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59B1 - 버스 플로어 - Google Patents

버스 플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59B1
KR101347759B1 KR1020120023493A KR20120023493A KR101347759B1 KR 101347759 B1 KR101347759 B1 KR 101347759B1 KR 1020120023493 A KR1020120023493 A KR 1020120023493A KR 20120023493 A KR20120023493 A KR 20120023493A KR 101347759 B1 KR101347759 B1 KR 10134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foam
bus
cen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330A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 지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우테크 filed Critical (주) 지우테크
Priority to KR102012002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프런트부와,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 연결되는 리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배치되는 폼과 상기 폼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리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별물성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지는 버스 플로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 플로어{BUS FLOOR}
본 발명은 버스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프런트부와,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 연결되는 리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배치되는 폼과 상기 폼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리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 플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바닥판은 버스의 외형을 이루는 마운팅 골조 상부에 실러를 도포한 다음 합판을 상기 마운팅 골조의 중심에 맞추어 맞댄 후 일정간격으로 합판과 마운팅 골조에 동시에 드릴로 홀을 가공하여, 스크류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시켜 장착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버스의 마운팅 골조 상부에서 일직선으로 맞닿는 합판의 접합부에는 합판과 합판 사이의 단간차를 메우기 위해 실러 또는 아스팔트 피치로 메꾸는 작업을 반복한 후 플로워 매트를 접착제로 도포하여 마무리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버스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별도의 많은 접합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향상되게 되고 제조공정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95052호에는 버스용 플로어 구조에 대해 나타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95052호에는 차량의 차폭 방향의 양측에 외팔보 형식의 시트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시트 마운팅 프레임의 사이 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 마운팅 프레임의 사이에 높이차를 두고 차폭 방향으로 결합된 스퀘어 튜브와, 상기 스퀘어 튜브의 양측벽을 세워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 마운팅 프레임의 통로측 측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제1 브라켓을 매개로 결합된 스퀘어 튜브 레일과, 상기 스퀘어 튜브 레일의 하면과 스퀘어 튜브와의 사이에 통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2 브라켓을 매개로 결합된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66855호에는 버스 플로워 조립구조가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66855호에는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에 대한 어퍼 플로워 어셈블리의 백 본 부재를 안착형식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어퍼 플로워 어셈블리의 양단에 별도의 버티컬 부재를 추가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버스 플로어는 버스 플로어가 분할되어 성형된 후에 조립되어 조립공정이 더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떨어지고 중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물성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지는 버스 플로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 플로어는, 프런트부와,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 연결되는 리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배치되는 폼과 상기 폼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리어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버스 플로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프런트부와,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 연결되는 리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배치되는 폼과 상기 폼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리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별물성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인서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보강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f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h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의 i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2의 k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2의 l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폼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인서트, 보강재, 폼 조립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조립체 일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성형 금형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성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플로어에 별물을 결합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스 플로어 제조방법은, 폼(300) 가장자리에 보강재(200)를 배치시켜 상기 보강재(200)와 상기 폼(300)을 조립하는 조립단계와, 상기 보강재(200) 및 상기 폼(300)에 스킨(500)을 적층하여 조립체(410)를 형성하는 적층단계와, 상기 조립체(410)에 수지(900)를 함침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단계는 폼(300) 가장자리에 보강재(200)를 배치시켜 보강재(200)와 폼(300)을 조립한다.
보강재(200)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폼(3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면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단계에서 보강재(200)는 폼(300)의 측부에 배치되는 수직부(201)와 폼(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부(202)를 포함한다.
보강재(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강재(210)와 제2보강재(220)와 제3보강재(230)와 제4보강재(240)를 포함한다.
제1보강재(210)는 하나의 수직부(201)와 수직부(201)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부(202)가 형성되어 "I"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보강재(210)의 양단에는 수직부(201)만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수평부(202)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돌출부(203)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203)는 결합되는 제1보강재(210)를 포함한 다른 형상의 보강재의 상하부 수평부(202)에 끼워져서 보강재끼리는 결합된다.
제1보강재(210)는 여러개 구비되어 버스 플로어의 중간부분에 배치되며, 서로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제1보강재(210)는 폼(300)과 폼(300) 사이에 배치된다.
제2보강재(220)는 하나의 수직부(201)와 수직부(201)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부(202)가 형성되되,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부(202)는 버스플로어의 내측으로만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부(202)는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된다.
제2보강재(2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부(202)의 외측에는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보강재(220)는 이하서술되는 버스 플로어의 센터부(7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3보강재(230)는 수평부(202)와 수평부(202)의 양측에 하부에 배치되는 수직부(201)와 수직부(201)의 하부 양측에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수평부(202)를 포함한다.
제3보강재(230)의 수직부(201)의 하부 양측에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수평부(202)에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보강재(230)는 센터부(720)의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3보강재(2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보강재(230)는 이하 서술되는 프런트부(710)와 리어부(730)의 단차진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3보강재(230)에는 인서트부재(10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4보강재(240)는 수직부(201)와 수직부(20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부(202)를 포함하여 "I"형상으로 형성되되, 제4보강재(240)의 폭방향으로 절개공(204)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공(204)은 수직부(201) 및 하부에 형성된 수평부(202)에 만 형성되거나, 상부에 형성된 수평부(202)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공(204)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부에 형성된 절개공(204)과 하부에 형성된 절개공(204)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나아가, 센터부(720)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재(200)는 하나로 구비되지 않고 두개로 분할되어 구비되어, 센터부(720)의 후방이 센터부(720)의 전방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센터부(72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재(200) 사이에는 절개부(205)가 형성되어 센터부(720)의 형상이 더욱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폼(3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보강재(200)의 수평부(210)가 안착되는 안착홈(310)이 형성된다.
보강재(200)와 폼(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보강재(200)와 폼(300)을 더욱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표면도 평탄해진다.
한편, 보강재(2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보강재(200)를 이루는 섬유를 제단한 후에, 제단된 섬유를 적층한다.
적층된 섬유를 VA-RTM공법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한 후에 제품을 탈형하여 FRP구조물의 보강재(2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립단계에서 버스 플로어에 의자 등과 같은 타 부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스틸재나 알루미늄재의 인서트부재(100)도 같이 조립된다.
이와 같은 인서트부재(100)가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이 폼(300) 또는 보강재(200)에 형성되어, 인서트부재(100)의 조립도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보강재(100)와 인서트부재(100)와 폼(30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보강재(100)끼리 결합시켜서 조립된 형상(400)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적층단계는 보강재(200) 및 폼(300)에 스킨(500)을 적층하여 조립체(410)를 형성한다.
스킨(500)은 제단한 후에 보강재(200) 및 폼(3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한다.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조립체(410)에 수지(900)를 함침하여 성형한다.
상기 성형단계는 다음과 같은 수지 트랜스퍼 성형법을 이용한 버스 플로어 성형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트랜스퍼 성형법을 이용한 버스 플로어 성형방법은, 금형의 성형공간(601)에 보강재(200)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공간(601)의 일측에서는 진공압력을 가하고, 상기 성형공간(601)의 타측에서는 주입압력을 가하여 수지(900)를 압력에 의해 상기 성형공간(601)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금형의 성형공간(601)에 보강재(200)를 포함한 상기 조립체(410)를 배치한다.
상기 금형은 상형(610)과 하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형(610)과 하형(620)에는 굴곡진 형상의 버스 플로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6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형(62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설치되어 대형구조물인 상기 금형을 작업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강재(200)를 포함한 상기 조립체(410)를 성형공간(601)에 배치시킨 후에 상기 금형의 상형(610)과 하형(620)을 체결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형(610)과 하형(620)에는 하면 및 상면에 성형공간(601)이 형성되어 있고 성형공간(601) 둘레에 배치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볼트 또는 너트 등이 설치되어 상형(610)과 하형(620)이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성형공간(601)의 일측에서는 진공압력을 가하고, 상기 성형공간(601)의 타측에서는 주입압력을 가하여 수지(900)를 압력에 의해 상기 성형공간(601)으로 이송시킨다.
수지(900)는 에폭시 수지가 될 수 있으며, 수지(900)의 주입이 완료되면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버스 플로어를 수지 트랜스퍼 성형법을 이용하여, 버스 플로어와 같은 부피가 큰 제품을 기포 없이 우수한 품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제품의 내외부 표면이 우수하고, 보강재의 배치구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서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형단계를 통해 보강재(200)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체(410)의 구성품인 인서트부재(100), 보강재(200), 폼(300), 스킨(500)을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버스 플로어를 제조하여, 강도는 향상시키면서 경량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버스 플로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버스 플로어는 프런트부(710)와, 상기 프런트부(710)에 연결되는 센터부(720)와, 상기 센터부(720)에 연결되는 리어부(730)를 포함하는 본체(7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700)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200)와 상기 보강재(200) 사이에 배치되는 폼(300)과 상기 폼(300)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100)를 포함하여 상기 프런트부(710)와 상기 센터부(720)와 상기 리어부(730)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700)는 프런트부(710)와, 상기 프런트부(710)에 연결되는 센터부(720)와, 상기 센터부(720)에 연결되는 리어부(730)를 포함한다.
센터부(720)는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후방이 전방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프런트부(710)는 버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리어부(730)는 버스의 후방에 배치된다.
프런트부(710) 및 리어부(730)는 센터부(720) 보다 단차지게 높게 형성된다.
프런트부(710)의 양측에는 프런트 휠 팬(FRONT WHEEL PAN)이 설치될 수 있는 프런트휠팬설치부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프런트부(710)의 전방 중심부에는 프런트 더스트 커버(FRONT DUST COVER)가 설치된다.
프런트부(710)의 전방 양측에는 좌측휠과 우측휠의 프런트 더스트 커버가 설치될 수 있는 더스트커버설치부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어부(730)는 단차부가 여러개 형성되고, 여러개의 단차부가 서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한다.
센터부(720)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731)의 양측에는 리어 휠 팬(REAR WHEEL PAN)이 설치될 수 있는 리어휠팬설치부(737)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어휠팬설치부(737)는 제1단차부(731)의 수평부와 제2단차부(732)의 수직부에 형성된다.
제2단차부(732)의 수평부 일부 및 제3단차부(733)의 수직부에는 인스펙션 커버(INSPECTION COVER)가 설치되는 관통공(736)이 형성된다.
제4단차부(735)는 다른 단차부에 비해 수평부가 짧게 형성되고, 수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4단차부(735)의 수평부 끝단에는 리어 더스트 커버(REAR DUST COVER)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700)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200)와 상기 보강재(200) 사이에 배치되는 폼(300)과 상기 폼(300)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100)를 포함한다.
즉, 보강재(200)는 면을 형성하며, 보강재(200)의 둘레(가장자리)는 보강재(200)로 둘러싸인다.
프런트부(710) 및 리어부(730) 및 센터부(7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강재(2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프런트 더스트 커버 등의 별물(800) 또는 타부재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 등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부재(100)는 폼(300) 뿐만 아니라 보강재(200)에 인서트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서트부재(100)로 인해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타 부품이 용이하게 플로어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700)는 보강재(200)와 폼(300)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된 스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700)에는 에폭시 수지(900)가 함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본체(70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프런트부(710)와 상기 센터부(720)와 상기 리어부(7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별물(800,프런트 휠 팬, 리어 휠팬, 프런트 더스트 커버, 좌우측 휠 프런트 더스트 커버, 리어 더스트 커버, 인스펙션 커버 등 )성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진다.
한편, 별물도 VA-RTM공법을 이용하여 FRP구조로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인서트부재 부재 200 : 보강재
300 : 폼 500 : 스킨
610 : 상형 620 : 하형
601 : 성형공간 900 : 수지

Claims (1)

  1. 프런트부와,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 연결되는 리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배치되는 폼과 상기 폼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리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폼과 폼 사이에 상기 보강재가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는 상기 폼에 조립되며,
    상기 폼 및 상기 보강재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스킨과, 상기 보강재와 상기 폼과 상기 스킨에 함침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로어.
KR1020120023493A 2012-03-07 2012-03-07 버스 플로어 KR101347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493A KR101347759B1 (ko) 2012-03-07 2012-03-07 버스 플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493A KR101347759B1 (ko) 2012-03-07 2012-03-07 버스 플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330A KR20130102330A (ko) 2013-09-17
KR101347759B1 true KR101347759B1 (ko) 2014-01-10

Family

ID=4945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493A KR101347759B1 (ko) 2012-03-07 2012-03-07 버스 플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40B1 (ko) * 2003-03-26 2005-12-19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보강재와 발포금속을 적용한 철도차량의 출입문 및 바닥판제조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066321B2 (en) * 2005-11-21 2011-11-29 Kevin Lusk Structural shear plate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40B1 (ko) * 2003-03-26 2005-12-19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보강재와 발포금속을 적용한 철도차량의 출입문 및 바닥판제조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066321B2 (en) * 2005-11-21 2011-11-29 Kevin Lusk Structural shear plate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330A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6311B2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composite frame
KR101827233B1 (ko) 차량 크로스 부재 및 관련된 방법
US9132760B2 (en) Frame structure for backr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44853A (ko)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어셈블리
JP2006182295A (ja)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US9758197B2 (en) Fiber-reinforced plastic vehicle bod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83286B2 (en) Sleeper cab assembly for vehicle
KR101500353B1 (ko) 복합 차체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체 구조
US20130009442A1 (en) Plastic encapsulated metal seat pan
JP2022071616A (ja) 自動二輪車用シートレ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2672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347759B1 (ko) 버스 플로어
KR101125362B1 (ko) 차량의 루프 및 그 제조 방법
JP7136633B2 (ja) 繊維強化樹脂材の板状部材
KR101288383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759206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US202400429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at component
KR20130102329A (ko) 수지 트랜스퍼 성형법을 이용한 버스 플로어 성형방법
US20230025571A1 (en) Aircraft seat device, aircraft seat, method for producing the aircraft seat device, and modular system
KR20130014854A (ko) 싱크마크 개선을 위한 시트백 프레임의 샌드위치 구조
KR101347760B1 (ko) 버스 플로어 제조방법
KR101338442B1 (ko) 차체 및 이를 성형하는 방법
JPWO2019069639A1 (ja) 繊維強化樹脂部材の製造方法、燃料タンク及び繊維強化樹脂部材
KR101981939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101254033B1 (ko) 시트백 프레임의 커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