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354B1 -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354B1
KR101347354B1 KR1020120020330A KR20120020330A KR101347354B1 KR 101347354 B1 KR101347354 B1 KR 101347354B1 KR 1020120020330 A KR1020120020330 A KR 1020120020330A KR 20120020330 A KR20120020330 A KR 20120020330A KR 101347354 B1 KR101347354 B1 KR 10134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oil
storage tank
liquefied fuel
fue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644A (ko
Inventor
인세환
김종주
배준홍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은 급유선박의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는 재응축기;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보조저장탱크; 및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보조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LIQUIFIED FUEL GAS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제해사기구(IMO) 및 미국, 유럽의 선박 배출가스 규제 정책으로 인하여 규제 정책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북유럽을 중심으로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추진 엔진을 장착한 선박이 소형 페리선(Ferry Ship)을 위주로 운용되고 있지만, 점차 그 적용 대상이 컨테이너선 및 원유 운반선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표적인 액화연료가스로는 LNG(Liquefied Natural Gas)를 들 수 있다.
액화연료가스 추진 엔진을 장착한 선박은 항해를 위해서 연료탱크에 액화연료가스를 충전한 후 운항한다. 그러나,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예를 들어, LNG 터미널)이 구비된 항구는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은 안전 등을 이유로 컨테이너선과 같은 상선이 하역을 위해 정박하는 항구와는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따라서, 해당 선박은 액화연료가스 급유를 위해서 항구에서 멀리 떨어진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로 이동하여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야 한다. 선박이 정박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단순히 액화연료가스의 급유를 위해 항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선박을 이동시키는 것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 발생 등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와 공급시설을 갖춘 급유선박을 이용하여 선박 대 선박 액화연료가스 공급 방식으로 추진선박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추진이나 기타 장비류의 가동을 위한 전력생산에 사용되는 증발가스(BOG, Boil-Off Gas)보다 많은 양의 증발가스가 급유선박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다. 따라서 급유선박은 해상에서 이러한 잉여 증발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급유선박의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해당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고,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저장하여 이를 추진선박의 연료로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유선박의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는 재응축기;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보조저장탱크; 및 상기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보조펌프;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응축기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에 상기 저장탱크의 액화연료가스를 분사시켜 상기 증발가스를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는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 및 상기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제공하기 위한 공급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부족분을 보충시키기 위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공급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전냉각기와, 상기 냉각된 증발가스로부터 액적을 제거하는 액적제거장치와, 상기 액적이 제거된 증발가스를 1차 압축하는 제1저용량 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 중 일부는 증발가스 처리부로 공급하고, 잉여 증발가스는 상기 재응축기로 공급하는 제1분기관이 마련되고, 상기 재응축기는 상기 잉여증발가스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분기시켜 상기 재응축기 및 상기 전냉각기로 각각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분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로 공급되는 상기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를 2차 압축하는 제2저용량 압축기와, 상기 2차 압축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로 상승시키는 증발가스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상기 제2저용량 압축기로 공급될 경우, 상기 제2저용량 압축기는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로 공급되는 상기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와 상기 보조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증발가스를 혼소시켜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는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소비하는 상기 급유선박의 엔진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는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기와,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상기 급유선박의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회수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수한 증발가스 중 상기 저장탱크의 압력보상에 필요한 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 회수관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고, 잉여증발가스는 상기 제1분기관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제2분기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은 급유선박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해당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고,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저장하여 이를 추진선박의 연료로 공급함으로써, 잉여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 값비싼 재액화 설비를 구축하거나 배출 또는 연소시키지 않고도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재액화하여 추진선박의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고, 이를 급유선박의 저장탱크로 공급하여, 급유 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 내의 감소하는 압력을 보충하고, 이를 통해 보다 원활한 급유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저장탱크, 추진선박의 연료탱크 및 급유선박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급유선박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부족분을 보충시키기 위해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가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급유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1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추가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1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관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 중 일부를 분기시키는 제2분기관과 보조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저장탱크 연결관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1)은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해당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고,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저장하여, 이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공급한다. 여기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는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한다. 예컨대, 액화연료가스는 L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NG의 액화온도는 상압에서 -163℃의 극저온이므로, LNG는 외부 온도가 -163℃ 보다 약간만 높아도 증발된다.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의 경우 단열처리가 되어 있으나 외부의 열이 LNG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므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의 LNG는 지속적으로 기화되어 저장탱크(2) 내에 증발가스(BOG, Boil-Off Gas)가 발생한다.
이러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1)은 전냉각기(10), 액적제거장치(20), 제1저용량 압축기(30), 재응축기(40), 보조저장탱크(50), 보조펌프(60), 공급제어부(65), 제2저용량 압축기(70), 증발가스히터(80) 및 증발가스 처리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냉각기(10)는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에 필요한 액화연료가스의 공급을 위하여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분기시켜 재응축기(40) 및 상술한 전냉각기(10)로 각각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분기밸브(3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냉각기(10)는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에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분사시켜 해당 증발가스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는, 해당 증발가스의 온도가 후술할 제1저용량 압축기(30)의 입구(전단) 온도 조건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저용량 압축기(30)의 입구 온도는 자체 발생하는 압축열에 의해서 출구(후단) 온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140℃(Ballast 조건)/-120℃(Laden 조건)로 유지되어야 한다. 여기서, 저장탱크(2)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의 온도는 이보다 높은 -90℃ ~ -15℃ 정도이다. 따라서, 전냉각기(10)는 제1저용량 압축기(30)의 입구 온도에 적합하도록 해당 증발가스에 액화연료가스(예컨대, LNG)를 분사시켜 냉각시킨 후 제1저용량 압축기(30)로 공급한다.
액적제거장치(20)는 전냉각기(10)에 의해 냉각된 증발가스로부터 액적을 제거한다. 상술한 전냉각기(10)에서 분사된 액화연료가스 중 끓는점이 낮은 질소, 메탄 성분은 모두 기체로 증발하지만 일부 끓는점이 높은 성분들은 기화되지 못하고 액적의 형태로 남게 된다. 액적제거장치(20)는 이러한 액적을 제거하여 액적에 의해 제1저용량 압축기(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저용량 압축기(30, Low Duty Compressor)는 액적이 제거된 증발가스를 1차 압축시킨다. 제1저용량 압축기(30)는 예컨대 3.3bar 정도로 액적이 제거된 증발가스를 1차 압축시킬 수 있다.
이때,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 중 일부는 후술할 증발가스 처리부(90)로 공급하고, 잉여증발가스는 후술할 재응축기(40)로 공급하는 제1분기관(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압축증발가스 분기밸브(7a)는 제1저용량 압축기(30)에 의해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를 분기시켜, 증발가스 처리부(90) 및 재응축기(40)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재응축기(40)는 급유선박의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연료가스 연결관(3)에 의해 공급된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킨다. 이때, 상술한 제1분기관(7)에 의해 분기된 잉여증발가스를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재응축기(40)는 저장탱크(2)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에 저장탱크(2)의 액화연료가스를 분사시켜 증발가스를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는 분사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저장탱크(50)는 재응축기(40)로부터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이때, 보조저장탱크(50)는 내부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저장탱크(2)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연료가스를 분사시키는 분사장치(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펌프(60)는 보조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공급한다. 이때, 보조펌프(60)는 후술할 공급제어부(65)에 의해 제어되어 보조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 및 보조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 중 하나 이상을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제공하기 위한 공급관(5)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도1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추가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공급제어부(65)는 설명의 편의상 다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급제어부(65)는 상술한 보조펌프(60)를 이용하여 보조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공급관(5, 도 1 참조)을 통해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공급한다.
또한, 공급제어부(65)는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공급되는 보조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부족분을 보충시키기 위해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추가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급제어부(65)는 제어밸브유닛(5a)를 제어하여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추가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 필요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펌프(60)를 이용하여 보조저장탱크(50)에 저장된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에 공급하는 동안 연료탱크(4)의 냉각과정에서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급된 액화연료가스의 부피에 비례하여 연료탱크(4)에서 증발가스가 발생한다.
도 3은 도1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관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회수관(6)에 의해 회수되어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로 공급될 수 있다. 급유선박에서 추진선박으로 급유가 진행됨에 따라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 내의 압력은 줄어들고,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 내의 압력은 증가한다. 이때,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로 증발가스 회수관(6)에 의해 공급됨으로써,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 내의 압력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급유선박에서 추진선박으로의 원활한 급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액화연료가스 급유시스템에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 중 일부를 분기시키는 제2분기관과 보조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저장탱크 연결관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증발가스 회수관(6)에 의해 회수된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 중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의 압력보상에 필요한 증발가스는 제어밸브유닛(6a)의 제어에 의해 증발가스 회수관(6)을 통해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로 공급된다. 그리고, 잉여증발가스는 제어밸브유닛(6a)의 제어에 의해 제2분기관(8)을 통해 제1분기관(7)의 전단으로 공급된다.
또한, 보조저장탱크(50)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는 보조저장탱크 연결관(9)에 의해 제2저용량 압축기(7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저용량 압축기(70)는 상술한 제1저용량 압축기(30)에 의해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를 2차 압축한다. 예컨대, 제2저용량 압축기(70)는 6.5 bar 정도로 2차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증발가스 처리부(90)가 급유선박의 엔진 발전기(94)로 구현될 경우, 엔진 발전기(94)에서 필요로 하는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저용량 압축기(70)는 증발가스 처리부(90)로 공급되는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와 보조저장탱크(50)로부터 공급받은 증발가스를 혼소시켜 함께 압축시킬 수 있다.
증발가스히터(80)는 제2저용량 압축기(70)에 의해 2차 압축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증발가스 처리부(90)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로 상승시킨다. 예컨대, 후술할 증발가스 처리부(90)가 급유선박의 엔진 발전기(94)로 구현될 경우, 증발가스히터(80)는 제2저용량 압축기(70)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온도가 엔진 발전기(94)에서 필요한 입구 온도(25℃)로 적합하지 않으면 이를 조절하기 위해 해당 증발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증발가스 처리부(90)는 증발가스히터(80)에 의해 가열된 증발가스를 처리한다. 여기서, 증발가스 처리부(90)는 가열된 증발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소비하는 급유선박의 엔진 발전기(9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엔진 발전기(94)는 DF(Dual Fuel) 엔진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 처리부(90)는 기화된 증발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기(92)와,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미도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연소기(92)는 플레어(Flare), GCU(Gas Combustion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급유선박의 저장탱크(2)는 예컨대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NO 96형과 Mark Ⅲ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저장탱크(50)와 추진선박의 연료탱크(4)는 예컨대 이중벽 사이에 단열을 하고, 내부에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C 형”의 탱크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냉각기 20: 액적제거장치
30: 제1저용량 압축기 40: 재응축기
50: 보조저장탱크 60: 보조펌프
65: 공급제어부 70: 제2저용량 압축기
80: 증발가스히터 90: 증발가스 처리부

Claims (13)

  1. 급유선박의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는 재응축기;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보조저장탱크; 및
    상기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보조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 및 상기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제공하기 위한 공급관이 마련된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응축기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에 상기 저장탱크의 액화연료가스를 분사시켜 상기 증발가스를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보조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재액화된 증발가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부족분을 보충시키기 위해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급유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공급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전냉각기와,
    상기 냉각된 증발가스로부터 액적을 제거하는 액적제거장치와,
    상기 액적이 제거된 증발가스를 1차 압축하는 제1저용량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 중 일부는 증발가스 처리부로 공급하고, 잉여 증발가스는 상기 재응축기로 공급하는 제1분기관이 마련되고,
    상기 재응축기는
    상기 잉여증발가스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하여 재액화시키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분기시켜 상기 재응축기 및 상기 전냉각기로 각각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분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로 공급되는 상기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를 2차 압축하는 제2저용량 압축기와,
    상기 2차 압축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로 상승시키는 증발가스히터를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상기 제2저용량 압축기로 공급될 경우, 상기 제2저용량 압축기는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로 공급되는 상기 1차 압축이 이루어진 증발가스와 상기 보조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증발가스를 혼소시켜 압축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는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소비하는 상기 급유선박의 엔진 발전기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처리부는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기와,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상기 급유선박의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회수관이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한 증발가스 중 상기 저장탱크의 압력보상에 필요한 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 회수관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고, 잉여증발가스는 상기 제1분기관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제2분기관이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KR1020120020330A 2012-02-28 2012-02-28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KR10134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30A KR101347354B1 (ko) 2012-02-28 2012-02-28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30A KR101347354B1 (ko) 2012-02-28 2012-02-28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44A KR20130098644A (ko) 2013-09-05
KR101347354B1 true KR101347354B1 (ko) 2014-01-10

Family

ID=4945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330A KR101347354B1 (ko) 2012-02-28 2012-02-28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21A (ko) * 2017-12-27 2019-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증발가스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069B1 (ko) * 2015-05-21 2021-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00084799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비냉각수단을 구비한 선박의 이중연료 엔진 연료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99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비냉각수단을 구비한 선박의 이중연료 엔진 연료공급장치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21A (ko) * 2017-12-27 2019-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102010884B1 (ko) 2017-12-27 2019-08-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증발가스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44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790B1 (ko) 벙커링 선박
KR20190105841A (ko) Lpg 연료 선박 및 lpg 연료 선박의 연료 공급 방법
KR102424981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101577795B1 (ko) 고압가스 분사엔진과 저압가스 분사엔진을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시스템
KR20160088183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2120555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027530B1 (ko)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연료 공급시스템
KR101280893B1 (ko) Lng공급장치
KR101347354B1 (ko)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KR20170031429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090018500A (ko) 엘엔지/엘피지 복합 운반선의 증발가스 재활용 장치
KR101788749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397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81716B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6945A (ko) 고압가스 분사엔진과 저압가스 분사엔진을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시스템
KR101644389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50086643A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04660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601315B1 (ko) 재기화 선박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686508B1 (ko)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KR102111202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1867030B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0190A (ko) 가압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액화가스 추진선박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KR101867029B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711966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