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406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406B1
KR101349406B1 KR1020120051540A KR20120051540A KR101349406B1 KR 101349406 B1 KR101349406 B1 KR 101349406B1 KR 1020120051540 A KR1020120051540 A KR 1020120051540A KR 20120051540 A KR20120051540 A KR 20120051540A KR 101349406 B1 KR101349406 B1 KR 10134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wer saving
saving mode
detec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777A (ko
Inventor
우정우
김준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406B1/ko
Priority to US13/835,578 priority patent/US9710046B2/en
Publication of KR2013012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DISPLAY APPARATUS AND POWER SAVING METHOD}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한다)와 디스플레이장치(TV, 모니터 등), VCR, DVD 등의 전자제품의 보급이 대중화되어 있는데,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실, 학교 등 그 사용범위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야간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다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끄지않은 상태에서 수면에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입력에 의해 전원이 꺼지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장시간 디스플레이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가격이 비싼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든지 파워 등의 라이프 타임을 줄이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전력 소모가 많은 디스플레이장치일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종래의 방법이 절전 방법이다.
종래의 자동 온(on)/오프(off) 기능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시간 설정 기능에 의해 온 시간과 오프 시간을 설정하면, 내부 마이컴에서 온 시간 또는 오프 시간이 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온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오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전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 시청중 사용자의 수면이나 출타, 이동 등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설정한 오프 시간이 되어야만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어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야간에 사용자가 현재시간으로부터 30분 후에 전원이 꺼지도록 오프 시간을 설정하였다고 가정을 한 상태에서 그 오프 시간 설정 이후 5분 만에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들어간 경우에도 나머지 시간, 즉 25분을 더 동작한 후 꺼지므로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현재시간으로부터 30분 후에 전원이 꺼지도록 오프 시간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도중에 디스플레이장치를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는 설정 시간이 될 때까지 동작을 한 후 자동으로 오프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한편, 사용자가 전원 자동 오프 시간을 설정한 후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다가 수면 상태에 들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되어 디스플레이장치가 자동으로 꺼지면 사용자는 다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켜고, 전원 자동 오프 시간을 다시 설정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 경우에도 시간 개념에 의한 전원 온/오프 방식은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눈 상태를 토대로 수면 여부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토대로 수면 여부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인체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사용자의 존재 유무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상기 전원 관리부를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기반의 사용자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웠을 경우, 음성의 출력은 유지한 상태에서 영상의 출력만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다시 돌아올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재개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 없이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존재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단속하여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은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튜너(105), 복조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 비디오 출력부(125), 오디오 출력부(130), 저장부(135),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전원 관리부(145), 카메라(150), 사용자 인식부(155)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튜너(10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05)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05)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6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05)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0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10)는 튜너(10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0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0)는 8-VSB(7-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0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1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1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비디오 출력부(125)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30)로 음성을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5)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5)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접속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비디오 출력부(125)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비디오 출력부(125)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5)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5)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저장부(135)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35)가 제어부(16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5)는 제어부(16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 키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45)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전원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145)는 절전 모드 진입 시,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특정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관리부(145)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입력된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상기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한다.
즉, 전원 관리부(145)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절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절전 기능을 수행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관리한다.
카메라(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150)만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카메라(15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 후면 영상을 각각 촬영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식부(155)는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인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부(155)는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155)는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인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155)는 상기 사용자 얼굴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얼굴의 특징을 토대로 눈 상태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부(155)는 상기 인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 감지되지 않으면, 복수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다.
이때, 사용자 인식부(155)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상태 분석(인체 감지, 얼굴 검출, 눈 상태 인식, 행동 패턴 분석)을 위하여 이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된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155)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 환경 변화나 사용자의 독특한 행동 패턴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된 학습 정보를 이용한 지속적인 학습 과정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인식 결과에 따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학습 정보를 갱신한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튜너(10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05)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비디오 출력부(125) 또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비디오 출력부(125) 또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비디오 출력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05)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5)에 저장된 영상을 비디오 출력부(125)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출력부(125)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식부(15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관리부(145)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15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다면, 상기 전원 관리부(145)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의 진입, 다시 말해서 특정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15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전원 관리부(145)를 제어하여, 절전모드의 해제 또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면, 상기 존재하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관리부(145)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얼굴 인식에 따른 눈 상태가 파악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파악한 눈 상태가 눈 감김 상태, 다시 말해서 수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복수의 촬영 영상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분석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수면 상태에 대응하는 패턴인 경우(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눈 상태가 눈 뜸 상태이거나, 상기 행동 패턴이 깨어있는 상태의 패턴이면, 절전 모드의 해제 또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어부(160)는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제 1 조건(사용자 무, 또는 수면 상태)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조건이 제 1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 1 시간은 사용자의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초, 1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상기 제 1 조건이 제 1 시간 동안 감지되면, 제 1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 1 절전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원만을 차단하기 위한 모드이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60)는 상기 제 1 시간 동안 제 1 조건이 감지되면, 음성 출력을 위한 구성요소에는 계속적인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영상 출력을 위한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만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시간을 지나 제 2 시간 동안에도 상기 제 1 조건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제 2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상기 제 2 시간이 지나도 상기 제 1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음성 출력을 위한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식을 위한 구성요소, 예를 들어 카메라(150), 사용자 인식부(155)에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사용자 인식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 수면 상태에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임에 따라 절전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가 시청중이었던 프로그램이 저장부(135)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저장 중, 절전 모드의 해제를 위한 조건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시 저장한 영상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한 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7-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식부(155)는 인체 감지부(1551), 얼굴 감지부(1552), 눈 상태 인식부(1553), 행동 패턴 분석부(1554) 및 학습부(1555)를 포함한다.
인체 감지부(1551)는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한다.
인체 감지부(1551)는 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50)에 의해 획득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인체 감지부(1551)를 통해 상기 영상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은 얼굴 감지부(1552)로 전달된다.
얼굴 감지부(1552)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영상 내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얼굴 감지부(1552)는 윤곽선 검출, 레이블링, 구조 분석 등에 의해 상기 획득한 영상을 각 피사체별로 영역 분할(segmentation)하고, 상기 분할된 영상으로부터 각 영역의 특징을 추출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얼굴 감지부(1552)는 각 피사체별 영역에 대해 수학적, 구조적, 변환법적 수단 등을 적용해 색, 모양, 질감 등의 특징을 추출 및 가공하여 생성한 특징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얼굴 감지부(1552)를 통해 얼굴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얼굴 영상은 눈 상태 인식부(1553)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얼굴 감지부(1552)를 통해 얼굴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획득된 영상은 행동 패턴 분석부(1554)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의 일부분만이 촬영된 경우나 사용자의 얼굴이 아닌 뒷모습이 촬영된 경우일 수 있다.
눈 상태 인식부(1553)는 상기 얼굴 감지부(1552)를 통해 얼굴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얼굴 영상에서 눈 부위를 검출한다.
즉, 눈 상태 인식부(1553)는 상기 얼굴 영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눈이 위치한 영역을 검출한다.
이후, 눈 상태 인식부(1553)는 상기 눈 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눈 부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확인한다.
즉, 눈 상태 인식부(1553)는 상기 검출된 눈 부위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가 눈을 뜨고 있는지 아니면 눈을 감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눈의 상태는 상기 검출한 눈 부위의 색상 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눈 상태 인식부(1553)는 상기 검출된 눈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한편, 행동 패턴 분석부(1554)는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다.
즉, 행동 패턴 분석부(1554)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와, 상기 움직임이 있다면 움직임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행동 패턴 분석부(1554)는 상기 판단한 움직임 정도에 따른 행동 패턴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학습부(1555)는 상기 인체 감지부(1551), 얼굴 감지부(1552), 눈 상태 인식부(1553) 및 행동 패턴 분석부(1554)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학습부(1555)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의 독특한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독특한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수면 버릇이나, TV를 시청할 때의 독특한 자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6은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그에 따라 영상을 획득한다(105단계).
이후, 인체 감지부(1551)는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영상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검출한다(110단계).
제어부(160)는 상기 인체 감지부(1551)에 의해 인체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5단계).
상기 판단결과(115단계), 상기 인체가 검출되었다면(디스플레이장치 주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A로 진입한다.
하지만, 상기 판단결과(115단계), 상기 인체가 검출되지 않았다면(디스플레이장치 주위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체가 검출되지 않은지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0단계).
상기 판단결과(120단계), 상기 인체가 검출되지 않은지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제어부(160)는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관리부(145)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특정 구성 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125단계).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판단결과(115단계), 상기 인체가 검출되었다면, 얼굴 감지부(1552)는 상기 영상 내에 존재하는 인체 영역에서 얼굴을 검출한다(205단계).
제어부(160)는 상기 얼굴 감지부(1552)를 통해 얼굴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10단계).
상기 판단결과(210단계), 상기 얼굴이 검출되었다면,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에 대한 영상을 눈 상태 인식부(1553)에 전달하여, 상기 얼굴 영역 내에 존재하는 눈의 상태가 인식되도록 한다.
눈 상태 인식부(1553)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을 분석하여 눈 상태를 인식한다(215단계).
한편, 상기 판단결과(210단계), 상기 얼굴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160)는 복수의 영상 내에 존재하는 인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행동 패턴 분석부(1554)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인식되도록 한다.
이후, 행동 패턴 분석부(1554)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인식한다(220단계). 즉, 행동 패턴 분석부(1554)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현재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225단계). 즉, 제어부(160)는 상기 눈 상태 인식부(1553)를 통해 인식된 눈 상태가 눈 감김 상태인지, 또는 상기 행동 패턴 분석부(1554)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미비한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이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특정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230단계).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가 아니면, 절전 모드의 해제 또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235단계).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상기 인체가 검출되지 않았거나, 사용자가 수면 상태이면, 시간을 카운트한다(305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제 1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10단계).
즉, 제어부(160)는 상기 인체가 검출되지 않은 시점이나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시점으로부터 제 1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영상의 출력이 차단되도록 한다(315단계). 즉, 제어부(160)는 영상 출력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제 1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제 1 절전 모드로 진입한지 제 2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20단계).
즉, 제어부(160)는 상기 인체가 검출되지 않은 시점이나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시점으로부터 제 2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영상 출력 차단뿐 아니라 음성 출력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325단계).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 감지를 위한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제 2 절전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절전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05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였다면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하였던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정보를 확인한다(410단계).
제어부(160)는 상기 시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였던 프로그램을 저장부(135)에 저장한다(415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절전 모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상기 절전 모드가 해제되었다면, 제어부(160)는 상기 절전 모드 진입 시 저장한 영상의 존재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425단계).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기반의 사용자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웠을 경우, 음성의 출력은 유지한 상태에서 영상의 출력만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다시 돌아올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재개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 없이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존재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단속하여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05: 튜너
110: 복조부
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25: 비디오 출력부
130: 오디오 출력부
135: 저장부
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145: 전원 관리부
150: 카메라
155: 사용자 인식부
160: 제어부
1551: 인체 감지부
1552: 얼굴 감지부
1553: 눈 상태 인식부
1554: 행동 패턴 분석부
1555: 학습부

Claims (21)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인체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던 프로그램의 저장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인체 영역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청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청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체 영역 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 눈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눈 부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영역 내에서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복수의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한 인체 영역의 움직임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한 사용자의 눈 상태가 감김 상태이거나, 상기 인체 영역의 움직임 변화가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전 모드로 진입한 시점에서 제 2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절전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절전 모드 진입시에 저장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방법.
  1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인체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사용자의 존재 유무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던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인체 영역의 분석을 제어하고, 상기 인체 영역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시청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수면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검출된 인체 영역 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감지부와,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 존재하는 눈 부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눈 부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 상태를 인식하는 눈 상태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인체 영역 내에서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복수의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한 인체 영역의 움직임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행동 패턴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인체 영역 검출, 얼굴 영역 검출, 눈 부위 검출, 눈 상태 인식 및 행동 패턴 분석을 위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부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 상태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눈 상태가 감김 상태이거나, 상기 분석된 행동 패턴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가 없으면,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시간, 상기 눈 상태가 감김 상태로 인식된 시간 및 상기 움직임 변화가 없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인 절전 모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부;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영상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1 절전 모드와,
    상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영상부 및 음성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하는 제 2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삭제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시, 상기 카메라 및 사용자 인식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계속 유지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유무에 따라 상기 진입한 절전 모드를 해제시키며,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시에 저장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20051540A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KR10134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40A KR101349406B1 (ko)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US13/835,578 US9710046B2 (en) 2012-05-15 2013-03-15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40A KR101349406B1 (ko)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77A KR20130127777A (ko) 2013-11-25
KR101349406B1 true KR101349406B1 (ko) 2014-01-09

Family

ID=4958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540A KR101349406B1 (ko)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10046B2 (ko)
KR (1) KR101349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221B2 (en) 2014-11-1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apparatus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06B1 (ko) * 2012-05-15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TW201430548A (zh) * 2013-01-28 2014-08-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節能方法
US10904067B1 (en) * 2013-04-08 2021-01-26 Securus Technologies, Llc Verifying inmate presence during a facility transaction
KR102208077B1 (ko) * 2014-01-02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425388B2 (ja) * 2014-02-18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3885566B (zh) * 2014-03-07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的电源控制方法和显示装置
WO2016197298A1 (zh) * 2015-06-08 2016-12-15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活体检测方法、活体检测系统以及计算机程序产品
US20160378079A1 (en) * 2015-06-24 2016-12-2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mputing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controlling method
KR101716732B1 (ko) * 2015-09-25 2017-03-15 박완호 화면오프기능을 가지는 텔레비전
CN105892612A (zh) * 2015-11-27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关闭终端的方法及装置
CN106228628B (zh) * 2016-07-15 2021-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签到系统、方法和装置
WO2018155736A1 (ko) * 2017-02-23 2018-08-30 박완호 화면오프기능을 가지는 텔레비전
CN107562174A (zh) * 2017-08-22 2018-0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20200073465A1 (en) * 2018-08-30 2020-03-05 Qualcomm Incorporated Load reduction in a visual rendering system
KR102291593B1 (ko) * 2019-12-26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220019170A (ko) 2020-08-07 2022-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모드에서 오브젝트 검출을 위한 프로세서,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
US11789565B2 (en) 2020-08-18 2023-10-17 Intel Corporation Lid controller hub architecture for improved touch experiences
KR102272850B1 (ko) * 2021-02-22 2021-07-05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멀티 테이블형 인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어 인식방법
KR102272843B1 (ko) * 2021-02-22 2021-07-05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멀티 테이블형 인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턴 인식방법
CN113391695A (zh) * 2021-06-11 2021-09-14 山东浪潮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TinyML的低功耗人脸识别方法
CN113438529A (zh) * 2021-06-15 2021-09-24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基于智能耳机的家庭电视机的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349201B1 (ko) 2021-06-23 2022-01-10 주식회사 에이텍 모니터의 디밍조절을 이용한 소비전력 절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045A (ko) * 1996-04-15 1997-11-07 배순훈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한 절전형 티브이(tv)와 그 제어방법
JP2010011015A (ja) * 2008-06-26 2010-01-14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10004596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능을 선택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2011239029A (ja) * 2010-05-06 2011-11-24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表示装置、省電力制御装置、及び省電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4951A (en) * 1991-12-16 1993-03-1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leep timer arrangement for a television receiver
JP3572595B2 (ja) * 1995-07-21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399143B1 (ko) * 2000-10-19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tv신호 저장방법
US7379560B2 (en) * 2003-03-05 2008-05-2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uman attention in dynamic power management
US7117380B2 (en) * 2003-09-30 2006-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ic power adjustment in an electronic device
US7091471B2 (en) * 2004-03-15 2006-08-15 Agilent Technologies, Inc. Using eye detection for providing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KR100707259B1 (ko) * 2005-09-16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tv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50760A1 (en) * 2005-12-22 2007-06-28 Nowlin Dan H Reducing the amount of memory contents saved to non-volatile storage
US8223680B2 (en) * 2007-02-21 2012-07-17 Google Inc. Mesh network control using common designation wake-up
US20120081282A1 (en) * 2008-05-17 2012-04-05 Chin David H Access of an appl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facial gesture
US20100107184A1 (en) * 2008-10-23 2010-04-29 Peter Rae Shintani TV with eye detection
US20120254909A1 (en) * 2009-12-10 2012-10-04 Echostar Ukraine,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audio/video content in response to detection of user sleeping patterns
KR101349406B1 (ko) * 2012-05-15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045A (ko) * 1996-04-15 1997-11-07 배순훈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한 절전형 티브이(tv)와 그 제어방법
JP2010011015A (ja) * 2008-06-26 2010-01-14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10004596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능을 선택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2011239029A (ja) * 2010-05-06 2011-11-24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表示装置、省電力制御装置、及び省電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221B2 (en) 2014-11-1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apparatus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77A (ko) 2013-11-25
US9710046B2 (en) 2017-07-18
US20130311807A1 (en)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40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절전 방법
US11237689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US8830302B2 (en) Gesture-based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78186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04355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2684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gesture of image display device
CN102375681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9426440B2 (en) Thumbnai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11661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US2010030244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350773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audio output method thereof
KR1025573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697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099019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emotional state of a user
KR2017008444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9467640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US201501163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reproducing characteristics determination method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222448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2074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오디오 출력방법
KR20150012677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사용자 명령 예측 방법
KR201700837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13097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38883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