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977B1 -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food leftovers - Google Patents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food leftov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0977B1 KR101350977B1 KR1020130084890A KR20130084890A KR101350977B1 KR 101350977 B1 KR101350977 B1 KR 101350977B1 KR 1020130084890 A KR1020130084890 A KR 1020130084890A KR 20130084890 A KR20130084890 A KR 20130084890A KR 101350977 B1 KR101350977 B1 KR 101350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triking
- food waste
- sorting devic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4—Cleaning with be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찌꺼기를 원활하게 분쇄하면서도 상기 분쇄된 음식물찌꺼기와 협잡물을 각각의 종류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리배출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찌꺼기를 분쇄구간에서 1차적으로 분쇄하여 하부로 낙하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분쇄구간에서 넘어온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금속의 협잡물은 선별구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측방의 협잡물 배출구를 통해 2차적으로 선별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선별구간의 상부에 형성된 비닐 부상공간으로 부상하는 비닐을 흡입팬으로 강제 흡입하여 3차적으로 선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ood wast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orting and discharging the ground food waste and contaminants by each type while smoothly crushing the food was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is primarily pulverized in the grinding section to b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metal waste contained in the food dregs from the grinding section is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sorting section through the side of the waste discharge 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discharge, and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to the vinyl floating in the vinyl floating spac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rting section by forced suction with the suction fa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찌꺼기를 원활하게 분쇄하면서도 상기 분쇄된 음식물찌꺼기와 협잡물을 각각의 종류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리배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rushed food waste and contaminants by each type while smoothly crushing food waste.
음식물찌꺼기는 인간생활에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서,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국이나 찌개가 발달한 문화권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는 수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온에서 방치하면 부패해 버리게 된다.Food waste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Especially, food waste generated in a culture zone where soup or stew is developed, such as Korea,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so it will rot when left at room temperature.
상기의 음식물찌꺼기는 땅에 매립하여 처리하였으나, 매립할 경우 침출수가 발생하여 매립지의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퇴비나 비료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많다.The food waste was treated by landfilling, but when landfilling, leachate is generated and contaminates soil and groundwater of landfill,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waste of resources that can be recycled and used as compost or fertilizer.
이와 같은 음식물찌꺼기는 그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한 유기물만을 선별할 수만 있다면, 축산물의 사료나 농산물의 비료로서 훌륭히 활용할 수 있어 연간 엄청난 비용이 투입되는 값비싼 수입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효한 자원으로 재창출할 수 있음에도 최근까지도 마땅한 선별 및 분쇄장치를 갖추지 못하여 귀중한 자원이 그대로 사장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처해 있다.These food wastes can be used as a good source of livestock feed or agricultural fertilizers, as long as they can only screen organic mat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Although it is possible to do so, it does not have the proper sorting and crushing device until recently, and it is in the sad reality that precious resources are left intact.
또한, 종래의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찌꺼기를 잘게 분쇄하고, 탈수하는 정도의 기술에 머물러 있고,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되어 있는 뼈, 수저, 포크, 이쑤시개, 면장갑, 비닐, 플라스틱 및 병마개 등과 같은 각종 협잡물을 유효한 재활용 자원인 유기물과 제대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지 아니하여 축산물의 사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기껏해야 농산물의 퇴비 정도로 재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remains in the technology of finely crushing and dehydrating food waste, and various miscellaneous matters such as bones, cutlery, forks, toothpicks, cotton gloves, vinyl, plastics, and bottle caps contained in food wastes. It is not suitable for livestock feed as it is not suggested to properly separate organic matter, which is a valid recycling resource, and is recycled at most as compost of agricultural products.
이는, 유효한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찌꺼기를 동식물의 사료 및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지 못하여 폐기 처리되어야 하므로 방대한 양의 쓰레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is not only results in a waste of valid resources, leading to enormous economic losses, but also results in a significant amount of waste, since large amounts of waste are generated because food waste cannot be recycled into animal feed and fertilizers.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나마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특허등록 제441917호, 명칭/ 음식물찌거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이 제안되고 있다.As a prior art to solve some of these problems, "Patent Registration No. 444917, Name / Automatic Food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od Waste and Its Foreign Matter Selection Method"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비닐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분쇄된 음식물찌꺼기에 함께 섞여 있어 선별력이 매우 저하되고, 특히 토출구가 수직격벽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금속의 협잡물(젓가락 등)이 토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고 정체되며, 이 정체된 협잡물을 햄머가 타격함으로써 햄머 및 햄머를 고정하는 볼트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the prior art is that the vinyl is not properly separated and mixed together in the crushed food waste, so that the screening force is very low, in particular,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upper vertical partition wall, so that metal impurities (chopsticks, etc.) are not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t is stagnant without a problem, and the hammer hits the stagnant contaminants, causing a problem that frequently occurs that the hammer and the bolt fixing the hammer are broken.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타격판과 타공망이 완전한 고정상태로 내장 설치됨으로써 타격판과 타공망이 파손된 경우 이를 교체할 수 없어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blow plate and the perforated net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in a completely fixed state, when the blow plate and the perforated net are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maintenance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분쇄구간에서 1차적으로 분쇄하여 하부로 낙하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분쇄구간에서 넘어온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금속의 협잡물은 선별구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측방의 협잡물 배출구를 통해 2차적으로 선별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선별구간의 상부에 형성된 비닐 부상공간으로 부상하는 비닐을 흡입팬으로 강제 흡입하여 3차적으로 선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food waste is primarily crushed in the grinding section to drop and discharged to the bottom, the metal contained in the food dregs from the grinding section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sediment in the secondary through the side of the sewage discharge outlet while moving horizontally along the sorting section. Making it possible to discharge is a subject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 후면판에 장착된 타격유닛 및 스크린유닛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low unit and the screen unit mounted on the front, rear plate of the main body to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replaced.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양측에 투입구 및 비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햄머가 구비된 햄머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투입구와 인접하여 본체의 전, 후면판 상부에 각각 햄머축의 상부를 감싸는 한 쌍의 타격유닛을 내부로 삽입 설치하며, 상기 본체의 전, 후면판 하부 양측에는 각각 햄머축의 하부를 감싸는 한 쌍의 스크린유닛을 내부로 삽입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크린유닛의 일측에는 협잡물 배출구를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hammer shaft is provided rotat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mmers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inlet and the vinyl outlet on both sides of the upper, adjacent 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Insert a pair of striking unit inside the front, the upper part of the back of the hammer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and inserts a pair of screen units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hammer shaft,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screen unit is devised a technique for forming a contaminant discharge port.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찌꺼기를 1차 분쇄하여 배출함은 물론 상기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금속의 협잡물을 2차 선별하여 배출하고, 상기 음식물찌거기에 포함된 비닐을 외부로 강제 흡입하여 3차 선별 배출함으로써 음식물찌꺼기를 원활하게 분쇄하면서도 협잡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선별력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is first pulverized and discharged, as well as the second sorting and discharging of the contaminants of the metals contained in the food waste, and the vinyl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forcibly sucke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3rd sorting. This provide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creening power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taminants while smoothly crushing food waste.
아울러 금속의 협잡물이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분리 배출됨으로써 햄머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etal impurities are smoothly discharged without stagnat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ignificantly extending the life of the hammer.
또한, 음식물찌꺼기가 충돌하면서 분쇄되는 타격유닛과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선별 배출하는 스크린유닛을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use and maintenance convenienc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by the screen unit for screening and discharging the blow unit and the crushed food waste is crushed while food waste is collid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투입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분쇄구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타격유닛 및 스크리유닛의 분리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타격유닛의 종단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grinding and sorting device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grinding sec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itting unit and screen unit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tri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0), 햄머축(20), 타격유닛(30), 스크린유닛(40)(40a), 협잡물 배출구(5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Looking at the overall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chema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본 발명의 본체(10)는 분쇄된 음식물찌꺼기 및 금속(젓가락 등)의 협잡물이 외부로 낙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음식물찌꺼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 및 선별 분리한 비닐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비닐 배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비닐 배출구(12)에는 흡입팬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선별구간(71)에서 분리된 비닐을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양 측판(13)(13a)을 관통하여 햄머축(20)이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햄머축(2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햄머고정판(21)이 등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햄머고정판(21)의 사이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햄머(22)가 회전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side the
상기 투입구(11)와 인접하여 본체(10)의 전, 후면판(14)(15) 상부에는 각각 삽입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통공(16)을 관통하여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한 쌍의 타격유닛(30)이 햄머축(20)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호 마주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은 타격유닛(30)은 이격된 장착판(31)과 지지판(32)의 사이 양측에 각각 하단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된 연결판(33)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33)의 하단에는 원호상의 타격판(34)이 설치되며, 상기 장착판(31)의 상하 양측에는 각각 볼트공(35a)이 절개 형성된 고정브라켓(35)이 부착됨은 물론 중앙 양측에 한 쌍의 손잡이(36)가 부착된다.The
그리고 상기 전, 후면판(14)(15)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볼트(37)는 상기 볼트공(35a)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38)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타격유닛(30)은 본체(10)와 일체화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볼트(37)의 고정력을 해제한 후 도 5와 같이 상기 타격유닛(30)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 및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상기 타격판(34)은 연결판(33)의 하단에 직접 설치됨은 물론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판(33)의 저면에 부착된 타격판 고정대(39)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타격판(34)과 타격판 고정대(39)는 너트(39a)와 결합되는 체결볼트(39b)가 관통하여 일체로 조립되는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고, 이 경우 타격판(34)만을 단독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격판(34)의 저면에는 음식물찌꺼기가 충돌하면서 분쇄되는 다수의 충돌편(34a)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타격유닛(30)이 삽입되는 삽입통공(16)의 양측에는 도 2와 같이 한 쌍의 타격유닛 지지격벽(60)이 상기 전, 후면판(14)(15)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타격유닛 지지격벽(60)의 사이에 타격유닛(30)의 양측이 밀착된 상태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air of striking
나아가 상기 타격유닛 지지격벽(60)의 사이에는 중앙에 차단판(61)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차단판(61)의 양측에 각각 행거(62)가 부착되며, 상기 행거(62)는 지지판(32)에 형성된 행거홀(32a)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타격유닛(30)은 하부로 쳐지지 않고 더욱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
상기 본체(10)의 전, 후면판(14)(15) 하부 양측에는 각각 삽입통공(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통공(17)을 관통하여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한 쌍의 스크린유닛(40)(40a)이 햄머축(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호 마주하게 삽입 설치된다.The front and
이와 같은 스크린유닛(40)(40a)은 이격된 장착판(41)과 지지판(42)의 사이 양측에 각각 상단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된 연결판(43)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43)의 상단에는 원호상의 분쇄스크린(44)이 설치되며, 상기 장착판(41)의 상하 양측에는 각각 볼트공(45a)이 절개 형성된 고정브라켓(45)이 부착됨은 물론 중앙 양측에 한 쌍의 손잡이(46)가 부착된다.The screen unit 40 (40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전, 후면판(14)(15)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볼트(47)는 상기 볼트공(45a)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48)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크린유닛(40)(40a)은 본체(10)와 일체화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볼트(47)의 고정력을 해제한 후 도 5와 같이 상기 스크린유닛(40)(40a)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 및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상기 스크린유닛(40)(40a)이 삽입되는 삽입통공(17)의 양측에는 다수의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60b)(60c)이 상기 전, 후면판(14)(15)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60b)(60c)의 사이에 상기 스크린유닛(40)(40a)의 양측이 밀착된 상태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Here, a plurality of screen unit suppor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타격유닛(30)과 스크린유닛(40)의 사이에는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를 1차 분쇄하는 분쇄구간(70)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다른 스크린유닛(40a)의 상부에는 상기 분쇄구간(70)에서 넘어온 음식물쓰레기를 2차로 분쇄함과 동시에 금속의 협잡물 및 비닐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분리시키는 선별구간(71)을 형성하며, 상기 선별구간(71)의 상측에는 비닐이 상부로 부상하여 비닐 배출구(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 부상공간(72)이 조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또한, 상기 투입구(11)의 후방 후면판(15)에는 삽입통공(18)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통공(18)을 관통하여 도 3과 같이 햄머축(20)의 상부를 감싸도록 또 다른 타격유닛(30a)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타격유닛(30a)은 측판(13)과 후면판(15)의 내면에 부착된 타격유닛 지지격벽(60d)의 사이에 밀착상태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투입구(11)의 하부로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우선적으로 분쇄하는 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상기 분쇄구간(70)으로 이동하여 본격적인 분쇄가 이루어져 분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상기 비닐 부상공간(72)에는 한 쌍의 비닐 충돌판(73)이 이격된 상태로 상하에 각각 분리 설치됨으로써 상기 비닐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상기 비닐 부상공간(72)을 통과하는 비닐은 상기 비닐 충돌판(73)에 충돌하게 되고, 이와 같은 충돌과정에서 비닐에 달라붙은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털어주어 순수한 비닐만을 선별하여 외부로 분리 배출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더욱이 상기 비닐 부상공간(72)과 연통하도록 전, 후면판(14)(15)에는 각각 점검구(7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74)에는 분리가능한 점검창(75)이 추가로 막음 설치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점검창(75)을 분리한 후 본체(10)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front and
한편, 상기 스크린유닛(40a)과 측판(13)의 사이에는 선별구간(7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금속의 협잡물을 3차로 낙하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구(5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screen unit (40a) and the
이때 상기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 및 상기 협잡물 배출구(50)의 사이에는 도 2와 같이 협잡물 배출격판(80)이 상기 전, 후면판(14)(15)의 내면에 추가로 부착된다.At this time, between the screen
이러한 협잡물 배출격판(80)은 도 7과 같이 상부 중앙에 햄머축(20)을 감싸는 환형의 배출부(81)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81)는 햄머(22)가 하강 회전하는 쪽(도면상 왼쪽)의 일부분에 중앙으로 돌출된 확장돌부(82)가 형성되며, 상기 협잡물 배출격판(80)의 상측에 위치하는 햄머축(20)에는 상기 확장돌부(82)에 햄머(22)가 충돌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햄머(22)가 미설치되는 기술이 접목된다.Such a
따라서, 상기 협잡물 배출격판(80)과 인접한 햄머(22)의 하강 회전력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는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가벼운 비닐은 상기 확장돌부(82)에 막히면서 협잡물 배출구(50)로 배출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의 비닐 부상공간(72)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금속의 협잡물은 상기 배출부(81)를 원활하게 통과한 후 협잡물 배출구(50)로 유도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light vinyl contained in the food dregs pushed downward by the downward rotational force of the
그리고 상기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c)과 측판(13a)의 사이 및 상기 협잡물 배출격판(80)과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의 사이에는 각각 도 2 및 도 6과 같이 금속의 협잡물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대(90)가 상기 햄머축(20)의 하측을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금속의 협잡물은 확실하게 선별된 상태로 상기 협잡물 배출구(50)를 통해서만 오로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And between the screen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찌꺼기가 상기 분쇄구간(70)에서 햄머(22) 및 타격판(34)에 의해 1차로 분쇄된 후 분쇄스크린(44)을 통해 하부로 낙하 배출되고, 상기 분쇄구간(70)에서 넘어온 음식물쓰레기는 선별구간(71)에서 추가로 분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금속의 협잡물은 선별구간(7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측방의 협잡물 배출구(50)를 통해 2차적으로 선별 배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fter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상기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가벼운 비닐은 상기 선별구간(71)의 상부에 형성된 비닐 부상공간(72)으로 원활하게 부상되고, 흡입팬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어 3차적으로 확실하게 선별 배출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원활하게 분쇄하면서도 각종 협잡물을 종류별로 자동 선별하여 외부로 분리배출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ight vinyl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smoothly floated into the
10: 본체 11: 투입구
12: 비닐 배출구 13, 13a: 측판
14: 전면판 15: 후면판
16, 17, 18: 삽입통공 20: 햄머축
22: 햄머 30, 30a: 타격유닛
31, 41: 장착판 32, 42: 지지판
33, 43: 연결판 34: 타격판
35, 45: 고정브라켓 37, 47: 고정볼트
40, 40a: 스크린유닛 44: 분쇄스크린
50: 협잡물 배출구 60, 60a, 60b, 60c, 60d: 스크린유닛 지지격벽
62: 행거 70: 분쇄구간
71: 선별구간 72: 비닐 부상공간
73: 비닐 충돌판 80: 협잡물 배출격판
82: 확장돌부 90: 유출방지대10: main body 11: inlet
12:
14: Front panel 15: Rear panel
16, 17, 18: Insertion hole 20: Hammer shaft
22:
31, 41: mounting
33, 43: connecting plate 34: blow plate
35, 45: fixing
40, 40a: screen unit 44: grinding screen
50:
62: hanger 70: grinding section
71: screening section 72: vinyl floating space
73: vinyl impingement plate 80: contaminant discharge plate
82: expansion protrusion 90: spill prevention
Claims (11)
상기 본체(10)의 양 측판(13)(13a)을 관통하여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햄머고정판(21)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햄머(22)가 설치된 햄머축(20)과;
상기 투입구(11)와 인접하여 본체(10)의 전, 후면판(14)(15) 상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통공(16)을 관통하여 햄머축(20)의 상부를 감싸도록 마주하게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타격유닛(30)과;
상기 본체(10)의 전, 후면판(14)(15)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통공(17)을 관통하여 햄머축(20)의 하부를 감싸도록 마주하게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유닛(40)(40a)과;
상기 스크린유닛(40a)과 측판(13)의 사이에 형성된 협잡물 배출구(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A main body 10 having a lower opening and a vinyl outlet 12 connected to the inlet 11 and the suction fan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A plurality of hammers 22 are radially installed between the hammer fixing plates 21 penetrating both side plates 13 and 13a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y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hammer shaft 20;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11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hammer shaft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6 formed in the front, rear plate 14, 15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A pair of striking unit 30;
A pair of screen unit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mmer shaft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s 17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14 and 15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40) 40a;
Food wast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ontaminant discharge port 50 formed between the screen unit (40a) and the side plate (13).
타격유닛(30)이 삽입되는 삽입통공(16)의 양측에는 한 쌍의 타격유닛 지지격벽(60)이 상기 전, 후면판(14)(15)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타격유닛 지지격벽(60)의 사이에 타격유닛(30)이 밀착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16 into which the striking unit 30 is inserted, a pair of striking unit support bulkheads 60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14 and 15, and the striking unit support bulkheads ( Blowing unit 30, automatic grind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king unit 30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60.
투입구(11)의 후방 후면판(15)에는 삽입통공(18)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통공(18)을 관통하여 햄머축(20)의 상부를 감싸도록 타격유닛(30a)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타격유닛(30a)은 측판(13a)과 후면판(15)의 내면에 부착된 타격유닛 지지격벽(60d)의 사이에 밀착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sertion hole 18 is further formed in the rear rear plate 15 of the inlet 11, and the impact unit 30a is inserted and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hammer shaft 20 by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18. The hitting unit (30a) is the automatic food waste grind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side plate (13a) and the hitting unit support bulkhead (60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5) .
스크린유닛(40)(40a)이 삽입되는 삽입통공(17)의 양측에는 다수의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60b)(60c)이 상기 전, 후면판(14)(15)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60b)(60c)의 사이에 스크린유닛(40)(40a)이 밀착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17 into which the screen units 40 and 40a are inserted, a plurality of screen unit support bulkheads 60a, 60b and 60c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14 and 15. And, the screen unit 40 (40a)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screen unit support bulkheads (60a, 60b, 60c),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food waste grinding and sorting device.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과 상기 협잡물 배출구(50)의 사이에는 협잡물 배출격판(80)이 상기 전, 후면판(14)(15)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협잡물 배출격판(80)은 상부 중앙에 햄머축(20)을 감싸는 환형의 배출부(81)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81)는 햄머(22)가 하강하는 쪽의 일부분에 중앙으로 돌출된 확장돌부(82)가 형성되며, 상기 협잡물 배출격판(80)의 상측에 위치하는 햄머축(20)에는 국부적으로 햄머(22)가 미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Between the screen unit support bulkhead 60a and the contaminant discharge port 50, a contaminant discharge plate 8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14 and 15, and the contaminant discharge plate 80 is upper An annular discharge portion 81 is formed around the hammer shaft 20, and the discharge portion 81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rotrusion 82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t a portion of the downward side of the hammer 22. The hammer shaft (2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minant discharge plate 80, characterized in that the hammer 22 is not installed locally, automatic grinding and sorting device.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c)과 측판(13a)의 사이 및 상기 협잡물 배출격판(80)과 스크린유닛 지지격벽(60a)의 사이에는 각각 금속의 협잡물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대(90)가 햄머축(20)의 하측을 감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Outflow prevention member 90 which prevents the contaminants of the metal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screen unit support partition wall 60c and the side plate 13a and between the contaminant discharge partition plate 80 and the screen unit support partition wall 60a, respectively. The food wast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wrap the lower side of the hammer shaft (20).
타격유닛(30)은 장착판(31)과 지지판(32)의 사이 양측에 연결판(33)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33)의 하단에는 원호상의 타격판(34)이 설치되며, 상기 장착판(31)의 상하 양측에는 고정브라켓(35)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35)은 전, 후면판(14)(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볼트(37)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볼트(37)에 나사결합되는 너트(38)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iking unit 3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31 and the support plate 32, the connecting plate 33 is integrally connecte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33 is an arc-shaped blow plate 34 is installed Fixing brackets 35 are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unting plate 31, while the fixing brackets 35 penetrate the fixing bolts 37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plates 14 and 15. Food wast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fixed by a nut (38) screwed to the fixing bolt 37 in a state.
타격판(34)은 상기 연결판(33)의 저면에 부착된 타격판 고정대(39)에 밀착되고, 상기 타격판(34)과 타격판 고정대(39)는 너트(39a)와 결합되는 체결볼트(39b)가 관통하여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타격판(34)의 저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충돌편(34a)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iking plate 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iking plate holder 39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33, and the striking plate 34 and the striking plate holder 39 are coupled to the nut 39a (39b) is integrally assembled to penetrate, the food wast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llision pieces (34a)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striking plate (34).
스크린유닛(40)(40a)은 장착판(41)과 지지판(42)의 사이 양측에 연결판(43)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43)의 상단에는 원호상의 분쇄스크린(44)이 설치되며, 상기 장착판(41)의 상하 양측에는 고정브라켓(45)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45)은 전, 후면판(14)(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볼트(47)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볼트(47)에 나사결합되는 너트(48)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unit 40 (40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43 integrally between the mounting plate 41 and the support plate 42 between both sides,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43, circular arc-shaped grinding screen 44 The fixing bracket 45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unting plate 41, while the fixing bracket 45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plates 14 and 15 so as to be rotatable. Automatic food grind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fixed by a nut 48 is screwed to the fixing bolt 47 in a penetrated state.
타격유닛(30)과 상기 스크린유닛(40)의 사이에는 분쇄구간(70)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스크린유닛(40a)의 상부에는 선별구간(71)이 형성되며, 상기 선별구간(71)의 상측에는 비닐 부상공간(72)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grinding section 70 is formed between the striking unit 30 and the screen unit 40, and a sorting section 71 is formed on the other screen unit 40a. Food waste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nyl floating space 7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비닐 부상공간(72)에는 한 쌍의 비닐 충돌판(73)이 이격된 상태로 상하에 각각 분리 설치되고, 상기 비닐 충돌판(73)은 충돌하는 비닐에 달라붙은 음식물을 털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The method of claim 10,
A pair of vinyl collision plates 73 are separated and installed in the vinyl floating space 72 in the spaced apart state, respectively, and the vinyl collision plates 73 shake off the food stuck to the colliding vinyl. Automatic food grinding and sor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890A KR101350977B1 (en) | 2013-07-18 | 2013-07-18 |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food leftov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890A KR101350977B1 (en) | 2013-07-18 | 2013-07-18 |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food leftov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0977B1 true KR101350977B1 (en) | 2014-01-22 |
Family
ID=5014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4890A Active KR101350977B1 (en) | 2013-07-18 | 2013-07-18 |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food leftov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097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6696B1 (en) * | 2014-12-30 | 2017-06-20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Film-glass separating device from wasted glass |
KR101910464B1 (en) * | 2017-05-10 | 2018-10-24 |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 food waste crushing apparatus for removing vinyls in food waste |
KR101910463B1 (en) * | 2017-05-10 | 2018-10-24 |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 food waste crushing method for removing vinyls in food waste |
KR101914638B1 (en) * | 2018-02-14 | 2018-11-06 | (주)지호산업 | Crushing Separator for Food Wast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0411A (en) * | 1996-12-20 | 1998-09-15 | 김광호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is operation control method |
KR20060005980A (en) * | 2005-10-24 | 2006-01-18 | 강이석 | Food waste decomposition processing device using microorganism |
-
2013
- 2013-07-18 KR KR1020130084890A patent/KR1013509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0411A (en) * | 1996-12-20 | 1998-09-15 | 김광호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is operation control method |
KR20060005980A (en) * | 2005-10-24 | 2006-01-18 | 강이석 | Food waste decomposition processing device using microorganis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6696B1 (en) * | 2014-12-30 | 2017-06-20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Film-glass separating device from wasted glass |
KR101910464B1 (en) * | 2017-05-10 | 2018-10-24 |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 food waste crushing apparatus for removing vinyls in food waste |
KR101910463B1 (en) * | 2017-05-10 | 2018-10-24 |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 food waste crushing method for removing vinyls in food waste |
KR101914638B1 (en) * | 2018-02-14 | 2018-11-06 | (주)지호산업 | Crushing Separator for Food Was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0977B1 (en) |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food leftovers | |
KR100918711B1 (en) | Food Waste Crushers | |
DE4300784C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mminuting devices to be disposed of, which have hard foam or hard plastics | |
KR100918710B1 (en) | Food waste sorting and shredding device | |
KR101805768B1 (en) | Liquid type washing, crushing and sorting system of contamination soil | |
KR102182215B1 (en) | Washing device of crushing waste plastic | |
US8167138B2 (en) | Dry washing device | |
KR101320976B1 (en) | Apparatus for sorting alien substance and crushingfood waste | |
CN103418601B (en) | Integrated device for sorting, smashing and screening kitchen waste | |
US6398138B1 (en) | Method of extracting nylon fiber from a comminuter | |
KR20140134829A (en) | Combustible foreign matter dry blow screening device | |
CN108723065A (en) | A kind of method for separating of house refuse | |
KR101173286B1 (en) | A sorting and collection device for fine aggregate | |
KR20170132524A (en) | Drum type apparatus for crushing and sorting of contamination soil | |
KR102259772B1 (en) | Trommel screen | |
KR20110053644A (en) | Disposer | |
KR101325543B1 (en) | Waste vinyl washing device | |
KR101567328B1 (en) | Waste treatment system | |
KR101883666B1 (en) | Rotary crushing device | |
KR101364135B1 (en) | Cement mortar peeling off system for recycled aggregate | |
KR100366222B1 (en) | Rotating Drum System Equiped with Knife for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Wastes | |
CN210874325U (en) | Oil-water separation device and kitchen garbage treatment equipment with same | |
CN206033581U (en) | Building rubbish recycle production line | |
CN211514755U (en) | Integrated garbage sorting machine | |
CN117085808B (en) | Large garbage recycling treatment proc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