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60B1 -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860B1
KR101347860B1 KR1020110078258A KR20110078258A KR101347860B1 KR 101347860 B1 KR101347860 B1 KR 101347860B1 KR 1020110078258 A KR1020110078258 A KR 1020110078258A KR 20110078258 A KR20110078258 A KR 20110078258A KR 101347860 B1 KR101347860 B1 KR 10134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graphene oxide
exposure
exposing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921A (ko
Inventor
이영희
한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피나노연구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피나노연구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피나노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7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8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3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3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그래핀을 자외선 노광시켜서 산화 그래핀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노광을 통해 제작된 산화 그래핀은 기존의 산처리 과정 등의 위험성과, 장시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그래핀이 산화되면서 세정 효과도 볼 수 있다. 또한, 노광 시간의 변화를 통해 산소의 함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밴드갭을 가진 흑연 기반의 물질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GRAPHENE OXIDE THOROUGH ULTRA-VIOLET LIGH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그래핀이 갖는 독특한 양자적, 물리적 성질과 우수한 전하이동도 등이 부각되면서 그래핀은 탄소 나노튜브의 위치를 위협하는 새로운 나노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단결정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며, 최고의 열전도성을 자랑하는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열전도성이 높다. 또 탄성이 뛰어나 늘리거나 구부려도 전기적 성질을 잃지 않는다.
한편, 그래핀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반면 산화그래핀은 절연체 성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산화그래핀을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는 강산으로 그래핀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그래파이트를 H2SO4, KMnO4, HCl 및 HNO3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으로 처리하여 산화그래핀을 만드는 방법(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078444호 참조)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그래핀 층수의 제어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그레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연속적인 필름을 만드는 것이 어렵다. 또한 강산 처리 과정에서의 위험성과, 장시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노광을 통해 발생하는 오존으로 산화 그래핀을 제작하는 방법 및 이로 제조된 산화그래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그래핀을 자외선으로 노광시켜서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구체예에서, 자외선 노광은 160~200nm 파장으로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자외선 노광은 180~190nm 파장으로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자외선 노광은 그래핀을 185 nm의 파장으로 자외선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그래핀을 자외선 노광시키는 시간은 3~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그래핀을 산화시키는 이유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파우더(powder)가 아닌 시트(sheet) 형태로써, 이미 만들어진 그래핀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구체예에서, 그래핀을 자외선으로 노광처리한 산화 그래핀을 제공하고, 상기 구체예에서, 그래핀을 160~200nm 파장에서 자외선으로 노광 처리한 산화 그래핀을 제공한다.
자외선 노광을 통해 제작된 산화 그래핀은 기존의 산 처리 과정 등의 위험성과, 장시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그래핀이 산화되면서 세정 효과도 볼 수 있다. 또한, 노광 시간의 변화를 통해 산소의 함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밴드갭을 가진 흑연 기반의 물질을 제작할 수 있다.
도1은, 그래핀과 UV 노광을 이용한 산화 그래핀, 강산으로 처리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산화 그래핀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측정 결과이다.
도2는, 자외선 노광 시간에 따른 그래핀 박막과 강산으로 처리한 일반적 방법에 의해 제작된 Raman 스펙트럼이다.
도3은, 자외선 노광 시간에 따른 그래핀 박막의 저항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도4는, 그래핀의 자외선 노광전후 AFM(atomic force microscopy)의 측정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인용된 문헌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그래핀의 제조
그래핀 필름을 성장시키기 위해 Cu 포일을 퍼니스에 넣고 온도가 1000℃에 이를 때까지 수소 분위기에서 환원시킨 후, 저압에서 메탄을 카본 소스로 제공하여 약 10여분간 그래핀의 성장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성장된 그래핀 필름은 약 5%의 면적을 제외하고 전 면적에서 단일층 그래핀으로 이루어짐을 라만 신호 및 전자현미경(TEM)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미 알려진 FeNO3 용액을 이용, 절연성 기판에 올려 소자로 제작할 수 있었다. 그래핀 소자는 전하이동도가 4500cm2/Vs 에 달하는 우수한 소자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산화 그래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을 통하여 제조된 단일층의 그래핀을 자외선 노광장치에 넣고 245nm 파장 및 28.7mJ/cm2s의 조건에서 UV를 쬐었다. 시간은 1, 3, 5, 7 및 9분을 노광하여 저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산화 그래핀의 효과 측정
자외선 노광 전후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측정한 결과 노광 전의 결합에너지 영역을 보면 탄소의 1s 피크가 나타나 있지만, 노광 후에는 산소를 가지고 있는 기능기의 분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강산에 처리한 산화그래핀과 비교하였다(도 1 참조).
다음으로 시간별로 처리한 그래핀의 Raman 스펙트럼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반적으로 강산에 처리한 산화그래핀과 동등한 형태로 그래핀의 D-band가 증가하였다.
또한, 저항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항값이 초기에 크게 증가하다가 점차 포화된 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가졌다(도 3 참조).
그래핀의 자외선 노광 전 후 AFM(atomic force microscopy)의 측정은 노광 후 표면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노광되기 전의 표면은 그래핀의 표면에 작은 입자들이 많았으나, 자외선 처리 후에는 이러한 부분들이 많이 제거된, 깨끗한 표면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광 전후의 그래핀이 산화되면서 세정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4 참조).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그래핀을 자외선으로 노광시켜서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노광은 160~200nm 파장으로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노광은 180~190nm 파장으로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노광은 그래핀을 185nm의 파장으로 자외선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그래핀을 자외선 노광시키는 시간은 3~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6. 그래핀을 자외선으로 노광 처리하여 에폭시드 기능기의 분율이 자외선 노광 처리 이전 보다 증가된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그래핀을 160~220nm 파장에서 자외선으로 노광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드 기능기의 분율이 자외선 노광 처리 이전 보다 증가된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10078258A 2011-08-05 2011-08-05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7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58A KR101347860B1 (ko) 2011-08-05 2011-08-05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58A KR101347860B1 (ko) 2011-08-05 2011-08-05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921A KR20130015921A (ko) 2013-02-14
KR101347860B1 true KR101347860B1 (ko) 2014-01-07

Family

ID=4789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258A KR101347860B1 (ko) 2011-08-05 2011-08-05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8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444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계 그라핀 용액 및 수계 전도성 고분자 용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444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계 그라핀 용액 및 수계 전도성 고분자 용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921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High quality graphene films with a clean surface prepared by an UV/ozone assisted transfer process
Turchanin et al. Conversion of self-assembled monolayers into nanocrystalline graphene: structure and electric transport
Mattevi et al. Evolution of electrical, chem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ransparent and conducting chemically derived graphene thin films
Zheng et al. Improved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graphene thin films produced by acid and doping treatments
Cao et al. Large-scale graphitic thin films synthesized on Ni and transferred to insulators: Structural and electronic properties
McEvoy et al. Functionalisation of graphene surfaces with downstream plasma treatments
Jeong et al. Improved transfer of chemical-vapor-deposited graphene through modification of intermolecular interactions and solubility of poly (methylmethacrylate) layers
Nemes-Incze et al. Crystallographically selective nanopatterning of graphene on SiO 2
KR101626181B1 (ko) 그라핀 필름의 제어된 성장 방법
Choi et al. Plasma treatments to improve metal contacts in graphene field effect transistor
Wang et al. Chemical self-assembly of graphene sheets
Yanilmaz et al. Nitrogen doping for facile and effective modification of graphene surfaces
US20190276319A1 (en) High-Quality Graphen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Via Microwav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Ho et al. One‐Step Formation of a Single Atomic‐Layer Transistor by the Selective Fluorination of a Graphene Film
Liao et al. Photoinduced methylation of graphene
Iqbal et al. Tun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exfoliated graphene layers using deep ultraviolet irradiation
Huang et al. Ultra-low-damage radical treatment for the highly controllable oxidation of large-scale graphene sheets
Gnisci et al. Ethanol-CVD growth of sub-mm single-crystal graphene on flat Cu surfaces
Li et al. Systematic comparison of various oxidation treatments on diamond surface
Bon et al. Wettability and switching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UV irradiated graphene oxide films
Bodik et al. Fast low-temperature plasma reduction of monolayer graphene oxide at atmospheric pressure
Aria et al. Effect of dry oxidation on the energy gap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VD graphene on nickel
Choi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graphene by using gold film for transfer and masking process
Chiang et al. Toward bandgap tunable graphene oxide nanoribbons by plasma-assisted reduction and defect restoration at low temperature
KR101347860B1 (ko) 자외선 노광을 통한 산화 그래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