08 2008-12-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데이터 캐싱 방법, 캐싱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4197495B2 (ja) * 2002-02-14 2008-12-17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格納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格納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495B2 (ja) * 2002-02-14 2008-12-17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格納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格納制御方法
KR20080104288A (ko) * 2006-03-08 2008-12-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데이터 캐싱 방법, 캐싱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821A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883B1 (ko) 고속 저장 장치를 캐쉬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시스템
CN102760101B (zh) 一种基于ssd 的缓存管理方法及系统
JP2005322215A5 (ko)
US8572325B2 (en) Dynamic adjustment of read/write ratio of a disk cache
EP2539821B1 (en) Caching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of accesses to data storage devices
US10558395B2 (en) Memory system including a nonvolatile memory and a volatile memor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memory system
US6842824B2 (en) Cache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for performing cache processes utilizing cache blocks ranked according to their order of reuse
JP6402647B2 (ja) データ配置プログラム、データ配置装置およびデータ配置方法
US10922231B1 (en) Systems and methods that predictively read ahead different amounts of data for different content stored in a multi-client storage system
JP2017072982A (ja) 情報処理装置、キャッシュ制御方法およびキャッシュ制御プログラム
CN103390061A (zh) 以用户为中心且基于多级缓存的海洋时空数据访问方法
KR101351648B1 (ko) 사용자의 요청을 예측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JP6394231B2 (ja) データ配置制御プログラム、データ配置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配置制御方法
KR101940382B1 (ko) 페이지의 프리페칭 방법 및 장치
JP2017072981A (ja) 情報処理装置、キャッシュ制御方法およびキャッシュ制御プログラム
US107131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75694B1 (ko) 블록 인기도에 기반한 ssd의 블록 교체방법
CN116069752A (zh) 一种面向分布式文件系统的混合预取方法
CN111880739A (zh) 一种面向超融合设备的近数据处理系统
KR101704936B1 (ko) 블록의 우선성에 기반한 ssd의 블록 교체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저장 시스템
CN111880900A (zh) 一种面向超融合设备的近数据处理系统的设计方法
US20190227734A1 (en) Tracking information related to free space of containers
CN105740167B (zh) 一种文件系统缓存删除的方法及系统
JP3788121B2 (ja) キャッシュサーバ性能値算出方法及び装置及びキャッシュサーバ性能値算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19049856A (ja) ストレージ制御装置およびストレージ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