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304B1 -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 Google Patents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304B1
KR101346304B1 KR1020120040693A KR20120040693A KR101346304B1 KR 101346304 B1 KR101346304 B1 KR 101346304B1 KR 1020120040693 A KR1020120040693 A KR 1020120040693A KR 20120040693 A KR20120040693 A KR 20120040693A KR 101346304 B1 KR101346304 B1 KR 10134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light source
fixed
heigh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7940A (en
Inventor
황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코스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코스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코스라이트
Priority to KR102012004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304B1/en
Publication of KR2013011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건물의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등기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이 고정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투광판이 안치되는 하부몸체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간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등기구의 광원에 대하여 상,하로 자유로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실내 공간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자 편의에 따라 광원의 높이 조절을 통해 최적의 광량 및 조명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광원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한 것이며, 외관상으로도 광원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드러나지 아니하므로 각종 등기구의 미려한 외장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inaire fixed to the indoor ceiling of a variety of buildings, and in more detail formed into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which the light source is fixed to the light source is fixe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inserted into each other 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ascension and lift between each other in a state, by configur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adjusted to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As the height of the light is fixed freely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of the luminaire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optimal light quantity and lighting stat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indoor space or the user's convenience.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can be made simple and convenient, so the convenience in use is excellent, and since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is not revealed in appearance, it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beautiful exterior of various lighting fixtures intact.

Description

광원이 승강되게 한 등기구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Luminaires causing the light source to be raised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본 발명은 다양한 건물의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등기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기구의 본체를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분 형성하고, 상부몸체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을 설치하고 하부몸체에는 투광판을 형성하되, 상기의 상부몸체가 하부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광원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더욱 합리적인 형태의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inaire fixed to the indoor ceiling of a variety of buildings,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of the luminaire is formed into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is installed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and the lower body of the floodlight plate To form, but the upper body relates to a luminaire to enable a more reasonable form of illumination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ight source by allowing the upper body to be fixed fixed up and down from the lower body.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가정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등기구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또는 학교나 관공서 등의 건물 내에도 실내의 우수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등기구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다.In general, luminaires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are essential in homes such as single-family houses or multi-unit houses, and various types of luminaires for securing excellent illuminance of indoors are also required in buildings such as offices, officetels, schools and government offices. It must be equipped.

이와 같은 등기구는 대부분 실내의 천장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방법에 따라 천장 직착등과 천장 매입등 및 천장 매다는 등으로 구분될 것이고, 램프의 종류에 따라 형광등과 백열등 및 엘이디등으로 구분되는 것이다.Most of these lighting fixtures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of the room.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the lamps may be classified into a direct ceiling lamp, a ceiling lamp, a ceiling lamp, and the like. .

여기서, 상기와 같은 천장용 조명등은 가장 보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고정본체의 내측에 램프와 소켓 및 안정기 등을 내장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정본체의 저면에는 유백색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된 투광판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Here, the ceiling lamp as described above is most commonly installed inside the fixed body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in a round or square shape, the lamp and the socket and ballasts are installed inside, the bottom of the fixed body is a milky white synthetic resin It is composed by combining a light transmitting plate made of glass.

이에 따라, 상기의 고정본체 내부에 결합된 램프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면 상기 램프의 점등 빛은 하측의 투광판을 통해 투과 및 확산되면서 실내 전체를 고르게 조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lamp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main body, the lighting light of the lamp transmits and diffuses through the floodlight plate on the lower side, thereby serving to uniformly illuminate the entire room.

상기와 같은 천장용 등기구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 고정본체와 조명커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본 구조의 등기구는 가장 효율적인 제작성과 생산성을 제공하면서도, 대량 생산을 통한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하므로 대부분의 천장용 조명등은 상기와 같은 구조와 형태 및 작용을 갖고 있게 된다.The ceiling luminair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xed body and a lighting cover, which is the most basic structure, and the luminaire of such a basic structure provides the most efficient production and productivity, while creating economic effects through mass production. Ceiling light of the will have the same structure, form and action as above.

또한, 상기와 같은 천장용 등기구에 있어 천장 마감부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용 등기구 역시 고정본체와 조명커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징적으로는 상기의 고정본체를 천장 마감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탄력지지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정본체와 조명커버로 이루어진 천장용 매립 등기구는 등록특허 10-1136048호와 같이 조명커버에 결합되는 탄지수단이 상기 고정본체에 체결되게 함에 따라 이들 고정본체와 조명커버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출된 바 있다.
In addition, in the ceiling luminaires as described above, the embedded luminaire which is installed in the ceiling finishing part is also general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fixed body and the ligh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body can be fixed to the ceiling finish. It is common for the various types of resilient supports to be combined.
In particular, the ceiling-embedded luminaire made of the fixed body and the light cover as described above, such that the fixing means coupled to the light cover is fastened to the fixed body as shown in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1136048. It has been devised to allow for coupling and separ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통의 등기구는 천장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조명본체 내에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광원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such a common luminai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because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are fixed in the lighting body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the ceiling.

즉, 천장의 높이가 높은 실내에서는 광원이 낮아야 실내 전체를 밝게 조명하는데에 이로울 것이고, 천장의 높이가 낮은 실내에서는 광원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실내 전체를 고르게 조명할 수 있을 것인데, 기존의 각종 등기구는 광원의 높이가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천장의 높낮이 차에 따라 실내의 밝기도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room with a high ceiling, the light source should be low to illuminate the entire room brightly.In a room with a low ceiling, the light source should be relatively high to illuminate the entire room evenly. Since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ceiling, the brightness of the room varies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eiling.

또한, 실내 사용 목적 또는 사용자의 개인적 성향이나 취향에 따라 좀 더 밝은 조명등을 원하거나 조금 어두운 상태의 조명등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 기존의 등기구는 조명등의 밝기에 대한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부득이하게 다수의 램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램프를 제거하는 형태로 조명등의 밝기를 조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램프의 제거에 따라 조명등의 밝기 차이가 너무 극심하여 실질적으로 밝기의 조절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는 수준이고, 엘이디를 광원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부분적으로 광원을 강제 소등시킬 수도 없어 다양한 형태의 소비자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ndoor use or the user's personal preference or taste, there may be cases where you want a brighter light or a slightly darker light. In such a case, the existing light fixtures cannot be adjusted for the brightness of the light. The brightness of the lamp is controlled by removing one or more of the lamps. In this case, however, the brightness of the lamp is too severe to remove the lamp. In the case of applying the LED as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annot be partially forcibly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and thus it has a closed condition that cannot satisfy the desire for various types of consumers.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광원이 고정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투광판이 안치되는 하부몸체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간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source is fixed to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formed by placing the floodlight plate is forme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mutually inserted up and down each other in the inserted state By making it possible, by configur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adjusted to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광원이 내장된 상부몸체가 하부몸체로부터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실내를 향한 광원의 높이가 가변되므로 실내 조명에 대한 밝기의 조절이 가능하여 실내 공간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장 최적의 조명 및 밝기 상태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광원이 승강되게 한 등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As the upper body with the built-in light source moves up and down from the lower body,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toward the room is variable,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indoor light can be adjust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uminaire allowing a light source having a feature to produce a brightness state is elev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광원이 고정 설치되게 한 상부몸체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투광판이 위치되게 한 하부몸체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구성하되,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 lower body is open and the lower body is fixed to the light source installed inward, and the upper body is open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plate is located inward, respectivel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height,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은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호 간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하 승강을 통해 높이 조절된 상기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높이 조절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to make the upper and lower lifts between each other, a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hich is height-adjusted through the vertical lift,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state is fixed through separate fixing means. It is made up.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등기구의 광원에 대하여 상,하로 자유로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실내 공간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자 편의에 따라 광원의 높이 조절을 통해 최적의 광량 및 조명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광원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한 것이며, 외관상으로도 광원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드러나지 아니하므로 각종 등기구의 미려한 외장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freely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of the luminaire fixed to the ceiling, so that the optimum amount of light and lighting conditions can be produc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r user convenience of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since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can be made simple and convenient, the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and since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is not revealed in appearance, it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beautiful exterior of various luminaires inta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광원 하강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높이조절부에 대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높이조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높이조절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ight source falling state diagram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분리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로 분리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상부몸체(10) 내부에는 광원(20)이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몸체(40)의 하측에는 반투명 유백색의 투광판(30)이 안치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the light source 20 is fixedly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lucent milky light-transmitting plate 30 is placed.

여기서, 상기의 상부몸체(10)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측 선단으로 별도의 광원(20)을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광원(2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할로겐 램프 또는 백열등이나 엘이디 광원판 등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upper body 10 has a form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 and can separate and fix a separate light source 20 to the inner end through the open lower part. The light source 20 is generally As a widely used fluorescent or halogen lamp or incandescent lamp or LED light source plate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또한, 상기의 하부몸체(40)는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별도의 투광판(30)을 내측으로 안치시키면 상기의 투광판(30)이 하부몸체(40)의 관통된 중앙부를 통해 실내로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의 투광판(30)에 의해 점등 상태인 광원(20)의 빛을 실내로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40 has a frame structure with an upper portion open, and when the separate floodlight plate 30 is placed inward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the floodlight plate 30 is lower body 40. It is exposed to the room through the penetrating central portion of the), it is possible to evenly diffus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20 in the lighting state by the floodlight plate 30 to the room.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의 상부몸체(10)를 하부몸체(4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4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4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50)을 적용함에 따라 하부몸체(40)로부터 높이 조절된 상태의 상부몸체(10)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body 1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side of the lower body 40 as a preferred embodiment so that the upper body 10 can be lif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from the lower body 40. The position of the upper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height is adjusted from the lower body 40 by applying a separate fixing means 50 that can fix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to each other It was made to be possible.

즉, 하부몸체(40)의 측부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의 나사공(41)을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41)에는 하부몸체(40)의 외측으로부터 별도의 고정볼트(51)를 나사 결합함에 따라, 하부몸체(40)의 상측으로부터 상부몸체(10)의 하단을 끼워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볼트(51)를 조이게 되면 고정볼트(51)의 끝단부가 상부몸체(10)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는 상호 간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t least two or more screw holes 41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body 4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xing holes 51 are screwed to the screw holes 41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40. By combining, when the fixing bolt 51 is tightened while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40, the end of the fixing bolt 51 is the side of the upper body 10. Since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will eventually be a firm fixed state between each other can be mad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등기구를 도 3의 도시와 같이 천장 마감부를 이용하여 매입 설치하는 경우 하부몸체(40)의 측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탄력지지구(60)(60')를 통해 하부몸체(40)가 천장 마감부에 고정 설치되게 하고, 하부몸체(40)의 상측으로부터 상부몸체(10)의 하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수단(50) 즉, 고정볼트(51)를 조여 상부몸체(10)에 대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천장 매입등에 대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lumina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by using the ceiling finishing part as shown in FIG. 3, a separate resilient support (60, 60 ′)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body (40). Through the lower body 40 is fixed to the ceiling finishing portion through, and in the state of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40, a separate fixing means 50, that is, fixing bolts 51 Tighten) to make a fixed installation for the upper body 10 is mad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eiling.

또한, 상기와 같은 등기구의 설치 상태에서 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수단(50)인 고정볼트(51)를 풀어 하부몸체(40)로부터 상부몸체(10)가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게 하면 상부몸체(10)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광원(20)이 상부몸체(10)와 함께 상,하로 승강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광원(20)이 실내를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그에 따른 조명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uminaire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olt 51 which is the fixing means 50 located on the side is released, and the upper body 1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s shown in FIG. 4 from the lower body 40. If it is to be elevated, the light source 20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body 10 will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upper body 10, so that the light source 20 ascends or descends toward the room accordingly. Lighting effect.

특히, 상기의 상부몸체(10)에 적용되는 광원(20)을 엘이디 광원판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엘이디 광원판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에 대한 방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이때에는 상부몸체(10) 전체를 알루미늄 성형물로 제작하고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체에는 비교적 얇고 가는 형태의 방열핀(11)(11')을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부몸체(10)의 내측 선단에 밀착되어 있는 엘이디 방열판의 열기가 외부로 빠르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light source 20 applied to the upper body 10 is applied to the LED light source plate heat radiation to the heat of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by the LED light source plate should be made at this time the entire upper body 10 The heat dissipation of the LED heat sink, which is made of an aluminum molding and adheres to the inner end of the upper body 10 by repeatedly forming the relatively thin and thin heat dissipating fins 11 and 11 ′ over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10. Is to be released to the outside quickly.

이와 같은 등기구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정사각이나 직사각 형태의 등기구로도 제작할 수 있을 것이고, 몸체 및 광원을 고정하기 위한 대상물의 변경에 따라 천장 매입등은 물론 천장 직착등이나 천장 매다는 등의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Such a luminaire may be manufactured as a square or rectangular luminaire as shown in FIG. 5, and in the form of a ceiling directing lamp or a ceiling hanging lamp as well as a ceiling purchase lamp according to a change of an object for fixing a body and a light source. May also be applicable.

특히,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 간의 고정수단(50)은 전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데, 도 6의 도시와 같이 하부몸체(40)의 측부에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관통공(42)을 횡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42)과 대응하는 상부몸체(10)의 측부에는 상,하로 반복하여 나열된 결합나사공(12)(12')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관통공(42)으로 삽입되는 별도의 고정볼트(51)가 상부몸체(10)에 형성된 결합나사공(12)(12')으로 체결되게 하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fixing means 50 between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6 at least two on the side of the lower body 40 In forming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42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orming the coupling screw holes 12, 12 'arranged up and down repeatedly on the side of the upper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2. Accordingly, when the additional fixing bolt 5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 is fastened to the coupling screw holes 12 and 12 'formed in the upper body 10,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Combination fixation can be made.

즉, 상기의 고정볼트(51)를 풀어낸 상태에서 상부몸체(10)를 하부몸체(40)로부터 상,하로 승강시킨 상태에서 관통공(42)을 통해 상부몸체(10)의 결합나사공(12)(12')으로 고정볼트(51)를 나사 결합하면 상부몸체(10) 즉, 광원(20)에 대한 간편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upling screw hole of the upper body 10 through the through hole 42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10 is lifted up and down from the lower body 4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olt 51 is released. 12) (12 ') by screwing the fixing bolt 51 to the upper body 10, that is, a simple height adjustment for the light source 20 can be made.

또한, 고정수단(5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부몸체(10)의 측부에는 절개선(13)을 통해 외향 절곡된 탄지부(14)를 형성하고, 상기 탄지부(14)와 대응하는 하부몸체(40)의 측부에는 상,하로 반복 형성된 탄지공(43)(43')을 형성함에 따라 고정 상태인 하부몸체(40)의 상측으로부터 상부몸체(1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상부몸체(10)의 탄지부(14)가 하부몸체(40)의 내면과 간섭하여 내측으로 절곡되었다가 탄지공(43)(43')에 이르러 본래의 형태로 외향 돌출되면서 상호 간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인위적인 힘을 상향 인출 또는 하향 가압의 형태로 상부몸체(10)에 적용함에 따라 상부몸체(10)는 보다 간편하게 상,하로의 승강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50 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body 10 through the incision line 13, the outwardly bent carbonaceous portion 14, 14, the upper body 10 is downwardly press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40 in a fixed state by forming the ball holes 43 and 43 'repeatedly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body 4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stop portion 14 of the upper body 10 is bent inward by interfer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40 and reaches the tangy ball (43, 43 ') to protrude outward in its original form to fix each other This can be done, and by applying the artificial force to the upper body 10 in the form of upward withdrawal or downward pressurization, the upper body 10 can be easily lifted and fixed up and down.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부몸체(10)의 측부에는 횡방향의 슬릿공(15)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공(15)과 대응하는 하부몸체(40)의 측부에는 수직의 승강공(45)과 그 승강공(45)의 일측으로 편향 형성된 상,하 반복의 삽입홈(44)(44')을 형성하되, 상기의 슬릿공(15)과 승강공(45)으로는 별도의 멈춤핀(52)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멈춤핀(52)을 승강공(45)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40)로부터 자유로운 상,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될 것이고, 상부몸체(10)에 대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의 멈춤핀(52)을 슬릿공(15)을 따라 선택된 하나의 삽입홈(44)(44')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의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40)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 상태가 되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a slit hole 15 in a later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upper body 10, and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lower body 40 corresponding to the slit hole 15. To form the lifting hole 45 and the upper and lower repeating grooves 44, 44 'formed to be deflect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hole 45, the slit hole 15 and the lifting hole 45 By allowing the separate stop pin 52 to be inserted, when the stop pin 52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lifting hole 45, the upper body 10 is freely lifted up and down from the lower body 40. It will be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the stop pin 52 in the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for the upper body 10 is made in the selected insertion grooves 44 and 44 'along the slit hole 15. When the upper body 10 is to be in a fixed state that does not rise or fall from the lower body 40.

이에 따라 상기의 상부몸체(10)를 하부몸체(40)로부터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의 멈춤핀(52)이 승강공(45)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부몸체(10)에 대한 높이 조절을 수행하고 높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승강공(45) 내의 멈춤핀(52)을 해당 높이의 삽입홈(44)(44')으로 밀어넣게 되면 높이 조절된 상태의 상부몸체(10)는 고정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10 is slightly lifted from the lower body 40, the stop pin 52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lifting hole 45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10. When the stop pin 52 in the lifting hole 45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44 and 44 'of the corresponding height in the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for the height is made, the upper body 10 in the height-adjusted state is fixed. The state can be mad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천장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살치 상태에서 광원(20)의 높낮이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광량 및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bu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with respect to the ceiling. The amount of light and lighting effects can be produced.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10 : 상부몸체 11,11' : 방열핀
12,12' : 결합나사공 13 : 절개선
14 : 탄지부 15 : 슬릿공
20 : 광원
30 : 투광판
40 : 하부몸체 41 : 나사공
42 : 관통공 43,43' : 탄지공
44,44' : 삽입홈 45 : 승강공
50 : 고정수단 51 : 고정볼트
52 : 멈춤핀
10: upper body 11,11 ': heat radiation fin
12,12 ': Coupling thread 13: Incision
14: bullet hole 15: slit ball
20: light source
30: floodlight plate
40: lower body 41: screw hole
42: through hole 43,43 ': bullet hole
44,44 ': Insertion groove 45: Elevator
50: fixing means 51: fixing bolt
52: stop pin

Claims (7)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광원(20)이 고정 설치되게 한 상부몸체(10)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투광판(30)이 위치되게 한 하부몸체(40)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공지의 등기구에 있어서,
상부몸체(10)는 선단에 방열핀(11)(11')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된 알루미늄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상부몸체(10)의 하부 내측으로는 엘이디에 의한 광원(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와 같은 상부몸체(10)의 하단은 하부몸체(40)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호 간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하 승강을 통해 높이 조절된 상기의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는 별도의 고정수단(50)을 통해 높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되,
상기의 고정수단(50)은 상부몸체(10)의 측부에 횡방향으로의 슬릿공(15)을 형성하고 하부몸체(40)의 측부에는 일측 편향의 삽입홈(44)(44')이 상,하로 반복 형성된 승강공(45)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공(15)과 승강공(45)을 관통하는 별도의 멈춤핀(52)을 삽입 형성하여,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의 상,하 높이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멈춤핀(52)을 슬릿공(15)을 따라 선택된 하나의 삽입홈(44)(44')으로 이동시켜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4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이 승강되게 한 등기구.
The upper body 10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10 to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to fix the light source 20 inwardly, and a lower body 40 to which the upper part is open to position the floodlight plate 30 inward. In the known luminaire to the 10 and the lower body 40 is adjusted up and down,
The upper body 10 is made of an aluminum molded body formed by repeatedly radiating fins 11, 11 ′ protruded at the front end, and the light source 20 by LEDs is fixed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10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4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ifts are made to each other, and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height adjusted by the vertical lift) 4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height adjustment state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50,
The fixing means 50 forms a slit hole 1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upper body 10, and the insertion grooves 44, 44 'of one side deflection are on the side of the lower body 40. , Forming a lifting hole 45 repeatedly formed below, and inserting a separate stop pin 52 penetrating through the slit hole 15 and the lifting hole 45,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40 The upper and lower bodies 40 by moving the stop pin 52 along one of the insertion grooves 44 and 44 'selected along the slit hole 15 in the stat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luminaire to which the light source is lifte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ix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40693A 2012-04-19 2012-04-19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KR101346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693A KR101346304B1 (en) 2012-04-19 2012-04-19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693A KR101346304B1 (en) 2012-04-19 2012-04-19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40A KR20130117940A (en) 2013-10-29
KR101346304B1 true KR101346304B1 (en) 2014-02-12

Family

ID=4963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693A KR101346304B1 (en) 2012-04-19 2012-04-19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3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33B1 (en) 2016-05-16 2016-09-30 (주)태양이엔시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illumination efficiency for apar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98Y1 (en) * 2018-02-12 2019-06-12 경기도(군자공업고등학교장) Sculpture with function such as mood lighting
WO2024017705A1 (en) * 2022-07-22 2024-01-25 Signify Holding B.V. Depth control systems for recessed luminai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416A (en) * 1993-05-17 1995-02-07 Tec Corp Luminaire
KR200382407Y1 (en) 2005-01-24 2005-04-20 황윤규 Angle changable type sensor device for energy savimg fluorescent lamp builted in sensor
KR101136048B1 (en) 2010-10-19 2012-04-18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Led ceiling downlingt with effective heat dissipation
KR200462519Y1 (en) 2010-09-16 2012-09-13 한솔테크닉스(주) Advanced LED light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416A (en) * 1993-05-17 1995-02-07 Tec Corp Luminaire
KR200382407Y1 (en) 2005-01-24 2005-04-20 황윤규 Angle changable type sensor device for energy savimg fluorescent lamp builted in sensor
KR200462519Y1 (en) 2010-09-16 2012-09-13 한솔테크닉스(주) Advanced LED lightting apparatus
KR101136048B1 (en) 2010-10-19 2012-04-18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Led ceiling downlingt with effective heat dissip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33B1 (en) 2016-05-16 2016-09-30 (주)태양이엔시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illumination efficiency for a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40A (en)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232B1 (en) Led lamp for underground parking lot
USD869082S1 (en) Lighting fixture
KR101680083B1 (en) LED ceiling lights
KR101425014B1 (en) LED lighting
CA2906013C (en) Led architectural luminair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KR101089055B1 (en) Suspending lamp for ceiling improved in assembly structure
CN103883952A (en) Ceiling lamp with light adjustable
KR101346304B1 (en) The lamp height-adjustable lighting
KR102078681B1 (en) Rectangular Ceiling Recessed Lights
KR200413753Y1 (en) Ceiling light
KR101436368B1 (en) Ceiling light
KR101777162B1 (en) Ceiling lights
KR101436370B1 (en) Ceiling light
KR20170003299U (en) Mounting brackets for ceiling luminaires
KR101046600B1 (en) Space-saving led sensor lamp
KR101260449B1 (en) Recessed ceiling lamp having ornamental part of protruding led
KR101037404B1 (en) Led lamp for ceiling having extruded body capable of variable installation
KR20110132653A (en) Indirect lighting-fixture which applies led-bar
KR101302656B1 (en) Lighting for cover
KR101436366B1 (en) Ceiling light
CN210462734U (en) Adjustable down lamp
KR101562231B1 (en) Ceiling light
KR101896625B1 (en) Ceiling embedded lights with rotation and angle control structure
KR20190002915U (en) light lamp for ceiling
KR101221654B1 (en) Ceil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