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247B1 -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247B1
KR101347247B1 KR1020120008014A KR20120008014A KR101347247B1 KR 101347247 B1 KR101347247 B1 KR 101347247B1 KR 1020120008014 A KR1020120008014 A KR 1020120008014A KR 20120008014 A KR20120008014 A KR 20120008014A KR 101347247 B1 KR101347247 B1 KR 10134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data service
terminal device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899A (ko
Inventor
나민수
김병철
조성호
박진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2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가 요청되어 CS Fallback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에 대하여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한 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가 요청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는,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CONTROL APPARATUS FOR HETEROGENEOUS NETWORK AN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가 요청되어 CS Fallback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에 대하여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한 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동시 수행에 따른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과,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와 함께, LTE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LTE 단말)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LTE 단말은 LTE 망 뿐 아니라 기존의 망(WCDMA)으로의 접속 및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이에, 현재 LTE 단말은, WCDMA 망 및 LTE 망이 오버레이(Overlay)되는 지역에서 데이터 서비스 이용 시 LTE 망에 접속하여 보다 빠른 속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LTE 단말은, 전술과 같이 LTE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하는 중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에 의해 LTE 망에서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되어 WCDMA 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LTE 단말이 CSFB 기능에 의해 WCDMA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 후 WCDMA 망을 통한 음성 서비스를 위해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WCDMA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현재 방식에서는, CSFB 기능에 의한 WCDMA 망으로의 접속 전환 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음성호 연결이 지연되거나 또는 음성호 연결 성공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측면에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동시 수행에 따른 기존의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하며,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 측면에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동시 수행에 따른 기존의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는,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등록요청수신부;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등록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등록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접속전환수행부;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하는 음성호연결수행부; 및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위치등록수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중인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등록요청 수신단계;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등록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등록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접속전환 수행단계;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하는 음성호연결 수행단계; 및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위치등록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가 요청되어 CS Fallback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에 대하여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한 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동시 수행에 따른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가 포함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SFB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전환 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SFB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전환 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가 포함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네트워크(100), 제2네트워크(200), 단말장치(300),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네트워크(100)는 음성 서비스 예컨대 CS(Circuit Switched) 및 데이터 서비스 예컨대 PS(Packet Switched)를 지원하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WCDMA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네트워크(200)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LTE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장치(30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LTE 단말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WCDMA 망 즉 제1네트워크(100)와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말장치(30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에 의해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다.
여기서, CS Fallback이란, LTE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셀 영역 내에서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이 CS(Circuit Switched) 영역의 네트워크 즉 WCDMA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셀 영역으로 접속 전환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특정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특정 단말장치(300)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 경우,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제1네트워크(100)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네1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다양한 코어망 장비(예 : MSC, SGSN 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장치(300)가 음성 서비스 요청에 따른 CSFB 기능에 의해 타 네트워크로부터 현재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되는 경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 수행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존의 추가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즉 전술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측면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30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즉 전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는 경우,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에 의해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다.
이에, 단말장치(300)는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게 되고, 제1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즉, 단말장치(3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면, 음성호 연결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에 요청하고, 이와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할 것이다. 이는 기존 단말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에,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 간의 기존과 동일한 음성호 연결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음성호 연결이 수행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300)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300)가 제2네트워크(200) 즉 LTE 망으로부터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에,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이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단말장치(300)에 대한 음성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 코어 망 장비(예 : MSC)와의 연동을 통해 확인/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한다.
즉,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전술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제1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코어망 장비, 특히 SGSN에 포함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함으로써, 대응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제1네트워크(100) 상에 별도 장치로 위치하는 경우,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코어망 장비(예 : SGSN)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무시하도록 코어망 장비(예 : SGSN)에 명령함으로써, 대응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1네트워크(100)에서는, CSFB에 의해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에 대응하는 음성호 연결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기 전까지, 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이 후,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된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일정 시간(예 : 15초)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다시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재시도할 것이다.
이 경우,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고, 이에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에 대하여, 네트워크 측면에서 음성호 연결을 선 수행하고 음성호 연결이 완료되면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동시에 수행함 따른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CSFB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의 동작에는 기존과 변경이 없고,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를 네트워크 상에 구비하여 네트워크 측면에서 단말장치(300) 대응 음성호 연결 선 수행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후 수행을 제어함으로써, 기존에 보급된 상용 단말장치의 변경 없이도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즉 전술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말장치 측면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네트워크 상에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역시 참조번호 300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30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즉 전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는 경우,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에 의해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다.
이에, 단말장치(300)는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게 되고, 제1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면, 음성호 연결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에 요청한다.
이때, 단말장치(300)는, 기존에는 음성호 연결 수행과 동시에 수행하던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지 않고 대기한다.
이에,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 간의 기존과 동일한 음성호 연결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음성호 연결이 수행될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3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수행을 대기하다가,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 간의 기존과 동일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이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에 대하여, 단말장치 측면에서 음성호 연결을 선 수행하고 음성호 연결이 완료되면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동시에 수행함 따른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별도 장치를 추가 구비하지 않고, CSFB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의 동작 측면에서 음성호 연결 선 수행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후 수행을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네트워크에 별도/예외 경우(Case) 없이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 즉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등록요청수신부(410)와,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 경우,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420)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등록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위치등록요청수신부(410)는, 특정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판단부(420)는, 단말장치(300)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 경우,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42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300)가 제2네트워크(200) 즉 LTE 망으로부터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에 판단부(420)는, 단말장치(300)가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 경우,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판단부(420)가 단말장치(300)에 대한 음성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 망 장비(예 : MSC)와의 연동을 통해 확인/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등록제어부(430)는, 판단부(420)의 판단 결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한다.
즉, 위치등록제어부(43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로부터 금번 수신한 전술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제1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코어망 장비, 특히 SGSN에 포함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위치등록제어부(43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함으로써, 대응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제1네트워크(100) 상에 별도 장치로 위치하는 경우, 위치등록제어부(43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코어망 장비(예 : SGSN)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무시하도록 코어망 장비(예 : SGSN)에 명령함으로써, 대응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1네트워크(100)에서는, CSFB에 의해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에 대응하는 음성호 연결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기 전까지, 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위치등록제어부(430)는, 판단부(420)의 판단 결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된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일정 시간(예 : 15초)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다시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재시도할 것이다.
이 경우, 판단부(420)에서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고, 이에 위치등록제어부(43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 즉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는,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접속전환수행부(310)와,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는 음성호연결수행부(320)와,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위치등록수행부(330)를 포함한다.
접속전환수행부(310)는,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한다.
즉, 접속전환수행부(31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즉 전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는 경우, CSFB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접속전환수행부(310)의 네트워크 접속 전환 방식은, 기존의 CSFB 기능에 의해 접속 전환, 핸드오버, 천이 등의 여러 형태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음성호연결수행부(320)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음성호연결수행부(32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면, 음성호 연결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에 요청하여 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음성호연결수행부(320)에 의해,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 간의 기존과 동일한 음성호 연결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음성호 연결이 수행될 것이다.
위치등록수행부(330)는,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위치등록수행부(330)는, 기존에는 음성호연결수행부(320)의 음성호 연결 수행과 동시에 수행하던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즉, 위치등록수행부(330)는,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지 않고 대기한다.
그리고 위치등록수행부(33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수행을 대기하다가,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위치등록수행부(330)에 의해,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 간의 기존과 동일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이 수행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SFB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전환 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30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즉 전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는 경우,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에 의해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다(S10).
이에, 단말장치(300)는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의 UTRAN(110)에 접속하게 되고(S20), 제1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즉, 단말장치(3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면, 음성호 연결을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에 요청하고(S30), 이와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할 것이다(S35). 이는 기존 단말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300)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300)가 제2네트워크(200) 즉 LTE 망으로부터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에,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이라고 판단되면(S40),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한다(S50).
즉,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전술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술의 S30단계에 따른 단말장치(300)로부터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 및 단말장치(300) 간의 기존과 동일한 음성호 연결 절차가 이루어져(S60),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음성호 연결이 수행될 것이다.
이에, 제1네트워크(100)에서는, CSFB에 의해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에 대응하는 음성호 연결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기 전까지, 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이 후,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된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일정 시간(예 : 15초)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재시도하여(S70),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다시 요청할 것이다(S80).
이 경우,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는,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고, 이에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S9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SFB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전환 시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300)는,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즉 전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는 경우,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에 의해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다(S110).
이에, 단말장치(300)는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의 UTRAN(110)에 접속하게 되고(S120), 제1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면, 음성호 연결을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에 요청한다(S130).
이때, 단말장치(300)는, 기존에는 음성호 연결 수행과 동시에 수행하던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지 않고 대기한다.
이에 전술의 S130단계에 따른 단말장치(300)로부터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 및 단말장치(300) 간의 기존과 동일한 음성호 연결 절차가 이루어져(S140),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음성호 연결이 수행될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300)는,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수행을 대기하다가,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여(S150)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전술의 S150단계에 따른 단말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망(120) 내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 및 단말장치(300) 간의 기존과 동일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이루어져(S160),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이 수행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다(S200).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가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 경우,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300)가 제2네트워크(200) 즉 LTE 망으로부터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S2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가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인 경우,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에 대한 음성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 제1네트워크(100)의 코어 망 장비(예 : MSC)와의 연동을 통해 이를 확인/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판단 결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한다(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로부터 금번 수신한 전술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제1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코어망 장비, 특히 SGSN에 포함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함으로써, 대응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400)가 제1네트워크(100) 상에 별도 장치로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장치(300)가 음성호 연결 요청과 동시에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코어망 장비(예 : SGSN)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무시하도록 코어망 장비(예 : SGSN)에 명령함으로써, 대응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1네트워크(100)에서는, CSFB에 의해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300)에 대응하는 음성호 연결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기 전까지, 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S210단계의 판단 결과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가 아니거나, S220단계의 판단 결과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단말장치(30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S240).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에 의해 S230단계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이 처리되지 않은 단말장치(300)가 자신이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일정 시간(예 : 15초)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다시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재시도할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은, S220단계에서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고, 이에 단말장치(300)에 대응하여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24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한다S30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LTE 망 즉 제2네트워크(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예 : 통화)가 요청되면 즉 전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는 경우, CSFB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2네트워크(200)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으로 접속 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의 네트워크 접속 전환 방식은, 기존의 CSFB 기능에 의해 접속 전환, 핸드오버, 천이 등의 여러 형태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한다(S31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 즉 WCDMA 망에 접속하면, 음성호 연결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에 요청하여 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MSC) 간의 기존과 동일한 음성호 연결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음성호 연결이 수행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존에는 음성호 연결 수행과 동시에 수행하던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지 않고 대기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CSFB 기능에 의해 지정된 제1네트워크(100)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음성호 연결이 수행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320), 음성호 연결이 수행 완료된 이후,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33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호 연결 절차가 진행중이거나 혹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수행을 대기하다가,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을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에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300) 및 단말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1네트워크(100)의 해당 코어 망 장비(예 : SGSN) 간의 기존과 동일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가 이루어져, 제1네트워크(100)에서 단말장치(300)의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이 수행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가 요청되어 CS Fallback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에 대하여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한 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동시 수행에 따른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가 요청되어 CS Fallback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전환된 단말장치에 대하여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한 후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음성호 연결 및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 동시 수행에 따른 음성호 연결 지연 및 성공률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제1네트워크 200 : 제2네트워크
300 : 단말장치
400 :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Claims (8)

  1.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상기 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등록요청수신부;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등록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4.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접속전환수행부;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하는 음성호연결수행부; 및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위치등록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중인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상기 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현재 네트워크로 접속 전환된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등록요청 수신단계;
    상기 특정 단말장치가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미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등록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호 연결이 수행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 방법.
  8. 음성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접속전환 수행단계;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을 먼저 수행하는 음성호연결 수행단계; 및
    상기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호 연결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위치등록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08014A 2012-01-26 2012-01-26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KR10134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014A KR101347247B1 (ko) 2012-01-26 2012-01-26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014A KR101347247B1 (ko) 2012-01-26 2012-01-26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99A KR20130086899A (ko) 2013-08-05
KR101347247B1 true KR101347247B1 (ko) 2014-01-16

Family

ID=4921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014A KR101347247B1 (ko) 2012-01-26 2012-01-26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2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689A2 (en) 2009-04-14 2010-10-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s
KR20110035529A (ko) * 2009-09-30 2011-04-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WO2011163408A1 (en) 2010-06-22 2011-12-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call setup d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689A2 (en) 2009-04-14 2010-10-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s
KR20110035529A (ko) * 2009-09-30 2011-04-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WO2011163408A1 (en) 2010-06-22 2011-12-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call setup d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nimising Location Updates during CS Fall Back(3GPP TSG SA WG2 Meeting #77, TD S2-100550, 2010.01.12.) *
Minimising Location Updates during CS Fall Back(3GPP TSG SA WG2 Meeting #77, TD S2-100550, 2010.0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99A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29462B (zh) 用于双活跃连接切换的方法和设备
KR10200884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선택 장치 및 방법
US8565189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witching center, and radio base station
EP2959720B1 (en) Facilitating return to a first wireless network from a second wireless network after performance of a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US20130017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s
US9445310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07277868B (zh) 一种电路域回退方法和设备
RU2677614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услуг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JP2011061826A (ja) 周波数層分散
US99740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 and terminal having the system
WO2016169103A1 (zh) 一种网络切换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0827393B2 (en) Voice call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3057359A1 (en)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EP3188541B1 (en) Circuit-switching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CN108064463B (zh) 一种csfb的回落结果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3415028B (zh) 业务发起提示方法和网元设备
CN111918272B (zh) 终端回落控制方法及装置
JP2010268249A (ja) 移動端末及び方法
KR101347247B1 (ko) 이기종 망 환경의 제어장치 및 단말장치
EP2858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voice service fallback
AU2011290144A1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device, and network apparatus
KR101327165B1 (ko) 이기종 망간 데이터 트래픽 접속 제어장치 및 이기종 망간 데이터 트래픽 접속 제어 방법
JP5953171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93364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EP3370475B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leasing pdn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