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682B1 - 안전 전기플러그 - Google Patents

안전 전기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682B1
KR101347682B1 KR1020120113385A KR20120113385A KR101347682B1 KR 101347682 B1 KR101347682 B1 KR 101347682B1 KR 1020120113385 A KR1020120113385 A KR 1020120113385A KR 20120113385 A KR20120113385 A KR 20120113385A KR 101347682 B1 KR101347682 B1 KR 10134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link
slide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운
Original Assignee
유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운 filed Critical 유제운
Priority to KR102012011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안전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전기플러그는, 전선이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핀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 로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전선에 대해 이동됨이 없이 상기 전선 또는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동작에 의해 상기 로드부 및 슬라이더는 상기 플러그핀이 돌출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전기플러그 {SAFETY ELECTRIC PLUG }
본 발명은 안전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안전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는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 전원입력코드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데 부착된 예를 들어, 한 쌍의 플러그핀이 콘센트에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전자기기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극으로 나뉘어진 전기적 연결을 갖는 상기 플러그핀을 콘센트에 형성된 플러그핀 삽입공에 삽입하여 콘센트 내부에 있는 접속구에 접속되게 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플러그는 각각의 상하부몸체가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하부몸체의 일측으로는 콘센트에 끼우기 위한 플러그핀이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핀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단자가 부착된다.
상기 플러그는 배선 작업시 상부몸체를 개방한 후 전선을 하부몸체의 단자에 연결하는데, 상기 단자의 상부에는 전선 내의 구리선 연결용 나사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이 나사를 풀어 구리선을 감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그 후 상기 전선의 외부 피복을 벗겨 내측에 구리선을 뽑아내어 나사 축에 묶은 다음 상기 나사를 드라이버로 조여 단자와 구리선을 단단히 고정한 후 상부몸체를 끼워 다시 나사로 고정하여 완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플러그는, 플러그핀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의 핀공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성인 남자도 쉽게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못할 정도로 접촉상태가 억지끼움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특히, 플러그를 사용자의 안쪽으로 당기는 힘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플러그가 콘센트의 안쪽에 삽입되어 플러그의 파지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러그가 콘센트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들이 등록특허공보 제10-1164181호, 공개특허 제10-2009-0060502호 등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여전히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거나,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플러그핀을 콘센트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였을 때에는 플러그핀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보관할 수 있는 안전 전기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 전기플러그는, 전선이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핀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 로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전선에 대해 이동됨이 없이 상기 전선 또는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동작에 의해 상기 로드부 및 슬라이더는 상기 플러그핀이 돌출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공이 전방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전선 또는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전선에 대해 이동됨이 없는 고정부와; 상기 로드부에 결합된 가압이동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이동부에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전선방향 즉 전선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가압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이 배치된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이동부에 힌지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가압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결합부위는 상기 전선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전선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이동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전선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결합부위는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기 전선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을 중심으로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플러그핀이 삽입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 전기플러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가압부재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더가 플러그핀이 돌출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플러그핀이 슬라이더에 삽입 배치되게 때문에 플러그핀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이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핀이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아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장난으로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쉽게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일방향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타방향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가압부재에 의해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를 콘센트에 장착 및 분리하는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일방향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타방향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가압부재에 의해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전기플러그를 콘센트에 장착 및 분리하는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 전기플러그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플러그핀(20)과, 슬라이더(30)와, 가압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인 전기플러그의 몸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기기기와 연결된 전선(5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은 2개 이상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핀(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6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플러그핀(20)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하우징(10)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에 삽입공(11)이 전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삽입공(11)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품의 크기를 감안해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삽입공(11)에 삽입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는 2개의 상기 플러그핀(20) 사이 또는 상기 플러그핀(2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플러그핀(20)이 삽입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더(30)에는 상기 플러그핀(20)이 삽입 배치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더(30)가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플러그핀(20)은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러그핀(20)은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되어 전체가 은폐될 수도 있고 일부만 은폐되어 보관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0)가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플러그핀(20)이 상기 슬라이더(30)의 내부에 보관됨으로써, 상기 플러그핀(20)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핀(20)이 상기 슬라이더(30)에 형성된 관통공(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플러그핀(20)이 가이드핀 역할을 하여 흔들림없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상기 슬라이더(30)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가이드를 위한 돌기 및 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더(30)가 흔들림없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로드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31)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31)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50)을 중심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40)는 상기 슬라이더(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40)는 일단이 상기 전선(50)에 대해 이동됨이 없이 상기 전선(50) 또는 하우징(1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부(31)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로드부(31) 및 슬라이더(30)는 상기 플러그핀(20)이 돌출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가압부재(40)는, 고정부(41)와, 가압이동부(42)와, 연결부(43)와, 스프링(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상기 전선(50) 또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41)는 'C'자 클립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50)을 감싸면서 고정장착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전선(50)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1)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선(50)을 감싸는 긴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고정 장착 또는 상기 전선(50)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전선(50) 또는 하우징(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전선(50)에 대해 이동됨이 없이 그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이동부(42)는 상기 로드부(31)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부(31)와 함께 상기 전선(5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이동부(42)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5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이동부(42)가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41)을 감싸면서 상기 고정부(41)와 연결부(43)의 결합부위보다 상기 하우징(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고정부(41)와 연결부(43)의 결합부위가 상기 가압이동부(42)보다 상기 하우징(10)에 인접하게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43)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41)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이동부(42)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43)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방향 즉 전선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41)재에 대해 상기 가압이동부(42)를 상기 하우징(10)이 배치된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43)는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링크(43a)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4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링크(43b)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43b)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43a)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이동부(42)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가 상기 전선(5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4)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50)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가압이동부(4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44)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가압이동부(42)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는 상기 전선(5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프링(44)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스프링(44)은 상기 고정부(41)와 가압이동부(42) 사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41)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압이동부(42)에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가 상기 제1링크(43a)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43b)의 타단을 연결하는 직선(L)보다 상기 전선(50)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부(43)가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압축된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가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여 상기 연결부(43)가 가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44)은 본 발명이 보다 잘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외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연결부(43)는 1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사용의 편의로 위하여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50)을 중심으로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상기 스프링(44)이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44)이 상기 가압이동부(42)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로드부(31)를 통해 상기 가압이동부(42)와 연결된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핀(20)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는 상기 전선(5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플러그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60)에 삽입 장착한다.
그 후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6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연결부(43)를 잡고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중심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3) 즉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는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압이동부(42)는 상기 스프링(44)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하우징(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이동부(42)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드부(31)를 통해 연결된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콘센트(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 및 플러그핀(20)은 상대적으로 상기 콘센트(60)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상기 플러그핀(20)은 상기 슬라이더(30)의 관통공(32)에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60)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43a)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43b)의 타단을 연결하는 직선(L)보다 상기 전선(50)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압축된 상기 스프링(44)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43a)와 제2링크(43b)의 결합부위가 상기 전선(5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여 상기 연결부(43)가 가압된 상태 즉 상기 슬라이더(3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플러그핀(20)을 상기 관통공(32)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30)에 삽입 배치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플러그핀(20)이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아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이 플러그를 콘센트(60)에 장난으로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시 상기 플러그핀(20)을 상기 콘센트(60)에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43)를 상기 전선(50)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43)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인 안전 전기플러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삽입공,
20 : 플러그핀,
30 : 슬라이더, 31 : 로드부, 32 : 관통공,
40 : 가압부재, 41 : 고정부, 42 : 가압이동부, 43 : 연결부, 43a : 제1링크, 43b : 제2링크, 44: 스프링,
50 : 전선,
60 : 콘센트,

Claims (8)

  1. 전선이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핀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 로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전선 또는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전선에 대해 이동됨이 없는 고정부와;
    상기 로드부에 결합된 가압이동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이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전선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가압이동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배치된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동작에 의해 상기 로드부 및 슬라이더는 상기 플러그핀이 돌출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공이 전방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이동부에 힌지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가압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결합부위는 상기 전선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전선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이동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전선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결합부위는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기 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7.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을 중심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8.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플러그핀이 삽입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전기플러그.
KR1020120113385A 2012-10-12 2012-10-12 안전 전기플러그 KR10134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85A KR101347682B1 (ko) 2012-10-12 2012-10-12 안전 전기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85A KR101347682B1 (ko) 2012-10-12 2012-10-12 안전 전기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682B1 true KR101347682B1 (ko) 2014-01-02

Family

ID=5014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385A KR101347682B1 (ko) 2012-10-12 2012-10-12 안전 전기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71A (ko) 2018-06-01 2019-12-11 노주현 길이 조절 전선
CN114709665A (zh) * 2022-04-12 2022-07-05 捷宇五金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主动式防护结构的安全插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81B1 (ko) * 2011-02-25 2012-07-11 신영주 안전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81B1 (ko) * 2011-02-25 2012-07-11 신영주 안전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71A (ko) 2018-06-01 2019-12-11 노주현 길이 조절 전선
CN114709665A (zh) * 2022-04-12 2022-07-05 捷宇五金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主动式防护结构的安全插头
CN114709665B (zh) * 2022-04-12 2024-02-02 捷宇五金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主动式防护结构的安全插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7984A (ja) 電磁電気接続装置の改良構造
DE602006006970D1 (de) Koaxialkabelstecker mit ausfahrbarem stift
WO2004095641A3 (en) Compression-type hard-line connector
US2831174A (en) Electric test prod
US8979598B2 (en) Assembled connecting device with a protective sleeve
TWD182506S (zh) 電連接器
TWD182507S (zh) 電連接器
WO2008013903A3 (en) Conductor connection
CN105098451A (zh) 电连接器组合
KR101347682B1 (ko) 안전 전기플러그
TW201427204A (zh) 具有防塵蓋的插座及電子裝置
EP1178569A3 (de)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CN203398436U (zh) 线缆连接器的扣接结构
US2209814A (en) Electrical connector
US6379190B1 (en) Ropelight connector
CN105006699A (zh) 具有限位延时功能的防火花电插接件
KR102322638B1 (ko)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GB0229347D0 (en) Electrical connnector
US1342819A (en) Connector-plug
US3317884A (en) Electrical plug with cord anchor
KR102647485B1 (ko) 안전 분리형 플러그 커넥터 부품
CN106410541B (zh) 电连接器组件
KR101787731B1 (ko)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4709665B (zh) 一种具有主动式防护结构的安全插头
TWI608672B (zh) 多工型連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