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447B1 -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447B1
KR101347447B1 KR1020130111682A KR20130111682A KR101347447B1 KR 101347447 B1 KR101347447 B1 KR 101347447B1 KR 1020130111682 A KR1020130111682 A KR 1020130111682A KR 20130111682 A KR20130111682 A KR 20130111682A KR 101347447 B1 KR101347447 B1 KR 10134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legraph pole
pole
termin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051A (ko
Inventor
이해규
Original Assignee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44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04B5/77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신주 관리 장치,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전신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전신주 정보를 저장하는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는, 외부와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들을, RFID, 지그비, UW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관리서버가 단말기에 특정 전신주에 대한 제1 전신주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특정 전신주에 설치된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와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존재하는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날짜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 및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The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the utility pol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utility pole}
본 발명은 전신주 관리주체가 전신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신주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신주 관리 장치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QR코드를 이용하여 전신주 정보,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의 정보, 공사이력현황 및 순시요원의 순시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전신주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에는 전신주의 관리를 위한 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전신주 번호찰이 설치되며, 상기한 전신주 번호찰에는 전산화번호, 전신주번호, 선로명, 전신주 규격과 설치년월 및 시공업체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한 전신주 번호찰에는 전신주 번호와 각종 전신주 번호를 전용 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인쇄하거나 일반 스티커를 이용하여 일일이 작업자가 해당사항을 전신주 번호찰에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전신주 번호찰은 전신주의 외주면상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신주 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신주 주위를 돌면서 기재된 내용을 일일이 확인해야 했고, 차량 주행 중에는 전신주 번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었다.
또한, 선로순시시에 순시요원의 순시현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신주 정보,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및 순시요원의 순시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신주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전신주 관리 장치,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전신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전신주 정보를 저장하는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는, 외부와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들을, RFID, 지그비, UW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관리서버가 단말기에 특정 전신주에 대한 제1 전신주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특정 전신주에 설치된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와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존재하는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날짜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 및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전신주 관리 장치,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는, 외부와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RFID, 지그비, UW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신주 정보 및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날짜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한다. 상기 전신주 정보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며,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1) 상기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존재하는 시간값을 카운팅하고, 2) 상기 카운팅된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장치와,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전신주 정보와 관련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2 전신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시간 값을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시간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한 시간 값 및 전신주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이며, 상기 카운팅된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전신주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둘째, 순시요원이 전신주에 대한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순시현황을 파악하여 전신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전신주 관리 장치를 이용한 일 실시 예인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나타난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신주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전신주 관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일 실시 예인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6에 나타난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신주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전신주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신주 관리 장치를 이용한 일 실시 예인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신주 관리 시스템은 전신주 관리 장치(100), 단말기(200), 관리서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신주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0), 키입력부(130), GPS 모듈(150)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0), GPS 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신주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단말기(2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단말기(200)는 전신주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140)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모듈(14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단말기(2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WiFi),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노트북, PDA, PMP, 스마트폰, 전자사전 또는 휴대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이고, 단말기(200)는 RFID 리더 또는 라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RFID 태그는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IC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는 RFID 태그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 가능한 범위는 수십에서 수백미터 일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는 근처의 RFID 태그를 검색하여 태그 안의 IC칩상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즉, 단말기(200)에 내장된 RFID 리더를 통해 전신주 관리 장치(100)에 내장되어 있는 RFID 태그를 인식하면 태그 안의 제1 전신주 정보를 단말기(20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신주 정보와 관련하여 갱신된 정보가 있는 경우, 단말기에 내장된 RFID 라이터기를 이용해 제2 전신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는 지적화 전신주 번호, 상기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는 상기 제1전신주 정보를 갱신한 정보로써,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또는 공사이력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수신하여 IC칩에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전신주 정보를 하나의 관리서버(300)에서 관리 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에서 각자 가지고 있는 전신주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면, 서버 제어부를 통해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용 레코더,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150)은 GPS위성(미도시)에 전신주의 위치정보 및 전신주에 설치된 기자재에 대한 위치정보를 요구하여 GPS위성(미도시)로부터 전신주의 위치정보 및 전신주에 설치된 기자재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전신주가 다른 지역으로 이설될 경우, 전신주 관리 장치(100)는 같이 이설될 것이고, 상기 GPS 모듈(150)은 이설된 곳의 전신주 위치정보 및 전신주에 설치된 기자재에 대한 위치정보를 GPS위성(미도시)에 요구하여 새로운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위치정보는 RFID 태그의 IC칩 상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단말기(200)를 통해 새로운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신주가 이설된 경우에도, 전신주 관리장치 및 전신주에 설치된 기자재에 대한 위치정보도 함께 관리할 수 있어, 전신주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신주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0), 키입력부(130)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단말기(2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WiFi),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노트북, PDA, PMP, 스마트폰, 전자사전 또는 휴대폰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0)
상기 통신이 가능한 범위는 수십에서 수백미터 일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을 통해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S11)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는 지적화 전신주 번호, 상기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이고, 상기 단말기에 RFID 리더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RFID 리더는 근처의 전신주 관리 장치(100) 안의 RFID 태그를 검색하여 태그 안에 있는 제1 전신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S12)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수신하여 전신주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제2 전신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는 상기 제1전신주 정보를 갱신한 정보로써,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또는 공사이력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제1 전신주 정보와 제2 전신주 정보를 비교하여(S13), 변경된 사항이 있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제2 전신주 정보를 단말기(200)에 송신하고, (S14)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갱신된 정보인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15)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이고, 상기 단말기에 RFID 라이터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라이터기를 이용해 상기 태그에 제2 전신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수신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S16) 만약,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인 경우 태그 내부의 IC칩에 제2 전신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7)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신주 관리 방법을 통해 전신주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가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100)의 관점을 통해 전신주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것이라면, 도 3은 관리 서버(300)의 관점에서 전신주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0)
상기 통신이 가능한 범위는 수십에서 수백미터 일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을 통해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S31)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는 지적화 전신주 번호, 상기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이고, 상기 단말기(200)에 RFID 리더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RFID 리더는 근처의 전신주 관리 장치(100) 안의 RFID 태그를 검색하여 태그 안에 있는 제1 전신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단말기(200)에 제1 전신주 정보 요청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S32)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의(300)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단말기(200)는 제1 전신주 정보를 관리 서버에(300)에 송신하고, 관리 서버(300)는 제1 전신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3)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수신하여 전신주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제2 전신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는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는 상기 제1전신주 정보를 갱신한 정보로써,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또는 공사이력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제1 전신주 정보와 제2 전신주 정보를 비교하여(S34), 변경된 사항이 있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제2 전신주 정보를 단말기(200)에 송신하고, (S35)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갱신된 정보인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36)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이고, 상기 단말기에 RFID 라이터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라이터기를 이용해 상기 태그에 제2 전신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신주 관리 방법을 통해 관리 서버(300)에서 전신주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신주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0), 키입력부(130)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단말기(2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WiFi),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노트북, PDA, PMP, 스마트폰, 전자사전 또는 휴대폰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0)
상기 통신이 가능한 범위는 수십에서 수백미터 일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간 값을 카운팅한다. (S21) 상기 제어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상기 시간 값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운팅된 시간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S22)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은 단말기에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 할 수 있다. (S23) 상기 임계 값은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해야 하는 최소 시간 값 일 수 있다.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4)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수신된 전신주 관리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S25) 만약,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인 경우 태그 내부의 IC칩에 전신주 관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6)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는 단말기(200)를 휴대한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 값 및 전신주 관리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S27)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전신주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S28)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용 레코더,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더 및 라이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신주 관리 방법을 통해 순시요원이 전신주에 대한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순시현황을 파악하여 전신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가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100)의 관점을 통해 전신주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것이라면, 도 4는 관리 서버(300)의 관점에서 전신주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전신주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0), 키입력부(130)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단말기(2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WiFi),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노트북, PDA, PMP, 스마트폰, 전자사전 또는 휴대폰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
상기 통신이 가능한 범위는 수십에서 수백미터 일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간 값을 카운팅한다. (S41) 상기 제어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상기 시간 값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운팅된 시간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S42)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은 단말기에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 할 수 있다. (S43) 상기 임계 값은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해야 하는 최소 시간 값 일 수 있다.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4)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상기 수신된 전신주 관리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S45) 만약,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이 RFID 태그인 경우 태그 내부의 IC칩에 전신주 관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6)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는 단말기(200)를 휴대한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단말기(200)에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S47)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간 값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시간 값이 임계 값 이상이라면, 상기 관리 서버(300)의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한다(S48). 상기 관리서버(300)는 수신한 전신주 관리 정보를 전신주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S49)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용 레코더,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더 및 라이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신주 관리 방법을 통해 관리 서버(300)는 순시요원이 전신주에 대한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순시현황을 파악하여 전신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전신주 관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일 실시 예인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신주 관리 시스템은 제1 전신주(400), 제2 전신주(500), 제1 전신주(400)에 설치된 제1 전신주 관리 장치(410), 제2 전신주(500)에 설치된 제2 전신주 관리 장치(510), 센서(600), 단말기(200),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전신주 관리 장치(410,510)는 각각 제1,2 근거리 통신 모듈(411,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전신주 관리 장치(410,510) 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부를 통해 제1,2 전신주(400,5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2 전신주(400,500)사이의 상부에는 전력선이 통과하고, 하부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케이블 다발(900) 등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상에는 전기를 절연하기 위한 애자 등과 같은 기자재(7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다발에는 센서(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600)는 케이블 다발(900)에 선이 무단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기자재(800)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600)는 진동센서, 초음파 센서, 화재 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600)는 상기 케이블 다발(900)에 무단으로 선이 설치되거나 다른 기자재(800)가 설치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신주 관리 장치(410)는 상기 감지된 신호를 유, 무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50)
상기 제1 전신주 관리 장치(410)는 감지된 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S51)
상기 제1 전신주 관리 장치(410)는 상기 감지된 신호 및 제1 전신주(4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2 전신주 관리장치(510)에 전송할 수 있다. (S5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신주 관리 장치(410)는 상기 감지된 신호 및 제1 전신주(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 또는 관리서버(300)에도 직접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서도 관리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신호 및 위치 정보의 전송은 제1,2 전신주 관리 장치(410,510)에 포함된 제1,2 근거리 통신 모듈(411,511)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411,511) 사이의 신호 및 정보의 송수신과 상기 제1,2 근거리 통신모듈(411,511), 단말기(200), 관리서버(300) 사이의 신호 및 정보의 송수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WiFi),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신주 관리 장치(510)는 감지된 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S53)
상기 제2 전신주 관리 장치(510)는 제1 전신주 관리 장치(410)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S54)
상기 관리서버는 (300)는 감지된 신호 및 제1 전신주(4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전신주 관리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S55)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300)는 감지된 신호 및 제1 전신주 위치정보를 통해 이상이 생긴 제1 전신주(400)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전신주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전신주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0), 키입력부(130)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30)를 통해 전신주가 설치될 시에 전신주 관리 장치(100)에 전신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전신주 정보는 지적화 전신주 번호, 상기 전신주에 설치되는 기자재 정보 및 공사이력정보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WiFi),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RFID 태그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RFID 태그는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IC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 외부에 존재하는 RFID 리더와 무선신호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에 내장된 상기 전신주 정보를 상기 RFID 리더에 송신할 수 있고, RFID 라이터를 이용해 RFID 태그에 전신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IC칩은 저장범위로 해당 전신주 정보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의 IC칩에 저장된 상기 전신주 정보는 추후에 지울 수 있고,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에 내장된 정보는 무선형태로 수십에서 수백미터까지 전송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하는 중에서도 인식 가능하여 차량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해당 전신주 정보를 읽을 수 있다.
RFID 태그는 전원의 유무에 따라 전원을 가지고 있는 능동형과 내부나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전원의 공급 없이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 태그에 전원을 가지고 있으나 센서구동 등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준 수동형으로 나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태그는 능동형, 수동형 및 준 수동형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수신한 전신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표시하는 전신주 정보는 지적화 전신주 번호이다.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의 일면에 QR코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R코드 QR코드(150)란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이다. 상기 QR 코드에는 전신주 정보를 담고 있으며, QR코드 QR코드(150)를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통해 QR코드를 읽으면 관리서버(300)로 연결되어 전신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b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표시하는 전신주 정보는 현행 전신주 번호이다.
도 8c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표시하는 전신주 정보는 전신주를 시공한 일자와 시공회사이다.
상기 도 8a 내지 도 8c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기 전신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전용 프린터기를 이용한 종이와 일반 스티커를 일일이 부착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변경된 정보 등을 손쉽게 표시할 수 있다.
도 8d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표시하는 전신주 정보는 전신주 순시 현황에 관한 것으로 순시자와 순시일자 및 시간을 보여준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신주 순시 현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이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순시자의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표시하는 순시현황을 통해 전신주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잉크(E-ink),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또는 CRT(Cathod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3)

  1. 전신주 관리 장치,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전신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전신주 정보를 저장하는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는, 외부와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들을, RFID, 지그비, UW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가 단말기에 특정 전신주에 대한 제1 전신주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특정 전신주에 설치된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와 상기 전신주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신주 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존재하는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날짜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 및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
  2. 전신주 관리 장치,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RFID, 지그비, UW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신주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신주 정보 및 전신주 순시원의 이름, 순시날짜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전신주 정보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며,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1) 상기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존재하는 시간값을 카운팅하고, 2) 상기 카운팅된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신주 관리 장치.
  3.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장치와,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공사이력정보 및 상기 전신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전신주 정보와 관련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전신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2 전신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시간 값을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시간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한 시간 값 및 전신주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신주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이며,
    상기 카운팅된 시간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전신주 관리 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신주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KR1020130111682A 2013-09-17 2013-09-17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KR10134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682A KR101347447B1 (ko) 2013-09-17 2013-09-17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682A KR101347447B1 (ko) 2013-09-17 2013-09-17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182A Division KR20130047263A (ko) 2011-10-31 2011-10-31 전신주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051A KR20130114051A (ko) 2013-10-16
KR101347447B1 true KR101347447B1 (ko) 2014-01-16

Family

ID=4963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682A KR101347447B1 (ko) 2013-09-17 2013-09-17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717A (ko) * 2006-07-28 2008-01-31 박찬혁 지적화 전주번호와 평면직각좌표 정보가 내장된알에프아이디-태그와 알에프아이디-리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71257A (ja) * 2007-04-20 2008-11-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通報システム及び情報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717A (ko) * 2006-07-28 2008-01-31 박찬혁 지적화 전주번호와 평면직각좌표 정보가 내장된알에프아이디-태그와 알에프아이디-리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71257A (ja) * 2007-04-20 2008-11-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通報システム及び情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051A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5673C (zh) 个人物品提示器
KR101765916B1 (ko) 전자 선반 라벨 및 배터리 잔량 관리 방법
EP2938055B1 (e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employing electronic ta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erminal program
US20150186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Localization
CN102750500B (zh) 便携终端以及便携终端的信息读取方法
US20200160720A1 (en) Vehicle location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SE531395C2 (sv) Ett försäljningshanteringssystem, styrprogram och informationslagringsmedium
KR100617813B1 (ko) 전자 기기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US20170287025A1 (en)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N112437420A (zh) 一种基于NB-IoT(5G)的多功能电子标签系统
US20130316729A1 (en)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erver
US20150186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Objects and Determining In-Use Status Thereof
KR20130056738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위치 정보 획득 및 처리 방법과 그 장치
JP5212006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70119994A (ko) 물류 수배송 인수확인 시스템
KR101347447B1 (ko) 전신주 관리 장치, 전신주 관리 시스템 및 전신주 관리 시스템의 전신주 관리 방법
KR101102922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차량/사용자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7263A (ko) 전신주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5984B1 (ko) 단말기를 사용한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1140984A1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CN106532954A (zh) 接地状态监控方法及系统
JP2013254273A (ja) 医療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773913B1 (ko) 듀얼 모드를 구비한 nfc 태그
KR101907445B1 (ko) 원격 자산 관리시스템
JP2014219836A (ja) 管理サーバ、モバイル端末、自動改札機、及び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