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727B1 -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727B1
KR101349727B1 KR1020120012465A KR20120012465A KR101349727B1 KR 101349727 B1 KR101349727 B1 KR 101349727B1 KR 1020120012465 A KR1020120012465 A KR 1020120012465A KR 20120012465 A KR20120012465 A KR 20120012465A KR 101349727 B1 KR101349727 B1 KR 10134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wireless device
demasking
station
cyclic redund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860A (ko
Inventor
짜이 쭝-위
지엔 춘-처
린 이-팅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12009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장치는 수신부와 프로세싱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영역과 순환중복검사 영역을 포함한 패킷을 수신한다.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순환중복검사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서 복수의 기설정된 비트들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디마스킹하여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 중복검사를 통과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패킷을 받아들인다.

Description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WIRE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DE-MASKING A PACKET}
본 발명은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속하고, 순환중복검사에 기초하여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 기술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계속하여 발전해왔다.
무선장치들과 베이스 스테이션들은 혼선과 불명료함을 일으키지 않고 서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 아이디어이다. 즉, 무선장치/베이스스테이션은 패킷이 그 장치로 지정(designated)된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그러나 무선장치들과 베이스 스테이션의 수가 늘어나면서, 패킷이 어느 특정 무선장치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더 이상 기능적이지(functional) 않게 될 것이다. 기존 방법들의 단점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은 혼선(confusion) 및 불명료함(ambiguity)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장치들/베이스 스테이션들의 수에 대한 제한을 둔다.
많은 무선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네트워크 시스템의 성장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무선 장치들/베이스 스테이션들의 혼란과 불명료함을 일으킴 없이 그들의 패킷들을 식별하기 위한 매커니즘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성장을 위해 조속히 필요하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장치 및 상기 무선장치의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선장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속하고, 수신부 및 프로세싱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은 데이터 영역과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이하 CRC)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세싱부는 전기적으로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고, CRC영역과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를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들에 의해 디마스킹함으로써 디마스킹 패킷(de-masked packet)을 생성한다. 상기 프로세싱부는, 또한,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을 받아들이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a)무선장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영역과 CRC영역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b)무선장치에서, CRC영역과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를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들에 의해 디마스킹하여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c) 무선장치에서,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d) 무선장치에서, 상기 패킷을 받아들이는 단계; 및 (e) 무선장치에서, 상기 패킷을 드롭(drop)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은 CRC영역의 비트들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비트들에 의해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를 마스킹(masking) 및 디마스킹(de-masking)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킹 및 디마스킹은 CRC영역의 비트들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시스템은 선행기술들에 비해 더 많은 무선장치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및 기능블럭도이다.
도 2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및 기능블럭도이다.
네트워크 시스템(1)은 무선 장치(10) 및 베이스 스테이션(20)을 포함한다. 무선장치(10)는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 M2M)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패킷(P)는 데이터 영역(P1)과 순환중복검사 영역(Cyclic Redundancy Check; 이하 CRC) 영역(P2)를 포함한다. 베이스 스테이션(20)이 무선장치(10)와 통신하고자 할 때, 베이스 스테이션(20)은 패킷(P)를 만들어(create) 상기 무선장치(10)로 전송한다.
무선장치(10)는 수신부(receiving unit,12)와 프로세싱부(processing unit, 14)를 포함한다. 수신부(12)와 프로세싱부(14)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수신부(12)는 베이스 스테이션(20)으로부터 전송된 패킷(P)를 수신한다. 프로세싱부(14)는 CRC영역(P2)와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its)에 의해 데이터영역(P1)에서 선택된 비트(selected bit; SB)를 디마스킹(de-masking)하여 디마스킹 패킷(de-masked packet)을 생성한다.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들은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 유일한 것으로, 베이스 스테이션(20)과 무선장치(10) 모두가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들이 상기 무선장치(10)에 지정(designated)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프로세싱부(14)는 또한 디마스킹 패킷이 CRC 다항식(CRC polynomial)을 통해 이루어지는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당업자들에게 CRC 방정식에 의한 순환중복검사를 어떻게 수행하는지는 자명하므로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패킷(P)는 상기 무선장치(10)를 위한 것이 아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14)는 상기 패킷(P)을 드롭(drop)한다. 반대로,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할 경우, 상기 패킷(P)는 상기 무선장치(10)를 위한 것이어서, 상기 프로세싱부(14)는 상기 패킷(P)을 받아들인다(accept).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비트(SB)가 놓이는(placing), 데이터 영역(P1)에서 선택된 위치는 선택절차(selection procedure)에 기초하여 신중히 선택(choose)된다. 선택절차에서, 선택된 위치에서 선택된 비트(SB)는 0 또는 1일 수 있다. 다른 위치들에서 상기 비트는 0으로 설정(set)된다. 그래서 하나의 선택된 위치가 주어지면, 2개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bit stream)이 있다. 즉, 2개의 리던던시(redundancy)들은 상기 선택절차에서 가능한 비트 스트림 각각에 CRC 다항식을 적용해서 얻어진다. 상기 얻어진 리던던시(redundancy)들은 제1 벡터 스페이스(vector space)를 형성한다. 상기 선택 절차에서, 제2 벡터 스페이스는 또한, CRC영역에서 모든 가능한 비트 스트림에 CRC 다항식(polynomial)을 각각 적용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리던던시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벡터 스페이스와 상기 제2 벡터 스페이스가 오버랩(overlap)되지 않으면,데이터 영역(P1)에서 상기 선택된 위치의 상기 선택된 비트(SB)는 마스킹(베이스 스페이션(20)의 관점에서)에 사용될 수 있고, 디마스킹(무선장치(10)의 관점에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CRC영역(P2)은 STID 마스크 필드(P22, STID-masked field)로 정의되고, 상기 STID 마스크 필드(P22)는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시스템(1)이 IEEE 802.16p 표준에 따를 경우, 패킷(P)의 길이는 56비트이고, 데이터 영역(P1)은 40비트, CRC영역(P2)은 16비트이며, STID 마스크 필드(P22)는 CRC영역(P2)에서 적어도 12개의 유효 비트(12 least significant bits)이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10)는 스테이션 ID(STID)와 확장 스테이션ID(ESTID)를 갖는다. STID가 12비트, ESTID는 1비트이면, 식별자의 총 길이는 13비트이다. 이는 213 개의 무선장치가 네트워크 시스템(1)에 불명료함(ambiguity)을 일으키지 않고 대부분 수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싱부(14)는 무선장치(10)의 STID에 의해 STID 마스크 필드(P22)에서 비트들을 디마스크(de-mask)하고, ESTID에 의해 데이터영역(P1)에서 선택된 비트(SB)를 디마스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CRC영역(P2)는 STID 마스크 필드(P22, STID-masked field)와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P21, non-STID-masked field)로 정의된다. 또한, STID 마스크 필드(P22)는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나,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P21)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시스템(1)이 IEEE 802.16p 표준을 따를 때, STID 마스크 필드(P22)는 12 비트를 포함하고,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P21)는 4비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선택된 비트 SB1과 SB2가 있다. 선택된 비트 SB1은 데이터 영역(P1)에 위치하고, 선택된 비트 SB2는 CRC영역(P2) 내 STID로 마스크 되지 않은 필드(P21)에 위치한다.무선 장치(10)는 STID와 ESTID를 포함하는 식별자(identify)를 갖는다. 프로세싱부(14)는 무선장치(10)의 STID로 STID 마스크 필드(P22) 내 비트들을 디마스킹한다. 프로세싱부(14)는 무선장치(10)의 ESTID로 데이터 영역(P1) 내 및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P21) 내에서 선택된 비트(SB1과 SB2)를 각각 마스킹한다. 14비트(두 개의 선택된 비트들(SB1과 SB2) 및 STID 마스크 필드(P22)로부터의 12비트)는 마스킹 및 디마스킹에 사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시스템(1)은 214개의 무선 장치를 대부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선택된 비트(SB1 및 SB2)들을 놓기(place) 위한 선택된 영역(selected portion)은 선택절차(selection procedure)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선택절차에서, 각 선택된 비트(SB1,SB2)는 0 또는 1일 수 있고, 나머지 위치의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된다. 그래서 두 개의 선택된 위치가 주어지면, 22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이 있다. 즉, 22 리던던시(redundancy)는 선택절차에서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CRC다항식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1 벡터 스페이스(first vector space) 및 제2 벡터 스페이스(second vector space)가 오버랩(overlap)되지 않는다면, 상기 두 개의 선택된 비트 SB1 및 SB2는 데이터 영역(P1)과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P21)에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벡터 스페이스는 부분적으로 제2 벡터 스페이스와 오버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두 선택된 비트들 SB1 및 SB2는 여전히 추가적인 검사(check)에 사용될 수 있으나 추가적으로 또다른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프로세싱부(14)는 또한, 패킷(P)이 상기 또다른 검사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패킷(P)이 상기 검사를 통과하면, 이는 상기 패킷(P)이 무선장치(10)을 위한 것임을 의미하므로, 프로세싱부(14)는 상기 패킷(P)를 받아들인다(accept). 반대로, 패킷(P)이 상기 검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이는 상기 패킷(P)이 무선장치(10)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의미하므로, 프로세싱부(14)는 상기 패킷(P)를 버린다(discard).
상기 또다른 체크는 패킷(P)의 길이 또는 타입 필드(type field)의 내용(content)에 따라 수행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영역(P1)은 또한, 패킷(P)의 속성(예를 들어, 유니캐스트(unicast)인지 멀티캐스트(multicast)인지)을 나타내는 4비트 타입 필드(P11)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킷(P)의 속성이 유니캐스트이면, 4비트 타입 필드(P11)의 내용은 0000 ~ 0100의 범위를 가지고, 패킷의 길이는 23비트가 된다. 패킷(P)의 속성이 멀티캐스트이면, 4비트 타입 필드(P11)의 내용은 0101 ~ 1000의 범위를 가지고, 패킷의 길이는 21비트가 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20)과 무선장치(10)는 CRC 영역의 비트들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비트들에 의해 데이터 영역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트에 대한 마스킹 및 디마스킹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CRC영역의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P21) 내 비트들과 같은 추가 비트들(additional bits) 또한 마스킹 및 디마스킹에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검사(another check)가 디마스킹 과정 후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마스킹 및 디마스킹은 CRC영역의 비트들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시스템(1)은 이전 기술에 비해 더 많은 무선 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무선장치(10)들과 같은, 무선장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먼저 무선장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S110). 상기 패킷은 데이터 영역과 CRC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장치에서, CRC영역과 복수의 기설정된 비트들에 의해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비트를 디마스킹함으로써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한다(S120). 그리고, 무선장치에서,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 중복 검사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30). 만약 상기 결정 결과가 예스(yes)이면, 무선장치는 패킷을 받아들인다(S140). 그러나 상기 결정 결과가 노(no)이면, 무선장치는 패킷을 드롭한다(S150).
무선장치가 수신하는 패킷은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만들어지고(create) 전송(transmit)된다. 가급적, 선택된 비트를 놓기 위한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위치는 선택절차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선택절차에서, 선택된 위치(selected position)에서의 선택된 비트(selected bit)는 0 또는 1일 수 있고, 나머지 위치에서의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된다. 그래서, 하나의 선택된 영역이 주어지면 두 개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이 있다. 즉, 2개의 리던던시(redundancy)는 선택절차에서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CRC다항식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얻어진 리던던시들은 제1 벡터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선택절차에서, 제2 벡터 스페이스는 또한 CRC영역 내 모든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CRC 다항식을 적용한 복수의 리던던시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벡터 스페이스와 제2 벡터 스페이스가 오버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S210,S230,,S240,S250 단계는 도 5의 S110, S130,S140,S150 단계와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실시예가 도 5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무선장치가 수신하는 패킷의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패킷의 CRC영역은 복수의 비트를 포함한 STID 마스크 필드로 정의된다. 또한 무선 장치는 STID와 ESTID를 포함한 식별자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S220단계는 S210 단계 이후 및 S230단계 이전에 실행된다. S220 단계에서, 무선장치는 CRC영역의 STID 마스크 필드 내 비트들을 무선장치의 STID로 디마스킹하고, 데이터 영역의 선택된 비트를 무선장치의 ESTID로 디마스킹함으로써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장치는 STID와 ESTID를 포함한 식별자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CRC영역은 STID 마스크 필드(STID-masked field)와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non-STID-masked field)로 정의된다. STID 마스크 필드는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CRC영역의 STID 마스크 필드의 비트들에 더하여, 데이터 영역의 첫번째 선택된 비트 및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 내 두번째 선택된 비트는 마스킹 및 디마스킹을 위해 각각 선택된다.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방법은 무선장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고,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장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S310). 다음으로, 무선장치에서, STID 마스크 필드의 비트들을 무선장치의 STID로 디마스킹하고, 데이터 영역의 첫번째 선택된 비트와 ST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의 두번째 선택된 비트를 무선장치의 ESTID로 디마스킹하여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한다(S320). 무선장치에서,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과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330).
상기 첫번째 선택된 비트와 상기 두번째 선택된 비트의 선택된 위치는 선택절차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선택절차에서 첫번째 선택된 비트와 두번째 선택된 비트 각각은 0 또는 1이 될 수 있고, 나머지 위치의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래서, 두 개의 선택된 위치가 주어지면 22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이 있다. 즉, 22 리던던시(redundancy)는 선택절차에서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CRC다항식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얻어진 리던던시들은 제1 벡터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선택절차에서, 제2 벡터 스페이스는 또한 CRC영역 내 모든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CRC 다항식을 적용한 복수의 리던던시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벡터 스페이스와 제2 벡터 스페이스가 오버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서, 제1 벡터 스페이스는 부분적으로 제2 벡터 스페미스와 오버랩되고, 패킷의 또다른 검사(another check)가 필요하다. 상기 또다른 검사 절차는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한다. 특히, 본실시예의 데이터 영역은 상기 패킷의 시작부분(beginning)에 타입 필드(type field)를 더 포함한다. 타입 필드는 상기 패킷의 속성(attribution)이 유니캐스트(unicast)인지 멀티캐스트(multi-cast)인지를 나타낸다. 타입 필드는 4비트로, 상기 패킷의 속성이 유니캐스트이면 0000 내지 0100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패킷은 23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패킷의 속성이 멀티캐스트이면 4비트 타입 필드는 0101 내지 1000 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패킷은 21비트의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S330단계의 결정 결과가 “노”(no)이면, 무선장치에서, 상기 패킷을 드롭(drop)한다(S350). 반면, S330단계의 결정 결과가 “예스”(Yes)이면, 무선장치에서, 또다른 검사를 수행한다(S340). S340단계의 상기 또다른 검사는 무선장치에서, 디마스킹 패킷이 그 길이 및/또는 타입 필드의 내용에 따라 또다른 검사를 통과하는지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결정 결과가 “예스(yes)”이면, 무선장치는 상기 패킷을 받아들인다(accept)(S360). 상기 결정 결과가 “노(no)”이면, 무선장치는 상기 패킷을 드롭(drop)한다(S3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방법은 CRC영역의 비트들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비트들에 의해 데이터 영역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트들까지 패킷을 디마스킹할 수 있다. 게다가 CRC영역의 STID로 마스킹되지 않은 필드 내 비트들과 같은 추가적인 비트들 또한 디마스킹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또다른 검사(another check)가 상기 디마스킹 절차 후에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마스킹 방법이 CRC영역의 비트들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전보다 더 많은 무선 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네트워크 시스템
10 : 무선 장치 12 : 수신부
14 : 프로세싱부
20 : 베이스 스테이션
P : 패킷
P1 : 데이터 영역 P2 : CRC 영역

Claims (10)

  1.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과 무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상기 무선장치에 사용되는 패킷(packet)을 디마스킹(de-mask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에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영역(data portion)과 순환중복검사 영역(cyclic redundancy check portion)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장치에서, 상기 순환중복검사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를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에 의해 디마스킹함으로써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장치에서,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상기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장치에서, 상기 패킷을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가 놓이기 위해 복수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위치를 갖고,
    제1 벡터 스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 각각에 순환중복검사 다항식을 적용한 복수의 리던던시들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벡터 스페이스는 상기 순환중복검사 영역 내 모든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상기 순환중복검사 다항식을 적용한 복수의 리던던시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벡터 스페이스와 상기 제2 벡터 스페이스는 오버랩되지 않는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중복검사 영역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로 정의되고,
    상기 무선 장치의 스테이션 ID로 상기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 내 상기 비트들을 디마스킹하고, 상기 무선장치의 확장 스테이션 ID로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디마스킹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중복검사 영역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한 스테이션 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로 정의되고,
    상기 무선 장치의 스테이션 ID로 상기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 내 상기 비트들을 디마스킹하고, 상기 무선장치의 확장 스테이션 ID로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스테이션 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디마스킹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타입 필드(type fie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마스킹하는 방법은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와 상기 받아들이는 단계 이전에
    상기 패킷이 상기 패킷의 길이와 상기 타입 필드의 내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되는 또다른 검사(another check)를 통과하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마스킹하는 방법.
  5. 삭제
  6.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 상기 무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영역과 순환중복검사 영역을 포함한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순환중복검사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를 기설정된 복수의 비트에 의해 디마스킹함으로써 디마스킹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디마스킹 패킷이 상기 순환중복검사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패킷을 받아들이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비트가 놓이기 위해 복수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위치를 갖고,
    제1 벡터 스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가능한 비트 스트림(possible bit stream) 각각에 순환중복검사 다항식을 적용한 복수의 리던던시(redundancy)들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벡터 스페이스는 상기 순환중복검사 영역 내 모든 가능한 비트 스트림들 각각에 상기 순환중복검사 다항식을 적용한 복수의 리던던시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벡터 스페이스와 상기 제2 벡터 스페이스는 오버랩되지 않는 무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중복검사 영역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로 정의되고,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무선 장치의 스테이션 ID로 상기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 내 상기 비트들을 디마스킹하고, 상기 무선장치의 확장 스테이션 ID로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중복검사 영역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한 스테이션 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로 정의되고,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무선 장치의 스테이션 ID로 상기 스테이션 ID 마스크 필드 내 상기 비트들을 디마스킹하고, 상기 무선장치의 확장 스테이션 ID로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스테이션 ID로 마스크되지 않은 필드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타입 필드(type fie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패킷이 상기 패킷의 길이와 상기 타입 필드의 내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되는 또다른 검사를 통과하는지 결정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무선장치.
  10. 삭제
KR1020120012465A 2011-02-08 2012-02-07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 KR101349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0406P 2011-02-08 2011-02-08
US61/440,406 2011-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60A KR20120090860A (ko) 2012-08-17
KR101349727B1 true KR101349727B1 (ko) 2014-01-10

Family

ID=4556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65A KR101349727B1 (ko) 2011-02-08 2012-02-07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3563B2 (ko)
EP (1) EP2485421A3 (ko)
KR (1) KR101349727B1 (ko)
CN (1) CN102638329B (ko)
TW (1) TWI474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0034B1 (fr) * 2012-04-25 2014-04-25 Inside Secure Procede de controle de redondance cyclique protege contre une attaque par canal auxiliai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486A (ko) * 2005-08-31 2008-03-3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E-agch 전송을 디코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77023A (ko) * 2006-10-30 2009-07-1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고속 공유 제어 채널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86920A (ko) * 2009-01-23 2010-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9755B2 (en) * 2005-03-31 2011-02-15 Qualcomm Incorporated HSDPA system with reduced inter-user interference
SG166122A1 (en) * 2006-10-03 2010-11-29 Qualcomm Inc Random access signaling transmission for syste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JP2008252889A (ja) * 2007-03-21 2008-10-16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ランダムアクセスプロセス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8218500B2 (en) * 2007-04-30 2012-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synchronization method for hard handovers in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486A (ko) * 2005-08-31 2008-03-3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E-agch 전송을 디코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77023A (ko) * 2006-10-30 2009-07-1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고속 공유 제어 채널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83433A (ko) * 2006-10-30 2009-08-0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고속 공유 제어 채널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86920A (ko) * 2009-01-23 2010-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4680B (zh) 2015-02-21
US20120204085A1 (en) 2012-08-09
US8793563B2 (en) 2014-07-29
EP2485421A2 (en) 2012-08-08
KR20120090860A (ko) 2012-08-17
CN102638329A (zh) 2012-08-15
EP2485421A3 (en) 2013-09-04
CN102638329B (zh) 2015-05-20
TW201234811A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032B2 (en) Signal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s, device, network-side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888236B (zh) 一种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91133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04270744B (zh) 无线网络的快速配置系统及方法
Darehshoorzadeh et al. Modeling and comparison of candidate selection algorithms in opportunistic routing
CN112636871A (zh) 网络节点、用户设备及其方法
CN109218995A (zh) 通信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Zha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opportunistic routing protocols: a framework-based approach using OMNeT++
Ma et al.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general two-dimensional broadcast wireless network
KR101349727B1 (ko) 패킷을 디마스킹하는 무선장치 및 그 방법
CN106953849A (zh) 一种基于IPv6地址的数据报文匹配方法及装置
JP2017535185A5 (ko)
EP4072056A1 (en) Dynamic search space set linking
El Miloud et al. THE IMPROVEMENT OF END TO END DELAYS IN NETWORK MANAGEMENT SYSTEMUSING NETWORKCODING
Tariq et al. Evaluation of a sensor network node communication using formal verification
Sorathiya et al. Algorithm to detect and recover wormhole attack in MANETs
Tian et al. Design of massive unsourced random access over Rician channels
Shang et al. Throughput-delay analysis of one-to-many wireless multi-hop flows based on random linear network coding
Gorrieri et al. DiSIF: A distance-based silencing technique for multi-hop broadcast communications in pedestrian ad-hoc networks
Ruxanayasmin et al. Minimization of power consumption in mobile adhoc networks
Zhao et al. Accelerating Interference-based QoS Analysis of Vehicular Ad Hoc Networks for BSM Safety Applications: Parallel Numerical Solutions and Simulations.
EP3549369B1 (en) Recipient identification for fifth generation communication
Xie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network coding with virtual overhearing in wireless networks
EP3850891B1 (en) Detecting critical links in bluetooth mesh networks
Jesudurai et al. An Effective Data Communication Using IEEE 802.15. 4 For Wireless Senso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