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219B1 - Air cleaner device for tunnel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evice for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219B1
KR101346219B1 KR1020130070413A KR20130070413A KR101346219B1 KR 101346219 B1 KR101346219 B1 KR 101346219B1 KR 1020130070413 A KR1020130070413 A KR 1020130070413A KR 20130070413 A KR20130070413 A KR 20130070413A KR 101346219 B1 KR101346219 B1 KR 10134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ctrostatic precipitator
impurities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혜안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안글로벌 filed Critical (주)혜안글로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5/00Means or methods for preventing, binding, depositing, or removing dust; Preventing explosions or fires
    • E21F5/20Drawing-off or depositing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which is disposed inside a bypass tunnel and which collects pollutants inside the tunnel or cleans the tunne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bypass tunnel which makes dust and pollutants to have a cake shape aft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used for cleaning and collecting the dust and the pollutants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tunnel, which uses a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 pressure filter and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which publicizes the information of environmental and treating standards inside the tunnel in real time or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a user. [Reference numerals] (10) Dust collecting device; (20) Pressure filter

Description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AIR CLEANER DEVICE FOR TUNNEL}Dust collector for bi-pastel {{AIR CLEANER DEVICE FOR TUNNEL}

본 발명은 바이패스 터널에 설치하여 터널내 오염물질을 집진 하거나 세정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내에 발생하는 분진과 오염물질등을 집진장치를 통하여 세정후 케이크화 처리하고, 가압여과기를 포함하는 집진기와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원격제어 가능하게 하고 터널 내의 환경기준치와 처리수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개 및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in the bypass tunnel to collect or clean pollutants in the tunnel, and more specifically, to clean the dust and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tunnel through the dust collecting device after cleaning the cake, pressurized A dust collector including a filter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the environmental reference value and processing value information in the tunnel can be disclosed in real time and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for the bi-pastaal will be.

일반적으로 터널내에는 다량의 차량 및 인원이 이동하고, 밀폐되어 있는 특성상 각종 먼지나 오염물질등이 발생되게 되는데, 보다 쾌적한 터널내의 공기를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공기 정화 시설 및 집진기의 기술이이 제시되고 있다.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vehicles and personnel are moved in the tunnel, and various dusts or pollutants are generated due to the enclosed nature. Various air purification facilities and dust collector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make air in the tunnel more comfortable.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182747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구동제어장치 및 방법』가 있는데,Such a prior art is the registered patent No. 10-0182747 『Electric dust collector driv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종래기술은 고압발생기와 전기집진기와 전기집진기의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기집진기의 구동시 전기집진기의 구동전류를 감지하도록 전기집진기의 후단에 연결된 전류감지부,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전기집진기 구동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전기집진기 내부회로의 단락 및 개방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전류감지부와 접속되어 전류감지부에서 입력된 전기집진기 구동전륭 상응하는 전압을 산출하고, 이 전압을 개방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전기집진기의 내부회로가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전기집진기의 구동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이 개방기준전압이상인 경우에는 구동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산출하여 단락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전압이 단락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는 단락기준전압을 2.5V씩 증가시키면서 전기집진기의 구동전류 감지 및 감지된 구동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재산출하여 산출된 전압과 단락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동작을 5차례 수행하여 전압이 단락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는 전기집진기의 내부회로에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고압발생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표시수단이 상기 전기집진기의 단락에러 발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구동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bnormal state of the high-pressure generator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current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detect the drive curren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e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driven; The electric precipitator driving current sens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is input to be connected to the current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short circuit and the opening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lculates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precipitator driving current input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This voltage is compared with the open reference voltage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circui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open.If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rive current of the precipitator is more than the open reference voltage, the short circuit reference voltag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rive current. If the voltage is higher than the short-circuit reference voltage, increase the short-circuit reference voltage by 2.5V. While detecting the driving curren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recalculating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driving current,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voltage with the short-circuit reference voltage five tim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eans to turn off the high pressure generator and to display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error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전기집진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먼지를 제거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그 효율성 등의 구조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related art is a technique related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pecific method for removing dust and structural and specific methods such as efficiency thereof are not presented.

또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특0164682호 『분진 농도 추종 제어 시스템』이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conventional patent registration No. 0164682 『dust concentration tracking control system』,

상기 종래기술은 전원 형상에 관계없이 전기집진기의 입구와 출구로 유입, 유출되는 분진농도와 그 변화량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즉각적으로 하전 전압/전류의 크기를 달리하는 분진 농도 추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집진기의 입구와 출구측에서 유입, 유출되는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오패시티 미터와 측정된 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기와 신호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하전값을 제어하기 위한 PLC와 PLC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Si-TR 콘트롤러에 전송하기 위한 멀티플렉서 및 통신용 컨버터등으로 구성되어, 입구측의 분진 농도를 기준으로 예측 제어를 하고, 출구측의 분진 농도를 기준으로 피이드백 제어를 함으로써 집진기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PLC에 의한 데이터값 등을 정확히 Si-TR 콘트롤러에 전달 할 수 있으며, 범용 제어기인 PLC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분진 농도 추종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The prior art relates to a dust concentration following control system that actively and immediately varies the magnitude of the charged voltage / current with respect to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change inflow and outflow into and out of the dust collector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power source. Opacity mete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entering and exit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PLC,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measured quantity into electric signal and PLC for controlling the charge value using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ter It consists of a multiplexer and a communication converter for transmitting the results processed by the PLC to the Si-TR controller, which performs predictive control based on the dust concentration at the inlet side and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dust concentration at the outlet side.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di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reduce unnecessary power loss, By using this func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mit data values by PLC to Si-TR controller, and present dust concentration tracking control system which is effective to secure system stability and reliability by using PLC which is a general-purpose controll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전기집진기의 입출되는 분진농도를 측정하여 능동적으로 전기집진기를 운영하는 기술을 제시한 것으로서, 응집된 분진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전기집진기를 세척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is to propose a technique for actively operat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by measuring the incoming dust concent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t is inconvenient to use a method such as wash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order to treat the aggregated dust .

나아가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293353호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과 등록특허 제10-0907652호 『피지제어를 적용한 전기집진기 하천제어장치 및 방법』이 있는데,Furthermore, there is a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0293353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 and Patent No. 10-0907652 `` electrostatic precipitator stream control device and method applying sebum control '',

상기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293353호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은 통신프로그램을 클릭하여 통신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이상이 발생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조치 할 수 있는 단계와, 상기 Si-TR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계와, 그래픽을 클릭하여 그래픽보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트랜드를 클릭하여 전기집진기의 해당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PLC 스캔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보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단계와,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래더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를 클릭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를 이용하여 Si-TR 제어부의 일차 전압/전류, 2차 전압/전류 및 IE의 세팅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운전 요구치인 2차 전류와 IE 세팅값을 PC에서 Si-TR제어부에 정확히 전달 및 그 결과치를 확인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전기집진기 운전에 관한 값을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으며, 제1,2 전기집진기 PLC제어부와 PC가 통신함으로써 전기집진기의 모터 및 레벨 스위치를 적정운전하기 위한 명령의 전달 및 결과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The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029335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a step of driving the communication program by clicking the communication program, and the step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rror occurs, the user can appropriately take action And controlling the Si-TR control unit, clicking a graphic to display the graphic board, clicking a trend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number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icking the PLC scan to display the same. And the step of starting the auxiliary program, driving the logic 5 program to display the ladder, and clicking the end when the user wishes to exit. You can monitor the settings of the primary voltage / current, secondary voltage / current and IE of the TR control unit, The system can stably operate the system by stably transmitting the secondary current and IE setting values, which are required for operation, from the PC to the Si-TR control unit and confirming the result values.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stored in the data logger installed in the dust concentration monitoring system It is possible to check the value related to the operation accurately, and to control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ich can confirm the transmission of the command and the result value for proper operation of the motor and level switch of the precipitator by communicating with the PLC controller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static precipitators. Presenting devices and methods,

상기 종래기술 제10-0907652호 『피지제어를 적용한 전기집진기 하천제어장치 및 방법』은 전기집진기 배출농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퍼지롤, 퍼지화, 퍼지추론, 비퍼지화등의 퍼지제어 정보를 저장하며, 전기집진기 하전상태를 지령하는 컴퓨터와 전기집진기 하전상테를 제어하는 전기집진기 컨트롤러와 코로나 방전을 위해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집진기와 전기집진기 스텍에서의 배출농도를 검출하고, 컴퓨터에 전송하는 센서 및 발신기와 전기집진기 추타장치의 지속시간, 팬 가동상태를 알려주는 PLC와 전기집진기 배출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업정보를 알려주는 DCS와 컴퓨터, 센서, 전기집진기 컨트롤러, PLC, DCS 간에 정보통신을 위한 케이블 및 컨버터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컴퓨터는 배출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입력신호 및 퍼지 롤을 저장하는 지식 베이스, 퍼지화/퍼지추론/비퍼지화를 행하는 퍼지 로직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지제어를 적용한 전기집진기 하천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ior art No. 10-0907652 『Electrostatic precipitator river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sebum control』 stor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charg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uzzy control information such as purge roll, purge, fuzzy inference, non-fugeization It detects the discharge concentration from the computer which commands the electric precipitator charge stat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roller to control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ge phas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 precipitator stack applying high voltage for corona discharge, and transmits it to the computer.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uter, sens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roller, PLC, and DCS, which informs PLCs of sensors, transmitters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s, fan operation st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affect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discharge concentration Cable and converter, in particular the computer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input signal and a purge roll that Chapter knowledge base, gives the fuzzy screen / Fuzzy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lying the fuzzy control comprises a non-fuzzy logic controller for performing fuzzy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for screen stream.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PC를 이용하여 전기집진기의 가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서, 상기 문제점과 동일하게 전기집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한 후에 제거된 먼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전기집진기 자체를 분해하거나, 따로 처리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two prior arts presen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a PC, and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provide a method of processing the removed dust after removing the dust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st collector itself needs to be disassembled or separately proces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에 있어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dust collector for the bi-pastel,

바이패스터널에 구비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기와 전기집진기에 응집되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가압여과기를 구비함으로써, 바이패스터널내의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응집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By provid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ovided in the bi-pastel to remove impurities and a pressure filter for filtering impurities aggregat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in the bi-pastel and at the same time to remove impurities

상기 전기집진기와 가압여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제어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 pressure filter,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control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so as to check the control state in real time,

가압여과기에 여과부를 포함하여 불순물을 케이크화하여 폐기되는 응집물의 부피를 감소하고,Including a filter in the pressure filter to reduce the volume of aggregates discarded by caked impurities,

가압여과기에 고압발생부를 구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챔버의 필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the bi-pastel which is provided with a high-pressure generator in the pressure filter to maximize the filter effect of the filter chamber to remove impuriti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bi-past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바이패스터널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기와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ich is provided in the bi-pastel to remove impurities in the air

상기 전기집진기에 응집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가압여과기와Pressurized filter for filtering the impurities aggregat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상기 전기집진기와 가압여과기의 동작을 모두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ll operations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 pressure filter;

상기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A database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wire or wirelessly and stor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는 바이패스터널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기를 구비하되, 상기 전기집진기에 응집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가압여과기를 더 구비함으로써 터널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응집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As described above, the bi-pastel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ovided in the bi-pastel to remove impurities in the air, and further includes a pressure filter for removing impurities aggregat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inside, remove the condensed impurities, easy maintenance,

상기 전기집진기와 가압여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제어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즉각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 pressure filter, the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state in real time, by checking the control state in real time, if an abnormality occurs, can take immediate action,

가압여과기에 고압발생부를 구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챔버의 필터효과를 극대화하여 완전하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The pressure filter is equipped with a high pressure generating unit to maximize the filter effect of the filter chamber to remove impurities, as well as to completely remove impurities,

상기 가압여과기에는 여과부를 더 구비하여 응집되는 불순물의 수분을 없애 케이크화 함으로써 불순물의 부피를 최소화 하고 후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sure filt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ggregated impurities to make the cak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impurities and to speed up the post-treatment as well a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여과기의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처리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메인필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메쉬필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차단판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진동 발생 수단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 시스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의 사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ic view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of a pressur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rocessing system diagram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filter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sh filter of th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cking plate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11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system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or in a simplified form or simplified in view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P)는 바이패스터널에 구비되어 터널내의 공기중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기(10)와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응집되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가압여과기(20)로 이루어져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bi-pastel dust collector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i-pastel to remove the impurities in the air in the tunnel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t consists of a pressure filter 20 for filtering the aggregated impurities.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패스터널에는 터널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핸(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핸(미도시)으로부터 흡입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로(T1)가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bi-pastel is provided with a suction handle (not shown) for sucking air in the tunnel, and a movement path T1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impurities sucked from the suction handle (not shown) moves. .

상기 이동로(T1)에는 전기집진기(10)가 구비되어 전기집진기(10)를 통하여 공기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는 공기배출부(T2)를 통하여 다시 상기 바이패스터널내로 배출되게 된다.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provided in the moving path T1 to remove impurities in the air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air from which the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is again return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T2. It will be discharged into.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집진기(10)는 복수개의 집진판(11)과 상기 집진판(11)들 사이에 삽입되는 고전압판(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전압판(12)에 전압이 인가되면, 고전압판(12)과 집진판(11) 사이에 자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자장에 의해 상기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불순물 등이 상기 집진판(11) 사이에 포집되어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generally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and a high voltage plate 12 insert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and a voltage applied to the high voltage plate 12. When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a magnet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high voltage plate 12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nd impurities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re collect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by the magnetic field thus formed to remove impurities. Done.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의해 응집된 불순물은 가압여과기(20)로 이동되게 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impurities aggregat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re moved to the pressure filter 20.

상기 불순물을 이동하기 위하여는 상기 흡입팬(미도시)의 가동을 중지하고, 전기집진기(10)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을 제어하고, 집진판(11)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거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수하여 제거하거나, 흡입하여 제거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move the impurities,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not shown), to control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o separate and remove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Generally used by spraying or removing, inhalation and the like can be used.

다시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의해 응집된 불순물들은 가압여과기(20)로 이동되게 되는데,The impurities aggregat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re moved to the pressure filter 20 agai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여과기(20)에는 응집된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필터챔버(211)가 구비되고,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부(231)와 압축공기를 필터챔버(211)로 투입하는 압축공기배출부(235)로 이루어진 고압발생부(23)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ressure filter 20 includes a filter chamber 211 for removing aggregated impurities, a compressed air inlet 231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and a compressed air filter chamber 211. It consists of a high pressure generating unit 23 made of a compressed air discharge unit 235 to be injected into.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응집되어 있는 불순물은 필터챔버(211)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챔버(211)에 압축공기가 투입되게 되는데, 상기 압축공기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어부(30)를 통하여 압축공기유입부(231)로 투입되고, 투입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보조탱크(233)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압축공기는 압축공기배출부(235)를 통하여 압축공기보조탱크(233)에서 상기 필터챔버(211) 내로 투입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impurities aggregat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re moved to the filter chamber 211, and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chamber 211. The compressed air is a control unit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compressed air inlet 231 is injected into the compressed air inlet 231, and the compressed air is stored in the compressed air auxiliary tank 233, and the compressed air is compressed air auxiliary tank 233 through the compressed air outlet 235. )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chamber 211.

따라서 상기 필터챔버(211)내의 불순물은 투입되는 압축공기를 통하여 고압으로 수분,오일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mpurities in the filter chamber 211 can maximize the filter effect by being able to remove moisture, oil, etc.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나아가 상기 필터챔버(211)에서 필터링 된 불순물은 여과부(21)로 이동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여과부(21)는 불순불을 응집하는 슬러지 체류조(213)와 응집된 슬서지를 탈수하여 케이크화 하는 슬러지 탈수부(215)로 이루어져 있다.Furthermore, the impurities filtered in the filter chamber 211 are moved to the filtration unit 21. More specifically, the filtration unit 21 dehydrates the sludge aggregated with the sludge retention tank 213 that aggregates the impurities. It consists of a sludge dewatering unit 215 to make a cake.

따라서 상기 필터챔버(211)에서 필터링된 불순물등은 슬러지 체류조(213)로 이동하여 서로 응집하여 슬러지가 되고, 상기 슬러지는 슬러지 탈수부(215)를 통하여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케이크화 되어 배출되게 된다.
Therefore, impurities and the like filtered in the filter chamber 211 are moved to the sludge retention tank 213 to agglomerate with each other to become sludge, and the sludge is caked and discharged by removing water through the sludge dehydration unit 215. .

다시 상기 전기집진기(10)에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T2)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부(T2)에는 여과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여과장치는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한 불순물이 이동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와 연결되어 유입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백필터를 구비한 메인필터와, 상기 메인필터 내로 크기가 큰 불순물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이송로와 상기 메인필터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불순물을 여과하는 메쉬망을 구비한 메쉬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쉬필터에는 상기 메쉬망에 여과된 잔재를 제거하는 공기분사 노즐이 더 구비되어 있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part T2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and the air discharge part T2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device, and the filtration device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t comprises a main filter having a transport path for moving one impurity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connected to the transport path and filters impurities introduced therein, and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large impurities into the main filter, The b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ransfer path and the main filter, and is made of a mesh filter having a mesh network for filtering impurities, and the mesh filter includes an air spray nozzle for removing residues filtered in the mesh network. It is further provid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집진기(10)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경우,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불순물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P)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터널내로 투입되는 공기배출부(T2)에 여과장치를 더 구비하여 2차적으로 불순물이 터널내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In more detail, when the impurities in the air are removed by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mpurities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may be generated. A filter device is further provided at the air discharge part T2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introduced into the tunnel to prevent impuriti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tunnel.

상기 여과장치(100)는 공기중의 불순물이 이송되는 이송로(130)와 상기 이송로(130)와 연결되어 유입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백필터(121)를 구비한 메인필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ltration device 100 includes a main filter 120 having a transport path 130 through which impurities in air are transported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121 connected to the transport path 130 to filter impurities introduced therein. It is made, including.

상기 메인필터(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백필터(121)가 수용되는 백필터 수용부(121A)와, 상기 백필터 수용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백필터(121)가 결합되는 결합공(126A)을 구비한 상부플레이트(126)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26) 상측에 형성되는 배출부(121B)와, 이 배출부(121B)와 연통되어 여과된 클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main filter 120 includes a bag filter accommodating part 121A in which a plurality of bag filters 121 are accommodated, and the bag filter 121 is located above the bag filter accommodating part. An upper plate 126 having a coupling hole 126A and an outlet portion 121B formed above the upper plate 126,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clean ga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portion 121B. And 120B.

상기 백필터(12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6)에 수직 상태로 결합되어 여과장치 내부(백필터 수용부)로 유입된 불순물이 상승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The bag filter 121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6 in a vertical state, and the filt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impuritie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apparatus (the bag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rise.

이를 위하여 상기 백필터(121)는 상하에 불순물 통과공을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상협하광의 벤츄리케이지와, 상기 벤츄리케이지를 감싸는 여과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bag filter 121 may be provided with an impurity passage hol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may include a venturi cage of upper and lower l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lter bag surrounding the venturi cage.

그리고 상기 여과백은 글라스 섬유나 솜, 양모, 합성 섬유, 석면 등 짬이 미세한 자루 모양으로 이루어져 불순물이 상승 기류를 타고 상기 벤츄리케이지를 통과하면서 불순물 등을 여과할 수 있다.The filter bag may be formed of a fine bag shape such as glass fiber or cotton, wool, synthetic fiber, asbestos, and the like may filter impurities while the impurities pass through the venturi cage in an upward airflow.

상기 여과백은 내열성 및 내부식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0.1미크로미터 이하의 미진까지 99%이상 제거할 수 있다.The filter bag can be removed 99% or more to the fineness of less than 0.1 micrometer using heat and corrosion-resistant materials.

또 본 발명은 상기 상협하광의 벤츄리케이지를 도입하여 여과된 잔재(불순물)의 분산 낙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Moreover, this invention can anticipate the dispersion-fall effect of the filtered residue (impurity) by introduce | transducing the said venturi cag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상기 백필터(121)의 상측 통과공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6)의 결합공(126A)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냅링(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ss hole of the bag filter 121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snap ring (not shown) to facilitate detachment to the coupling hole 126A of the upper plate 126.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이송로(130)와 상기 메인필터(120)의 연결부에 위치하고, 불순물을 선(先)여과하는 메쉬망(111)을 구비한 메쉬필터(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is locat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ransfer path 130 and the main filter 120,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esh filter 110 having a mesh network 111 for pre-filtration of impurities. .

상기 메쉬필터(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로(130)와 연결된 불순물 투입부(110A)와, 상기 메쉬망(111)이 수용되는 메쉬망 수용부(113)와, 상기 메인필터(120)와 연결된 불순물 이송부(1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the mesh filter 110 includes an impurity input part 110A connected to the transfer path 130, a mesh net accommodating part 113 in which the mesh net 111 is accommodated, and the main body. And impurity transfer part 110B connected to the filter 120.

상기 메쉬필터(110)는 다수의 여과공(111A)을 구비한 한 쌍의 메쉬망(111)이 상기 수용부(113)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filter 110 is preferably a pair of mesh net 111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111A) is laminat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3.

그리고 상기 메쉬망(111)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메쉬망 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the mesh network 111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pair of mesh network powder formed to be detachable.

한 쌍의 메쉬망 분체로 이루어진 메쉬망(111)을 도입하여 사용자는 메쉬망(111)의 교체 또는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By introducing a mesh network 111 made of a pair of mesh network powder, a user can easily replace or clean the mesh network 111.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메쉬망(111)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메쉬망(111)의 교체 또는 청소 시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that can be coupled to the mesh net 111 can improve the convenience when the user replaces or clean the mesh net (111).

이를 위하여 상기 메쉬필터(110)의 하우징에는 상기 메쉬망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ousing of the mesh filter 1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1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esh receiving portion.

상기 메쉬망(111)(메쉬망 분체)의 여과공(111A)은 불순물의 유량 및 물성에 따라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통칭함)가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다.The filtering hole 111A of the mesh net 111 (mesh net powder)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flow rat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urity, which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and reproduc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쉬필터(110)는 2단으로 적층된 4개의 메쉬망(111)을 도입하고, 상하로 형성된 메쉬망(111)의 여과공(111A)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불순물을 모두 여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sh filt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four mesh nets 111 stacked in two stages, and varies the size of the filtration holes 111A of the mesh nets 111 formed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so that all impurities can be filtered.

그리고 상기 2단으로 적층된 메쉬망(111)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의 메쉬망(111) 여과공(111A)이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와류를 형성하며 이송되는 불순물의 여과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sh network 111 stacked in two stages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mesh network 111 filter holes 111A cross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vortex to maximize the filtering effect of impurities transported. It is preferabl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단의 메쉬망(111) 중 하부의 메쉬망(111)의 여과공(111A)의 크기를 크게하고, 상부의 메쉬망(111)의 여과공(111A)의 크기를 작게하여, 하부의 메쉬망(111)에서 입자가 큰 불순물 등을 걸러주고, 상부의 메쉬망(111)에서 입자가 작은 불순물 등을 걸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preferably, the size of the filtering holes 111A of the lower mesh network 111 among the two mesh meshes 111 of the two stages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filtering holes 111A of the upper mesh mesh 111 is made small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particles are formed to filter out impurities and the like from the upper mesh network 111, and particles are formed to filter out impurities and the like from the upper mesh network 111.

그리고 상기 메쉬필터(110)에서 여과된 잔재(불순물)는 상기 메쉬망(111)에 집적되는데, 이때 불순물이 많이 집적될 경우 메쉬망(111)의 여과공(111A)을 막을 수 있고, 이러한 잔재가 다수의 여과공(111A)을 차단할 경우 상기 메쉬필터(110) 내부에서 상하의 차압이 형성되어 터널내의 공기순환이 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ue (impurity) filtered by the mesh filter 110 is integrated in the mesh network 111. At this time, when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are accumulated, the filter hole 111A of the mesh network 111 may be blocked. When the plurality of filter holes 111A block the upper and lower pressures inside the mesh filter 110, air circulation in the tunnel may not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쉬필터(110)는 상기 메쉬망(111)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 노즐(1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ures 1 and 5, the mesh filt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nozzle 112 that can inject a high-pressure compressed air to the mesh network (111). I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에어 노즐(112)은 별도의 압축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에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nozzle 112 is preferably connected to a separate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is an air injec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그리고 상기 메쉬필터(110)에는 차압계(미표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메쉬필터(110) 내부의 압력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차압 발생 시 상기 에어 노즐(112)의 압축 공기 분사를 통하여 여과공(111A)을 막는 잔재를 탈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h filter 110 is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gauge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pressure inside the mesh filter 110 at any time, and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the filtration hole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of the air nozzle 112 ( Residue blocking 111A) can be stripped off.

상기 에어노즐의 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메쉬필터(110)의 하우징 상측에 사방으로 네 개의 에어 노즐(11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number or positions of the air nozzles can be made in various ways.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four air nozzles 112 are formed on all sides of the housing of the mesh filter 110.

상기 차단부재는 메인필터(120)의 불순물 투입구에 구비되어 불순물을 분산시키는 차단판(122)으로 이루어진다.The blocking member includes a blocking plate 122 provided at an impurity inlet of the main filter 120 to disperse impurities.

상기 차단판(1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불순물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차단하는 차단부(122A)와, 분산된 불순물이 통과될 수 있는 연통부(122B)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8, the blocking plate 122 includes a blocking part 122A for dispersing and simultaneously blocking impuritie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communication part 122B through which dispersed impurities can pass.

도 8의 A는 상기 차단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8의 C는 측면도이다.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ing plate, FIG. 8B is a front sectional view, and FIG. 8C is a side view.

상기 차단부(122A)는 상기 투입구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넓은 면적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불순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cking portion 122A is preferably formed in a closed form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r larger than the inlet to prevent impurities from passing therethrough.

따라서 고속으로 이송되는 불순물이 상기 투입구를 통해 메인필터(120) 내로 투입되는 순간 불순물은 상기 차단판(122)의 차단부(122A)에 접촉되면서 분산되고, 백필터(121)에 의하여 여과된다.Therefore, the impurity that is transferred at a high speed into the main filter 120 through the inlet is dispersed while contacting the blocking part 122A of the blocking plate 122 and filtered by the bag filter 121.

상기 차단부(12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백필터 수용부(121A)로 불순물이 분산되어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백필터(121)의 여과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part 122A may maximize the filtration function of the bag filter 121 by dispersing impurities into the bag filter accommodating part 121A.

그리고 상기 연통부(122B)는 다수의 연통공(122b)이 결집된 형태로 이루어져 분산된 불순물을 백필터 수용부(121A)내로 안내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rt 122B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22b are aggregated to guide dispersed impurities into the bag filter accommodating part 121A.

또한 상기 차단판(122)은 상측에 절곡된 형태의 장착부(122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122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22C having a shape bent on the upper side.

상기 장착부(122C)는 상기 불순물 투입구 내측에 차단판(122)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차단부(122A)에 의하여 분산된 불순물이 차단판(122) 상측으로 오버 플로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122C may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blocking plate 122 inside the impurity inlet, and may prevent impurities dispersed by the blocking portion 122A from overflowing to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plate 122.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필터(120)의 배출부(121B)에는 백필터(121)에 집진된 잔재를 탈리시키기 위한 공기 분사 밸브(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discharge part 121B of the main filter 120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valve 127 for removing the residue collected on the bag filter 121.

상기 공기 분사 밸브(127)는 메인 필터 청소 시에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타이머를 통하여 소정 간격으로 공기 분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백필터(121)의 여과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valve 127 may be manually operated when the main filter is cleaned or the air injec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timer,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filtration function of the bag filter 121.

그리고 본 발명의 메인필터(120)는 상기 백필터 수용부(121A) 하측에 탈리된 잔재를 포집하는 호퍼(123)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filt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pper 123 for collecting the residual material de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g filter receiving portion 121A.

상기 호퍼(123)는 하측에 잔재배출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잔재배출구(125)로 탈리된 잔재가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잔재배출구(125)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측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pper 123 may include a residue discharge outlet 125 at a lower side, and may have a sidewall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esidue discharge outlet 125 so that the residue detached to the residue discharge outlet 125 may be more effectively collected. Do.

그리고 상기 호퍼에는 바이브레이터(128)를 구비하여 불순물을 잔재배출구로 침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pp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vibrator 128 to precipitate impurities into the residue discharge port.

그리고 상기 호퍼(123)의 잔재배출구(125)에는 포집된 잔재들이 화장로 운전 시 불순물의 상승기류에 의하여 백필터 수용부(121A)내로 재차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잔재 자동 배출 장치로써 스크류 피더(1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mnants collected in the remnant discharge port 125 of the hopper 123 to float again into the bag filter accommodation portion 121A due to the rising air of impuriti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keup furnace, a screw feeder as the remnant automatic discharge device. 124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스크류 피더(124)는 타이머 등을 통해 화장로 미 운전 시 작동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잔재배출구(125)에 구비된 배출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호퍼(123)에 포집된 잔재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crew feeder 124 is form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cover provided in the remnant discharge port 125 by adjusting to operate when the cremator is not operated through a timer or the like, and the remnants collected in the hopper 123 are automatically Can be discharged.

도 5 및 도 6 에서 상기 스크류 피더가 작동하여 상이한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ures 5 and 6 it can be seen that the screw feeder is operated and in different positions.

이어서 상기 차단판에는 차단판의 표면 등에 집진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진동 발생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block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 removing impurities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본 발명의 메인필터에는 잔재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분사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은 상측에 절곡된 장착부(122C)를 갖고 있으므로 상측에서분사된 압축 공기가 상기 차단판의 일면에 원활하게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The mai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injection valve for removing the residue, bu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locking plate has a mounting portion 122C bent at the upper side, the compressed air sprayed from the upper side is blocked. You may not be able to reach one side of the smoothly.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판에 집적되는 불순물(잔재)을 진동을 통하여 탈리되도록 한 후, 탈리된 불순물이 상기 백필터들에 의하여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차단판의 유지 관리 등을 위한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to allow the impurities (residue) accumulated in the blocking plate to be separated through the vibration, and then to remove the impurities to be filtered by the bag filter maintenance of the blocking plate to the user, etc. It is desirable to be made to ensure the convenience for.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우선 제1구현예로써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상기 차단판의 장착부와 상기 불순물 투입구 사이에 게재되어 미세 진동을 확산시킬 수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u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s a first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s made of an elastic body which is plac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and the impurity inlet to diffuse fine vibrations. Can be.

즉, 본 발명은 상기 차단판의 장착부에 진동방향으로(수직형태의 차단판과 직교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불순물 투입구의 대응장착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며,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formed in a vibration part (orthogonal to a vertical block plate) in a mounting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and a guide groove in which the guide rail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of the impurity inlet. Is equipped,

상기 장착부(122C)와 상기 불순물 투입구의 대응장착부에 탄성체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각 결합공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을 도입하여,An elastic coupling hole i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2C and the impurity inlet and introduces coil spring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upling holes.

불순물 투입 시 발생하는 기압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Vibr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air pressure generated when the impurity is introduced.

상기 탄성체로 연결된 차단판을 통하여 본 발명은 불순물 투입에 따른 기압으로 발생하는 미세 진동에 의한 잔재의 탈리가 동시에 이루어져 차단판의 연통공(122b)이 막히는 등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e blocking plate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erioration such as clogging of the communication hole 122b of the blocking plate by simultaneously removing the residue due to the micro vibration generated by the air pressure caused by the impurity input.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발생수단은 제2구현예로써, 상기 차단판(122)과 이격되어 축설된 탈리(脫離)롤러(129A)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9,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s a second embodiment, it may be made of a detaching roller 129A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plate 122.

도 9의 A는 상기 제2구현예를 개략 도시한 요부 측면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상기 제2구현예를 개략 도시한 평면 단면도이다.FIG. 9A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9B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은 상기 탈리롤러(129A)를 위하여 상기 메인필터의 하우징 또는 상기 차단판(122)의 양측면에 축설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이 축설부에 상기 탈리롤러(129A)가 축설되도록 함으로써 불순물의 투입 시 기압에 의하여 탈리롤러(129A)가 반복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차단판(122)을 진동시킴과 동시에 차단판(122) 표면에 집적되는 불순물을 직접 탈리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ccumulator (not shown)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of the main filter or the blocking plate 122 for the tally roller 129A, and the tally roller 129A is formed on the accumulator to have impurities. As the tally roller 129A is repeatedly rotated by the air pressure during the injection of the vibrating plate, the blocking plate 122 may be vibrated and impurities directly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122 may be directly removed.

이를 위하여 상기 탈리롤러(129A)는 외측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진동날개(129A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tally roller 129A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ibration blades (129A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그리고 상기 진동날개(129Aa)는 가요성(可撓性)의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 시 상기 차단판(122)을 타격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brating blade 129Aa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preferably formed to easily rotate while hitting the blocking plate 122 during rotation.

또 상기 진동 발생수단은 제3구현예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122A; 도 8참고)와 대응되는 제2차단판(129)과 이 제2차단판(129)에 구비된 타격부(129a)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s a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blocking plate 129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art 122A (see FIG. 8)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129. It may be made of a strike unit (129a) provided.

도 9의 A는 제3구현예로써 차단판(122)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D는 제3구현예를 개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10의 E는 제3구현예를 개략 도시한 평면 단면도이다.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ing plate 122 as a third embodiment, FIG. 10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mbodiment, and FIG. 10E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mbodiment. It is a cross section.

즉, 본 발명은 상기 차단판(122)의 차단부(122A; 도 8 참고)와 상응하는 제2차단판(129)을 상기 차단판의 전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2차단판(129)에서 상기 차단판(122)을 향하여 돌출된 타격부(129a)를 구비하여,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locking plate 129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art 122A (see FIG. 8) of the blocking plate 12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blocking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At 129, provided with a striking portion (129a) protruding toward the blocking plate 122,

불순물의 투입 시 발생하는 기압에 의하여 제2차단판(129)이 진동하게 되고, 이때 타격부(129a)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122)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차단판(122)에 불순물(잔재)이 집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ing plate 129 vibrates by the air pressure generated when the impurity is introduced, and at this time, vibratio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blocking plate 122 by the strike of the striking part 129a, and thus, the blocking plate 122 is applied to the blocking plate 122. Accumulation of impurities (residues) can be prevented.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차단판(129)은 상기 메인필터의 하우징 또는 상기 차단판(122)에 형성되는 축설부(미도시)에 복원 스프링 등의 탄성체(129b)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second blocking plate 129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elastic body 129b such as a restoring spring to an accumulator (not shown)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main filter or the blocking plate 122.

상술한 제2차단판(129)을 구비한 제3구현예에서는 상기 차단판(122)에 차단부(122A; 도 8 참고)가 구비되지 않고 다수의 연통공(122b)으로 이루어진 연통부(122B)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hird embodiment having the second blocking plate 129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part 122 is not provided with the blocking part 122A (see FIG. 8), and the communicating part 122B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ng holes 122b.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nly 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 발생수단으로써 상기 차단판(122)과 직접 연결된 별도의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후술하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vibrator directly connected to the blocking plate 122 as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a vibration, or to provide a vibration having a medium capable of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to be described later, such as various This can be done and can be fully predicted and repro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P)는 상기 전기집진기(10)와 가압여과기(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4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0)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bi-pastel dust collector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pressure filter 20, wired or wireless to the control unit 30 The display unit 50 is connected to the database unit 40 for storing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30 and the display unit 50 for outpu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기(10) 및 가압여과기(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바이패스터널의 측면 또는 외부에는 제어부(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0)에서 전기집진기(10)의 전압, 상태 및 가압여과기(20)의 작동유무, 작동상태 등을 제어하게 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1,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pressure filter 20, a control unit 30 is provided on the side or the outside of the bi-pastel, and the control unit ( At 30), the voltage, st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filter 20, the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ar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0)의 전압, 상태 및 가압여과기(20)의 작동상태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는 상기 제어부(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되는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전기집진기(10) 및 가압여과기(20)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바이패스터널내, 전기집진기(10), 가압여과기(20) 등에 감시카메라(51)를 더 구비하여 감시카메라(51)로 녹화되는 영상정보 또한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with a database unit 40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the voltage, st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sure filter 20, the database unit 40 is the control unit 30 and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he display unit 50 for outpu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 is further provided. The display unit 50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pressure filter 20 in real time, but also in the bi-pastel,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the pressure filter 20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urveillance camera 51 on the back so that the video information record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51 can also be output in real time.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사용자, 관리자, 유지보수 관리자가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연결하여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전화선을 이용하여 관공서 또는 소방서 등과 연결되어 긴급상황 및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display unit 5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users, administrators, and maintenance managers can directly connect the display unit 50 to check it, and are connected to public offices or fire departments using telephone lines for emergency situations and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spond automatically to emergencies by providing automatic alarms.

나아가 상기 전기집진기(10)에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기(1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집진판(11) 및 고전압판(12)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상기 전기집진기(10)는 용기 이송을 위한 이동장치(70)가 구비되어 있다.Furthermor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preferably moves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nd the high voltage plate 12 to mainta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s shown in FIG. ) Is provided with a moving device 70 for the container transfer.

상기 이동장치(70)는 이송휠(72)과 상기 이송휠(72)를 수용하는 휠 하우징(74) 및 상기 휠 하우징(74)과 전기집진기(10)을 연결하는 결합부재(76)와 상기 전기집진기(10)에 부착되고 결합부재(76)를 회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부재(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oving device 70 includes a wheel housing 74 for receiving the transport wheel 72 and the transport wheel 72 and a coupling member 76 for connecting the wheel housing 74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t comprises a position adjusting member 78 attached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capable of rotating the coupling member 76.

상기 위치조절부재(78)는 힌지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78 preferably uses a hinge shaft.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재(78)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79)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부재(79)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전기집진기(10)에 부착된 고정링(791), 상기 고정링(791)에 장착된 잠금레버(792)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member 79 for fixing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78 is further provided. The fixing member 79 is fixed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s shown in FIG. 12. Ring 791, and a locking lever 792 mounted to the fixed ring (791).

상기 고정부재(79)는 위치조절부재(78)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중에는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재(79)에 이동장치(70)을 고정해 놓고, 이송중에는 하부에 있는 고정부재(79)에 고정하여 사용을 한다. The fixing member 79 is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78 one by one, and the fixing device 79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79 located at the upper part during fixing, and the fixing member at the lower part during the conveying. Fixed to (79) and used.

또한 상기 이송휠(72)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장치(70)은 지면에서 쓰러 지지 않도록 각 모서리부에 최소한 4개 이상을 구비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ransfer wheel 72 is preferably used that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the moving device 7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four or more at each corner portion so as not to fall from the ground.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79)를 고정링(791), 상기 고정링(791)에 장착된 잠금레버(79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79 includes a fixing ring 791 and a locking lever 792 mounted to the fixing ring 79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예로는 위치조절부재와 결합부재에 코일스프링 내지 스냅링을 장착하여 이동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경우에 코일스프링 내지 스냅링의 탄성력으로 위치조절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osition of the moving device is adjusted by mounting the coil spring or the snap ring to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may be fix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or the snap ring.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mainly with respect to the dust collector for the bi-pastel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 :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
T1 : 이동로 T2 : 공기배출부
10 : 전기집진기 11 : 집진판 12 : 고전압판
20 : 가압여과기 21 : 여과부 211 : 필터챔버
213 : 슬러지 체류조 215 : 슬러지 탈수부
23 : 고압발생부 231 : 압축공기유입부
233 : 압축공기보조탱크 235 : 압축공기배출부
30 : 제어부 40 : 데이터베이스부
50 : 디스플레이부 51 : 감시카메라
100 : 여과장치 110 : 메쉬필터
111 : 메쉬망 112 : 에어노즐
113 : 메쉬망수용부 115 : 도어
120 : 메인필터 121 : 백필터
122 : 차단판 122A : 차단부
122B : 연통부 122b : 연통공
122C : 장착부 130 : 이송로
P: Dust collector for bi-pastel
T1: moving path T2: air exhaust
10: electrostatic precipitator 11: dust collector 12: high voltage plate
20: pressurized filter 21: filtration unit 211: filter chamber
213: sludge retention tank 215: sludge dewatering part
23: high pressure generating unit 231: compressed air inlet
233: compressed air auxiliary tank 235: compressed air discharge
30: control unit 40: database unit
50: display unit 51: surveillance camera
100: filtration device 110: mesh filter
111: mesh network 112: air nozzle
113: mesh net receiving portion 115: door
120: main filter 121: bag filter
122: blocking plate 122A: blocking part
122B: Communication part 122b: Communication hole
122C: mounting portion 130: transfer path

Claims (4)

바이패스터널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기(10);와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응집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가압여과기(20);
상기 전기집진기(10)와 가압여과기(20)의 동작을 모두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4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기집진기(10)에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T2)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부(T2)에는 여과장치(1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여과장치(100)는 불순물이 이동하는 이송로(130)와 상기 이송로(130)와 연결되어 유입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백필터(121)를 구비한 메인필터(120)와, 상기 메인필터(120) 내로 크기가 큰 불순물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이송로(130)와 상기 메인필터(120)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불순물을 여과하는 메쉬망(111)을 구비한 메쉬필터(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쉬필터(110)에는 상기 메쉬망(111)에 여과된 잔재를 제거하는 공기분사 노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기집진기(10)에는 이동장치(7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장치(70)는 이송휠(72)과
상기 이송휠(72)을 수용하는 휠 하우징(74)과
상기 휠 하우징(74)과 전기집진기(1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76)는 이동중에만 상기 전기집진기(10)의 바닥면에 휠 하우징(74)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조절부재(7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provided at the bi-pastel to remove impurities in the air; and
A pressure filter 20 for filtering impurities aggregat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all operations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the pressure filter 20; and
A database unit 4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by wire or wirelessly to store control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30; And
Display unit 50 for outpu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 air discharge part T2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he air discharge unit (T2)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device 100,
The filtration device 100 includes a main filter 120 having a transport path 130 through which impurities move and a plurality of bag filters 121 connected to the transport path 130 to filter impurities introduced therein, and It comprises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the large impurities into the main filter 120,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of a mesh filter 110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ransfer path 130 and the main filter 120 and having a mesh network 111 for filtering impurities, and the mesh filter 110.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spray nozzle for removing the residue filtered on the mesh network 111,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provided with a moving device 70,
The moving device 70 and the transfer wheel 72 and
Wheel housing 74 for receiving the transfer wheel 72 and
It comprises a coupling member 76 for connecting the wheel housing 74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the coupling member 76 is a wheel housing 7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only during the movement. Dust collecting device for bi-past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78 is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to be posi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여과기(20)에는
전기집진기(10)에 응집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챔버(211)와 상기 필터챔버(211)에 연결되어, 제거된 불순물을 응집하는 슬러지 체류조(213)와 응집된 슬러지를 탈수하여 케이크화 하는 슬러지 탈수부(215)로 이루어진 여과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essure filter 20
It is connected to the filter chamber 211 and the filter chamber 211 to remove the aggregated impurities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the sludge retention tank 213 and agglomerated sludge aggregated to remove the impurities to cake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bipast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ration unit 21 made of sludge dewatering unit (2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여과기(20)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부(231)와 상기 필터챔버(211)로 압축공기를 투입하는 압축공기배출부(235)로 이루어진 고압발생부(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ure filter 20 is
Compressed air inlet 231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ed air and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unit 235 for introducing the compressed air into the filter chamber 2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igh pressure generating unit (23) Dust collector for pass tunne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78)에는 고정부재(79)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79)는 상기 전기집진기(10)에 부착된 고정링(791)과, 상기 고정링(791)에 장착된 잠금레버(79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78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79,
The fixing member (79) i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the bi-past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ing ring (791) attached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d a locking lever (792) mounted on the fixing ring (791).
KR1020130070413A 2013-04-30 2013-06-19 Air cleaner device for tunnel KR1013462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290 2013-04-30
KR20130048290 2013-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219B1 true KR101346219B1 (en) 2014-01-03

Family

ID=5014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413A KR101346219B1 (en) 2013-04-30 2013-06-19 Air cleaner device for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21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611B1 (en) * 2017-07-19 2018-04-27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 Monitering System for a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KR20180131084A (en)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 Pressure Controlling Module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n Apparatus for a Underground Tunnel with the Same
KR20190136549A (en)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of Blocking a Power Automatically
KR20190136491A (en)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Inducing Blade Type of an Electrical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Tunnel
KR20190137035A (en) 2019-11-27 2019-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IOT Sensor Detecting Type of a Monitoring System for an Electrical Dust Collect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388A (en) * 2001-01-22 2002-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Washing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388A (en) * 2001-01-22 2002-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Washing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084A (en)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 Pressure Controlling Module fo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n Apparatus for a Underground Tunnel with the Same
KR101852611B1 (en) * 2017-07-19 2018-04-27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 Monitering System for a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KR20190136549A (en)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of Blocking a Power Automatically
KR20190136491A (en)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Inducing Blade Type of an Electrical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Tunnel
KR20190137035A (en) 2019-11-27 2019-12-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IOT Sensor Detecting Type of a Monitoring System for an Electrical Dust Collecting Apparatus
KR20220016264A (en) 2019-11-27 2022-02-0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n IOT Sensor Detecting Type of a Monitoring System for an Electrical Dust Collec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219B1 (en) Air cleaner device for tunnel
CN109482004B (en) Intelligent industrial flue gas and dust treatment cloud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064637B (en) Prevent weaving dust remover of jam
KR102032900B1 (en) SMART DUST COLLECTING APPARATUS BASED ON IoT USING SENSOR DATA
CN106102536B (en) For clearing up the method and dust collection equipment of the filter of dust collection equipment
CN108310860A (en) A kind of intelligence cleaner
KR102021551B1 (en) Bag filter pulse control system
CN208382392U (en) A kind of air cleaning facility convenient for clean replacement
CN109847507A (en) A kind of dust-extraction unit of the dust for magnet processing workshop
CN109011981A (en) A kind of dust removal method removing magnet processing workshop dust
CN108355417A (en) A kind of dust-extraction unit for industrial waste gas
KR20080086633A (en) Dust collector
JP2011131132A (en) Welding fume collector
CN211704431U (en) Vacuum 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head
CN109106286A (en) Dust collec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device and method
CN202983410U (en) Dust collection device
TWI813149B (en) Concentrated dedusting filter dust collector capable of removing nanoparticle-grade fine dust and method thereof
US8603262B2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a structure
KR20090004018A (en) A dust-collector with filter bags
KR20130137921A (en) Dust collector
CN210138551U (en) Bag-type dust removal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KR102025512B1 (en) Decontamination dust removal system
CN208959515U (en) A kind of polishing class dust pulse dust collector
JP2005349246A (en) Bag filter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7101210B (en) Device and method for self-cleaning of filter screen of primary air port of garbage inci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